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터널공

541

8-4 터널용 강섬유 보강 숏크리트 강섬유 투입 설계기준 개선방안 기술심사처-1129

(2011. 6. 2)

I 추진배경

□ 터널용 강섬유 보강 숏크리트의 강섬유 혼입량 관리방법 및

시방기준 변경 (배합시 투입량 관리 → 타설벽체 혼입량 관리 )

※ 터널설계기준(건교부, 2007), 터널표준시방서(국토부, 2009)

실제 벽면에 타설된 강섬유 혼입량은 30kg/㎥ 이상이 되어야 함.

□ 고속도로 전문시방서(2009) 강섬유 혼입량 관리기준 변경에 따른

배합시 강섬유 투입량 최적화 검토 필요

 

 

 

구 분

전문시방서(2004)

전문시방서(2009)

강섬유

배합시 투입량

40kg/이상

40kg/이상

타설벽면 혼입량

투입기준량 90%이상

(= 36kg/)

30kg/이상

II 관련규정 개정현황

 

구 분

주 요 내 용

강섬유 보강 숏크리트 적용기준

(설이16210-144, 1995.6.19)

강섬유 투입량 40/이상 기준 수립

- 와이어매쉬와 동일한 에너지 흡수력 확보

특수공종 시공 및 품질

관리 지침서 (1997.9)

강섬유 혼입율 시험기준 수립

- 설계기준량 대비 95% 이상 (씻기시험)

터널 숏크리트 품질기준 개선

(도교시15404-18, 2003.11.25)

강섬유 혼입율 시험방법 및 기준 변경

- 투입량 대비 90% 이상 (코아채취)

강섬유 할증율 적용방안 검토

(설계도 10301-323, 2004.09.30)

리바운드량이 상대적으로 큰 강섬유의

손실량 감안하여 재료할증 2% 반영

강섬유 할증율 적용방안 개

(설계처-4273, 2009.08.17)

강섬유 혼입량은 타설벽체 30/이상

적용에 따른 강섬유 할증율(2%) 미반영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터널공

542

III 현황 및 문제점

□ 숏크리트 배합시 강섬유 투입량 과다

o 고속도로 전문시방서 강섬유 혼입량 기준(30kg/㎥) 개정에 따른

강섬유 투입량 최적화 필요 (3~5kg/㎥ 감소)

※ 2010년 강섬유 혼입율 시험현황 (현 시공중 13개 노선)

 

공구수

시험횟수

평균 투입량

평균 혼입량

59

4,072

41.3/

37.2/

(투입량 대비 89.6%)

 

 

o 강섬유 혼입률 시험은 터널벽체에 타설된 숏크리트의 유일한

현장시험으로 숏크리트 품질관리에 매우 중요한 지표임.

- 강섬유 투입량 과다시 품질시험 불합격 확률이 극히 적어 시험 및

시공관리 소홀로 숏크리트 휨강도, 휨인성 등에 악영향 우려

o 터널의 취약부위(천단부) 숏크리트 리바운드율(천단부13%), 강섬유

탈락률 등을 고려하여 적정 강섬유투입량 설정 필요

※ 용어정의

- 강섬유 투입량 : 숏크리트 배합시 투입되는 강섬유량 (kg/㎥)

- 강섬유 혼입량 : 타설된 숏크리트 내에 혼입된 강섬유량 (kg/㎥)

□ 강섬유 혼입량 기준 상이

o 노선별 상이한 현장기준 적용으로 품질관리시 혼선을 초래하고

일부 현장 숏크리트 시공시 강섬유 추가 투입 (2~12.5%)

※ 강섬유 혼입량 기준 적용현황 (공사시방서 또는 일반보고서)

 

 

 

구 분

벽체 혼입량

40kg/이상

설계기준량대비 90%(36kg/)이상

벽체 혼입량

30kg/이상

노선 수(현장)

4개 노선 (19)

9개 노선 (54)

2개 노선 (9)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터널공

543

IV 현황시험 시공결과

□ 시험개요

o 시험목적 : 강섬유 투입량 변화(33, 35, 37kg/㎥)에 의한 강섬유

혼입량, 등가휨강도 기준 만족여부 확인

o 시험기간

- 1차 : 2011. 3. 21 ~ 3. 25, 설계량(35, 37, 40kg/㎥) 조정시험

- 2차 : 2011. 5. 23 ~ 5. 26, 설계량(37kg/㎥)에 대한 혼입률 시험

o 대상현장 : 홍천-양양 6, 8, 10, 14, 15공구

o 시행방법 : 도로교통연구원 합동 시험시공 시행

□ 시험결과

o 숏크리트 리바운드율 평균 9%, 강섬유 탈락률은 200%

* 강섬유탈락률 : 리바운드된 숏크리트내 강섬유량(kg/㎥)/강섬유투입량(kg/㎥)의 비율

o 등가휨강도는 투입량 35kg/㎥ 이상시 기준(3.0MPa) 만족하나 강섬유

혼입량은 투입량 37kg/㎥ 이상시 터널천단부 기준(30kg/㎥) 만족

 

