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1년_4-5_지중파형강판 구조물 안정성 및 유지관리 향상 방안
2024.04.12 16:58
143
4-5 지중파형강판 구조물 안정성 및 유지관리 향상 방안 구조물처-2561
(2010. 11. 5)
Ⅰ. 검토목적
□ 파형강판 구조물 점검 및 보수보강 등 유지관리의 효율성 제고
□ 설계기준 개선을 통한 구조물 안정성 확보 및 하자 예방
Ⅱ. 현황 및 하자유형
파형강판 구조물 현황
구분 |
파형강판 구조물 |
비고 |
|||
계 |
암거 |
교량 |
터널 |
||
개소 |
461 |
452 |
7 |
2 |
국고 : 336 민자 : 125 |
하자 사례 및 유형
○ 파형강판구조물 240개소에서 균열 등 359건의 하자 발생
- 균열 및 누수․백태 등이 268건(75%)으로 대다수 차지(붙임#1)
※ 하자발생 부재 및 유형
강판
118(33%)
옹벽기초
202(56%)
포장등 기타
39(11%)
단면변형
39(11%) 누수,백태
107(30%)
녹발생
20(5%)
부등침하
4(1%)
기타
28(8%)
균열
161(45%)
부재별 유형별
☞ 조사기간 : 2010.6.16 ~ 10.12
○ 주요 하자로는 옹벽균열, 누수․백태 및 강판변형 등이 있음
※ 하자 유형 및 원인
하자유형 |
옹벽균열 |
누수․백태 |
변형․찢김 |
녹발생 |
부등침하 |
포장균열 |
발생원인 |
콘크리트 건조수축 등 |
우수침투 배수처리 미흡 |
뒤채움 관리미흡 |
토석류 및 누수 |
기초지반 지지력부족 |
옹벽기초 부등침하 |
144
Ⅲ. 현실태 및 문제점
시공중 뒤채움부 이완 및 다짐관리 어려움으로 강판변형 초래
○ 뒤채움부는 지하수위가 높은 경우 이완되어 수평저항력 상실
- 노상토 세립분이 물에 유실되어 원인 제공
○ 파형강판 및 토공 전문업체 이원화에 따른 뒤채움관리 곤란
○ RC암거의 뒤채움기준 준용으로 파형강판구조물 성능저하 우려
- 합성형구조물 뒤채움재료는 SB-1(2) 사용토록 규정(고속도로공사 전문시방서)
※ 뒤채움재료 적용기준(지중강판 표준도)
토피고 3.5m 이하 : SB-1 및 노상토 토피고 3.5m 이상 : 노상토
⇒ 파형강판 내공단면 과다 변형사례 발생(붙임#2)
뒤채움부에 지하수 및 우수 유입으로 누수 발생
○ 지하수 등의 배수처리시설이 없어 체수로 인한 기초접합부 누수 과다
○ 절성경계부에 구조물 설치로 지하수위 상승 및 노상토 동해 우려
○ 시공중 쌓기비탈면 등에서 뒤채움부로 빗물 과다 유입
⇒ 체수 및 누수 방지를 위한 맹암거 설치 필요
파형강판 천단 침하 암거내부 누수 과다
145
구조물 점검환경 열악
○ 수로암거는 점검이 곤란하여 파형강판구조물 관리 소홀
- 대상암거 : 경부선 구미-119 암거 등 123개소(붙임#3)
○ 파형강판구조물 내공단면 변형률 확인시간 과다 소요
- 소요시간 : 90분/개소(측점별 30분 소요)
수로내부 점검곤란 내공단면 측정난이
안전등급 관리 부실
○ 상태평가 기준 부재로 안전등급의 신뢰도 저하
- 점검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해 안전등급 지정
- 안전등급의 형식적 관리로 적기 보수보강 곤란
○ 접근 곤란한 성토부 하단 등에 위치하여 관리 소홀
- 하천, 수로 등에 위치한 경우 안전점검 미시행
- 공용년수가 10년 이내로 짧아서 안전한 것으로 인식
하자관리 미흡
○ 강판손상부 임의보수 등으로 구조물의 안정성 침해
- 사례 : 강판덧댐 용접, 강판균열부 접착제 주입 등
○ 하자 준공검사 소홀
- 균열 보수후 주입제 충전상태 미확인
- 지수제주입용 패커 미제거 등 마무리상태 미흡
⇒ 보강공법 검토 및 현장확인 등 하자관리 강화 필요
146
Ⅳ. 개선방안
뒤채움부 설계 및 시공관리 강화
