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8_휴게소 오수처리시설 설계기준 변경
2024.04.24 10:45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672
9-8 휴게소 오수처리시설 설계기준 변경 시 설 처-1918
(2011. 7. 12)
I 목 적
하수도법 개정에 따라 고도처리가 요구되는 고속도로 휴게소 오수처
리시설의 설계기준을 수립함으로써 설계의 일관성과 합리적인 오수
처리시설 설치를 기하고자 함.
II 근거자료
□「휴게소 오수처리시설 설계용량 산정기준 개선 방안 연구」(한국도로공사, 2009)
□「고속도로 오수처리시설 고도처리 개선방안 연구」(한국도로공사, 2008)
□「오수정화시설 설계용량 및 단위공정별 설계기준에 관한 연구」(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기술원, 2003)
□「하수도시설기준」(환경부, 2005)
III 설계기준
1. 신설휴게소
□ 유입수 설계수질
T-BOD5 (㎎/ℓ) |
T-SS (㎎/ℓ) |
T-N (㎎/ℓ) |
T-P (㎎/ℓ) |
290 |
250 |
130 |
17 |
※ 근 거 :「고속도로 오수처리시설 고도처리 개선방안 연구(2008)」p.240
□ 설계목표 방류수질 : 안전을 고려하여 방류수질기준(하수도법, 환경영
향평가 협의 기준 중 낮은값 적용)의 80%를 적용한다.
예 시 |
항 목 |
BOD(㎎/ℓ) |
SS(㎎/ℓ) |
T-N(㎎/ℓ) |
T-P(㎎/ℓ) |
총대장균(개/㎖) |
하수도법 |
10 이하 |
10 이하 |
20 이하 |
2 이하 |
3,000 이하 |
|
환경영향평가 |
5 이하 |
5 이하 |
- |
- |
- |
|
설계목표 방류수질 |
4 이하 |
4 이하 |
16 이하 |
1.6 이하 |
2,400 이하 |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673
□ 오수처리시설 용량 (㎥/d)
오수발생량(㎥/d) = 계획교통량(대/d) × 휴일서비스계수 × 휴게소 이용률(%)
× 차종별 평균 승차인원(인/대) × 유량 원단위(ℓ/인)
× 여유율 × 1,000-1(㎥/ℓ)
※ 근 거 :「휴게소 오수처리시설 설계용량 산정기준 개선 방안 연구(2009)」
[도로교통연구원 연구개발실-3952호(2010.11.9),「휴게소 오수처리시설 설계용량 산정기준」통보]
구 분 |
설 계 기 준 |
비 고 |
||||||||||||
계획교통량 |
- 신설 10년 후 해당노선의 일평균 추정 교통량 |
|
||||||||||||
휴일서비스 계수 |
- 10년 후 계획교통량의 건설교통부 계수를 적용
Q : 일방향 교통량(단 상,하 통합 휴게소의 경우 양방향 교통량) |
|
||||||||||||
휴게소 이용률 |
- 정기적으로 시행하는 휴게시설 이용실태 조사에 따른 전체 노선의 평균 차종별 이용률을 적용 ※「이용실태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휴게시설 설치 모델 연구」(2010.5)
|
|
||||||||||||
차종별 평균 승차인원 |
- 정기적으로 시행하는 휴게시설 이용실태 조사에 따른 전체 노선의 평균 탑승 인원의 1.3배를 적용 ※「이용실태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휴게시설 설치 모델 연구」(2010.5)
|
|
||||||||||||
유량 원단위 |
- 주말 최대 발생량 12.5ℓ/인 적용 |
|
||||||||||||
여 유 율 |
- 1.1 적용 (설계여건 검토 후 1~1.2 범위내 조정 가능) |
|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674
□ 적용공정 : A2O(MBR) + 질소제거 보조공정 + 인제거 보조공정
○ 질소제거 보조공정 : 잔류질소 제거장치 A,B,C중 택일
○ 인제거 보조공정 : 응집침전시설 사용
[오수처리시설 고도처리공정(A2O) 흐름도]
※ 질소와 인제거를 위한 보조공정은 상기외 새로운 기술(공정, 장치 등)이 나올 경우
효율검증과 경제성 평가를 통해 적용 가능하다.
※ 근 거 :「고속도로 오수처리시설 고도처리 개선방안 연구(2008)」p.242~243
※ MBR공정의 설계는 설계자가「고속도로 오수처리시설 고도처리 개선방안 연구(2008)」
[별책부록] 및 분리막별 특징을 고려하여 설계한다.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675
□ 생물반응조 단위공정설계 대표 인자 값(A2O)
구 분 |
설계값 |
해당 단위 공정 |
U (비기질 소비율) (kg Removed TBOD5 / kg MLVSS∙day ) |
0.205 |
포기조 설계 시 |
SNR ( kg Removed TKN / kg MLVSS∙day ) |
0.04 |
포기조 설계 시 |
SDNR ( kg Removed NO3--N / kg MLVSS∙day ) |
0.122 |
무산소조 설계 시 |
qp relese ( kg T-P / kg MLVSS∙day ) |
0.06 |
혐기조 설계 시 |
※ 근 거 :「고속도로 오수처리시설 고도처리 개선방안 연구(2008)」p.240
□ 단위공정별 설계기준
1. 침 사 조
○ 기 능
․유입 하수 중에 함유되어 있는 비부패성 무기물을 침전 분리하여, 각종
장비 및 배관류의 마모 및 장애를 방지한다.
○ 설계기준
․침사조 유효용량(㎥) = ×
유입오수량 ×
이상
○ 선정근거
․침사조 설계용량 산정방법은 [오수정화시설 설계용량 및 단위공정별 설
계기준에 관한 연구(2003) p.85]에 시간 최대오수량의 3/60을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되어 있으나 오수처리시설 전단에 정화조가 설치되어
대부분의 토사류가 제거되며, 휴게소 오수 발생량이 시간대별로 변동이
심하기 때문에 시간 최대오수량을 예측하기 곤란하므로 시간 평균오수량
의 3/60을 적용한다.
○ 설 계 예
[설계조건]
․유입 오수량 : 300㎥/d
[계 산 예]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676
․침사조 유효용량(㎥)
․침사조 유효용량은 0.625㎥ 이상으로 설계한다.
2. 유량조정조
○ 기 능
․유입 하수의 유량과 수질의 변동을 흡수하여 균등화함으로써 유량변동에
따른 운전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처리시설의 처리효율 및 처리수질을
향상시키며, 후속처리시설의 크기와 비용을 줄여준다.
○ 설계기준
․유량조정조 유효용량(㎥) = 유입 오수량(㎥/d) × 1.0d 이상
○ 선정근거
․유량조정조 설계용량 산정방법은 [오수정화시설 설계용량 및 단위공정별
설계기준에 관한 연구(2003) p.91]에 유입 오수량(㎥/d)의 0.7배를 적용하
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휴게소 오수처리시설 설계용량 산정기준(2010)]
에 휴게소 오수 특성 조사결과, 일간 및 주간 유량 변동 폭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처리시설의 안정적 운전 및 유지관리를 위하여 유
량조정조의 용량을 좀 더 크게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유입 오수
량(㎥/d)의 1.0배를 적용한다.
○ 설 계 예
[설계조건]
․유입 오수량 : 300㎥/d
[계 산 예]
․유량조정조 유효용량(㎥) = 유입 오수량(㎥/d) × 1.0d 이상
= 300㎥/d × 1.0d 이상
= 300㎥ 이상
․유량조정조 유효용량은 300㎥ 이상으로 설계한다.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677
3. 고도처리 공정
○ 다음은「고속도로 오수처리시설 고도처리 개선방안 연구(2008)」결과에 따라
고도처리 공정 설계를 위한 산출방법 및 계수값을 정의하고, 계산 예를 예시
하였으며 설계시 본 설계방법을 적용한다.