 

 

강섬유

투입량

(kg/)

숏크리트 리바운드율

(%)

강섬유 탈락률

(%)

강섬유 혼입량

(kg/)

강섬유

혼입률

(%)

등가

휨강도

(MPa)

비 고

35

9.1

202

28.8

82.3

3.67

1

37

-

-

31.4

84.9

-

1

32.1

86.8

-

2

40

7.6

208

34.6

86.5

-

1

* 세부내용 [붙임3, 4] 도로교통연구원 검토결과 참조

□ 시험 분석의견

o 숏크리트 타설 노즐맨의 숙련도에 많이 좌우되나 현장시험결과

평균 숏크리트 리바운드율 9%, 강섬유 탈락률 200%로 나타남.

o 강섬유 탈락률은 아치부에서 크고 강섬유 혼입량이 작게(2~4%)

나타나므로 안전율 고려 강섬유 투입량은 37kg/㎥가 적정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터널공

544

V 개선방안

 이론적 추정치와 현장시험 결과 비교

o 등가휨강도는 강섬유투입량 35kg/㎥ 이상시 만족

o 터널벽체 강섬유 혼입량 비교

- 이론적 조건 : 리바운드율 (천단부13%,측벽부10%) 강섬유 탈락률(200%)

 

 

 

강섬유

투입량

(kg/)

터널측벽부

터널천단부

비 고

(기준)

이론적 추정

현장시험결과

이론적 추정

현장시험결과

혼입량

(kg/)

혼입률

(%)

혼입량

(kg/)

혼입률

(%)

혼입량

(kg/)

혼입률

(%)

혼입량

(kg/)

혼입률

(%)

35

31.1

88.9

29.2

83.5

29.8

85.1

28.4

81.2

강섬유

혼입량

30kg/

이상

36

32.0

88.9

-

-

30.6

85.0

-

-

37

32.9

88.9

32.3

87.3

31.5

85.1

31.0

83.8

40

35.6

89.0

35.2

88.0

34.2

85.1

33.6

84.1

※ 이론적 추정 계산사례

 강섬유 투입량 최적화

o 취약부위인 터널천단부 강섬유 혼입량을 확보하고 계량오차,

시공 중 손실률 등을 고려하여 강섬유 투입량 37kg/㎥ 설정

o 적용방안

 

구 분

전문시방서(2004)

전문시방서(2009)

최적화방안

강섬유

배합시

투입량

40kg/이상

40kg/이상

37kg/이상

타설벽면

혼입량

투입량 대비 90% 이상

(36kg/이상)

30kg/이상

30kg/이상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터널공

545

 강섬유 투입 설계기준 개선

o 강섬유 혼입량 관리기준 변경(배합시 투입량 → 터널벽체 혼입량)에

따라 강섬유 투입량은 설계기준으로 운영하고 고속도로 전

문시방서에는 강섬유 혼입량 기준만 명시

- 강섬유 투입량은 현장특성(시공조건, 장비, 노즐맨 등)에 따라 변화

- 터널표준시방서(2009), 터널설계기준(2007) : 강섬유혼입량 기준만 명시

o 강섬유 투입량 설계 기준 : 본 방침 적용

o 고속도로 전문시방서 개선(안)

 

 

 

당 초

개 선 ()

3.2.5 품질관리

(1) 강섬유

강섬유의 혼입량은 숏크리트 배합시 140이상으로 하며, 설계휨강도 및 휨인성을 만족하여야 한다.

 

(2) 숏크리트

강섬유 혼입량 관리

실제 벽면에 타설된 강섬유 혼입량은 130kg 이상 되어야 하며.....

3.2.5 품질관리

(1) 강섬유

강섬유의 투입량은 숏크리트 배합시 설계휨강도 및 휨인성을 만족하여야 한다.

 

 

(2) 숏크리트

강섬유 혼입량 관리

실제 벽면에 타설된 강섬유 혼입량은 130kg 이상 되어야 하며.....

