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2-2_하이패스 이용차량 안전성 제고를 위한 나들목 영업소 광장부 중앙분리대 개선
2024.06.07 17:00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교통 및 기하구조
86
2-2 하이패스 이용차량 안전성 제고를 위한 나들목 영업소 광장부 중앙분리대 개선 설 계 처-1146
(2011. 5. 23)
I 추진배경
하이패스 도입단계에서 정착단계로 진입함에 따라 과도기적 설계기
준 요소(연속류가 아닌 단속류에 대한 기준)에 대한 재검토 필요
- 전 나들목 광장부 양방향 이용가능 회차로 및 지하통로 설치 등
2000년에 이미 고령화 시대에 진입한 우리나라의 고령사회에
대비(이용고객 안전측면 강화)한 도로설계기준 개선
※고령화 속도 : 고령화사회(2000년), 고령사회(2018년), 초고령사회(2026년)
그간 추진 경위
일 자 |
주요 개선 내용 |
비 고 |
2003. 11. 27 |
[요금소 및 개구부 설치기준 검토(안)] 요금소 아일랜드 30m 전방까지 고정식 분리대 설치 |
설계설 10201-467호 |
2007. 7. 20 |
[영업소 광장부 중앙분리대 설치방안] 요금소 전후구간 중앙분리대 양면 가드레일(1단) + PE 방호벽(12m) |
교통처-2893호 |
2007. 8. 13 |
[회차로 및 지하통로 설치기준(안) 검토] 하이패스가 설치되는 모든 영업소 회차로 및 지하통로 설치 |
설계처-2306호 |
2007. 12. 12 |
[인터체인지 중앙분리대 개선방안 검토] 도로경관을 고려한 친환경 콘크리트 중앙분리대로 개선 |
설계처-3558호 |
2010. 11. 2 |
[유지관리용 회차시설 설치기준 검토] 회차로 양방향(진출시 및 진입시) 진입 가능토록 개선 |
설계처-4926호 |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교통 및 기하구조
87
II 현 실태 및 문제점
1 현 실 태
구 분
인터체인지
중앙분리대
양면 가드레일
(①)
PE방호벽
(②)
아일랜드
(③)
비 고
개요도
폭원(B) 1.2m 0.6m 0.6m 2.0m
높이(H) 0.5m 0.8m 0.8m 0.2m
2 문 제 점
o 하이패스 차로를 고려치 않은 영업소 중앙분리대 설치
① (양면가드레일) 하이패스 도입시 양방향 교통분리를 위해 설치
☞ 신설영업소의 경우 콘크리트 중분대에 의한 양방향 교통분리 가능
② (PE 방호벽) 소방차, 응급차 등 비상차량 회차를 위해 설치
☞ 양방향 진출입이 가능한 회차로 설치 및 중분대 개폐 위험
③ (아일랜드) 톨부스 근무가 가능토록 설치
☞ 톨부스 설치 불필요 및 이에 따른 아일랜드 규격 과대
o 영업소 광장내 다양한 형태의 중앙분리대 설치
- 다양한 중앙분리대 설치로 시공성, 경제성, 경관성 등 저하
- 측대선은 일정하나, 측대 폭의 변경으로 이용고객의 심리적 불안 확대
구 분
Con'c
중분대
양 면
가드레일
PE
방호벽
아일랜드
측대폭 0.64m 0.95m 0.95m 0.25m
※측대의 기능 : 운전자의 시선유도 및 안전성 증진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교통 및 기하구조
88
III 개선방안
1 나들목 영업소 광장부 중앙분리대 개선
구 분 현 행 개 선 비고
개 요 가드레일+개구부+아일랜드 콘크리트 중분대로 단순화 붙임#1
평 면 도
측 면 도
중 앙 부
아일랜드
특
징
시공성 -시공 연속성 불량 -시공 연속성 양호
경제성 -보통(32백만원/개소) -저렴(12백만원/개소) 붙임#2
경관성 -다형식으로 경관성 저하 -형식 통일로 경관성 향상
안전성
- 중앙분리대 형상 및 규격
변화에 따른 시선유도 미흡
- 측대폭 축소로 운전자 심리 불안
- 전구간 콘크리트 중앙분리대
설치로 시선유도 기능향상
- 측대폭 유지로 운전자 심리 양호
붙임#3
※하이패스차로가 중앙에 설치되지 않는 경우(톨부스 설치 필요시)
: 아일랜드부는 현행대로 시공(붙임#1의 검토2안)
※현지여건 등으로 영업소 회차로가 설치되지 않는경우
: 요금소 전방 긴급개구부(PE방호벽 12m) 설치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교통 및 기하구조
89
2 중앙부 아일랜드 형식변경에 따른 시공방법 개선
구 분 현 행 개 선 비고
평 면 도 붙임#4
측 면 도
시공방법
①아일랜드 시공
②배리어 및 난간 시공
③ETC 기초 및 설비 설치
①중분대 시공
-ETC설비 설치부 Block
Out 및 격벽시공
②ETC 기초 및 설비 설치
IV 기대효과
□ 하이패스차로 설치에 맞는 나들목 광장부 중분대 시공
o 불필요한 나들목 광장부 회차시설 삭제를 통한 중앙분리대 시공성 증진