[설계조건]
․유입 오수량 : 300㎥/d
․방류수질기준
항 목 |
BOD (㎎/ℓ) |
SS (㎎/ℓ) |
T-N (㎎/ℓ) |
T-P (㎎/ℓ) |
하수도법 |
10 이하 |
10 이하 |
20 이하 |
2 이하 |
설계목표 방류수질 |
8 이하 |
8 이하 |
16 이하 |
1.6 이하 |
[계 산 예]
구 분 |
내 용 |
|||||||||||
① 설계수질 |
|
|||||||||||
|
구 분 |
유 입 수 |
목표방류수 |
비 고 |
|
|||||||
오수량(㎥/d) |
300.0 |
300.0 |
|
|||||||||
BOD(㎎/ℓ) |
290.0 |
8.0 |
|
|||||||||
SS(㎎/ℓ) |
250.0 |
8.0 |
|
|||||||||
T-N(㎎/ℓ) |
130.0 |
16.0 |
방류수 NH3-N : 0.5 방류수 NO3-N : 15.5 |
|||||||||
T-P(㎎/ℓ) |
17.0 |
1.6 |
|
|||||||||
|
||||||||||||
② 생물반응조 설계기준 |
|
기준항목 |
단 위 |
연구결과 |
적 용 |
비 고 |
||||||
부유MLVSS |
㎎/ℓ |
2,000~4,500 (5,000~9,000) |
3,000 (7,000) |
A2O (MBR) |
||||||||
SRT |
day |
10~30 (30~50) |
20 (40) |
A2O (MBR) |
||||||||
반송슬러지 |
㎎/ℓ |
6,000~12,000 |
9,000 |
|
||||||||
|
||||||||||||
③ Biokinetic Constants |
|
항 목 |
값 |
단 위 |
||||||||
Y (세포합성계수) |
0.55 |
g VSS/g BOD |
||||||||||
k (최대 기질 비소비율) |
0.23 |
d-1 |
||||||||||
kd (내생감소계수) |
0.05 |
d-1 |
||||||||||
MLVSS/MLSS (VSS/TSS) |
0.7 |
- |
||||||||||
pH |
7.2 |
- |
||||||||||
|
||||||||||||
U (비기질 소모율) |
0.205 (MBR : 0.125) |
g TBOD5 removed / g MLVSS-d |
||||||||||
SNR |
0.04 |
g TKN removed /g MLVSS-d |
||||||||||
qdn (SDNR) |
0.122 (MBR : 0.04) |
g NO3-N removed /g MLVSS-d |
||||||||||
qp release |
0.06 |
d-1 |
||||||||||
Anoxic Tank DO |
0.2 |
㎎/ℓ |
||||||||||
Anaeration P release. Conc. |
6 |
㎎/ℓ |
||||||||||
|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678
구 분 |
내 용 |
1. Soluble BOD5 (유출수) |
8㎎/ℓ = SBOD5 + [8㎎/ℓ × 0.7 SBOD5 = 2.566㎎/ℓ (여기서, 1-e-kt = 0.68336) |
2. yield of Biological solids (고형물 생산량) |
PX = 여기서, PX : 고형물 생산량(㎏/d)
PX = = = 23.7㎏/d sludge Produced |
3. The Amount of Nitrogen used for cell synthesis (세포합성에 사용 되는 질소량) |
C5H7O2N = 113 23.7㎏/d × 0.124 = 2.9388㎏/d removal for cell synthesis
|
4. 질산화 요구량 |
유입 질소량 - 세포합성에 사용되는 질소량 - 유출 질소량 130.0㎎/ℓ - 9.8㎎/ℓ - 0.5㎎/ℓ = 119.7㎎/ℓ |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679
구 분 |
내 용 |
5. Aeration Tank (포기조) |
= 0.47 × 0.712 × 0.6061 = 0.2d-1 ( S․F = 2.0 P․F = 1.2 growth Rate based on |
6. 포기조 설계 |
기 능 ․포기조는 산소공급을 통한 유입원수의 산화반응이 일어나는 반응조이며, 이 반응조에서는 유입원수 중의 유기물의 분해역할과 동시에 NH3-N을 산화하여 최종 NO3--N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유기물 산화의 경우 포기조 유효용량 ․포기조 유효용량(㎥) = 유입 오수량(㎥/d) × ․ 여기서,
․ = 0.47d ․포기조 유효용량(㎥) = 유입 오수량(㎥/d) × = 300㎥/d × 0.47d 이상 = 141㎥ 이상 질산화의 경우 포기조 유효용량 ․포기조 유효용량(㎥) = 유입 오수량(㎥/d) × ․ 여기서,
․ = 0.9975d ≒ 1.0d ․포기조 유효용량(㎥) = 유입 오수량(㎥/d) × = 300㎥/d × 1.0d 이상 = 300㎥ 이상 두가지 방법중 큰 값을 선정 ․포기조 유효용량은 300㎥ 이상으로 설계한다. |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680
구 분 |
내 용 |
7. 무산소조 설계 |
기 능 ․무산소조는 생물학적 질소 제거 중 탈질반응이 이루어지는 조이다. 용존 산소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질산성 질소를 질소 가스로 환원하여 유입된 총질소 성분을 제거한다. 무산소조 유효용량 ․무산소조 유효용량(㎥) = 유입 오수량(㎥/d) × ․ 여기서, △Nitrient max Removel : 최대 탈질 요구량(㎎/ℓ) = 질산화 요구량(㎎/ℓ) - 설계목표 방류 질소량(㎎/ℓ) = 119.7㎎/ℓ - 16.0㎎/ℓ = 103.7㎎/ℓ
․ = 0.283d ․무산소조 유효용량(㎥) = 유입 오수량(㎥/d) × = 300㎥/d × 0.283d 이상 = 85㎥ 이상 무산소조 유효용량은 85㎥ 이상으로 설계한다.
|
8. 혐기조 설계 |
기 능 ․생물학적 반응조의 가장 첫 반응조이며, 이는 인 제거기작 중 첫 번째 단계인 인의 방출을 유도하는 반응조이다. 유입되는 하수의 기질과 침전조에서 반송되는 슬러지의 미생물을 이용하여 인의 방출을 유도한다. 혐기조 유효용량 ․혐기조 유효용량(㎥) = 유입 오수량(㎥/일) × ․
∴ 여기서,
Anaeration P release. Conc. = 6㎎/ℓ qp release : 인방출계수 = 0.06d-1
․ = 0.033d ․혐기조 유효용량 = 유입 오수량(㎥/일) × = 300㎥/일 × 0.033d 이상 ≒ 10㎥ 이상 혐기조 유효용량은 10㎥ 이상으로 설계한다. |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681
4. 침 전 조
○ 기 능
․하수를 생물화학적인 방법으로 처리할 때 활성슬러지와 부유물질을 연속
적으로 침강 분리시키는 중요한 처리 공정으로 활성슬러지는 슬러지 인
출조로 부유물질은 스컴제거장치로 제거된다.
○ 설계기준
․하수도 시설기준(2005)에 의거 침전시키려는 고형물의 양을 토대로 하여
계산된 값과 표면부하율에 의하여 계산된 값을 비교하여 소요면적이 큰
것으로 침전조의 표면적을 결정한다.
