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102

□ 토지를 형성하는 여러 단층중 최상단부 위치

□ 풍부한 양분과 미생물을 함유하고 있어 식물

생육에 최적의 조건 제공

□ 비옥토 1㎝ 생산소요 기간:50년이상

비옥토란 ?

3-3 비옥토(표토) 활용방안 시 설 처-594

(2010. 2. 23)

Ⅰ 추진목적

저탄소 녹색고속도로 건설과 훼손된 자연환경을 복원하기 위하여

풍부한 양분과 미생물을 함유하고 있는 비옥토(표토)를 활용하여 녹지대

식재기반 조성에 활용코자 함

Ⅱ 추진배경

□ 건설구간의 귀중한 자연자원인 비옥토를 활용하기 위하여

비옥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 비옥토의 수거․운반 및 추후 활용까지의 정례화된 시스템 필요

103

Ⅲ 현실태 및 문제점

□ 녹지대 식재기반 조성의 어려움

o 녹지대 조성시 토목공사에 전적으로 의존

- 조경공사는 후속공종으로 인한 양질의 토사 확보의 어려움

□ 환경영향평가 등에 비옥토를 활용토록 하고 있으나 활용실적 저조

o 환경적 측면에서의 비옥토의 중요성 인식 부재

o 평가항목중 ‘지형․지질’ 부분에서 비옥토 활용 언급(별첨참조)

o 녹지대 식재기반 조성을 위한 비옥토 활용실적 없음

- 환경영향평가 이행사항으로 소극적 활용(노선 성토재 등)

o 운반, 보관 및 사후 활용에 신규 비용 발생

o 비옥토의 수거 및 활용주체 이원화(수거,운반,보관:토목, 활용:

조경)에 따른 비옥토 활용의 어려움

□ 국내․외 비옥토 활용 사례

o 국내

- 한국토지주택공사

▹택지개발지역 비옥토 활용으로 녹지대 기반조성

▹공공기관중 가장 적극적 활용중, 다른 공공기관은 소극적 활용

[비옥토 모으기(LH공사)] [비옥토활용 녹지대 조성(LH공사)]

104

o 국외

- 독 일(연방건설법, 연방자연보호법)

▹고속도로 1km이상 건설시 3~4ha 대체녹지 조성 및 비옥토 사용

- 일 본

▹“표토매트붙임”공법을 이용하여 터널갱구부 등 조기녹화 유도

[대체녹지 조성지(독일)] [터널상단 비옥토매트 전면 붙임(일본)]

Ⅳ 활용방안

 

 

105

□ 환경영향평가서 작성시 비옥토 활용 확대

o 식재기반 조성시 사용할 비옥토 활용에 대한 환경영향평가서 작성

o 환경영향평가서에 토목공구별 비옥토 수량 명기

□ 현재 시행중인 자생수목 활용과 연계

o 환경영향평가서를 근거로 토목설계시 비옥토수거, 운반 설계반영

- 토목설계시 비옥토수거(T=20㎝) 공종으로 설계반영

(기존 표토제거 공종과 구분)

o 자생수목 가식장 운영하는 사토공구별 시행

- 비옥토 운반거리는 공구 중심위치에서 가식장까지(3.5㎞) 반영

o 시행후 효과분석을 통해 확대 시행

□ 비옥토보관은 자생수목 가식장 활용

o 가식장 임대후 비옥토 수거․운반 및 포설후 자생수목 이식

- 비옥토보관량(㎥) = 가식장 면적(㎡) × 수거높이(1~1.5m)

- 추가 비옥토 적치장 임대비 불필요

- 가식장 미운영시 별도 적치장 임대가능

□ 보관후 녹지대 기반조성시 운반비는 조경공사 설계반영

Ⅴ 기대효과

o 친환경 녹색고속도로 건설 및 환경관리 선진화 적극 시행

o 자연자원 재활용을 통한 친환경 이미지 실현

o 조경수목 조기활착 및 생육증진을 통한 품질 향상

106

Ⅵ 시행방법

□ 건설사업단 설계변경 시행

o 기발주 공사중 비옥토수거 가능한 노선

- 상주영덕, 충주제천, 울산포항

o 현재 설계완료 및 2010년 발주예정 노선

□ 설계 포함

o 현재 설계중인 노선 및 향후 설계노선

□ 지역본부

o 나들목 신설, 선형개량구간 등은 지역본부에서 검토후 시행

별 첨:1. 환경영향평가서 검토(울산-포항, 음성-충주) 1부.

