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484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부대공

7-9 유지관리를 고려한 옹벽형 콘크리트 방음벽 확대시행 검토 설 계 처-2431

(2011. 10. 10)

I 검토목적

o 경관설계가 요구되지 않는 지역에 금속재, 플라스틱 등 고가의

방음판넬이 설치됨에 따라

o 방음벽 노후화에 따른 성능 및 구조안정성 저하, 미관불량 등

으로 운전자의 주행 쾌적성이 저해되고 있어,

o 유지관리 용이성 및 경제성과 주변환경과의 조화를 감안한

옹벽형 콘크리트 방음벽 적용방안에 대하여 검토하고자 함.

II 추진경위

 

일 자

주요 내용

비 고

2000. 8. 1

․방음시설 다양화 방안 검토

*주위경관 및 도시미관 고려구간 디자인 평가

설계환

13304-319

2002. 4. 30

․방음벽 설치기준 개선검토

*높이 2m이하 방음벽 : 콘크리트 옹벽형 방음벽설치

설계구

10201-184

2002. 12. 17

․방음벽 미관설계 기준

*모든 방음시설 미관설계 평가 의무적 실시

설계구

10201-685

2008. 1. 10

․방음시설 미관설계 기준 개선

* 평가위원 다양화(건설 및 유지관리부서,환경주관부서,디자인전문가)

설계처

- 83

2010. 3. 5

․방음벽 미관설계·평가방법 개선

*미관설계 평가 대상구간 및 미관평가 항목 개선

설계처

-1089

 

 485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부대공

III 현 설계기준 및 설계 적용현황

□ 방음벽 선정기준

* 도로설계요령 2.4.7 방음벽 선정

음향성능상의 원리에 따라 구분 : 반사형과 흡음형

용도 및 재질에 따라 구분 : 투명형, 칼라형 등

 

형식

선 정 기 준

흠음형

소음원의 양쪽 모두에 보호대상 지역이 있거나 한쪽에만 방음벽을 설치할 경우 반대측 수음자에게 반사음의 영향이 우려되는 경우

반사형

한쪽에 방음벽을 설치할 경우 반대측 수음자에게 반사음의 영향이 우려되지 않는 경우

투명형

조망일조채광 등이 요구될 경우

칼라형

대도시 주변 대단위 밀집지역 및 종합병원 같은 요양시설이 위치한 지역등의 미관이 중요시 되는 지역

 

 

□ 현행 설계적용 방침

o 주변환경 고려 방음벽 미관설계ㆍ평가 대상구간 선정

· 도시주변 등 주택 밀집지역 통과구간

· 학교 등 교육시설, 병원시설 통과구간

· 관광지(국립공원 등) 통과지역 중 미관설계 요구구간

· 저속구간(나들목, 분기점, 휴게소, 지정체구간등)

· 방음벽 연장 또는 높이가 과다하여 폐쇄감을 느끼는 구간

· 관계기관 협의구간 등으로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구간

486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부대공

o 특정제품 설계반영 배제를 위한 일반적인 재질분류 적용

 

 

 

 

금속재

금속재컬러

비금속재컬러

알루미늄 계열

아연도강판 계열

기타 금속재계열

알루미늄(컬러계열

아연도강판(컬러계열

기타 금속재계열

플라스틱(합성수지계열

 

기타 플라스틱계열

 

 

 

목재

투명형

콘크리트

일반목재 계열

합성목재 계열

 

 

기타 목재계열

투명형(플라스틱계열

투명형(유리계열

 

 

기타 투명형계열

시멘트판넬 계열

콘크리트 계열

기타 콘크리트계열

기 타

혼합형 등

□ 최근 설계된 방음벽 현황

o 최근 옹벽형 콘크리트 방음벽 설계 적용사례 없음

*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10 준공)