․표면부하율에 의한 침전조 표면적 산출
여기서, A : 침전조 표면적(㎡)
Q : 유입 오수량(㎥/d)
LV : 표면부하율 = 15㎥/㎡․d
․고형물부하율에 의한 침전조 표면적 산출
[반송슬러지 유량(㎥/d)]
여기서, QR : 반송슬러지 유량(㎥/d)
Q : 유입 오수량(㎥/d)
X : 포기조 혼합액 부유 고형물, MLSS
MLVSS/MLSS = 0.7, MLVSS = 3,000㎎/ℓ이므로
MLSS = MLVSS/0.7
XR : 반송 활성슬러지 부유물질 = 9,000㎎/ℓ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682
[침전조 표면적(㎡)]
여기서, A : 침전조 표면적(㎡)
Q : 유입 오수량(㎥/d)
QR : 반송슬러지 유량(㎥/d)
X : 포기조 혼합액 부유 고형물, MLSS = 4,286㎎/ℓ
SLR : 고형물부하율 = 100㎏/㎡․d
․침전조 표면적은 상기 두 경우 중 큰 것을 선택
․침전조 직경(m)
이상
여기서, D : 침전조 직경(m)
A : 선정된 침전조 표면적(㎡)
○ 선정근거
구 분 하수도 시설기준(2005) p.382 우리공사적용 비 고
표면부하율
(㎥/㎡․d)
20~30
(슬러지 침강 특성이
낮은 경우 : 15~25)
15
오수정화시설 설계용량
및 단위공정별 설계
기준에 관한 연구(2003)
p.103
고형물부하율
(㎏/㎡․d)
40~125 100 -
○ 설 계 예
[설계조건]
․유입 오수량 : 300㎥/d
[계 산 예]
․표면부하율에 의한 침전조 표면적 산출
여기서, A : 침전조 표면적(㎡)
Q : 유입 오수량 = 300㎥/d
LV : 표면부하율 = 15㎥/㎡․d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683
․고형물부하율에 의한 침전조 표면적 산출
[반송슬러지 유량(㎥/d)]
여기서, QR : 반송슬러지 유량(㎥/d)
Q : 유입 오수량 = 300㎥/d
X : 포기조 혼합액 부유 고형물, MLSS
MLVSS/MLSS = 0.7, MLVSS = 3,000㎎/ℓ이므로
MLSS = MLVSS/0.7
= 4,286㎎/ℓ
XR : 반송 활성슬러지 부유물질 = 9,000㎎/ℓ
여기서, A : 침전조 표면적(㎡)
Q : 유입 오수량 = 300㎥/d
QR : 반송슬러지 유량 = 273㎥/d
X : 포기조 혼합액 부유 고형물, MLSS = 4,286㎎/ℓ
SLR : 고형물부하율 = 100㎏/㎡․d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684
․침전조 표면적은 상기 두 경우 중 큰 값인 24.6㎡ 이상으로 선정한다.
․침전조 직경(m)
․침전조 직경은 5.6m 이상으로 설계한다.
5. 응 집 조
○ 기 능
․응집제인 PAC, POLYMER를 첨가해 하수 중에 T-P 및 잔류 부유물질을
응집시켜 침전조로 보낸다.
○ 설계기준
․응집조 유효용량(㎥) = 유입 오수량(㎥/d) × 체류시간(min) ÷ 24hr/d
÷ 60min/hr 이상
․체류시간(min) = 20min
○ 선정근거
구 분 |
하수도 시설기준(2005) p.622 |
우리공사적용 |
비 고 |
체류시간(min) |
20~30 |
20 |
|
○ 설 계 예
[설계조건]
․유입 오수량 : 300㎥/d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685
[계 산 예]
․응집조 유효용량(㎥) = 유입 오수량(㎥/d) × 체류시간(min) ÷ 24hr/d
÷ 60min/hr 이상
= 300㎥/d × 20min ÷ 24hr/d ÷ 60min/hr 이상
= 4.2㎥ 이상
․응집조 유효용량은 4.2㎥ 이상으로 설계한다.
6. 응집침전조
○ 기 능
․응집조에서 응결된 FLOC 및 부유물질을 침강 분리시키는 공정으로 잉
여슬러지는 응집슬러지 인출조로 부유물질은 스컴제거장치로 처리된 처
리수는 소포조로 이송된다.
○ 설계기준
․하수도시설기준에 의거 체류시간에 의하여 계산된 값과 표면부하율에 의
하여 계산된 값을 비교하여 소요면적이 큰 것으로 응집침전조의 표면적
을 결정한다.
․체류시간에 의한 응집침전조 표면적 산출
여기서, A : 응집침전조 표면적(㎡)
Q : 유입 오수량(㎥/d)
체류시간(hr) = 2hr
H : 응집침전조 수위(m)
․표면부하율에 의한 응집침전조 표면적 산출
여기서, A : 응집침전조 표면적(㎡)
Q : 유입 오수량(㎥/d)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686
LV : 표면부하율 = 40㎥/㎡․d
․응집침전조 표면적은 상기 두 경우 중 큰 것을 선택
․응집침전조 직경(m)
이상
여기서, D : 응집침전조 직경(m)
A : 선정된 응집침전조 표면적(㎡)
○ 선정근거
구 분 |
하수도 시설기준(2005) p.622 |
우리공사적용 |
비 고 |
체류시간(hr) |
1~4 |
2 |
|
표면부하율 (㎥/㎡․d) |
25~50 |
40 |
|
표면부하율
(㎥/㎡․d)
25~50 40
○ 설 계 예
[설계조건]
․유입 오수량 : 300㎥/d
․응집침전조 수위 : 2.5m 이상
[계 산 예]
․체류시간에 의한 응집침전조 표면적 산출
․표면부하율에 의한 응집침전조 표면적 산출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687
여기서, A : 응집침전조 표면적(㎡)
Q : 유입 오수량 = 300㎥/d
LV : 표면부하율 = 40㎥/㎡․d
․응집침전조 표면적은 상기 두 경우 중 큰 값인 10.0㎡ 이상으로 선정한
다.
․응집침전조 직경(m)
․응집침전조 직경은 3.6m 이상으로 설계한다.
7. 슬러지 농축조
○ 기 능
․잉여슬러지를 농축하여 폐기슬러지를 감량시키며 슬러지 농축으로 생기
는 상등액은 유량조정조로 이송하고 농축된 슬러지는 슬러지 저류조에
이송한다.
○ 설계기준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688
․슬러지 농축조 유효용량(㎥)
= [잉여슬러지 발생량(㎥/d) + 응집슬러지 발생량(㎥/d)] × 체류시간(d)
․잉여슬러지 발생량(㎥/d)
․QW․XW = a․Q․S0 + b․Q․SSS - c․V․X
= (a․S0 + b․SSS)Q - c․V․X
여기서, QW : 잉여슬러지 발생량(㎥/d)
XW(XR) : 잉여슬러지의 평균 SS농도 = 9,000㎎/ℓ
Q : 유입 오수량(㎥/d)
V : 반응조(포기조)의 용적(㎥)
X : 반응조의 MLVSS농도 = 3,000㎎/ℓ
S0 : 반응조로 유입되는 유입수의 용해성 BOD농도 = 290㎎/ℓ
SSS : 반응조로 유입되는 유입수의 SS농도 = 250㎎/ℓ
a(Y) : 용해성 BOD에 의한 슬러지전환율 = 0.55
b : SS에 대한 슬러지전환율(0.9~1.0) ⇒ 0.9 적용
c(kd) : 내생 감소 계수 = 0.05d-1
․응집슬러지 발생량(㎥/d)
ALUM사용량(㎏/d) = ALUM첨가율(50㎎/ℓ) × 유입 오수량(㎥/d) ÷
1,000
반응식 : Al2(SO4)3․18H2O + 60H+ → 2Al(OH)3↓ + 18H2O
분자량 : 666 분자량 : 2×78
응집제 수화물량(㎏/d) = ALUM사용량(㎏/d) × [(2×78)/666]
슬러지 농축조 유입수 SS농도 : 20㎎/ℓ
유입수 SS량(㎏/d) = 유입수 SS농도(㎎/ℓ) × 유입 오수량(㎥/d) ÷
1,000
응집침전조에서의 SS제거율 = 90%
응집슬러지 함수율 = 97.5%
응집슬러지 비중 = 1.03
응집슬러지 발생량(㎏/d)
= [유입수 SS량(㎏/d) + 응집제 수화물량(㎏/d)] × SS제거율
응집슬러지 발생량(㎥/d)
= 응집슬러지 발생량(㎏/d) ÷ (1-함수율) ÷ (비중×1,000)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689
○ 선정근거
구 분 하수도 시설기준(2005) p.684 우리공사적용 비 고
