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61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설계행정

1-5 건설산업 선진화를 위한 시공상세도 작성 시행 방안 설 계 처-3198

(2011. 12. 22)

I 추진배경

□ (기술발전 답보상태) 1970년대 이후 양적 성장에도 불구 건설

기술력은 선진국의 80% 수준으로 국제 경쟁력 열세

o 설계 등 고부가가치 영역의 기술력 상대적으로 낮음

 

구 분

1993년

1998년

2003년

2007년

2011년

(자체조사)

설 계

63%

66%

72%

77%

81%

시 공

71%

73%

76%

81%

 

 

 

* 건설용역 해외수주 12억불(2010년), 세계시장 점유율 0.5%에 불과

□ (설계․건설 연계 미흡) 설계, 건설, 감리 등의 완전 분리 체계로

공사중 잦은 설계변경 발생

o 연도별 설계변경 현황(물가상승분 제외) (단위 : 억원)

 

 

 

구 분

2007

2008

2009

2010

공구당

금액

11.4

7.6

6.4

7.0

건수

16.4

16.9

16.4

19.8

□ (미국, 유럽 등 선진국과 설계도서 작성 체계 상이) 선진국은 설계도면

및 시공상세도를 분리하여 작성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실시설계

단계에서 시공상세도 수준으로 설계도면을 작성

☞ 건설산업 경쟁력을 확보하여, 해외시장으로 도약하기 위해 낙

후된 제도를 글로벌스탠다드 수준으로의 선진화 필요

☞ 건설산업 선진화방안(2009. 3. 26. 국무회의 보고) 세부과제로서 국토

해양부에서 제정한 “건설공사 시공상세도 작성지침(2010. 7)”

전면적 시행 필요

62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설계행정

II 그간 추진경위

o 2007. 10 “엔지니어링 사업대가의 기준”에 시공상세도 요율 신설

o 2007 ~ 2010 교량가시설 표준도개발 및 시공상세도 표준화 연구

삼척~동해 2공구 교량 4개소에 시범 적용

o 2010. 7 “건설공사 시공상세도 작성지침” 개정

III 관련 법적 근거

건설기술관리법 제23조의2(설계도서의 작성 등)

③ 건설업자 및 주택건설등록업자는 건설공사의 품질향상과 시공

의 적정 및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 작성하여야 하는 시공상세

도면에 대하여 … 공사감독자의 검토․확인을 받은 후 시공하여야 한다.

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34조(시공상세도면의 작성)

① 발주청은 시공상세도면의 목록을 공사시방서에 명시하여야 하며, …

건설공사의 설계도서 작성기준(2005)

제2편 도로공사 설계용역 성과품 작성기준(4.5.3 4. 설계예산서)

(1) 설계예산서에는 … 시공상세도면 작성, … 비용이 포함 되어야

한다.

엔지니어링 사업대가의 기준(2011)

제4장 시공상세도작성비

제22조(업무범위) 시공상세도는 공사시방서에서 건설공사의 진행단계

별로 작성하도록 명시된 시공상세도면의 작성 목록에 따라 작성한다

☞ 시공상세도 작성은 시공자의 법적 의무사항이며, 관련법 및 기준에

의거하여 비용을 반영하여함.

63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설계행정

IV 국내·외 비교 분석

□ 선진국(미국, 유럽 등)

o 실시설계시 : 최종 목적물에 대한 위한 간소화된 설계도면 제시

(수량산출이 가능한 수준으로 도면작성)

o 건설공사시 : 시공사가 현장여건에 맞는 시공상세도를 작성

미국 oo교(PSC빔교, L=8@36=288, B=10.7m)

☞ 설계도면 44장 (국내유사교량 : 약 200장)