 강섬유 혼입량 현장기준 통일

◦ 노선별 상이한 공사시방서의 강섬유 혼입량 기준을 고속도로

전문시방서(2009) 기준에 의거 통일 적용

- 기존 기준(혼입율 90%) 만족을 위한 강섬유 할증 및 추가 투입 방지

※ 고속도로 전문시방서(P7-25) “강섬유 혼입량 관리”

실제 벽면에 타설된 강섬유 혼입량은 30kg/㎥ 이상.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터널공

546

VI 기대효과

□ 숏크리트 강섬유 투입량 최적화에 의한 예산절감

◦ 공사 중 및 설계 중 노선 적용시 : 공사비 92억 절감

- 1,710,000㎥×0.8(1type 제외)×3kg/㎥×1,500원/kg×1.5(제잡비) ≒ 92억원

□ 강섬유 혼입량 현장관리기준 통일 적용

◦ 시공사 자체 강섬유 추가 투입 방지에 의한 원가절감

□ 합리적 강섬유 투입량 설정에 의한 터널 시공관리 강화

◦ 현장시험 중 가장 중요한 지표인 강섬유 혼입량 관리 강화에

따른 전체 터널의 내구성 증진 효과

VII 적용방안

□ 자체 및 수탁사업 설계VE 검토 노선 : 본 방침 적용

□ 설계 중 또는 설계완료 후 미발주 노선 : 본 방침 적용

□ 공사 중인 노선 : 공사주관(시행)부서 적용방안 마련 시행

붙 임 : 1. 터널용 숏크리트 현황 1부.

2. 2010년 현장 강섬유 혼입량 시험결과 1부.

3. 도로교통연구원 강섬유 설계량 검토결과 1부.

4. 도로교통연구원 강섬유투입량 추가시험결과 1부.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터널공

547

터널용 숏크리트 현황

□ 시공 중 (2011. 2월말 기준)

 

사업단

공 구

터 널

숏크리트 수량()

비고

설 계

시 공

잔 량

12

80

165

1,524,231

687,799

836,432

 

함양성산

7

14

104,336

69,220

35,116

 

담양함양

5

14

54,352

23,284

31,068

 

목포광양

11

33

235,639

233,477

2,162

 

홍천양양

10

17

262,510

114,324

148,186

 

진주마산

4

3

24,539

24,539

-

시공완료

수도권

2

7

58,517

52,027

6,490

 

삼척속초

5

8

65,905

22,935

42,970

 

음성제천

7

10

126,329

44,343

81,986

 

냉정부산

4

2

22,816

5,735

17,081

 

울산포항

10

22

280,559

97,915

182,644

 

상주안동

8

16

118,120

-

118,120

미시공

안동영덕

7

19

170,609

-

170,609

미시공

 

 

□ 설계 중 (2011. 2 기준)

 

노선명

공구명

터널수

연 장

숏크리트량()

비 고

총 계

26

53

81,810m

692,325

 

함양울산

24

49

79,852m

673,858

 

당진천안

2

4

1,958m

18,467

 

 

 

□ 설계완료 후 미발주 노선 (2011. 2 기준)

 

노선명

공구명

터널명

연 장

숏크리트량()

비고

부산외곽선

9개소

12개소

41,724m

190,204

 

 


붙 임 #1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터널공

548

2010년 현장 강섬유 혼입량 시험결과

 

 

 

 

사업단

노선

공구

터널명

강섬유

설계량

(kg)

할증량

(kg)

강섬유

투입량

(kg)

강섬유 혼입량 시험결과

평 균

혼입량(kg)

현장시행

사업단시행

횟 수

혼입량(kg)

횟 수

혼입량(kg)

총 계(평균)

59

107

40.0

1.3

41.3

37.1

3,912

37.2

160

35.5

함양

 

-

 

성산

소 계(평균)

 

40.0

0.6

40.6

34.0

459

34.1

14

33.7

지리산

-

 

성산

8공구

수동

40.0

0.8

40.8

33.9

19

34.0

3

33.4

11공구

가조

40.0

0.0

40.0

32.7

198

32.7

3

32.4

12공구

가야2

40.0

1.2

41.2

33.5

21

33.5

2

33.5

가야3

40.0

1.2

41.2

33.9

20

33.8

0

0.0

야로1

40.0

1.2

41.2

34.3

19

34.2

0

0.0

야로2

40.0

1.2

41.2

33.4

29

33.4

0

0.0

13공구

고령1

40.0

0.0

40.0

33.2

35

33.1

2

34

야로3

40.0

0.0

40.0

33.6

31

33.7

2

31.9

14공구

고령3

40.0

1.0

41.0

38.5

57

38.5

0

0.0

고령2

40.0

1.0

41.0

37.6

11

37.7

1

36.4

영동

- 옥천

1공구

영동2

40.0

0.0

40.0

37.0

15

36.9

1

38.5

영동3

40.0

0.0

40.0

37.1

4

37.1

0

0.0

담양

-

 

