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교통 및 기하구조

86

2-2 하이패스 이용차량 안전성 제고를 위한 나들목 영업소 광장부 중앙분리대 개선 설 계 처-1146

(2011. 5. 23)

I 추진배경

하이패스 도입단계에서 정착단계로 진입함에 따라 과도기적 설계기

준 요소(연속류가 아닌 단속류에 대한 기준)에 대한 재검토 필요

- 전 나들목 광장부 양방향 이용가능 회차로 및 지하통로 설치 등

2000년에 이미 고령화 시대에 진입한 우리나라의 고령사회에

대비(이용고객 안전측면 강화)한 도로설계기준 개선

※고령화 속도 : 고령화사회(2000년), 고령사회(2018년), 초고령사회(2026년)

그간 추진 경위

 

 

 

 

일 자

주요 개선 내용

비 고

2003. 11. 27

[요금소 및 개구부 설치기준 검토()]

요금소 아일랜드 30m 전방까지 고정식 분리대 설치

설계설

10201-467

2007. 7. 20

[영업소 광장부 중앙분리대 설치방안]

요금소 전후구간 중앙분리대 양면 가드레일(1) + PE 방호벽(12m)

교통처-2893

2007. 8. 13

[회차로 및 지하통로 설치기준() 검토]

하이패스가 설치되는 모든 영업소 회차로 및 지하통로 설치

설계처-2306

2007. 12. 12

[인터체인지 중앙분리대 개선방안 검토]

도로경관을 고려한 친환경 콘크리트 중앙분리대로 개선

설계처-3558

2010. 11. 2

[유지관리용 회차시설 설치기준 검토]

회차로 양방향(진출시 및 진입시) 진입 가능토록 개선

설계처-4926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교통 및 기하구조

87

II 현 실태 및 문제점

1 현 실 태

구 분

인터체인지

중앙분리대

양면 가드레일

(①)

PE방호벽

(②)

아일랜드

(③)

비 고

개요도

폭원(B) 1.2m 0.6m 0.6m 2.0m

높이(H) 0.5m 0.8m 0.8m 0.2m

2 문 제 점

o 하이패스 차로를 고려치 않은 영업소 중앙분리대 설치

① (양면가드레일) 하이패스 도입시 양방향 교통분리를 위해 설치

☞ 신설영업소의 경우 콘크리트 중분대에 의한 양방향 교통분리 가능

② (PE 방호벽) 소방차, 응급차 등 비상차량 회차를 위해 설치

☞ 양방향 진출입이 가능한 회차로 설치 및 중분대 개폐 위험

③ (아일랜드) 톨부스 근무가 가능토록 설치

☞ 톨부스 설치 불필요 및 이에 따른 아일랜드 규격 과대

o 영업소 광장내 다양한 형태의 중앙분리대 설치

- 다양한 중앙분리대 설치로 시공성, 경제성, 경관성 등 저하

- 측대선은 일정하나, 측대 폭의 변경으로 이용고객의 심리적 불안 확대

구 분

Con'c

중분대

양 면

가드레일

PE

방호벽

아일랜드

측대폭 0.64m 0.95m 0.95m 0.25m

※측대의 기능 : 운전자의 시선유도 및 안전성 증진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교통 및 기하구조

88

III 개선방안

1 나들목 영업소 광장부 중앙분리대 개선

구 분 현 행 개 선 비고

개 요 가드레일+개구부+아일랜드 콘크리트 중분대로 단순화 붙임#1

평 면 도

측 면 도

중 앙 부

아일랜드

시공성 -시공 연속성 불량 -시공 연속성 양호

경제성 -보통(32백만원/개소) -저렴(12백만원/개소) 붙임#2

경관성 -다형식으로 경관성 저하 -형식 통일로 경관성 향상

안전성

- 중앙분리대 형상 및 규격

변화에 따른 시선유도 미흡

- 측대폭 축소로 운전자 심리 불안

- 전구간 콘크리트 중앙분리대

설치로 시선유도 기능향상

- 측대폭 유지로 운전자 심리 양호

붙임#3

※하이패스차로가 중앙에 설치되지 않는 경우(톨부스 설치 필요시)