□ 국내실정

o 실시설계시 관례적으로 시공상세도 수준의 상세한 설계도면을 제시

o 시공사는 설계도면대로 시공(단, 특정부위에 한해 일부 작성)

o 우리공사에서는 시공상세도 작성비를 별도 미반영

□ 삼척-동해 2공구 시범적용 결과(인터뷰)

o 설계도면은 간소화 되었으나, 설계자는 초기 시행착오 등으로

설계자에게는 더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됨

☞ 설계자동화 프로그램으로 설계도면 자동 생성 곤란

 

설계도면(매수)

비고

기존방식

시범적용

증감

533

254

274 (53%)

교량 4개소

 

 

o 시공상세도 작성 비용이 미반영되어, 시공사 이의 제기

o 시공사는 시공상세도 작성 능력이 미흡하여, 설계자에 지원 받음

64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설계행정

□ 타 기관 적용 사례 조사

o 국토해양부 등은 시공상세도 작성비를 “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

요령”에 따라 일부 반영(공사비의 약 0.03~0.22%)

o 시공상세도 수량 정산은 주로 감액 정산만 하고 실정임

□ 현실태 및 문제점

o 설계자가 시공상세도수준의 도면을 작성하므로, 설계도면 작성

시간 과다 소요

☞ 공사 단계에서 설계변경 요인 다수 발생

o 시공자는 기능적인 시공에만 치중하므로 기술개발 노력 미흡

☞ 시공자의 기술 경쟁력 제고 곤란

o 건설산업의 글로벌스탠다드에 부합되지 않아 해외시장 진출에

장애가 되고 있음

글로벌스탠다드에 부합하는 설계도면 및 시공상세도 작성 필요

V 추진방안

□ 실시설계단계 및 시공단계의 도면 작성 이원화

 

실시설계단계(설계자)

시공단계(시공자)

설계도면(Engineering Drawing)

시공상세도(Shop Drawing)

 

 

o 설계도면은 공사비를 산출할 수 있는 수준의 도면과 시공자가

시공상세도를 작성할 수 있는 수준의 도면으로 작성

o 시공상세도는 현장 여건에 부합되게 시공사에서 작성

65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설계행정

□ 시공상세도 작성비 반영

o 엔지니어링 사업 대가의 기준을 준용하여 시공상세도 작성비를

산정하고 공사비에 반영 (산출방법 : 별첨 #1 참조)

- 공사비는 0.4% 내외 (1,000억 기준 : 약 4억)

o 비용 정산 : 공사 준공시 정산 처리(증․감 가능)

□ 시행에 따른 예상 문제점 및 대책

 

 

 

구 분

대 책

저가 투찰 및 그에

따른 시공상세도

질적 저하

 

시공상세도 작성 공종은 인건비로 구성되어 저가 투찰시 양질의 성과품 기대가 어려움

입찰 단가 변경이 불가하도록 PS단가로 지정

시공상세도 작성자 자격 기준 제시

최종 정산 수량

 

 

고속도로 시공상세도 작성지침 공사시방서상의 작성범위를 고려하여 감독원이 시공상세도 작성 범위 결정

저가 하도급

 

 

공사시방서(현장설명서)에 건설처에서 수립한 하도급 관리 선진화 방안(건설관리처-16, 2010) 따라 하도급에 준하여 관리하도록 명시

66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설계행정

□ 행정처리 사항

 

 

 

부 서

내 용

설계처

용역 과업지시서에 시공상세도 내용 명기(별첨 #2 참조)

공사시방서에 시공상세도 작성 목록, 작성자 자격 기준 하도급 관리 명기(별첨 #3 참조)

공사 설계예산서시공상세도 작성비 반영

(제잡비 공제)