- 미관평가 대상구간 : 금속재(컬러), 비금속재(컬러), 투명형

- 미관평가 미대상구간 : 금속재, 목재, 콘크리트 판넬 등

IV 판넬식 방음판 적용실태 및 문제점

□ 디자인 가이드라인(2008)에 부합되지 않는 방음벽 디자인 적용

* 고속도로 디자인 가이드라인(2008)

- 과도한 디자인을 지양하고 색채의 제한으로 주변 경관과의 조화도모

- 주변의 환경특성 및 경관요소를 고려하여 다양한 재료의 사용 유도

- 지형 및 주변을 고려한 자연스럽고 연속된 방음벽 설치

주변경관 부조화 고채도 색상 적용

487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부대공

□ 미관평가가 요구되지 않는 구간 적용으로 공사비 및 유지관

리비 증가

□ 공용연수 증가에 따른 내구성 부족으로 잦은 손상 및 교체

o 방음벽 손상현황

구 분 계 5m미만 5m이상 비고

계 1,593 1,091 502

너트 풀림 312 177 135

고정클립이탈 391 294 97

자재 파손 310 261 49

기타(캡이탈등) 580 359 221

* 방음벽 전수조사 결과「녹색환경처 2891호(2011. 7.25)」방음벽의 42%손상

방음벽 너트풀림 고정클립 이탈발생

방음벽 지주파손 방음벽 캡이탈

o 최근 3년간(2008∼2010) 방음판 2,699EA 교체

* 방음판 교체비용 : 약 535백만원(178백만원/년)

※ 자료 : “하이포탈-기획경영-재무정보-자재관리-현황관리-출고현황”

488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부대공

□ 가연성 방음판 재질 적용으로 인한 화재사고 취약

방음벽 화재 발생 방음판 전소

* 제2경인 고속도로 남인천(영) 부근 방음벽 화재발생(2011.3.26)

※ 건설중인 노선 화재에 취약한 재질(FRP, 합성수지, 투명 아크릴 등) 53% 차지

☞ 화재에 취약하지 않은 재질 설계반영 필요

□ 방음벽 노후화에 따른 주행쾌적성 저해

□ 사고로 인한 방음벽 파손으로 유지관리비 증가 및 2차사고 유발

489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부대공

V 개선방안

□ 유지관리가 용이한 옹벽형 콘크리트 방음벽 확대적용

□ 대상구간 선정

o 반사형(토공부) 방음벽 설치구간

o 방음벽 설치높이가 2~5m인 구간

o 미관설계가 요구되지 않는 지방지역 설치구간

* 주변경관과의 조화를 고려한 산지부 통과구간

* 일조권 피해가 발생되지 않는 농경지 통과구간

* 개방감이 요구되지 않는 구릉지, 평지 통과구간

* 공장ㆍ유통단지 등 산업활동지 통과구간

※ 특수환경 노출지역 중 결빙이 우려되는 구간 제외

* 콘크리트 방음벽 해외 적용사례(미국 워싱턴주 5번도로)

490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부대공

□ 구조 안전성 검토

 

구 분

H=2m

H=3m

H=4m

H=5m

계산

허용

계산

허용

계산

허용

계산

허용

지 지 력

108.830

124.924

116.003

128.260

121.146

131.506

132.137

135.089

전 도

2.582

2.0

2.691

2.0

2.740

2.0

2.564

2.0

활 동

4.786

1.5

4.624

1.5

4.510

1.5

3.988

1.5

검토결과

O.K

O.K

O.K

O.K

 

 

☞ 방음벽 높이 검토결과 5m까지 옹벽형 콘크리트 방음벽 적용가능

□ 경제성 검토

(단위 : 천원/m)

 

높이

(기초포함)

콘크

리트

옹벽

금속재컬러

비금속재컬러(플라스틱)

기초

판넬

기초

판넬

H=2m

490

(100%)

585

(119%)

370

215

609

(124%)

370

239

H=3m

649

(100%)

787

(121%)

385

402

835

(129%)