함양

소 계(평균)

 

40.0

0.6

40.6

35.6

102

35.6

102

35.6

담양

-

 

함양

2공구

주생

40.0

0.0

40.0

36.9

51

36.9

51

36.9

5공구

번암1

40.0

3

43.0

37.6

15

37.6

15

37.6

6공구

백전1

40.0

0.0

40.0

32.2

7

32.2

7

32.2

백전2

40.0

0.0

40.0

33.2

24

33.2

24

33.2

7공구

병곡1

40.0

0.0

40.0

33.0

5

33.0

5

33.0

목포

-

 

광양

소 계(평균)

 

40.0

2.9

42.9

39.4

1,297

39.4

0

0.0

목포

-

 

장흥

1공구

영암1

40.0

4.0

44.0

39.0

27

39.0

0

0.0

영암2

40.0

4.0

44.0

40.0

21

40.0

0

0.0

영암3

40.0

4.0

44.0

40.0

11

40.0

0

0.0

2공구

밤재

40.0

0.8

40.8

37.0

31

37.0

0

0.0

오산

40.0

0.8

40.8

37.0

53

37.0

0

0.0

4공구

강진1

40.0

0.8

40.8

37.7

57

37.7

0

0.0

강진2

40.0

0.8

40.8

38.5

55

38.5

0

0.0

강진3

40.0

0.8

40.8

38.3

75

38.3

0

0.0

장흥1

40.0

0.8

40.8

36.7

16

36.7

0

0.0

장흥2

40.0

0.8

40.8

36.8

32

36.8

0

0.0

장흥3

40.0

0.8

40.8

36.7

26

36.7

0

0.0

장흥

-

 

광양

5공구

월만1

40.0

4.0

44.0

39.2

19

39.2

0

0.0

월만2

40.0

4.0

44.0

38.0

23

38.0

0

0.0

정암

40.0

4.0

44.0

39.0

78

39.0

0

0.0

6공구

배산

40.0

5.0

45.0

42.3

29

42.3

0

0.0

조양

40.0

5.0

45.0

43.2

7

43.2

0

0.0

대야

40.0

5.0

45.0

43.4

45

43.4

0

0.0

노동1

40.0

5.0

45.0

42.7

26

42.7

0

0.0

노동2

40.0

5.0

45.0

42.9

16

42.9

0

0.0

붙 임 #2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터널공

549

 

 

 

 

사업단

노선

공구

터널명

강섬유

설계량

(kg)

할증량

(kg)

강섬유

투입량

(kg)

강섬유 혼입량 시험결과

평 균

혼입량(kg)

현장시행

사업단시행

횟 수

혼입량(kg)

횟 수

혼입량(kg)

목포

-

 

광양

장흥

-

 

광양

7공구

도개1

40.0

3.0

43.0

41.7

38

41.7

0

0.0

도개2

40.0

3.0

43.0

40.1

5

40.1

0

0.0

8공구

겸백

40.0

2.0

42.0

38.2

147

38.2

0

0.0

조성1

40.0

2.0

42.0

39.7

10

39.7

0

0.0

조성2

40.0

2.0

42.0

38.0

53

38.0

0

0.0

벌교1

40.0

2.0

42.0

39.4

20

39.4

0

0.0

벌교2

40.0

2.0

42.0

39.1

46

39.1

0

0.0

9공구

벌교3

40.0

3.0

43.0

40.2

37

40.2

0

0.0

벌교4

40.0

3.0

43.0

40.1

24

40.1

0

0.0

10공구

벌교5

40.0

3.0

43.0

42.0

68

42.0

0

0.0

별량1

40.0

3.0

43.0

42.0

30

42.0

0

0.0

별량2

40.0

3.0

43.0

42.0

39

42.0

0

0.0

11공구

별량3

40.0

5.0

45.0

42.3

65

42.3

0

0.0

12공구

해룡

40.0

5.0

45.0

37.8

68

37.8

0

0.0

홍천

-

 

양양

소 계(평균)

 