2. 비옥토 수거․운반 및 활용비용 산출 1부.

3. 녹지대 기반 조성시 운반비 산출근거 1부.

4. 비옥토활용 시방서(안) 1부.

5. 비옥토(표토) 관리대장(양식) 1부. 끝.

107

별첨 #1

환경영향평가서 검토

【울산-포항간 고속도로 건설사업 환경영향평가서】

7.1.2 지형․지질

(9) 비옥토 처리대책

o 본사업의 공사시 발생하는 비옥토는 「채취→가적치→활용」순서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이다.

(다) 활 용

o 비옥토의 활용은 IC가 포함된 공구에 한하여 활용토록 함이

적정하며 산정된양은 대략7,540㎥이나 IC별로 실제 필요수량을

IC별로 재산정하여 비옥토를 활용하고 그 결과를 협의내용

관리대장에 기록토록 할 것이다.

【음성-충주간 고속도로 건설사업 환경영향평가서】

7.1.2 지형․지질

라) 비옥토 발생

절토작업시 발생하는 표토 등 자연지형의 토양은 물리적으로 생물의

생존에 기초가되는 통기성, 보수성을 갖고 있으며, 화학적으로 토지에

생물을 양육하는데 적합한 유기물이나 기타 유효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본 계획노선중 임야구간에서 발생하는 비옥토량은 비옥토의 5%를

유용하는 것으로 하여 산정한 결과 9,100㎥로 예상된다.

108

별첨 #2

비옥토 수거․운반 및 활용비용 산출

□ 비옥토 활용비용 산출 -㎥당-

 

공 종

규 격

단 가

비 고

 

1,983/

 

토목

소계

 

-

 

비옥토수거

답외구간, T=20

-

표토제거(실적단가) 146/

적재 및 운반

3.5km기준

-

사토비 개념으로 설계

자생수목 운반거리

보관(임대)

 

-

자생수목 가식장 사용

조경

적재 및 운반

3.5km기준

1,983/

조경공사에 포함

 

 

※ 비옥토수거비용은 기존 표토제거와 동일작업

□ 비옥토 수집 설계반영시 공사금액 예시

o 나들목 B-ramp 녹지대 T=30㎝ 포설시

5,949천원/3,000㎥ 소요

※ 트럼펫형 나들목 B-ramp 면적 ≑ 10,000㎡

- 비옥토 소요량:3,000㎥(녹지대 30㎝ 포설)

- 가식장 면적:3,000㎡(H=1m 가적치)

▹표토제거(답외구간, T=20㎝) 730원/㎥(146원/㎡) 기반영

▹비옥토 운반, 포설 비용은 사토비 개념으로 설계

- 보관후 녹지대 기반조성시 조경공사 설계반영

▹1,983원/㎥ × 3,000㎥ = 5,949천원

0.3m×10,000㎡

= 3,000㎥

109

별첨 #3

녹지대 기반조성시 운반비 산출근거

 

 

공 종

산 출 근 거

 

운반비 산출 (덤프 15ton)

 

 

 

 

 

 

 

비옥토

 

 

 

 

 

 

 

 

 

 

보 관

운반거리

=

3.50

km

운반속도 :

30km(적재), 35km(공차)

 

 

 

 

 

 

 

 

 

 

 

 

T

=

15.00

ton

(덤프트럭 적재용량)

 

 

 

L

=

1.30

 

(체적환산계수에서의 체적변화율)

 

rt

=

1.60

ton/

(자연상태 토석의 단위 중량)

