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1년_2-1_유지관리용 회차시설 설치기준 검토
2024.04.12 17:59
65
2-1 유지관리용 회차시설 설치기준 검토 설 계 처-4926
(2010. 11. 2)
Ⅰ 추 진 배 경
그간 폭설, 교통사고 등 긴급상황을 대비하기 위한 회차시설이
설치되었으나, 유지관리시 우회거리과다 등 업무효율 저하
제설작업시 신속한 우회 등 유지관리업무 효율성제고를 위하여
유지관리용 회차시설 설치기준을 검토코자함.
추 진 목 표
구체적인 회차로 설치기준을 제시하여 유지관리 효율성 제고
그간 추진 경위
일 자 |
주요 개선 내용 |
비고 |
2009년 이전 |
o 긴급 및 제설작업용 간이출입시설 기준수립 - 출입시설 사이 하부도로 접속가능에 설치 |
|
o 분기점내 회차로 설치방안 검토 - 분기점 내 긴급우회가능한 회차로 설치 |
|
|
2009. 11 |
o 설계-유지관리 합동워크샵 - 제설차량 우회거리 단축위한 전용회차로 필요 |
|
2010. 3 |
o 현장설계개선 아이디어 전담팀 운영 - 재난 등 비상시 우회시설 적극 반영 |
|
2010. 4 |
o 회차시설 개선관련 유지관리부서 의견수렴 - 유지관리차량 작업량을 감안하여 설치 등 |
|
66
Ⅱ 유지관리용 회차로 설치기준 및 현황
1 설치 기준 (별첨#1)
설계기준 적용근거 |
설치위치(간격) |
주 요 형 태 |
비 고 |
영업소 회차로 설계기준 검토 (2000.12) |
영업소 광장부 |
o U턴용 - 진입부→진출부 - 진출부에서 이용불가 o 하부도로 접속용 - U턴용 설치불가시 |
|
간이 진출입 시설 (2004.5) |
출입시설(나들목, 휴게소 등) 사이 1개소 설치 |
o 하부도로를 이용하여 진출입 o 하부도로 없는 경우 - 교량하부에서 U턴 |
|
분기점내 회차로 설치방안 검토 (2007.11) |
분기점 내 |
o 우회도로 편도 2㎞이상 - 대향 연결로에 접속 |
|
2 유지관리용 회차로 설치간격 (별첨#2)
노 선 |
회차시설(나들목, 분기점, 간이출입시설) 간격 |
비 고 |
서울외곽 |
최대 17.18㎞(산본-시흥), 최소 0.99㎞(강일-토평) |
|
경 부 선 |
최대 24.80㎞(청주-목천), 최소 3.18㎞(칠곡-왜관) |
|
서해안선 |
최대 25.86㎞(함평-영광), 최소 4.02㎞(비봉-매송) |
|
중 부 선 |
최대 16.71㎞(무주-금산), 최소 4.39㎞(통영-북통영) |
|
중부내륙선 |
최대 17.31㎞(북충주-감곡), 최소 6.89㎞(남지-영산) |
|
호 남 선 |
최대 17.40㎞(장성-백양사), 최소 1.33㎞(용봉-서광주) |
|
영 동 선 |
최대 19.98㎞(여주-문막), 최소 1.39㎞(군포-동군포) |
|
남해안선 |
최대 19.77㎞(함안-북창원), 최소 3.72㎞(군북-장지) |
|
청원상주선 |
최대 19.00㎞(화서-남상주), 최소 6.00㎞(보은-속리산) |
|
67
Ⅲ 운영실태 분석결과
현장설계개선 아이디어 전담팀운영 등을 통한 유지관리부서 의견을
수렴하여 유지관리용 회차시설 운영실태 조사
1 유지관리부서 의견 주요내용 (별첨#3)
유지관리부서 |
주요 내용 |
비 고 |
도 로 처 |
o 제설차량 등 중장비를 고려한 기하구조 검토 o 사고현장 도착이 30분이내에 가능하도록 설치 |
|
교 통 처 |