40.0

0.8

40.8

36.8

671

36.8

24

36.8

동홍천

-

 

양양

5공구

화촌

40.0

0.8

40.8

37.9

19

37.9

1

37.8

6공구

장평1

40.0

0.5

40.5

37.2

62

37.2

2

36.8

장평2

40.0

0.5

40.5

36.9

19

36.9

1

36.7

8공구

행치1

40.0

0.8

40.8

36.1

50

36.1

2

36.2

내촌5

40.0

0.8

40.8

36.1

8

36.0

1

36.8

9공구

행치2

40.0

0.8

40.8

37.2

9

37.2

1

36.9

상남1

40.0

0.8

40.8

36.9

53

36.9

1

36.1

10공구

하남

40.0

0.8

40.8

37.2

59

37.2

2

37.0

상남3

40.0

0.8

40.8

36.4

9

36.4

1

36.8

12공구

현리3

40.0

1.2

41.2

37.3

4

37.4

2

37.2

현리4

40.0

1.2

41.2

37.5

14

37.5

2

37.2

13공구

방동2

40.0

1.2

41.2

36.1

51

36.1

2

36.2

14공구

인제

40.0

0.8

40.8

36.4

108

36.4

1

36.0

서림2

40.0

0.8

40.8

36.8

14

36.8

1

36.4

15공구

영덕3

40.0

0.8

40.8

37.3

26

37.3

1

36.2

16공구

범부1

40.0

0.8

40.8

37.1

35

37.1

1

37.1

범부2

40.0

0.8

40.8

37.0

131

37.0

2

37.4

진주

-

 

마산

소 계(평균)

 

40.0

2.2

42.2

39.7

367

39.7

2

42.0

진주

-

마산

2공구

진주1

40.0

5

45.0

42

43

42.0

2

42.0

3공구

진주2

40.0

0.8

40.8

36.8

61

36.8

0

0.0

7공구

산인

40.0

0.8

40.8

40

263

40.0

0

0.0

수도권

소 계(평균)

 

40.0

1.2

41.2

37.7

301

37.7

0

0.0

여주

-

양평

2공구

금사1

40.0

0.8

40.8

37.6

21

37.6

0

0.0

금사2

40.0

0.8

40.8

37.6

9

37.5

0

0.0

금사3

40.0

0.8

40.8

37.3

26

37.3

0

0.0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터널공

550

 

사업단

노선

공구

터널명

강섬유

설계량

(kg)

할증량

(kg)

강섬유

투입량

(kg)

강섬유 혼입량 시험결과

평 균

혼입량(kg)

현장시행

사업단시행

횟 수

혼입량(kg)

횟 수

혼입량(kg)

수도권

여주양평

2공구

금사5

40.0

0.8

40.8

37.6

96

37.6

0

0.0

3공구

강상1

40.0

2.0

42.0

37.6

61

37.6

0

0.0

강상2

40.0

2.0

42.0

37.9

88

37.9

0

0.0

신갈호법

1공구

마성

40.0

1.0

41.0

40.7

202

40.7

0

0.0

2공구

양지

40.0

3.9

43.9

41.0

33

41.0

0

0.0

삼척

-

 

속초

소 계(평균)

 

40.0

0.1

40.1

37.2

107

37.2

2

37.2

삼척동해

1공구

맹방

40.0

0.8

40.8

37.0

22

37.0

0

0.0

2공구

적노1

40.0

0.0

40.0

36.4

8

36.4

0

0.0

적노2

40.0

0.0

40.0

36.5

10

36.5

0

0.0

3공구

북평1

40.0

0.0

40.0

38.6

18

38.6

0

0.0

주문진속초

5공구

양양2

40.0

0.0

40.0

37.1

47

37.1

2

37.2

6공구

주봉

40.0

0.0

40.0

36.8

2

36.8

0

0.0

음성

-

 

제천

소 계(평균)

 

40.0

0.6

40.6

34.5

171

34.7

16

33.1

음성충주

3공구

신생

40.0

0.8

40.8

36.3

18

36.3

0

0.0

4공구

신니

40.0

0.0

40

37.2

16

37.1

1

38.0

6공구

동막

40.0

0.0

40

36.4

59

36.3

4

36.7

충주제천

2공구

삼탄1

40.0

1.0

41

31.4

22

31.5

6

30.8

3공구

삼탄3

40.0

1.0

41

32.6

30

32.6

2

32.0

4공구

금성

40.0

1.0

41

33.0

26

33.1

3

31.8

냉정

- 부산

소 계(평균)

 