건설처

공사 입찰시 단가를 변경하지 못하도록 시공상세도 작성비를 PS단가로 지정

공사 준공시 시공상세도 작성비 정산

시공상세도 작성을 하도급으로 관리

시공상세도를 준공도서에 포함

공사 중 시공상세도 승인 대장 관리

도서 및 전산파일 형태로 납품 받음

☞ 공사 중 시공상세도 승인 대장 관리

☞ 도서 및 전산파일 형태로 납품 받음

□ 향후 추진 일정

o 2012. 3. “고속도로 시공상세도 작성지침“ 마련

- 설계도면 및 시공상세도 업무 구분

- 예시 도면 작성 등

o 2012. 4. 설계자․시공자 교육 및 홍보

67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설계행정

VI 기대효과

o 설계자의 도면 작성에 과다 소요되는 시간․노력을 기술개발로 유도

o 시공자는 시공단계 도면을 작성하므로, 시공사 기술력 향상 및

설계변경 최소화 가능

o 해외진출을 위한 설계․건설 엔지니어링의 기술력 향상에 기여

(글로벌스탠다드화에 부합)

o 정부 정책(건설산업 선진화)에 대한 우리공사의 선도적 수행

VII 적용방안

□ 신규 실시설계부터 적용

□ 단, 설계 중인 노선은 함양~울산, 당진~천안에 적용

별 첨 1. 시공상세도 작성비 산정 방법

2. 일반 과업지시서 변경

3. 공사시방서 변경

4. 예시 도면(설계도면, 시공상세도)

68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설계행정

별 첨 #1

시공상세도 작성비 산정 방법

ex) 전체 공사비 1,000억원

토공사 200억원, 배수및옹벽공사 100억원, 교량공사 300억원,

포장공사 100억원, 터널공사 250억원, 부대공 50억원

1) 난이도 구분에 따른 비용 산정

 

토공사

: 단순

단순 : 250억원 × 0.35 % = 88백만원

보통 : 450억원 × 0.39 % = 175백만원

복잡 : 300억원 × 0.43 % = 129백만원

 

392백만원

배수및옹벽공사

: 보통

교량공사

: 복잡

포장공사

: 보통

터널공사

: 보통

부대공

: 단순

 

 

2) 내역서 작성

o 1장당 단가 산출

 

 

 

작성 난이도

1장당 단가 산출근거

단 순

{(0.24 × 초급기술자 노임단가) + (0.49 × 중급기능사 노임단가)}

131,853 138,346

보 통

{(0.34 × 중급기술자 노임단가) + (0.70 × 중급기능사 노임단가)}

174,250 138,346

복 잡

{(0.20 × 고급기술자 노임단가) + (0.44 × 중급기술자 노임단가)

203,802 174,250

 

+ (0.91 × 중급기능사 노임단가)}

138,346

☞ 단순 : 99,434원, 보통 : 156,087원, 복잡 : 243,325원

69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설계행정

o 수량 산출

- 단순 : 87,500,000 / 99,434원 = 880 매

- 보통 : 175,500,000 / 156,087원 = 1,125 매

- 복잡 : 129,000,000 / 243,325원 = 531 매

o 내역서 구성

 

 

 

공종명

규격

수량

단위

재료비

노무비

경비

합계

단가

금액

단가

금액

단가

금액

단가

금액

5. 부대공사

 

 

 

 

 

 

 

 

 

 

 

시공상세도작성

단순

880

 

 

99,434

87,501,920

 

 

99,434

87,501,920

 

보통

1,125

 

 

156,087

175,597,875

 

 

156,087

175,597,875

 

복잡

531

 

 

243,325

129,205,575

 

 

243,325

129,205,575

※ 제잡비 공제 대상으로 설정

70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설계행정

별 첨 #2

일반과업지시서 변경

 

당 초

변 경

1장 총칙

6절 건설기술관리법령의 준수

. 설계도서 작성기준

1) 실시설계의 설계도서 작성기준은 건설교통부장관이 정한 건설공사의 설계도서 작성기준, 2005)에 따른다

 

 