체류시간(hr) 18(0.75d)이하 48(2d)이하
오수정화시설 설계용량
및 단위공정별 설계
기준에 관한 연구(2003)
p.108
○ 설 계 예
[설계조건]
․유입 오수량 : 300㎥/d
[계 산 예]
․슬러지 농축조 유효용량(㎥)
= [잉여슬러지 발생량(㎥/d) + 응집슬러지 발생량(㎥/d)] × 체류시간(d)
․잉여슬러지 발생량(㎥/d)
․QW․XW = a․Q․S0 + b․Q․SSS - c․V․X
= (a․S0 + b․SSS)Q - c․V․X
여기서, QW : 잉여슬러지 발생량(㎥/d)
XW(XR) : 잉여슬러지의 평균 SS농도 = 9,000㎎/ℓ
Q : 유입 오수량 = 300㎥/d
V : 반응조(포기조)의 용적 = 300㎥
X : 반응조의 MLVSS농도 = 3,000㎎/ℓ
S0 : 반응조로 유입되는 유입수의 용해성 BOD농도 = 290㎎/ℓ
SSS : 반응조로 유입되는 유입수의 SS농도 = 250㎎/ℓ
a(Y) : 용해성 BOD에 의한 슬러지전환율 = 0.55
b : SS에 대한 슬러지전환율 = 0.9
c(kd) : 내생 감소 계수 = 0.05d-1
․QW × 9,000㎎/ℓ = (0.55×290㎎/ℓ + 0.9×250㎎/ℓ) × 300㎥/d
- 0.05d-1 × 300㎥ × 3,000㎎/ℓ
= 384.5㎎/ℓ × 300㎥/d - 0.05d-1 × 300㎥ × 3,000㎎/ℓ
= (384.5㎎/ℓ × 300㎥/d) - (3,000㎎/ℓ × 15㎥/d)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690
․QW =
= 12.8㎥/d - 5㎥/d
= 7.8㎥/d
․응집슬러지 발생량(㎥/d)
ALUM사용량(㎏/d) = ALUM첨가율(50㎎/ℓ) × 유입 오수량(㎥/d) ÷ 1,000
= 50㎎/ℓ × 300㎥/d ÷ 1,000
= 15㎏/d
반응식 : Al2(SO4)3․18H2O + 60H+ → 2Al(OH)3↓ + 18H2O
분자량 : 666 분자량 : 2×78
응집제 수화물량(㎏/d) = ALUM사용량(㎏/d) × [(2×78)/666]
= 15㎏/d × [(2×78)/666]
= 3.5㎏/d
슬러지 농축조 유입수 SS농도 : 20㎎/ℓ
유입수 SS량(㎏/d) = 유입수 SS농도(㎎/ℓ) × 유입 오수량(㎥/d) ÷ 1,000
= 20㎎/ℓ × 300㎥/d ÷ 1,000
= 6㎏/d
응집침전조에서의 SS제거율 = 90%
응집슬러지 함수율 = 97.5%
응집슬러지 비중 = 1.03
응집슬러지 발생량(㎏/d)
= [유입수 SS량(㎏/d) + 응집제 수화물량(㎏/d)] × SS제거율
= (6㎏/d + 3.5㎏/d) × 0.9
= 8.55㎏/d
응집슬러지 발생량(㎥/d)
= 응집슬러지 발생량(㎏/d) ÷ (1 - 함수율) ÷ (비중 × 1,000)
= 8.55㎏/d ÷ (1 - 0.975) ÷ (1.03 × 1,000)
= 0.33㎥/d
․체류시간
구 분 하수도 시설기준(2005) 우리공사적용 비 고
체류시간(hr) 18(0.75d)이하 48(2d)이하
오수정화시설 설계용량
및 단위공정별 설계
기준에 관한 연구(2003)
p.108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691
․슬러지 농축조 유효용량(㎥)
= [잉여슬러지 발생량(㎥/d) + 응집슬러지 발생량(㎥/d)] × 체류시간(d)
= (7.8㎥/d + 0.33㎥/d) × 2d
= 16.26㎥
․슬러지 농축조 유효용량은 16.26㎥ 으로 설계한다.
8. 슬러지 저류조
○ 기 능
․농축된 슬러지를 수거하기 위해 수집 집적하는 조이다.
○ 설계기준
․슬러지 저류조 유효용량(㎥) = 농축슬러지 발생량(㎥/d) × 저류기간(d) 이상
․농축슬러지 발생량(㎥/d)
․V' = V ×
여기서, V' : 농축슬러지 발생량(㎥/d)
V : 슬러지(잉여+응집) 발생량(㎥/d)
P : 슬러지(잉여+응집) 함수율 = 99%
※ 잉여슬러지양이 응집슬러지양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에 잉여슬러지
함수율을 적용한다.
P ′ : 농축슬러지 함수율 = 97%
․저류기간 = 30(d)
○ 선정근거
구 분 |
오수정화시설 설계용량 및 단위공정별 설계기준에 관한 연구(2003) p.108 |
우리공사적용 |
비 고 |
슬 러 지 함수율(%) |
99 |
99 |
|
농축슬러지 함수율(%) |
95~99.2 |
97 |
중간값 적용 |
저류기간(d) |
15 이상 |
30 |
휴게소 특성상 슬러지 반출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30d로 적용한다 |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692
○ 설 계 예
[설계조건]
․유입 오수량 : 300㎥/d
[계 산 예]
․슬러지 저류조 유효용량(㎥) = 농축슬러지 발생량(㎥/d) × 저류기간(d) 이상
․농축슬러지 발생량(㎥/d)
․
․슬러지 저류조 유효용량(㎥) = 농축슬러지 발생량(㎥/d) × 저류기간(d) 이상
= 2.71㎥/d × 30d 이상
= 81.3㎥ 이상
․슬러지 저류조 유효용량은 81.3㎥ 이상으로 설계한다.
9. 기 타
○ 기 능
․집수, 소포조 : 침전조 상등수를 집수하여 잔류질소제거장치로 이송하고
반응조 거품 발생시 사용할 소포수 보관 용도
․슬러지 인출조 : 침전조 슬러지를 인출하여 외부반송 함
․응집슬러지 인출조 : 응집침전조 슬러지를 인출하여 슬러지 농축조로 이송
․여과조 : 여과시설로 이송하기 위한 집수조
․역세조 : 여과시설 역세수 보관 용도
․소독, 중수, 방류조 : 중수 및 방류수를 수질기준 이하로 소독하고 방류, 이송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693
○ 설계기준
구 분 |
설 계 기 준 |
비 고 |
역세조 |
설계된 여과시설에 소요되는 역세수량을 산출하여 보관 가능한 용량 이상으로 설계 |
|
집수, 소포조 슬러지 인출조 응집슬러지 인출조 여과조 소독, 중수, 방류조 |
각 조별 평면 배치시 주요 반응조별 배치후 잔여공간을 활용하여 체류시간 0.5~4hr 범위내에서 설계자가 선정한다. |
소독, 중수, 방류조는 중수도 설치 대상 휴게소(150㎥/일이상, 환경영향평가 협의)의경우 중수 보관을 위하여 유입 오수량(㎥/d)의 10%이상 용량 설치 |
2. 기존휴게소
□ 유입수 설계수질 : 당해 휴게소 수질 측정값 활용
□ 설계목표 방류수질 : 안전을 고려하여 방류수질기준(하수도법, 환경영향
예 시 |
항 목 |
BOD(㎎/ℓ) |
SS(㎎/ℓ) |
T-N(㎎/ℓ) |
T-P(㎎/ℓ) |
총대장균(개/㎖) |
하수도법 |
10 이하 |
10 이하 |
20 이하 |
2 이하 |
3,000 이하 |
|
환경영향평가 |
5 이하 |
5 이하 |
- |
- |
- |
|
설계목표 방류수질 |
4 이하 |
4 이하 |
16 이하 |
1.6 이하 |
2,400 이하 |
□ 오수처리시설 용량(㎥/d) 및 유량조정조
- 당해 휴게소 년간 오수 발생량 활용
- 성수기(명절, 연휴, 휴가철)를 제외한 년간 일일 오수발생량중 최대값의
1.1~1.2배(장래 발생량 증가에 대비)를 오수처리시설 용량으로 선정
- 유량조정조 : 오수처리시설 용량의 0.7배와 다음 설계예에 따른 성
수기 오수발생량을 감안한 용량중 큰 값으로 선정한다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694
○ 설 계 예
[설계조건]
․오수처리시설 용량 : 300㎥/d
[계 산 예]
성 수 기 |
오수발생량 (㎥/d) |
용량초과유량 (㎥/d) |
제 1 일 |
350 |
50 |
제 2 일 |
400 |
100 |
제 3 일 |
400 |
100 |
제 4 일 |
400 |
100 |
제 5 일 |
400 |
100 |
계 |
|
450 |
․유량조정조 용량(㎥)은 450㎥ 이상으로 설계한다.