 

f

=

1.00

 

(체적환산계수)

 

 

 

 

E

=

0.90

 

(덤프트럭 작업효율)

 

 

 

Es

=

0.60

 

(굴삭기 작업효율)

 

 

 

qs

=

1.00

(굴삭기 버킷용량)

 

 

 

k

=

1.10

 

(버킷계수)

 

 

 

 

 

 

 

 

 

 

 

 

 

 

 

qt = T*L/rt =

12.19

(흐트러진 상태의 1회 적재량)

 

n = qt/(qs*k) =

11.08

(굴삭기의 적재횟수)

 

 

 

cms

=

19.00

(굴삭기의 1회 사이클시간)

 

 

t1= cms*n/(60*Es) =

5.85

min

 

 

 

 

 

 

t2 = (3.5/30+3.5/35)*60 =

13

min

 

 

 

 

 

 

t3 = 0.8(적하시간), t4=0.42(적재준비시간), t5=0.5(적재함 덮개 설치 및 해체시간)

 

cmt = t1+t2+t3+t4+t5 = 20.57

min

(덤프트럭의 1회 사이클 시간)

 

Q = 60*q*f*E/cmt =

32.00

/hr

 

 

 

 

 

 

 

 

 

 

 

 

 

 

 

 

 

 

경 비 :

14383.3

/Q

=

 

 

449

 

 

 

 

노무비 :

20557.7

/Q

=

 

 

642

 

 

 

 

재료비 :

28546.5

/Q

=

 

 

892

 

 

 

 

소 계 :

 

 

 

 

 

1,983

 

 

 

 

 

 

 

 

 

 

 

 

 

 

 

 

 

 

110

별첨 #4

비옥토 활용 시방서(안)

□ 비옥토 모으기 및 활용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1 본 시방은 건설현장의 유기물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표토(비옥토)를 포함한 부지의 정지

공사시에 적용한다.

1.1.2 비옥토는 유기물질 함유뿐만 아니라 자생종 함유가능성이 높으므로 지정된 조경공사시

우선적으로 활용한다.

1.2 참조규격

1.2.1 한국산업규격(KS)

2. 재료

2.1 비옥토는 설계서에 지정된 장소에서 채취 수집하여야 한다. 설계서에 채취장소가 명시되지

않아 수급인이 선정하는 경우에는 사전에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2.2 비옥토로서의 적합성 여부는 유기물, 무기물, 유해물질의 존재여부 및 총량 등으로 결정한다

2.3 비옥토는 다음 <표>의 판단기준에 따라 사용용도에 맞게 적용한다.

 

항목

적정(개량)기준

적용여부

항목

적정(개량)기준

적용여부

투수계수

10-410-5/sec

 

토양산도(pH)

5.57

 

보 수 성

건토중의 4080%

 

전기전도도(EC 1:5)

0.12.0mmho/

 

토양구조

입상

 

염분

00.05%

 

토 성

사양토식양토

 

전질소

0.1%이상

 

토 색

암갈흑색

 

유효인산

50ppm 이상

 

토양경도

20이하

 

토양유기물

3% 이상

 

,자갈 등

없음

 

치환성칼륨

10mg/100g 이상

 

양이온 치환용량(CEC)

10me/100g 이상

 

치환성석회

2.5me/100g

 

1. “적용여부항에 O, X 로 표기한다.

2. “적정(개량)기준은 설계자의 재량으로 다소 변경될 수 있다.

 

 

주 1. “적용여부”항에 O, X 로 표기한다.

2. “적정(개량)기준”은 설계자의 재량으로 다소 변경될 수 있다.

[비옥토의 적합성 판단기준]

3. 시공

3.1 준비

3.1.1 채집대상 비옥토가 산성(pH 5.5 이하) 또는 알칼리성(pH 7.5 이상)인 경우에는 석회 분말

또는 적당한 산화물로 중화시켜 사용한다.

