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타공사

678

9-12 고속도로 건축물 누수 최소화 방안 수립 시 설 처-3874

(2013. 12. 6)

I 추진배경

o 건축물에서의 누수 발생은 고객 서비스 만족도 및 부실시공 의혹 등으로 공사 이미지 하락

o 건축물노후화, 품질 및 유지관리 미흡 등으로 누수발생 건수 지속 증가

☞ 최소 비용으로 누수발생 억제를 위한 설계․시공․유지관리등 근본적 대책 수립 필요

Ⅱ 현황 및 문제점

□ 건축물별 누수 현황

(단위 : 건수)

구 분 영업소 톨게이트 지 사 휴게소 주유소

터널 관리시설

합 계
2011년 67 33 36 35 12 22 205
2012년 72 21 42 37 10 35 217
2013년 93 23 45 52 5 28 246

□ 누수유형 (2013년 조사현황)

(단위 : 건수)

방수층파손

구조체결함

실링재파손

마감재노후화

시공불량(슬리브 등)

창틀및조인트

기 타 합 계

78( 31.7%)

36(14.6%)

31(12.6%)

21(8.5%)

31(12.6%)

43(17.5%)

6(2.4%)

246

 

□ 문 제 점

o 노후 건축물의 급속한 증가

o 방수공사 하자 최소화를 위한 품질·시공관리 노력 미흡

o 유지보수 실무자 유지관리 역량 부족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타공사

679

Ⅲ 누수 원인 분석

누수는 건물 노후화에 의한 방수층 파괴, 구조체에 결함, 실링재

ㆍ방수재료의 열화, 개구부주변 틈새와 균열, 차양과 벽면의 접합부 마무리 불량 등에 의하며,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 미흡 등 복합적인 원인

□ 건축물 노후화

o 방수층 및 실링재 등의 내구연한(10년내외) 경과

o 콘크리트 중성화 및 균열 등에 의한 방수층 파괴

※ 고속도로 건축물 연령 (영업소·지사·휴게소·주유소)

(단위 : 개소)

구 분 10년미만 10년~20년 20년~30년 30년이상 합 계

2008년

361

(61.4%)

149

(25.3%)

38

(6.5%)

40

(6.8%)

588

2013년

311

(42.4%)

311

(42.4%)

59

(8.0%)

53

(7.2%)

734

2018년

249

(30.3%)

347

(42.3%)

149

(18.1%)

76

(9.3%)

821

2008년 2013년 2018년

10년↑ 건축물 39%

18

%

10년↑ 건축물 57%

12

%

10년↑ 건축물 69%

☞ 방수공사 하자기간은 3년이나 10년이 경과한 건축물의 누수 현저히 증가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타공사

680

□ 발생위치별 누수 원인

o 위치별 누수 현황(2013년)

지 하 외 벽 옥 상 캐노피 합 계 비 고

7(3%)

60(24%)

146(59%)

34(14%)

246  

o (옥상) 전체 누수의 약 59%를 차지하나, 내부 마감재 및 물의 이동

으로 외관상 누수 발생지점과 결함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아 원인

파악 곤란.