o 고가의 가드레일을 콘크리트 중분대로 변경에 따른 공사비 절감(붙임#2)
- 나들목 1개소 개선시 절감액 : 20백만원
- 현 설계중인 함양~울산 및 당진~천안 적용시 : 180백만원(나들목 9개소)
□ 고령사회에 대비한 운전자 안전성 확보
o 전구간 콘크리트 중앙분리대 설치로 운전미숙 차량의 대향차로 이탈 방지
o 측대폭 일정간격 유지를 통한 운전자 심리적 불안감 해소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교통 및 기하구조
90
V 조치사항
□ 행정 조치사항
o 표준도 변경 및 표준도 개정시 반영(붙임#5)
- 영업소 포장, 차선도색, 아일랜드(매표섬), 영업소 통로암거 등
o 하이패스 시스템설치 표준도 변경 (ITS처)
- ETC 설비 시스템 관리가 용이하도록 시설물 배치 등
o 하이패스 안전시설 설치기준 변경 (교통처)
o 부대시설 설계시 반영 (시설처)
- 중분대측 아일랜드 삭제 및 캐노피 지주 배치 검토 등
- 유지관리 최소화를 위한 저관리용 화단 조성
□ 단계별 조치사항
o (설계단계) 설계중인 노선 및 설계완료 후 공사미발주 노선 개선안 적용
- 함양~울산 및 아산~천안(당진~천안) 노선부터 적용
o (시공단계) 공사주관(시행)부서에서 필요시 본 방침 적용
- 영업소 시공현황 등을 고려하여 공사주관(시행)부서에서 판단하여 적용
( 붙 임 ) #1 나들목 영업소 중앙부 아일랜드 검토
#2 중앙분리대 개선에 따른 경제성 검토
#3 중앙분리대 개선에 따른 안전성, 환경성 검토
#4 아일랜드부 시설물 변경 검토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교통 및 기하구조
91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교통 및 기하구조
92
붙임 #3 중앙분리대 개선에 따른 안전성 및 환경성 검토
□ 안전성 측면
o 콘크리트 중분대 시뮬레이션시행(2008.9, 도기원) : SB1등급 성능기준 만족
- 탑승자 보호성능 평가결과
항 목 |
기 준 |
시뮬레이션 결과 |
판 정 |
탑승자 보호 성능 |
THIV 33㎞/h 이하 |
21.5㎞/h |
만족 |
PHD 20g's 이하 |
6.2g's |
만족 |
|
충돌 후 차량 거동 |
차량의 전도 등이 없을 것 |
없음 |
만족 |
이탈속도는 충돌속도의 60% 이상 |
48㎞/h(80%) |
만족 |
|
이탈각도는 충돌각도의 60% 이하 |
10.5°(52.5%) |
만족 |
항 목 기 준 시뮬레이션 결과 판 정
탑승자 보호
성능
THIV 33㎞/h 이하 21.5㎞/h 만족
PHD 20g's 이하 6.2g's 만족
충돌 후 차량
거동
차량의 전도 등이 없을 것 없음 만족
이탈속도는 충돌속도의 60% 이상 48㎞/h(80%) 만족
이탈각도는 충돌각도의 60% 이하 10.5°(52.5%) 만족
-강도성능 평가결과
항 목 |
기 준 |
시뮬레이션 결과 |
판 정 |
이탈방지 성능 |
최대 변형 0.3m 이하 |
0.0m |
만족 |
충돌 후 차량 거동 |
차량의 전도 등이 없을 것 |
없음 |
만족 |
이탈속도는 충돌속도의 60% 이상 |
46㎞/h(83.6%) |
만족 |
|
이탈각도는 충돌각도의 60% 이하 |
3.6°(24%) |
만족 |
항 목 기 준 시뮬레이션 결과 판 정
이탈방지 성능 최대 변형 0.3m 이하 0.0m 만족
충돌 후 차량
거동
차량의 전도 등이 없을 것 없음 만족
이탈속도는 충돌속도의 60% 이상 46㎞/h(83.6%) 만족
이탈각도는 충돌각도의 60% 이하 3.6°(24%) 만족
☞ 도로안전시설설치및관리지침(국토부)의 설계속도 60km/h미만인 저속도로에
적용 방호시설 성능기준(SB1등급)에 만족하므로 영업소 광장내 적용시 문제가
없을것으로 사료됨
□ 환경성(유지관리) 측면
o 제설염화물로 인한 방호벽의 조기손상 방지위해 노출환경 등급에 따른
콘크리트 배합(특수지역 30MPa이상, 일반지역 24MPa이상) 적용
o 생육부진 및 고사현상 방지위해 방음벽 식수대 식재기준(방음벽 전면 식수대
수목식재방법 개선, 2007. 6, 시설처)을 고려한 수목식재 및 저관리용 화단조성
구 분
중부및산간지역
(①)
전주(추풍령) 이남
(②)
광주(대구) 이남
(③)
①
②
식재종 잔디 잔디+관목(내염성수종) 잔디+관목(모든관목) ③
※직선부에는 관목류+상록성 지피식물, 곡선부에는 정지시거 고려 상록성 지피식물 식재
☞ 지역적 특성에 맞는 방호벽 콘크리트 배합 적용 및 저관리용 화단으로 조성시
유지관리상 문제가 없을 것으로 사료됨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교통 및 기하구조
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