- 선정된 유량조정조 용량이 오수처리시설 용량의 2배 초과시 오수처
리시설 용량은 성수기 오수발생량의 평균값으로 산정하고 필요시
2계열화 시킨다.
○ 2계열화 방법
․1계열 = 오수처리시설 용량의 1/3
․2계열 = 오수처리시설 용량의 2/3
□ 적용공정 : A2O(MBR) + 질소제거 보조공정 + 인제거 보조공정
○ 질소제거 보조공정 : 질소제거 보조공정 선택 기준에 의거 설치 여부
결정후 잔류질소 제거장치 A,B,C중 택일
○ 인제거 보조공정 : 응집침전시설 사용 (효율 및 경제성 평가를 통해
가압부상방식과 철 석출 장치를 이용한 인 제거 방법도 적용 가능)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695
[오수처리시설 고도처리공정(A2O) 흐름도]
※ 근 거 :「고속도로 오수처리시설 고도처리 개선방안 연구(2008)」p.241~242
※ MBR공정의 설계는 설계자가「고속도로 오수처리시설 고도처리 개선방안 연구(2008)」
[별책부록] 및 분리막별 특징을 고려하여 설계한다.
□ 생물반응조 단위공정설계 대표 인자 값(A2O)
구 분 |
설계값 |
해당 단위 공정 |
U (비기질 소비율) (kg Removed TBOD5 / kg MLVSS∙day ) |
0.205 |
포기조 설계 시 |
SNR ( kg Removed TKN / kg MLVSS∙day ) |
0.04 |
포기조 설계 시 |
SDNR ( kg Removed NO3--N / kg MLVSS∙day ) |
0.122 |
무산소조 설계 시 |
qp relese ( kg T-P / kg MLVSS∙day ) |
0.06 |
혐기조 설계 시 |
※ 근 거 :「고속도로 오수처리시설 고도처리 개선방안 연구(2008)」p.240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696
□ 단위공정별 설계기준
1. 침 사 조
○ 기 능
․유입 하수 중에 함유되어 있는 비부패성 무기물을 침전 분리하여, 각종
장비 및 배관류의 마모 및 장애를 방지한다.
○ 설계기준
․침사조 유효용량(㎥) =이상
○ 선정근거
․침사조 설계용량 산정방법은 [오수정화시설 설계용량 및 단위공정별 설
계기준에 관한 연구(2003) p.85]에 시간 최대오수량의 3/60을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되어 있으나 오수처리시설 전단에 정화조가 설치되어
대부분의 토사류가 제거되며, 휴게소 오수 발생량이 시간대별로 변동이
심하기 때문에 시간 최대오수량을 예측하기 곤란하므로 시간 평균오수량
의 3/60을 적용한다.
○ 설 계 예
[설계조건]
․유입 오수량 : 300㎥/d
[계 산 예]
․침사조 유효용량(㎥)
․침사조 유효용량은 0.625㎥ 이상으로 설계한다.
2. 고도처리 공정
○ 설계기준
․다음은「고속도로 오수처리시설 고도처리 개선방안 연구(2008)」결과에 따라
고도처리 공정 설계를 위한 산출방법 및 계수값을 정의하고, 계산 예를 예시
하였으며 설계시 본 설계방법을 적용하되, 설계자는 변경 가능한 계수값을
적절히 변경하여 기존 구조물을 최대한 재활용토록 한다.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697
구 분 |
내 용 |
||||||||||
① 설계수질 |
|
||||||||||
|
구 분 |
유 입 수 |
목표방류수 |
비 고 |
|
||||||
오수량(㎥/d) |
Q |
Q |
|
||||||||
BOD(㎎/ℓ) |
SBi |
SBo |
|
||||||||
SS(㎎/ℓ) |
- |
- |
|
||||||||
T-N(㎎/ℓ) |
SNi |
SNo |
방류수 NH3-N : 0.5 방류수 NO3-N : SNo - 0.5 |
||||||||
T-P(㎎/ℓ) |
SPi |
SPo |
|
||||||||
|
|||||||||||
② 생물반응조 설계기준 |
|
기준항목 |
단 위 |
연구결과 A2O(MBR) |
적용값 A2O(MBR) |
비 고 |
|||||
부유MLVSS |
㎎/ℓ |
2,000~4,500 (5,000~9,000) |
3,000 (7,000) |
적용값은 연구결과 범위내에서 설계자가 변경 가능 |
|||||||
SRT |
day |
10~30 (30~50) |
20 (40) |
||||||||
반송슬러지 |
㎎/ℓ |
6,000~12,000 |
9,000 |
||||||||
|
|||||||||||
③ Biokinetic Constants |
|
항 목 |
값 |
단 위 |
|||||||
Y (세포합성계수) |
0.55 |
g VSS/g BOD |
|||||||||
k (최대 기질 비소비율) |
0.23 |
d-1 |
|||||||||
kd (내생감소계수) |
0.05 |
d-1 |
|||||||||
MLVSS/MLSS (VSS/TSS) |
0.7 |
- |
|||||||||
pH |
7.2 |
- |
|||||||||
U (비기질 소모율) |
0.205 (MBR : 0.125) |
g TBOD5 removed / g MLVSS-d |
|||||||||
SNR |
0.04 |
g TKN removed /g MLVSS-d |
|||||||||
|
|||||||||||
qdn (SDNR) |
0.122 (MBR : 0.04) |
g NO3-N removed /g MLVSS-d |
|||||||||
qp release |
0.06 |
d-1 |
|||||||||
Anoxic Tank DO |
0.2 |
㎎/ℓ |
|||||||||
Anaeration P release. Conc. |
6 |
㎎/ℓ |
|||||||||
|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698
구 분 |
내 용 |
1. Soluble BOD5 (유출수) |
설계기준 ․SBOD5 = SBo - [SBo × (MLVSS/MLSS) × 1.42 × (1-e-kt)] 여기서, SBOD5 : 유출수 Soluble BOD5(㎎/ℓ) SBo : 목표 방류수 BOD(㎎/ℓ) MLVSS/MLSS = 0.7 1-e-kt = 0.68336 설 계 예 [설계조건] ․목표 방류수 BOD : 8㎎/ℓ [계 산 예] ․SBOD5 = SBo - [SBo × (MLVSS/MLSS) × 1.42 × (1-e-kt)] 여기서, SBOD5 : 유출수 Soluble BOD5(㎎/ℓ) SBo : 목표 방류수 BOD = 8㎎/ℓ MLVSS/MLSS = 0.7 1-e-kt = 0.68336 ․SBOD5 = 8㎎/ℓ - (8㎎/ℓ × 0.7 × 1.42 × 0.68336) = 2.566㎎/ℓ |
2. yield of Biological solids (고형물 생산량) |
설계기준 ․PX = 여기서, PX : 고형물 생산량(㎏/d)
설 계 예 [설계조건] ․유입 오수량 : 300㎥/d ․유입수 BOD : 240㎎/ℓ ․SRT : 20d [계 산 예] ․PX = 여기서, PX : 고형물 생산량(㎏/d)
․PX = = = 19.6㎏/d sludge Produced |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699
구 분 |
내 용 |
3. The Amount of Nitrogen used for cell synthesis (세포합성에 사용 되는 질소량) |
설계기준 ․C5H7O2N = 113 ․N = 여기서, N : 세포합성에 사용되는 질소량(㎎/ℓ) PX : 고형물 생산량 = 2.항 결과값(㎏/d)
설 계 예 [설계조건] ․유입 오수량 : 300㎥/d [계 산 예] ․N = 여기서, N : 세포합성에 사용되는 질소량(㎎/ℓ) PX : 고형물 생산량 = 19.6㎏/d
․N = = 8.1㎎/ℓ |
4. 질산화 요구량 |