1장 총칙

6절 건설기술관리법령의 준수

. 설계도서 작성기준

1) 실시설계의 설계도서 작성기준은 건설교통부장관이 정한 건설공사의 설계도서 작성기준(건설교통부 제정, 2005)” 및 우리공사의 고속도로 시공상세도 작성지침(2012 상반기 예정)”에 따른다

 

 

71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설계행정

별 첨 #3

공사시방서 변경

 

 

 

당 초

변 경

2장 공사계획 및 관리

1.3.1 계약상대자는 …… 건설산업기본법 제29조 제2에 의하여 전문공사를 당해 전문공사를 당해 전문공사업자에게 하도급 하는 경우에는 우리 공사에 통지하여야 한다

 

 

 

2장 공사계획 및 관리

1.3.1 계약상대자는 …… 건설산업기본법 제29조 제2에 의하여 전문공사를 당해 전문공사를 당해 전문공사업자에게 하도급 하는 경우와 시공상세도 작성을 건설산업기본법 제2건설용역업을 하는 자에게 위탁하는 경우(이하 하도급이라 한다) 우리 공사에 통지하여야 한다

- 없음 -

[별표2-1]

 

시공상세도 작성 자격 기준

 

구분

작성자

작성확인자

비고

단순

초급기술자

현장대리인

시공상세도는 해당공종의 전문성을 고려하여 전문기술사가 검토확인하여야 한다.(별표2-2 참조)

보통

중급기술자

현장대리인

복잡

고급기술자

현장대리인

 

- 없음 -

[별표2-2]

 

공종별 시공상세도 전문기술사 검토확인

 

공종

해당 전문기술사

비고

토공

도로및공항기술사

토질및기초기술사

전문기술사 범위는 현장 여건에 따라 감독원의 승인을 얻어 변경할 수 있다

배수공,포장공, 부대공

도로및공항기술사

옹벽공사, 구조물공

토질및기초기술사

토목구조기술사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20309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2979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7639
183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00_표지 및 목차 file 효선 2025.03.20 152
183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1-1_고속도로 건설 관련 부담금 공사부서 인계 방안 file 효선 2025.03.20 68
183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1-2_하이패스 나들목 설계업무 프로세스 file 효선 2025.03.19 63
183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1-3_안전관리비 현실화를 위한 설계원가 개선 file 효선 2025.03.19 71
183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1-4_현장중심의 특정공법 내실화 방안 마련 file 효선 2025.03.19 54
183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1-5_안전관리비 설계업무 가이드 마련 및 계상기준 보완 효선 2025.03.19 82
182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1-5_안전관리비 설계업무 가이드 마련 및 계상기준 보완 file 효선 2025.03.19 59
182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1-6_드론 통합측량 확대방안 file 효선 2025.03.19 86
182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1-7_건설현장 환경보전비 운영개선(안) file 효선 2025.03.19 53
182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2-1_PSC거더 및 바닥판 연결부 개선방안 file 효선 2025.03.19 68
182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2-2_이동식 크레인 안전성 향상방안 file 효선 2025.03.19 77
182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2-3_GFRP 보강근을 활용한 교량 난간 방호벽 적용방안 file 효선 2025.03.19 68
182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2-4_케이블교량 정착부 내구성 향상 방안 file 효선 2025.03.19 223
182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2-5_교량용 난간방호벽 스트럽 상세 개선 file 효선 2025.03.19 58
182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3-1_주행안전성, 쾌적성 향상 위한 배수성 포장 활성화 방안 file 효선 2025.03.19 52
182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4-1_고속도로 터널 여굴 및 채움재 산출기준 개선 file 효선 2025.03.19 60
181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4-2_터널 폐수처리시설 및 수질 TMS 계상기준 개선 file 효선 2025.03.17 63
181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4-3_터널내 합분류 위험도지수 적용방안 file 효선 2025.03.17 53
181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5-1_휴게시설 부지면적 산출기준 개선 file 효선 2025.03.17 55
181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5-2_터널형 방음시설 설계표준(안) file 효선 2025.03.17 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