: 아일랜드부는 현행대로 시공(붙임#1의 검토2안)

※현지여건 등으로 영업소 회차로가 설치되지 않는경우

: 요금소 전방 긴급개구부(PE방호벽 12m) 설치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교통 및 기하구조

89

2 중앙부 아일랜드 형식변경에 따른 시공방법 개선

구 분 현 행 개 선 비고

평 면 도 붙임#4

측 면 도

시공방법

①아일랜드 시공

②배리어 및 난간 시공

③ETC 기초 및 설비 설치

①중분대 시공

-ETC설비 설치부 Block

Out 및 격벽시공

②ETC 기초 및 설비 설치

IV 기대효과

□ 하이패스차로 설치에 맞는 나들목 광장부 중분대 시공

o 불필요한 나들목 광장부 회차시설 삭제를 통한 중앙분리대 시공성 증진

o 고가의 가드레일을 콘크리트 중분대로 변경에 따른 공사비 절감(붙임#2)

- 나들목 1개소 개선시 절감액 : 20백만원

- 현 설계중인 함양~울산 및 당진~천안 적용시 : 180백만원(나들목 9개소)

□ 고령사회에 대비한 운전자 안전성 확보

o 전구간 콘크리트 중앙분리대 설치로 운전미숙 차량의 대향차로 이탈 방지

o 측대폭 일정간격 유지를 통한 운전자 심리적 불안감 해소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교통 및 기하구조

90

V 조치사항

□ 행정 조치사항

o 표준도 변경 및 표준도 개정시 반영(붙임#5)

- 영업소 포장, 차선도색, 아일랜드(매표섬), 영업소 통로암거 등

o 하이패스 시스템설치 표준도 변경 (ITS처)

- ETC 설비 시스템 관리가 용이하도록 시설물 배치 등

o 하이패스 안전시설 설치기준 변경 (교통처)

o 부대시설 설계시 반영 (시설처)

- 중분대측 아일랜드 삭제 및 캐노피 지주 배치 검토 등

- 유지관리 최소화를 위한 저관리용 화단 조성

□ 단계별 조치사항

o (설계단계) 설계중인 노선 및 설계완료 후 공사미발주 노선 개선안 적용

- 함양~울산 및 아산~천안(당진~천안) 노선부터 적용

o (시공단계) 공사주관(시행)부서에서 필요시 본 방침 적용

- 영업소 시공현황 등을 고려하여 공사주관(시행)부서에서 판단하여 적용

( 붙 임 ) #1 나들목 영업소 중앙부 아일랜드 검토

#2 중앙분리대 개선에 따른 경제성 검토

#3 중앙분리대 개선에 따른 안전성, 환경성 검토

#4 아일랜드부 시설물 변경 검토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교통 및 기하구조

91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교통 및 기하구조

92

붙임 #3 중앙분리대 개선에 따른 안전성 및 환경성 검토

□ 안전성 측면

o 콘크리트 중분대 시뮬레이션시행(2008.9, 도기원) : SB1등급 성능기준 만족

- 탑승자 보호성능 평가결과

 

항 목

기 준

시뮬레이션 결과

판 정

탑승자 보호 성능

THIV 33/h 이하

21.5/h

만족

PHD 20g's 이하

6.2g's

만족

충돌 후 차량 거동

차량의 전도 등이 없을 것

없음

만족

이탈속도는 충돌속도의 60% 이상

48/h(80%)

만족

이탈각도는 충돌각도의 60% 이하

10.5°(52.5%)

만족

 

 

항 목 기 준 시뮬레이션 결과 판 정

탑승자 보호

성능

THIV 33㎞/h 이하 21.5㎞/h 만족

PHD 20g's 이하 6.2g's 만족

충돌 후 차량

거동

차량의 전도 등이 없을 것 없음 만족

이탈속도는 충돌속도의 60% 이상 48㎞/h(80%) 만족

이탈각도는 충돌각도의 60% 이하 10.5°(52.5%) 만족

-강도성능 평가결과

 