설계기준 ․ 여기서, SNi : 유입수 T-N(㎎/ℓ) N : 세포합성에 사용되는 질소량 = 3.항 결과값(㎎/ℓ) 방류수 NH3-N = 0.5㎎/ℓ 설 계 예 [설계조건] ․유입수 T-N : 100㎎/ℓ [계 산 예] ․ 여기서, SNi : 유입수 T-N = 100㎎/ℓ N : 세포합성에 사용되는 질소량 = 8.1㎎/ℓ 방류수 NH3-N = 0.5㎎/ℓ ․ = 91.4㎎/ℓ |
5. 유입수 BOD중 세포합성에 사용되는 BOD |
설계기준 ․B = 여기서, B : 유입수 BOD중 세포합성에 사용되는 BOD(㎎/ℓ) PX : 고형물 생산량 = 2.항 결과값(㎏/d) 1-e-kt = 0.68336
설 계 예 [설계조건] ․유입 오수량 : 300㎥/d [계 산 예] ․B = 여기서, B : 유입수 BOD중 세포합성에 사용되는 BOD(㎎/ℓ) PX : 고형물 생산량 = 19.6㎏/d 1-e-kt = 0.68336
․B = = 63.4㎎/ℓ |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700
구 분 |
내 용 |
6. 실제 탈질에 사용 가능한 BOD |
설계기준 ․BT = SBi - B 여기서, BT : 실제 탈질에 사용 가능한 BOD(㎎/ℓ) SBi : 유입수 BOD(㎎/ℓ) B : 유입수 BOD중 세포합성에 사용되는 BOD = 5.항 결과값(㎎/ℓ) 설 계 예 [설계조건] ․유입수 BOD : 240㎎/ℓ [계 산 예] ․BT = SBi - B 여기서, BT : 실제 탈질에 사용 가능한 BOD(㎎/ℓ) SBi : 유입수 BOD = 240㎎/ℓ B : 유입수 BOD중 세포합성에 사용되는 BOD = 63.4㎎/ℓ ․BT = 240㎎/ℓ - 63.4㎎/ℓ = 176.6㎎/ℓ |
7. 실제 탈질에 사용 가능한 BOD에 따른 최대 탈질량 |
설계기준 ․COD reg = 3.71NO3--N + 2.3NO2--N + 1.3DO (NO2--N = 0으로 가정) ․Nmax = BT / 3.71 여기서, Nmax : 실제 탈질에 사용 가능한 BOD에 따른 최대 탈질량(㎎/ℓ) BT : 실제 탈질에 사용 가능한 BOD = 6.항 결과값(㎎/ℓ) 설 계 예 [계 산 예] ․Nmax = BT / 3.71 여기서, Nmax : 실제 탈질에 사용 가능한 BOD에 따른 최대 탈질량(㎎/ℓ) BT : 실제 탈질에 사용 가능한 BOD = 176.6(㎎/ℓ) ․Nmax = = 47.6㎎/ℓ가 제거 가능 |
8. 잔류질소 제거장치 를 사용할 경우, 잔류질소 제거장치 가 제거해야 할 질산성 질소량 (잔류질소 제거장치 용량 산정에 필요) |
설계기준 ․잔류질소 제거장치가 제거해야 할 질산성 질소량(㎎/ℓ) = 여기서, Nmax : 실제 탈질에 사용 가능한 BOD에 따른 최대 탈질량 = 7.항 결과값(㎎/ℓ) 방류수 NO3-N량 = SNo - 0.5㎎/ℓ SNo : 목표 방류수 T-N(㎎/ℓ) 설 계 예 [설계조건] ․질산화 요구량 : 91.4㎎/ℓ ․목표 방류수 T-N : 16㎎/ℓ [계 산 예] ․잔류질소 제거장치가 제거해야 할 질산성 질소량(㎎/ℓ) = 여기서, Nmax : 실제 탈질에 사용 가능한 BOD에 따른 최대 탈질량 = 47.6㎎/ℓ SNo : 목표 방류수 T-N = 16㎎/ℓ 방류수 NO3-N량 = 16㎎/ℓ - 0.5㎎/ℓ = 15.5㎎/ℓ ․잔류질소 제거장치가 제거해야 할 질산성 질소량(㎎/ℓ) = 91.4㎎/ℓ - 47.6㎎/ℓ - 15.5㎎/ℓ = 28.3㎎/ℓ |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701
구 분 |
내 용 |
9. Aeration Tank (포기조) |
= 0.47 × 0.712 × 0.6061 = 0.2d-1 ( S․F = 2.0 P․F = 1.2 growth Rate based on |
10. 포기조 설계 |
기 능 ․포기조는 산소공급을 통한 유입원수의 산화반응이 일어나는 반응조이며, 이 반응조에서는 유입원수 중의 유기물의 분해역할과 동시에 NH3-N을 산화하여 최종 NO3--N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설계기준 ․유기물 산화의 경우 포기조 유효용량 계산값과 질산화의 경우 포기조 유효용량 계산값중 큰 값으로 설계한다. ․유기물 산화의 경우 포기조 유효용량 ․포기조 유효용량(㎥) = 유입 오수량(㎥/d) × ․ 여기서,
․질산화의 경우 포기조 유효용량 ․포기조 유효용량(㎥) = 유입 오수량(㎥/d) × ․ 여기서,
설 계 예 [설계조건] ․유입 오수량 : 300㎥/d ․유입수 BOD : 240㎎/ℓ ․ [계 산 예] ․유기물 산화의 경우 포기조 유효용량 ․ 여기서,
|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702
구 분 |
내 용 |
10. 포기조 설계 |
․ = 0.386d ․포기조 유효용량(㎥) = 유입 오수량(㎥/d) × = 300㎥/d × 0.386d 이상 = 115.8㎥ 이상 ․질산화의 경우 포기조 유효용량 ․ 여기서,
․ = 0.76d ․포기조 유효용량(㎥) = 유입 오수량(㎥/d) × = 300㎥/d × 0.76d 이상 = 228㎥ 이상 ․두가지 방법중 큰 값을 선정 → 포기조 유효용량은 228㎥ 이상으로 설계한다. |
11. 무산소조 설계 |
기 능 ․무산소조는 생물학적 질소 제거 중 탈질반응이 이루어지는 조이다. 용존 산소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질산성 질소를 질소 가스로 환원하여 유입된 총질소 성분을 제거한다. 설계기준 ․무산소조 유효용량(㎥) = 유입 오수량(㎥/d) × ․ △Nitrient max Removel = 여기서, △Nitrient max Removel : 최대 탈질 요구량(㎎/ℓ)
SNo : 목표 방류수 T-N(㎎/ℓ)
설 계 예 [설계조건] ․유입 오수량 : 300㎥/d ․목표 방류수 T-N : 16㎎/ℓ ․ [계 산 예] ․△Nitrient max Removel = 여기서, △Nitrient max Removel : 최대 탈질 요구량(㎎/ℓ)
SNo : 목표 방류수 T-N = 16㎎/ℓ ․△Nitrient max Removel = 91.4㎎/ℓ - 16㎎/ℓ = 75.4㎎/ℓ |
= 75.4㎎/ℓ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703
구 분 |
내 용 |
11. 무산소조 설계 |
․ 여기서, △Nitrient max Removel : 최대 탈질 요구량 = 75.4㎎/ℓ
․ = 0.206d ․무산소조 유효용량(㎥) = 유입 오수량(㎥/d) × = 300㎥/d × 0.206d 이상 = 61.8㎥ 이상 ․무산소조 유효용량은 61.8㎥ 이상으로 설계한다. |
12. 혐기조 설계 |
기 능 ․생물학적 반응조의 가장 첫 반응조이며, 이는 인 제거기작 중 첫 번째 단계인 인의 방출을 유도하는 반응조이다. 유입되는 하수의 기질과 침전조에서 반송되는 슬러지의 미생물을 이용하여 인의 방출을 유도한다. 설계기준 ․혐기조 유효용량(㎥) = 유입 오수량(㎥/일) × ․
∴ 여기서,
Anaeration P release. Conc. = 6㎎/ℓ qp release : 인방출계수 = 0.06d-1
설 계 예 [설계조건] ․유입 오수량 : 300㎥/d ․ [계 산 예] ․ 여기서, Anaeration P release. Conc. = 6㎎/ℓ qp release : 인방출계수 = 0.06d-1
․ = 0.033d ․혐기조 유효용량 = 유입 오수량(㎥/일) × = 300㎥/일 × 0.033d 이상 ≒ 10㎥ 이상 ․혐기조 유효용량은 10㎥ 이상으로 설계한다. |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704
3. 침 전 조
○ 기 능
․하수를 생물화학적인 방법으로 처리할 때 활성슬러지와 부유물질을 연속
적으로 침강 분리시키는 중요한 처리 공정으로 활성슬러지는 슬러지 인
출조로 부유물질은 스컴제거장치로 제거된다.