원 인 누수 현황사진 비고

방수층·실링재 등의

노후화 및 열화

콘크리트 중성화

전기·통신선로 및 설비

배관 슬리브 매입부

처리불량

두겁 줄눈 결함 및 파

라펫 시공불량

슬래브 균열 및 재료

분리 등 콘크리트 결함

홈통막힘 및 슬래브

역구배에 의한 배수

불량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타공사

681

o (외벽) 전체 누수의 약 24%로 외관상 누수지점은 벽면내부에 위치하나

옥상 파라펫, 옥상 바닥면 또는 배수홈통 주변의 결함에 기인하는

경우가 다수

원 인 누수현황사진 비고

판넬 및 석재 등 실링재

열화 또는 파단

창호 주변 틈새 및 균열

코핑판넬·두겁줄눈 결함

및 에어컨 실외기 배관

마감불량

조적조 발수제 미시공,

외벽면 차양 등 돌출부

접합부 마무리 불량

o (지하층) 지하수위 변동에 따른 수압상승으로 취약부를 통한 우수

유입, 기계실 배관 누수 및 결로 등 발생

o (캐노피) 캐노피의 방수층 노후화, 금속거터 용접부 및 접합부 불량

등의 원인으로 누수 발생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타공사

682

원 인 누수현황사진 비고

이어치기부 및 콜드

조인트 등 콘크리트

결함

전기․통신배관 및 상

하수배관 등 인입구

주변 불량

기계실 배관누수

및 결로

방수층 노후화

금속거터 용접부 및

벽체와 캐노피 접합부

불량 (휴게소 캐노피)

구배불량 및 이음부

찢김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타공사

683

Ⅳ 누수예방 종합대책

누수 예방형 설계 및 공법

□ 지붕층 및 외벽

o 슬라브 방수층 시공법 개선 (내구수명 연장)

현 행 (노출우레탄방수) 개 선 (비노출우레탄방수)

- 방수층의 외기 영향으로 신축팽창 大

- 태양열, 동결 등 열화·경화 취약

- 외기 변화에 영향 小(단열재 내측)

- 열화 및 경화 저항성 양호

※ 방수보완의 경우 누수원인, 콘크리트 상태 등에 따라 별도공법 적용 가능

o 배수성능 향상

- 경사지붕 도입 및 평슬라브 구배 확대 (1/100→1/30)

현 행 (1/100 물매) 개 선 (1/30 물매)

- 무근 Con'c에 구배 형성 (1/100)

- 슬라브 면적에 따라 무근 Con'c량 증가

- 콘크리트 구체에 구배 형성 (1/30)

- 구체에 구배형성 무근 Con'c량 감소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타공사

684

o 방수 취약부분 상세도면 보강

- 옥상 드레인․파라펫․설비배관 및 전기통신선로 관통부 주위

구분 현 행 개 선

옥상

드레인

- 단열재 상부 드레인 설치

- 장기적으로 무근 Con'c 균열 등에

의한 침투수 배출 곤란

- 단열재 하부 드레인 설치

- 무근 Con'c 균열 등으로 방수층 상부

침투수 발생시 배출 용이

파라펫

상세

- 파라펫 상부에 난간대 등 설치

- 접합부 취약(실링제 결함) 우수유입

- 파라펫 벽면 구체에 난간대 등 설치

- 구체에접합부설치 우수유입 차단

배관

관통부

-

- 배관관통부 상세도 無

- 배관관통부 상세도 有

(세부치수 배관규격에 따라 조정)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타공사

685

□ 지하층

o 지하층 벽체 설계기준 강화

- 지하층 외벽 2중벽 설치로 결로방지

설치기준 관련도면

◦휴게소 및 지사 본관동 외벽 내측

※드라이에어리어 및 환풍기 설치가

용이하고 지하층 면적이 작은

영업소, 터널관리동, 정비동 제외

□ 방수설계 적정성 확인

o 설계용역 준공전 방수설계 적정성 검토 (Check-List - - - #붙임 2)

방수공사 내구수명 향상

□ 품질관리

자재관리 시공관리

◦건축공사 자재 품질관리 운영방안

보완 [시설처-3036호 2010.10.6.]