항 목

기 준

시뮬레이션 결과

판 정

이탈방지 성능

최대 변형 0.3m 이하

0.0m

만족

충돌 후 차량 거동

차량의 전도 등이 없을 것

없음

만족

이탈속도는 충돌속도의 60% 이상

46/h(83.6%)

만족

이탈각도는 충돌각도의 60% 이하

3.6°(24%)

만족

 

 

항 목 기 준 시뮬레이션 결과 판 정

이탈방지 성능 최대 변형 0.3m 이하 0.0m 만족

충돌 후 차량

거동

차량의 전도 등이 없을 것 없음 만족

이탈속도는 충돌속도의 60% 이상 46㎞/h(83.6%) 만족

이탈각도는 충돌각도의 60% 이하 3.6°(24%) 만족

☞ 도로안전시설설치및관리지침(국토부)의 설계속도 60km/h미만인 저속도로에

적용 방호시설 성능기준(SB1등급)에 만족하므로 영업소 광장내 적용시 문제가

없을것으로 사료됨

□ 환경성(유지관리) 측면

o 제설염화물로 인한 방호벽의 조기손상 방지위해 노출환경 등급에 따른

콘크리트 배합(특수지역 30MPa이상, 일반지역 24MPa이상) 적용

o 생육부진 및 고사현상 방지위해 방음벽 식수대 식재기준(방음벽 전면 식수대

수목식재방법 개선, 2007. 6, 시설처)을 고려한 수목식재 및 저관리용 화단조성

구 분

중부및산간지역

(①)

전주(추풍령) 이남

(②)

광주(대구) 이남

(③)

식재종 잔디 잔디+관목(내염성수종) 잔디+관목(모든관목) ③

※직선부에는 관목류+상록성 지피식물, 곡선부에는 정지시거 고려 상록성 지피식물 식재

☞ 지역적 특성에 맞는 방호벽 콘크리트 배합 적용 및 저관리용 화단으로 조성시

유지관리상 문제가 없을 것으로 사료됨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교통 및 기하구조

9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20261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2940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7605
183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00_표지 및 목차 file 효선 2025.03.20 151
183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1-1_고속도로 건설 관련 부담금 공사부서 인계 방안 file 효선 2025.03.20 68
183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1-2_하이패스 나들목 설계업무 프로세스 file 효선 2025.03.19 63
183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1-3_안전관리비 현실화를 위한 설계원가 개선 file 효선 2025.03.19 71
183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1-4_현장중심의 특정공법 내실화 방안 마련 file 효선 2025.03.19 54
183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1-5_안전관리비 설계업무 가이드 마련 및 계상기준 보완 효선 2025.03.19 81
182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1-5_안전관리비 설계업무 가이드 마련 및 계상기준 보완 file 효선 2025.03.19 59
182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1-6_드론 통합측량 확대방안 file 효선 2025.03.19 85
182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1-7_건설현장 환경보전비 운영개선(안) file 효선 2025.03.19 53
182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2-1_PSC거더 및 바닥판 연결부 개선방안 file 효선 2025.03.19 68
182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2-2_이동식 크레인 안전성 향상방안 file 효선 2025.03.19 77
182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2-3_GFRP 보강근을 활용한 교량 난간 방호벽 적용방안 file 효선 2025.03.19 68
182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2-4_케이블교량 정착부 내구성 향상 방안 file 효선 2025.03.19 223
182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2-5_교량용 난간방호벽 스트럽 상세 개선 file 효선 2025.03.19 58
182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3-1_주행안전성, 쾌적성 향상 위한 배수성 포장 활성화 방안 file 효선 2025.03.19 52
182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4-1_고속도로 터널 여굴 및 채움재 산출기준 개선 file 효선 2025.03.19 60
181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4-2_터널 폐수처리시설 및 수질 TMS 계상기준 개선 file 효선 2025.03.17 63
181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4-3_터널내 합분류 위험도지수 적용방안 file 효선 2025.03.17 53
181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5-1_휴게시설 부지면적 산출기준 개선 file 효선 2025.03.17 55
181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5-2_터널형 방음시설 설계표준(안) file 효선 2025.03.17 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