○ 설계기준
․하수도 시설기준(2005)에 의거 침전시키려는 고형물의 양을 토대로 하여
계산된 값과 표면부하율에 의하여 계산된 값을 비교하여 소요면적이 큰
것으로 침전조의 표면적을 결정한다.
․표면부하율에 의한 침전조 표면적 산출
여기서, A : 침전조 표면적(㎡)
Q : 유입 오수량(㎥/d)
LV : 표면부하율
․고형물부하율에 의한 침전조 표면적 산출
[반송슬러지 유량(㎥/d)]
여기서, QR : 반송슬러지 유량(㎥/d)
Q : 유입 오수량(㎥/d)
X : 포기조 혼합액 부유 고형물, MLSS
MLVSS/MLSS = 0.7
MLSS = MLVSS/0.7
XR : 반송 활성슬러지 부유물질
[침전조 표면적(㎡)]
여기서, A : 침전조 표면적(㎡)
Q : 유입 오수량(㎥/d)
QR : 반송슬러지 유량(㎥/d)
X : 포기조 혼합액 부유 고형물, MLSS
SLR : 고형물부하율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705
여기서, QR : 반송슬러지 유량(㎥/d)
Q : 유입 오수량 = 300㎥/d
X : 포기조 혼합액 부유 고형물, MLSS
MLVSS/MLSS = 0.7, MLVSS = 3,000㎎/ℓ이므로
MLSS = MLVSS/0.7
[침전조 표면적(㎡)]
․침전조 표면적은 상기 두 경우 중 큰 값인 24.6㎡ 이상으로 선정한다.
․침전조 직경(m)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706
여기서, D : 침전조 직경(m)
A : 선정된 침전조 표면적 = 24.6㎡
= 5.6m 이상
․침전조 직경은 5.6m 이상으로 설계한다.
4. 응 집 조
○ 기 능
․응집제인 PAC, POLYMER를 첨가해 하수 중에 T-P 및 잔류 부유물질을
응집시켜 침전조로 보낸다.
○ 설계기준
․응집조 유효용량(㎥) = 유입 오수량(㎥/d) × 체류시간(min) ÷ 24hr/d
÷ 60min/hr 이상
․체류시간(min) = 20min
○ 선정근거
구 분 |
하수도 시설기준(2005) p.622 |
우리공사적용 |
비 고 |
체류시간(min) |
20~30 |
20 |
|
○ 설 계 예
[설계조건]
․유입 오수량 : 300㎥/d
[계 산 예]
․응집조 유효용량(㎥) = 유입 오수량(㎥/d) × 체류시간(min) ÷ 24hr/d
÷ 60min/hr 이상
= 300㎥/d × 20min ÷ 24hr/d ÷ 60min/hr 이상
= 4.2㎥ 이상
․응집조 유효용량은 4.2㎥ 이상으로 설계한다.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707
5. 응집침전조
○ 기 능
․응집조에서 응결된 FLOC 및 부유물질을 침강 분리시키는 공정으로 잉
여슬러지는 응집슬러지 인출조로 부유물질은 스컴제거장치로 처리된 처
리수는 소포조로 이송된다.
○ 설계기준
․하수도시설기준에 의거 체류시간에 의하여 계산된 값과 표면부하율에 의
하여 계산된 값을 비교하여 소요면적이 큰 것으로 응집침전조의 표면적
을 결정한다.
․체류시간에 의한 응집침전조 표면적 산출
여기서, A : 응집침전조 표면적(㎡)
Q : 유입 오수량(㎥/d)
H : 응집침전조 수위(m)
․표면부하율에 의한 응집침전조 표면적 산출
여기서, A : 응집침전조 표면적(㎡)
Q : 유입 오수량(㎥/d)
LV : 표면부하율
․응집침전조 표면적은 상기 두 경우 중 큰 것을 선택
․응집침전조 직경(m)
이상
여기서, D : 응집침전조 직경(m)
A : 선정된 응집침전조 표면적(㎡)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708
○ 선정근거
구 분 |
하수도 시설기준(2005) p.622 |
우리공사적용 |
비 고 |
체류시간(hr) |
1~4 |
1~4 |
|
표면부하율 (㎥/㎡․d) |
25~50 |
25~50 |
|
○ 설 계 예
[설계조건]
․유입 오수량 : 300㎥/d
․체류시간 : 2hr
․응집침전조 수위 : 2.5m 이상
․표면부하율 : 40㎥/㎡․d
[계 산 예]
․체류시간에 의한 응집침전조 표면적 산출
․표면부하율에 의한 응집침전조 표면적 산출
여기서, A : 응집침전조 표면적(㎡)
Q : 유입 오수량 = 300㎥/d
LV : 표면부하율 = 40㎥/㎡․d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709
․응집침전조 표면적은 상기 두 경우 중 큰 값인 10.0㎡ 이상으로 선정한다.
․응집침전조 직경(m)
․응집침전조 직경은 3.6m 이상으로 설계한다.
6. 슬러지 농축조
○ 기 능
․잉여슬러지를 농축하여 폐기슬러지를 감량시키며 슬러지 농축으로 생기는
상등액은 유량조정조로 이송하고 농축된 슬러지는 슬러지 저류조에 이송한다.