- 실링재 공급원승인대상 자재 포함

※방수품질에 특히 영향이 큰

옥상바닥, 파라펫, 외벽면 등

사용 대상 실링재

◦ 콘크리트 품질관리 강화

- 콘크리트 취약부 관리철저

※ 취약부: 이음타설부, 기둥․보․

벽체 접합부, 파라펫 바닥판

연결부, 지수판설치부

◦ 방수공사 시방기준 준수

□ 책임시공 유도

o 시공계획서 검토 및 확인 강화

- 시공자 : 취약부분 시공상세도 포함 작성 (전문업자 및 현장대리인 확인·서명)

- 감독원 : 검토·승인 후 적정 시공여부 확인

※ 취약부분 : 드레인, 파라펫, 전기․설비배관 관통부 주위 등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타공사

686

o 방수공사 품질관리 적정성 점검

구 분 본사 점검반 지역본부 점검반

점검대상

사업단, 본부 및 직할기관

시행공사

지사 시행공사

시기

및 방법

골조∼방수공사 공정을 고려

협의 결정하여 1회이상

좌동

부실발견시

조치

◦부실측정 및 벌점부과 (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28조)

◦시정지시 및 계약상대자 경고 등

o 방수공사 검측 강화

방수공사 전 방수공사 후

- 바탕면 건조 및 표면상태

(레이턴스, 기름, 흙 등 부스러기)

- 지붕 드레인, 슬래브 개구부,

슬리브 매입부, 지수판

- 방수층의 손상, 파단, 기포, 두께

- 담수테스트

방수시공된 모든 부위의 드레인을

막고 5cm이상 물을 채우고 24시

간이상 관찰하여 누수여부 확인

o 감독원 역량강화 (방수 전문가 교육)

- 건축직 직무교육에 반영, 방수공법 및 시공상 유의사항 등

- 시공실패 및 개선사항 발표 및 토의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타공사

687

기존 건축물 대책

□ 적정 방수보완 예산확보

o 방수보완 중기(2014∼2016) 사업계획 수립 (# 붙임 3)

- 수립방법 : 누수현황및건축물·방수층노후도등을감안수립 (# 붙임4)

- 예산범위 : 연평균 10억원 내외

□ 본부 조직업적 평가 반영

o 평가지표 : 시설관리의 효율성 (비계량 부문)

o 평가내용 : 누수최소화를 위한 계획수립 합리성, 시설물 개선노력

및 유지관리 효율성

o 평가방법 : 본부 조직업적평가 보고서 포함작성 및 평가

o 적용시기 : 2014년 지역본부 평가부터

□ 누수 해결 지원 시스템 구축 (본부⇒지사, 휴게시설 운영자)

o 지 원 반 : 본부 건축차장 (누수전반), 설비차장 (결로, 배관 결함)

외부전문가 1인 (방수부분 전문가 별도 위촉시)

o 지원내용 : 누수 원인분석 및 보수방안 결정

o 지원절차

대상건축물 절 차 흐 름 도 비 고

영업소

톨게이트

지사

터널관리시설

휴게시설

지사

휴게시설

운영자

누수해결

지원반

o 운영방법 : 본부별 자체계획 수립 운영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타공사

688

□ 유지관리 역량강화

o 유지관리 실무자 교육 (지사 설비담당)

- 교육일정 : 매년 1회 (설비직 직무교육시 교육내용 포함)

- 교육내용 : 누수발생 원인진단 및 조치 방법

붙 임 : 1. 2013년 건축물 누수현황

2. 방수설계 CHECK LIST

3. 방수보완 중기 사업계획

4. 방수보완사업 우선순위 설정기준

5. 옥상방수공법 변경 검토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타공사

689

방수설계 CHECK LIST

건물명 : ○○○○○○

검 사 항 목 기 준

검 사 결 과

조치사항

설계자 감독원

1. 부위별 방수설계 기준은 확인하였는가?

1-1. 지붕층(옥상)

-슬라브 구체 1/30 경사

-우레탄도막방수(비노출)

1-2. 지하층, PIT층

-지하층: 액체방수 1종(T20)

무근Con'c(T100)

-PIT층: 액체방수 1종(T20)

1-3 통로박스

-성토부: 아스팔트코팅

-절토부: 시트방수

2. 취약부분 상세도는 작성되었는가?

-옥상 드레인·파라펫

-전기·설비배관관통부

(벽, 슬라브, 옥상)

-지수판 설치부

3. 방수가 취약한 지붕재를 사용하였는가?