40.0

0.0

40.0

31.6

31

31.6

0

0.0

냉정부산

6공구

대동2

40.0

0.0

40.0

31.6

31

31.6

0

0.0

울산포항

소 계(평균)

 

40.0

0.0

40.0

33.3

406

33.3

0

0.0

울산포항

1공구

다운1

40.0

0.0

40.0

32

28

32.0

0

0.0

2공구

입화1

40.0

0.0

40.0

32.2

25

32.2

0

0.0

3공구

관문1

40.0

0.0

40.0

32.2

12

32.2

0

0.0

관문2

40.0

0.0

40.0

31.8

20

31.8

0

0.0

4공구

외동

40.0

0.0

40.0

34.4

70

34.4

0

0.0

6공구

양남

40.0

0.0

40.0

31.1

18

31.1

0

0.0

7공구

양남(본선)

40.0

0.0

40.0

31.3

8

31.3

0

0.0

양남(사갱)

40.0

0.0

40.0

31.6

18

31.6

0

0.0

9공구

용동1

40.0

0.0

40.0

37.2

30

37.2

0

0.0

용동2

40.0

0.0

40.0

37

32

37.0

0

0.0

10공구

양북

40.0

0.0

40.0

31.3

48

31.3

0

0.0

진전1

40.0

0.0

40.0

31.3

9

31.3

0

0.0

진전2

40.0

0.0

40.0

31.5

26

31.5

0

0.0

11공구

진전3

40.0

0.0

40.0

34.4

19

34.4

0

0.0

오천

40.0

0.0

40.0

33.3

23

33.3

0

0.0

갈평2

40.0

0.0

40.0

33.5

20

33.5

0

0.0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터널공

551

붙 임 #3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터널공

552

I 검토목적

□ 기술심사처-472(2011.03.09)로 요청된 터널용 강섬유 보강 숏크

리트의 강섬유 혼입량 조정 시험시공

□ 터널용 강섬유 보강 숏크리트의 강섬유 혼입량 관리방법 및

시방기준(터널표준시방서, 고속도로 공사 전문시방서) 변경 에

따른 설계 강섬유 혼입량 조정 검토

 

 

 

 

구 분

개정 전(2004)

개정 후(2009)

추진방안

강섬유

혼입량

배합시 투입량

40kg/이상

40kg/이상

적정 설계량

타설벽면 혼입량

투입량 90%이상

30kg/이상

30kg/이상

II 리바운드를 고려한 강섬유 혼입량 추정

□ 숏크리트 시공현장의 리바운드율 및 강섬유 탈락율은 노즐맨의

숙련도, 급결제 종류 등에 따라 다름

□ 추정을 위한 기본가정

◦ 리바운드량, 탈락 강섬유량 가정

◦ 탈락 숏크리트량 = 설계 단위용적질량 - 리바운드량

◦ 탈락 강섬유량 =(설계강섬유량×리바운드율)×강섬유 탈락율/100

◦ 벽면 잔존 숏크리트량 = 설계 단위용적질량- 탈락 숏크리트량

◦ 벽면 잔존 강섬유량 = 설계 강섬유량 - 탈락강섬유량

□ 검토변수

◦ 리바운드율 : 6, 8, 10, 12, 15%

◦ 강섬유 탈락율 : 100, 150, 200, 250%

◦ 강섬유 설계량 : 33, 35, 37, 40kg/㎥

◦ 강섬유 보강 숏크리트 단위질량 : 2,355kg/㎥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터널공

553

□ 강섬유 혼입량 추정결과

◦ 강섬유 설계량 33kg/㎥

- 리바운드율 6 및 8%, 강섬유 탈락율 200% 이하까지 30kg/㎥ 확보

- 리바운드율 8, 10 및 15%, 강섬유 탈락율 150% 이하에서 30kg/㎥ 확보

◦ 강섬유 설계량 35kg/㎥

- 리바운드율 6 및 8%, 강섬유 탈락율 250% 이하까지 30kg/㎥ 확보

- 리바운드율 10 및 12%, 강섬유 혼입율 200% 이하까지 30kg/㎥ 확보

- 리바운드율 15%, 강섬유 혼입율 150% 이하까지 30kg/㎥ 확보

◦ 강섬유 설계량 37kg/㎥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터널공

554

- 리바운드율 6, 8, 10%는 전 구간에서 30kg/㎥ 확보

- 리바운드율 12, 15%, 강섬유 혼입율 200% 이하에서 30kg/㎥ 확보

◦ 강섬유 설계량 40kg/㎥

- 리바운드율 15%, 강섬유 탈락율 250% 제외하고 30kg/㎥ 확보

◦ 강섬유 설게량 증가에 따라 강섬유 혼입율 증가

◦ 통상 시공조건 (리바운드율 15%, 강섬유 탈락율 170%)을 고려할 때

설계 강섬유량은 35kg/㎥가 적정한 것으로 판단됨

◦ 통상시공의 판단근거 : 2003년 자체 감사 처분장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터널공