○ 설계기준
․슬러지 농축조 유효용량(㎥)
= [잉여슬러지 발생량(㎥/d) + 응집슬러지 발생량(㎥/d)] × 체류시간(d)
․잉여슬러지 발생량(㎥/d)
QW․XW = a․Q․S0 + b․Q․SSS - c․V․X
= (a․S0 + b․SSS)Q - c․V․X
여기서, QW : 잉여슬러지 발생량(㎥/d)
XW(XR) : 잉여슬러지의 평균 SS농도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710
Q : 유입 오수량(㎥/d)
V : 반응조(포기조)의 용적(㎥)
X : 반응조의 MLVSS농도
S0 : 반응조로 유입되는 유입수의 용해성 BOD농도
SSS : 반응조로 유입되는 유입수의 SS농도
a(Y) : 용해성 BOD에 의한 슬러지전환율 = 0.55
b : SS에 대한 슬러지전환율(0.9~1.0) ⇒ 0.9 적용
c(kd) : 내생 감소 계수 = 0.05d-1
․응집슬러지 발생량(㎥/d)
ALUM사용량(㎏/d) = ALUM첨가율(50㎎/ℓ) × 유입 오수량(㎥/d) ÷ 1,000
반응식 : Al2(SO4)3․18H2O + 60H+ → 2Al(OH)3↓ + 18H2O
분자량 : 666 분자량 : 2×78
응집제 수화물량(㎏/d) = ALUM사용량(㎏/d) × [(2×78)/666]
슬러지 농축조 유입수 SS농도 : 20㎎/ℓ
유입수 SS량(㎏/d) = 유입수 SS농도(㎎/ℓ) × 유입 오수량(㎥/d) ÷ 1,000
응집침전조에서의 SS제거율 = 90%
응집슬러지 함수율 = 97.5%
응집슬러지 비중 = 1.03
응집슬러지 발생량(㎏/d)
= [유입수 SS량(㎏/d) + 응집제 수화물량(㎏/d)] × SS제거율
응집슬러지 발생량(㎥/d)
= 응집슬러지 발생량(㎏/d) ÷ (1-함수율) ÷ (비중×1,000)
○ 선정근거
구 분 |
하수도 시설기준(2005) p.684 |
우리공사적용 |
비 고 |
체류시간(hr) |
18(0.75d)이하 |
48(2d)이하 |
오수정화시설 설계용량 및 단위 공정별 설계기준에관한연구(2003)p.108 |
○ 설 계 예
[설계조건]
․유입 오수량 : 300㎥/d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711
․잉여슬러지의 평균 SS농도 = 9,000㎎/ℓ
․반응조의 MLVSS농도 = 3,000㎎/ℓ
․반응조로 유입되는 유입수의 용해성 BOD농도 = 290㎎/ℓ
․반응조로 유입되는 유입수의 SS농도 = 250㎎/ℓ
․체류시간 : 48hr
[계 산 예]
․슬러지 농축조 유효용량(㎥)
= [잉여슬러지 발생량(㎥/d) + 응집슬러지 발생량(㎥/d)] × 체류시간(d)
․잉여슬러지 발생량(㎥/d)
․QW․XW = a․Q․S0 + b․Q․SSS - c․V․X
= (a․S0 + b․SSS)Q - c․V․X
여기서, QW : 잉여슬러지 발생량(㎥/d)
XW(XR) : 잉여슬러지의 평균 SS농도 = 9,000㎎/ℓ
Q : 유입 오수량 = 300㎥/d
V : 반응조(포기조)의 용적 = 300㎥
X : 반응조의 MLVSS농도 = 3,000㎎/ℓ
S0 : 반응조로 유입되는 유입수의 용해성 BOD농도 = 290㎎/ℓ
SSS : 반응조로 유입되는 유입수의 SS농도 = 250㎎/ℓ
a(Y) : 용해성 BOD에 의한 슬러지전환율 = 0.55
b : SS에 대한 슬러지전환율 = 0.9
c(kd) : 내생 감소 계수 = 0.05d-1
․QW × 9,000㎎/ℓ = (0.55×290㎎/ℓ + 0.9×250㎎/ℓ) × 300㎥/d
- 0.05d-1 × 300㎥ × 3,000㎎/ℓ
= 384.5㎎/ℓ × 300㎥/d - 0.05d-1 × 300㎥ × 3,000㎎/ℓ
= (384.5㎎/ℓ × 300㎥/d) - (3,000㎎/ℓ × 15㎥/d)
․QW =
= 12.8㎥/d - 5㎥/d
= 7.8㎥/d
․응집슬러지 발생량(㎥/d)
ALUM사용량(㎏/d) = ALUM첨가율(50㎎/ℓ) × 유입 오수량(㎥/d) ÷ 1,000
= 50㎎/ℓ × 300㎥/d ÷ 1,000
= 15㎏/d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712
반응식 : Al2(SO4)3․18H2O + 60H+ → 2Al(OH)3↓ + 18H2O
분자량 : 666 분자량 : 2×78
응집제 수화물량(㎏/d) = ALUM사용량(㎏/d) × [(2×78)/666]
= 15㎏/d × [(2×78)/666]
= 3.5㎏/d
슬러지 농축조 유입수 SS농도 : 20㎎/ℓ
유입수 SS량(㎏/d) = 유입수 SS농도(㎎/ℓ) × 유입 오수량(㎥/d) ÷ 1,000
= 20㎎/ℓ × 300㎥/d ÷ 1,000
= 6㎏/d
응집침전조에서의 SS제거율 = 90%
응집슬러지 함수율 = 97.5%
응집슬러지 비중 = 1.03
응집슬러지 발생량(㎏/d)
= [유입수 SS량(㎏/d) + 응집제 수화물량(㎏/d)] × SS제거율
= (6㎏/d + 3.5㎏/d) × 0.9
= 8.55㎏/d
응집슬러지 발생량(㎥/d)
= 응집슬러지 발생량(㎏/d) ÷ (1 - 함수율) ÷ (비중 × 1,000)
= 8.55㎏/d ÷ (1 - 0.975) ÷ (1.03 × 1,000)
= 0.33㎥/d
․체류시간
구 분 |
하수도 시설기준(2005) |
우리공사적용 |
비 고 |
체류시간(hr) |
18(0.75d)이하 |
48(2d)이하 |
오수정화시설 설계용량 및 단위공정별 설계 기준에 관한 연구(2003) p.108 |
․슬러지 농축조 유효용량(㎥)
= [잉여슬러지 발생량(㎥/d) + 응집슬러지 발생량(㎥/d)] × 체류시간(d)
= (7.8㎥/d + 0.33㎥/d) × 2d
= 16.26㎥
․슬러지 농축조 유효용량은 16.26㎥ 으로 설계한다.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713
7. 슬러지 저류조
○ 기 능
․농축된 슬러지를 수거하기 위해 수집 집적하는 조이다.
○ 설계기준
․슬러지 저류조 유효용량(㎥) = 농축슬러지 발생량(㎥/d) × 저류기간(d) 이상
․농축슬러지 발생량(㎥/d)
여기서, V' : 농축슬러지 발생량(㎥/d)
V : 슬러지(잉여+응집) 발생량(㎥/d)
P : 슬러지(잉여+응집) 함수율 = 99%
※ 잉여슬러지양이 응집슬러지양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에 잉여슬러지
함수율을 적용한다.
P ′ : 농축슬러지 함수율 = 95~99.2%
․저류기간(d) = 30d 이상
○ 선정근거
구 분 |
오수정화시설 설계용량 및 단위공정별 설계기준에 관한 연구(2003) p.108 |
우리공사적용 |
비 고 |
슬 러 지 함수율(%) |
99 |
99 |
|
농축슬러지 함수율(%) |
95~99.2 |
95~99.2 |
|
저류기간(d) |
15 이상 |
30 이상 |
휴게소 특성상 슬러지 반출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30d로 적용한다 |
○ 설 계 예
[설계조건]
․유입 오수량 : 300㎥/d
․농축슬러지 함수율 = 97%
[계 산 예]
․슬러지 저류조 유효용량(㎥) = 농축슬러지 발생량(㎥/d) × 저류기간(d) 이상
․농축슬러지 발생량(㎥/d)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714
여기서, V' : 농축슬러지 발생량(㎥/d)
V : 슬러지(잉여+응집) 발생량 = 8.13㎥/d
(7.절 슬러지 발생량 산출 결과)
P : 슬러지(잉여+응집) 함수율 = 99%
P ′ : 농축슬러지 함수율 = 97%
․슬러지 저류조 유효용량(㎥) = 농축슬러지 발생량(㎥/d) × 저류기간(d) 이상
= 2.71㎥/d × 30d 이상
= 81.3㎥ 이상
․슬러지 저류조 유효용량은 81.3㎥ 이상으로 설계한다.
8. 기 타
○ 기 능
․집수, 소포조 : 침전조 상등수를 집수하여 잔류질소제거장치로 이송하고
반응조 거품 발생시 사용할 소포수 보관 용도
․슬러지 인출조 : 침전조 슬러지를 인출하여 외부반송 함
․응집슬러지 인출조 : 응집침전조 슬러지를 인출하여 슬러지 농축조로 이송
․여과조 : 여과시설로 이송하기 위한 집수조
․역세조 : 여과시설 역세수 보관 용도
․소독, 중수, 방류조 : 중수 및 방류수를 수질기준 이하로 소독하고 방류, 이송
○ 설계기준
구 분 |
설 계 기 준 |
비 고 |
역세조 |
설계된 여과시설에 소요되는 역세수량을 산출하여 보관 가능한 용량 이상으로 설계 |
|
집수, 소포조 슬러지 인출조 응집슬러지 인출조 여과조 소독, 중수, 방류조 |
각 조별 평면 배치시 주요 반응조별 배치후 잔여공간을 활용하여 체류시간 0.5~4hr 범위내에서 설계자가 선정한다. |
소독, 중수, 방류조는 중수도 설치 대상 휴게소(150㎥/일이상, 환경영향평가 협의)의경우 중수 보관을 위하여 유입 오수량(㎥/d)의 10%이상 용량 설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