111

3.2 채 취

3.2.1 강우로 인해 비옥토가 습윤상태이거나 먼지가 날 정도의 이상 건조일 경우에는 채취작업

을 피해야 하며 재작업은 감독자와 작업시행 여부에 대하여 협의ㆍ조정한다.

3.2.2 지하수위가 높은 평탄지 또는 토사유출에 따른 재해예상 구역에서는 가능한 한 채취를 피

한다.

3.2.3 비옥토 채취시 낙엽등 부산물이 섞이지 않아야 하며, 3cm이상의 잔돌 등이 없어야 한다.

3.2.4 채취두께는 20cm를 표준으로 하되 토양시험 결과 및 사용기계의 작업능력과 안전을 고려

하여 감독자와 협의ㆍ조정한다.

3.3 보관

3.3.1 배수가 양호하고 평탄하며 바람의 영향이 적은 장소에 임시적치장을 조성하여 적치한다.

3.3.2 임시적치 기간중에는 비옥토의 성질변화, 바람에 의한 비산, 우수에 의한 유출, 양분의 유

실 등에 유의하여 방진덮개, 비닐 등으로 덮어 주어야 한다.

3.3.3 가적치 최소두께는 1m를 기준으로 하며 최대 3.0m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3.3.4 자생수목 가식장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목식재 여건도 함께 고려하여 선정한다.

3.4 운반

3.4.1 운반거리는 최소로 하고 운반량은 적재함 상단으로부터 5㎝ 이하까지만 적재하고, 덮개를 설

치하여 적재물이 외부로부터 보이지 아니하고 흘림이 없도록 한다.

3.4.2 토양이 중기사용에 의하여 식재에 부적당한 토양으로 변화되지 않도록 채취, 운반 등의

작업순서를 정한다.

3.5 펴기

3.5.1 비옥토 복원 두께는 식재수목의 종류에 따라 결정한다.

3.5.2 비옥토 다짐은 수목의 생육에 지장없는 정도로 시행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20309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2979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7639
183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00_표지 및 목차 file 효선 2025.03.20 152
183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1-1_고속도로 건설 관련 부담금 공사부서 인계 방안 file 효선 2025.03.20 68
183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1-2_하이패스 나들목 설계업무 프로세스 file 효선 2025.03.19 63
183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1-3_안전관리비 현실화를 위한 설계원가 개선 file 효선 2025.03.19 71
183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1-4_현장중심의 특정공법 내실화 방안 마련 file 효선 2025.03.19 54
183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1-5_안전관리비 설계업무 가이드 마련 및 계상기준 보완 효선 2025.03.19 82
182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1-5_안전관리비 설계업무 가이드 마련 및 계상기준 보완 file 효선 2025.03.19 59
182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1-6_드론 통합측량 확대방안 file 효선 2025.03.19 86
182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1-7_건설현장 환경보전비 운영개선(안) file 효선 2025.03.19 53
182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2-1_PSC거더 및 바닥판 연결부 개선방안 file 효선 2025.03.19 68
182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2-2_이동식 크레인 안전성 향상방안 file 효선 2025.03.19 77
182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2-3_GFRP 보강근을 활용한 교량 난간 방호벽 적용방안 file 효선 2025.03.19 68
182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2-4_케이블교량 정착부 내구성 향상 방안 file 효선 2025.03.19 223
182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2-5_교량용 난간방호벽 스트럽 상세 개선 file 효선 2025.03.19 58
182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3-1_주행안전성, 쾌적성 향상 위한 배수성 포장 활성화 방안 file 효선 2025.03.19 52
182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4-1_고속도로 터널 여굴 및 채움재 산출기준 개선 file 효선 2025.03.19 60
181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4-2_터널 폐수처리시설 및 수질 TMS 계상기준 개선 file 효선 2025.03.17 63
181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4-3_터널내 합분류 위험도지수 적용방안 file 효선 2025.03.17 53
181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5-1_휴게시설 부지면적 산출기준 개선 file 효선 2025.03.17 55
181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5-2_터널형 방음시설 설계표준(안) file 효선 2025.03.17 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