555

IV 현장시험결과

□ 현장시험개요

◦ 강섬유 설계량 변화에 따른 강섬유 혼입율, 휨인성 시험 실시

◦ 인제-양양 14공구 인제터널 3구간 숏크리트 시공현장

□ 검토사항

◦ 강섬유 보강 숏크리트 리바운드율

◦ 급결제 종류에 따른 리바운드율

◦ 탈락 숏크리트중 강섬유 혼입율

◦ 벽면 부착된 숏크리트중 강섬유 혼입율

◦ 숏팅된 시험체의 등가휨강도

□ 시험결과

◦ 설계량에 따른 숏크리트 리바운드율 및 강섬유 탈락율

◦ 10공구 시험결과는 1차 실링 숏크리트로 실험한 결과임

◦ 급결제 종류에 따른 리바운드율 차이는 거의 없음

◦ 2003년 감사처분 시험결과 보다 강섬유 탈락율이 증가한 것은

노즐맨의 숙련도와 관계가 깊은 것으로 판단됨

 

설계량(kg/)

리바운드율(%)

강섬유 탈락율(%)

비고

35

9.1

202.5

시멘트 광물계

(인제-양양 14공구)

40

7.2

250.8

알루미네이트계

(인제-양양 10공구)

40

8.0

208.0

알루미네이트계

(인제-양양 15공구)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터널공

556

◦ 벽면에 타설된 숏크리트 코어의 강섬유 혼입율

 

설계량(kg/)

강섬유 혼입율(%)

강섬유 혼입량(kg/)

비고

35

81.2

28.4

아치부

83.5

29.2

측벽부

37

82.8

30.6

아치부

86.7

32.1

측벽부

40

84.1

33.6

아치부

88.1

35.2

측벽()

87.9

35.2

측벽()

85.5

34.2

측벽

(인제-양양 10공구)

 

 

◦ 강섬유 보강 숏크리트의 휨인성 시험결과

 

 

 

 

설계량(kg/)

등가휨강도(MPa)

강섬유 혼입량(kg/)

비고

35

2.65

31.1

 

3.03

31.2

 

3.85

31.8

 

3.83

33.8

 

3.87

30.9

 

3.78

32.4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터널공

557

VI 검토결론

□ 노즐맨의 숙련도에 따라 달라지나 숏크리트 리바운드율 9%,

강섬유 탈락율 200% 정도로 나타남

□ 급결제 종류(시멘트 광물계, 알루미네이트계)에 따른 숏크리트

리바운드율, 강섬유 탈락율 차이 거의 없음

□ 아치부에서 강섬유 탈락이 더 많이 발생되었음(2~4%)

□ 휨강도는 숏크리트 배합(물-결합재비)의 적정성, 휨인성(등가휨

강도)은 강섬유 혼입율, 분포 등에 따라 변화됨

□ 아치부의 강섬유 탈락율이 큰 점, 설계량 35kg/㎥일 때 아치부

강섬유 혼입량이 30kg/㎥ 미만인 점을 고려할 때 안전율을 고

려한 강섬유 설계량은 37kg/㎥가 적정한 것으로 판단됨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터널공

558

붙 임 #4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터널공

559

강섬유 설계량 조정에 대한 추가 시험결과

□ 검토목적

o 강섬유 설계량(37kg/㎥)에 대하여 타설된 숏크리트 중에 잔존하는

강섬유량의 변동성 추가시험 검토

□ 시험결과

o 시험일정

- 1차시험 : 2011. 03. 21 ~ 03.25, 설계량(35, 37, 40kg/㎥) 조정 시험

- 2차시험 : 2011. 05. 23 ~ 05.26, 설계량 37kg/㎥에 대한 혼입율 시험

o 강섬유 혼입량 통계량(상세내용 첨부 참조)

 

 

 

 

구분

6공구

8공구

14공구

평균

(kg/)

표준편차

(kg/)