○ 파형강판 뒤채움재료 개선
현 행 |
→ |
개 선 |
․토피고 3.5m이하 : 노상토 +SB-1 ․토피고 3.5m이상 : 노상토 |
․보조기층 재료(SB-1,2) (고속도로공사 전문시방서 준용) |
○ 하자방지 위한 책임시공 풍토 조성
현 행 |
→ |
개 선 |
․감독(감리)원 검측시행 |
․사업단 단계검측 시행 - 기초지반, 강판조립, 뒤채움 - 파형강판업체 책임자 의무참여 |
옹벽기초 배면에 배수시설 적용
○ 시공중 우수 등 침투수의 유도배수를 위한 맹암거 설치
- 맹암거는 날개벽까지 연장하여 인접 측구에 접속처리
SB-1(2) SB-1(,2)
맹암거 상세
상세A
※ 뒤채움부 범위는 현설계와 동일(SPAN/2)
시공개념도 전경사진
○ 지하수 유입 등의 취약구간은 파형강판구조물 설계 지양
- 절성경계부에 위치하여 단차발생 및 용수우려 구간
- 지하수위가 높은 누수예상 구간, 연약지반 구간 등
147
구조물 점검환경 개선
○ 내공단면 변형률 자동산정으로 내업시간 단축(붙임#4)
현 행 |
→ |
개 선 |
․계산기 사용 - 소요시간 : 90분/개소 |
․자동연산 프로그램 배포 및 활용 - 소요시간 : 30분/개소(△60분) |
○ 쌓기부 점검계단 확대 설치
- 대상 : 구조물 인근 20m 이내에 점검계단이 없는 경우
○ 안전점검 기준 내실화
현 행 |
→ |
개 선 |
․점검주기 : 2회/년 ․점검시기 : 기준 없음 |
․점검주기 : 1회/년 ․점검시기 : 3~4월 |
안전등급 관리 강화
○ 구조물 상태평가 잠정기준 마련
- 평가부재 : 파형강판, 옹벽기초 등으로 구분(붙임#5)
※ 상태평가 절차
단계 |
평가 내용 |
비고 |
1 |
․단위Span 부재별 상태평가 및 평균 결함도지수 산정 - 평가부재 : 파형강판, 옹벽기초 등 |
세부지침 개정시 까지 잠정활용 |
2 |
․전체 Span의 평균 결함도지수 산정 |
|
3 |
․구조물 형식에 따른 부재별 가중치 적용 - 형식구분 : 합성형, 원형, 파이프아치 |
|
4 |
․최종 결함도지수 산정 및 안전등급 지정 |
○ 춘계점검시 파형강판구조물 점검결과 확인
- 대상 : 수로 및 신설 구조물
- 항목 : 안전등급, 내공단면 변형률, 점검기록 관리 등
148
하자관리 체계 구축
○ 결함유형별 적정공법 선정
※ 부재별 주요결함 및 보수보강 공법
구분 |
주요결함 |
보수․보강공법 |
비고 |
|
파형강판 |
내공단면 변형 |
단면 보강 |
붙임#6 |
|
균열,찢김 |
국부 |
접착식 강판 덧댐보강 |
||
전면 |
단면 보강 |
|||
누수 |
지수제 주입 |
|||
백태, 녹 |
유수부 |
철근콘크리트 보호공 |
||
노출부 |
백태(녹)제거 및 아연도금 |
|||
옹벽기초 |
균열․누수 |
주입 보수(습식 에폭시 등) |
||
부등침하 |
기초지반 보강(그라우팅 등) |
|||
포장 등 기타 |
포장부 균열 |
균열 씰링 |
||
라이닝균열․손상 |
단면보수 등 |
☞ 파형강판 결함부분 원인규명 및 대책 검토서(도교연, 2007년) 참조
- 기술과제 추진(내공단면 5%이상 변형, 강판균열․찢김 발생시)
○ 하자 준공검사 확인 철저
- 매년 구조물 통합점검 대상에 포함하여 추계점검 평가시 반영
조치(협조) 사항
○ 설계중인 노선 : 설계시 검토후 반영
○ 설계완료후 미발주 노선 : 착공전 검토후 보완설계 시행
○ 시공중인 노선 : 공사여건 및 공정 등을 판단하여 적용
○ 공용중인 노선 : 보수․보강 소요예산 사업계획 반영
Ⅴ. 향후 추진계획
□ 2010. 11월 : 파형강판 상태평가기준 수립 요청(→ 한국시설안전공단)
□ 2010. 12월 : 파형강판구조물 집중관리대상 선정
□ 2010~2011년 : 기술과제 및 보수․보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