o 나들목간 간격이 20㎞이상시 회차시설 필요 o 회차로 종단경사 최대 8%이하로 조정 o 제설작업차량이 영업소 회차로 이용 곤란 |
|
경기지역본부 |
o 제설작업차량 제원을 고려한 기하구조 개선 o 회차로 접근성을 감안 가․감속차로 설치 |
|
강원지역본부 |
o 회차시설 간격은 편도 15㎞이내가 적정 o 회차로 차단기는 자동개폐가 가능한 시설요망 |
|
충청지역본부 |
o 회차로 종단경사가 급한경우 장비이용 곤란 o 나들목 접속부가 트럼펫인경우 우회거리 과다 o 회차시설 필요위치를 선별하여 설치 요망 - 비상시 또는 겨울철에만 이용하는 시설 |
|
호남지역본부 |
o 제설차량 작업량감안 편도 15㎞이내 설치 o 회차로 설계시 제설차량을 설계기준으로 적용 o 최소 시거확보 필요 |
|
경북지역본부 |
o 일반차량 출입 불가하도록 차단시설 필요 o 제설장비를 고려한 기하구조 검토 필요 |
|
경남지역본부 |
o 회차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경우 회차시설 필요 o 제설장비를 고려한 기하구조 검토 필요 |
|
68
2 유지관리용 차량제원 (별첨#4)
유지관리차량 |
차량제원 |
작업시간 (시간/회) |
작업반경 (편도기준) |
비 고 |
|
전장(㎜) |
폭원(㎜) |
||||
안전순찰차량 |
4,795 |
1,870 |
2.0 |
200㎞이상 |
|
도로청소차량 |
9,050 |
2,500 |
2.0 |
100㎞이상 |
|
제설차량(덤프) |
10,844 |
3,300 |
1.0 |
10~15㎞ |
|
유지보수차량 |
6,175 |
2,070 |
3.0 |
100㎞이상 |
|
살 수 차 량 |
8,920 |
2,495 |
1.5 |
30㎞이내 |
|
3 유지관리 차량제원을 감안한 기하구조 검토
회차로 이용빈도가 가장 높은 유지관리차량을 설계기준차량으로
하여 회전반경, 종단경사 등 설계기준 검토
o (설계기준차량) 제설장비(리무버)장착한 덤프트럭, 세미트레일러
o (기하구조검토) 회전반경, 종단경사, 시거 등 (별첨#5)
- (회전반경) 제설장비(리무버, 살포기)가 회전가능 하도록 공간 확보
- (종단경사) 제설차량 등 유지관리차량 등판능력 감안
※ (운전원) 제설작업조건이 노면적설 등 최악조건임을 감안필요
- (시 거) 본선 등 주행차로의 정지시거, 피주시거* 등 검토
* (피주시거) 동일 차로상의 고장차 등을 인접차로 등으로 피해 주행할 수 있는 길이
4 조사결과
○ 유지관리 차량 등을 고려 회차로 설계기준 제시
○ 영업소 회차로 활용방안 및 본선 간이 진출입시설 간격제시
69
Ⅳ 개 선 방 안
주요 개선 내용
□ 유지관리를 고려한 회차로 설계기준 제시
□ 영업소 회차로를 유지관리차량이 이용가능토록 개선
☞ 광장부 회차로(U턴 형태)이용하여 고속도로 진출입
□ 본선 간이 진출입시설 설치간격 개선
1 유지관리를 고려한 회차로 설계기준
o 설계기준 개선(안)
구 분 |
당 초 |
개 선 안 |
||||||
시 거 |
- |
|
||||||
설 계 속 도 |
20㎞/hr 이하 |
좌 동 |
||||||
곡 선 반 경 |
R=15m이상 |
좌 동 |
||||||
종 단 경 사 |
8~16% |
8~10% |
||||||
폭 원 |
5.0m |
4.25m (0.5m+3.0m+0.75m) |
- (시 거) 간이 진출입시설 본선 접속시 피주시거 등 고려