385

450

H=4m

809

(100%)

997

(123%)

406

591

1,117

(138%)

406

711

H=5m

991

(100%)

1,258

(127%)

448

810

1,354

(137%)

448

906

 

 

☞ 옹벽형 콘크리트 방음벽이 경제성 측면에서 19 ~ 37% 유리(유지관리비 미포함)

※ 함양~울산 적용시(기본설계) 공사비 324백만원 절감 예상

491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부대공

□ 디자인 적용

o 방음벽 전면에 다양한 형태의 무늬거푸집 적용

* 디자인(안) 예시 : “붙임” 참조

o 방음벽 전면 식수대에 무늬거푸집이 가리지 않도록 잔디 또는

높이가 낮은 관목류(조팝나무 등) 식재

o 무늬거푸집 디자인은 미관평가 실시후 노선별 1~2개 선정 적용

o 방음벽 연장이 긴(L=200m) 경우 폐쇄감 최소화 및 방음벽 출

입문 설치연장을 감안하여 일정간격 투명형 설치 검토

VI 적용방안

□ 설계중인 노선 : 본 방침 적용

□ 공사중인 노선 : 공사주관(시행)부서 판단 후 적용

□ 공용중인 노선 : 유지관리부서 판단 후 적용

※ 단 동결융해와 제설제 염해의 영향을 고려 특수환경 노출지

역「설계처-3516(2010.07.27)호」은 콘크리트 강도상향 및 표준

배합비 개정 후 적용

붙 임 1. 공사비 비교 내역서

2. 콘크리트 방음벽 도면

3. 무늬거푸집 디자인(안)

4. 방음벽 예산절감 산출근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20261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2940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7605
179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2-1_진출입부 역주행 방지 종합 대책 file 효선 2025.01.16 179
179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3-1_장기 거동 특성을 반영한 비탈면 보강 영구앵커 설계기준 개선 file 효선 2025.01.16 175
179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3-2_현장 작업여건을 반영한 배수시설 형상 및 원가 개선 file 효선 2025.01.16 182
179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3-3_비탈면 현황도 작성을 위한 깎기 비탈면 분할 기준 수립 file 효선 2025.01.16 212
179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1_프리캐스트 바닥판 및 PSC 거더 배치간격 검토 file 효선 2025.01.16 203
179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2_GFRP 보강근 잠정 설계·시공지침 제정 file 효선 2025.01.16 277
178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3_고로슬래그를 활용한 콘크리트 내염성 강화 방안 file 효선 2025.01.16 181
178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4_조합형 방호울타리 개선사항 반영 file 효선 2025.01.16 156
178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5_프리팹 부재 생산성 향상 등을 위한 원형 기둥 규격 표준화 방안 검토 file 효선 2025.01.16 147
178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6_개착식 구조물 분류기준 정립 file 효선 2025.01.16 164
178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7_교량접속부 가드레일 안전계단 설치기준 file 효선 2025.01.16 229
178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8_구조물 균열 저감을 위한 매스콘크리트 품질관리 방안 검토 file 효선 2025.01.16 223
178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5-1_주행쾌적성 및 장수명 확보를 위한 고속도로 포장형식 적용방안 file 효선 2025.01.16 222
178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5-2_결빙방지재 혼입 포장 설계 적용방안 file 효선 2025.01.16 243
178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5-3_재포장공사 내구수명 향상 계획 file 효선 2025.01.15 226
178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5-4_배수성(저소음)포장 품질향상 종합대책 수정사항 file 효선 2025.01.15 268
177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6-1_안전을 고려한 터널 부대시설 설계기준 개선 file 효선 2025.01.15 270
177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6-2_제트팬 경량화 및 설치방법 개선 file 효선 2025.01.15 252
177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7-1_강재시설물 염해 내구성 강화방안 file 효선 2025.01.15 220
177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7-2_터널 진입차단시설 개선 적용 방안 file 효선 2025.01.15 2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