아치

31.3

30.9

30.6

31.0

0.32

측벽

32.9

31.7

32.1

32.3

0.84

□ 통계 검토결과

o 강섬유 혼입량은 정규분포를 따르는 것으로 가정

o 총시료수(18개)가 적으므로 계산된 표준편차에 1.15 할증

o 코어시편의 강섬유 혼입량이 30kg/㎥ 미만일 확률을 계산

 

 

 

 

구분

평균

(kg/)

표준편차

(kg/)

표준편차 할증

(kg/)

30kg/미만 확률

(%)

아치

31.0

0.32

0.37

0.24

측벽

32.3

0.84

0.96

0.93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터널공

560

그림 1. 아치부 강섬유 혼입량 시험결과 통계분석

그림 2. 측벽부 강섬유 혼입량 시험결과 통계분석

□ 결론 및 향후 계획

o 측벽에서 표준편차가 증가하나 이는 33, 34kg/㎥ 등 혼입량이 높은

결과가 포함되어 나타난 것임 (8공구 결과 참조)

o 아치에서 표준편차가 적은 것은 콘크리트 배합, 쇼팅장비, 노즐맨의

숙련도에 영향을 적게 받는 것을 알 수 있음

o 강섬유 혼입량에 대한 시방기준 변경에 대한 설계량 조정 37kg/㎥은

적정한 것으로 판단됨

o 타설된 강섬유 보강 숏크리트의 강섬유 혼입률 시험결과를 계속적으로

추적조사 실시예정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터널공

561

강섬유 혼입량 시험결과

 

공구명

아치부(kg/)

측벽부(kg/)

시편 1

시편 2

평균

시편 1

시편 2

평균

6공구

30.6

30.9

30.7

31.7

32.0

31.8

31

31.2

31.1

32.3

31.7

32.0

30.9

30.6

30.8

31.2

31.4

31.3

31.2

31

31.1

31.5

31.7

31.6

8공구

31.4

30.9

31.2

32.6

31.2

31.9

32.3

30.5

31.4

32.0

34.3

33.2

31.8

31.3

31.6

35.0

32.9

34.0

31.2

30.7

31.0

32.0

33.3

32.7

14공구

30.5

30.6

30.6

31.9

32.3

32.1

평균(kg/)

-

-

31.0

-

-

32.3

표준편차

(kg/)

-

-

0.32

-

-

0.84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20261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2940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7605
179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2-1_진출입부 역주행 방지 종합 대책 file 효선 2025.01.16 179
179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3-1_장기 거동 특성을 반영한 비탈면 보강 영구앵커 설계기준 개선 file 효선 2025.01.16 175
179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3-2_현장 작업여건을 반영한 배수시설 형상 및 원가 개선 file 효선 2025.01.16 182
179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3-3_비탈면 현황도 작성을 위한 깎기 비탈면 분할 기준 수립 file 효선 2025.01.16 212
179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1_프리캐스트 바닥판 및 PSC 거더 배치간격 검토 file 효선 2025.01.16 203
179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2_GFRP 보강근 잠정 설계·시공지침 제정 file 효선 2025.01.16 277
178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3_고로슬래그를 활용한 콘크리트 내염성 강화 방안 file 효선 2025.01.16 181
178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4_조합형 방호울타리 개선사항 반영 file 효선 2025.01.16 156
178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5_프리팹 부재 생산성 향상 등을 위한 원형 기둥 규격 표준화 방안 검토 file 효선 2025.01.16 147
178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6_개착식 구조물 분류기준 정립 file 효선 2025.01.16 164
178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7_교량접속부 가드레일 안전계단 설치기준 file 효선 2025.01.16 229
178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8_구조물 균열 저감을 위한 매스콘크리트 품질관리 방안 검토 file 효선 2025.01.16 223
178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5-1_주행쾌적성 및 장수명 확보를 위한 고속도로 포장형식 적용방안 file 효선 2025.01.16 222
178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5-2_결빙방지재 혼입 포장 설계 적용방안 file 효선 2025.01.16 243
178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5-3_재포장공사 내구수명 향상 계획 file 효선 2025.01.15 226
178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5-4_배수성(저소음)포장 품질향상 종합대책 수정사항 file 효선 2025.01.15 268
177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6-1_안전을 고려한 터널 부대시설 설계기준 개선 file 효선 2025.01.15 270
177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6-2_제트팬 경량화 및 설치방법 개선 file 효선 2025.01.15 252
177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7-1_강재시설물 염해 내구성 강화방안 file 효선 2025.01.15 220
177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7-2_터널 진입차단시설 개선 적용 방안 file 효선 2025.01.15 2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