☞ (피주시거) V(설계속도)×(t1(인지반응시간 2.5초)+t2(차로변경시간 3.6초))/3.6
- (곡선반경) 현재 운용 중인 제설차량 회전공간을 실사하여 반영
- (종단경사) 적설시 제설차량 이동성, 등판능력 감안 8% 적용
⇒ 지형, 선형조건 등 감안 불가피한 경우 최대10%까지 적용가능
- (폭 원) 경제성, 이용회수 및 차종 등을 고려 최소 폭원 적용
70
2 나들목내 영업소 회차시설 기하구조 개선 (별첨#6)
유지관리차량이 나들목 영업소 광장부 회차로를 이용하여
본선에 재진입할 수 있도록 회차로 선형개량
o 나들목 영업소 회차로 이용하여 본선진입이 가능하도록 개선
당 초 개 선 안
o 광장접속부는 유지관리차량 진출입을 감안 선형 조정
- 제설장비 장착차량(덤프트럭) 회전반경 고려 R=15m이상 설치
o 회차로 이용시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부대시설 설치
- 진출입지점 차단시설 설치
- 회차로 이용을 알리는 경고음 및 경고등 설치
- 광장 접속부 안전지대 설치
차단시설 경고등 안전지대
71
3 본선 간이 진출입시설 적정 설치간격 제시
간이 진출입 시설은 주변지형 및 도로여건 등을 감안하여 설치하되,
출입시설 사이에 2.5~5.0㎞내외 간격이 되도록 배치
o 다음과 같이 우선순위를 정하여 시설물 설치적정성 검토
- 터널 입출구 개구부
※ 나들목내 회차시설( 2 )은 검토 우선순위와 별도로 설치
- 출입시설사이 간이 진출입시설을 적정 간격으로 우선 배치하고,
분기점 회차로는 중복여부 및 설치여건 등을 감안하여 설치
- 긴급우회용(U턴) 개구부는 간이 진출입시설과 설치지점 중복시
삭제(긴급우회용은 간이 진출입시설 미설치 구간만 설치)
☞ 설치목적이 다른 교통우회용은 현 기준(5㎞)대로 배치
o 간이 진출입시설 폭원 및 포장두께 등 개선
당 초 개 선 안
- (폭 원) 주행속도, 교통량, 이용차량 등 감안 폭원 조정(△0.75m)
- (포장두께) 회차로 이용회수*를 감안 길어깨 포장두께 적용(T=7.5㎝)
*유지관리차량이 간이 진출입시설 이용하는 회수 연 20회 미만
o (설치간격) 간이 진출입시설은 2.5~5.0㎞내외로 배치
- 세부설계단계에서 본선 간이 진출입시설 배치계획(안)을 수립하여
유지관리부서와 협의 후 최종 확정
간이 진출입시설
배치계획(안) 수립
유지관리부서
협의 및 검토
설계 반영
72
o (설치형태) 본선형태에 따라 여건에 맞게 설치
- 일반구간(TYPE-1)
접속도로가 있는 경우
TYPE 1-1 TYPE 1-2
접속도로가 없는 경우
TYPE 1-3 TYPE 1-4
- 상●하 분리구간(TYPE-2)
접속도로가 있는 경우
TYPE 2-1 TYPE 2-2
73
Ⅴ 적 용
(설계단계) 본 방침 적용
o 배치계획(안) 수립 후 반드시 유지관리부서 협의
- (협의부서) 도로처, 교통처, 시설처, 지역본부 등
- (협의내용) 회차시설과 유지관리시설의 적정성 등
- 회차시설 배치계획(안)의 적정성
- 기타 유지관리시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사항 등
(시공단계) 공사주관(시행)부서에서 필요시 본 방침에 대하여
유지관리부서와 협의 후 적용여부 결정
(공용단계) 유지관리부서에서 필요시 본 방침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