(복합판넬,세락믹 판넬 등 실링재 사용자재)

미사용

4. 조적조 외부 발수제는 설계에 반영

되었는가?

반영

5. 지하층 외벽면은 2중벽을 반영하였는가?

휴게소,지사 : 반영

기타건축물 : 미반영

검토자 : ○○○ 설계사무소 소장 ○○○

확인자 : 시설처 건 축 팀 차장 ○○○

붙 임 #2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타공사

690

방 수 보 완

사업우선순위 설정기준

◦ 계량표에 의거 누수 심각도 분석 후 우선순위 선정

◦ 우선순위 계량표

구분

위험도

평가

발생위치 노후도평가

건축물

방수상태

등급

자문

보고서

본부순위
배점 30 20 15 15 10 10
100%

안전사고 우려

마감재 손상 등

2차피해

(50)

현관 등 고객접점

(20)

25년 이상

(15)

D등급

(15)

자문검토

(10)

1~3순위

(10)

80%

근무환경 저해

(30)

사무실 등

근무공간

(16)

20년이상

∼25년미만

(12)

C등급

(12)

자체검토

(8)

4~6순위

(8)

60%

기타

(20)

편의 및 공용공간

(12)

15년이상

∼20년미만

(9)

B등급

(9)

기타

(6)

7~10순위

(6)

40%

 

지하층

기계설비공간 등

(8)

10년이상

∼15년미만

(6)

A등급

(6)

 

10~15순위

(4)

20%  

기타

(4)

10년 미만

(3)

   

16 이하

(2)

 

 

 

 

※누수로 인한 안전사고 : 수배전반등전기시설부위누수로감전사고및누전에의한화재등

◦ 건축물 방수상태 등급 기준 (시설처-285(2012.1.30)

등 급 상 태 착안사항
A o 문제점이 없는 최상의 상태

o 신축건물

o (보수 후) 누수 이력이 없을 때

B

o 현재 누수는 없으나 노후화로 장기적으로

방치하였을 때는 누수 우려가 있는 상태

o 방수 후 10년이상 경과했을 때

C

o 경미한 누수가 있으나, 간단한 보수 (실리콘

보수 및 부분방수 등)로 조치 가능한 상태

o 부분적으로 보수가 가능 할 때

D

o 주기적인 누수 및 방수층 손상으로 인하여

전면적인 보수가 필요한 상태

o 경미한 누수(C급)가 있으나, 누수부위가

보수후에도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상태

o 누수부위가 광범위 할 때

o 보수후 동일 부위에 지속,

반복적으로 발생할 때

  

 

붙 임 #4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타공사

691

옥상 방수공법 변경 검토

구 분 우레탄 노출공법 (당초) 우레탄 비노출공법 (변경)

시공

도면

장단점

비 교

•외기변화에 따라 신축·팽창 大

•태양열, 동결 등으로 열화·경화에 취약

•3∼5년 주기 상도재 도포 필요

(영업소기준 10백만원/회)

•공기단축 및 품질관리 우수

(방수층위 콘크리트공사 없음)

•하자보수 책임한계 명확

•Joint 등이 없어 하자요인 감소

•하자보수 용이

•내용연수 10년 내외 기대

•외기변화에 영향 小 (단열재 내측)

•열화 및 경화 저항성 양호

•별도의 보완 불필요

•공기지연 및 품질관리 필요

(콘크리트 신축줄눈 처리 등)

•하자보수 진단 애로

•Joint 처리 불량시 하자요인 내재

•하자보수 상대적 곤란

•내용연수 13년 내외 기대

적용

방안

별도의 유지관리비용 발생이 없고 단열재 내측에 위치하여 열화 및

경화 저항성이 우수하며 내용연수도 더 길어 비노출 우레탄 공법으로

변경 적용

※ 방수공법 내용연수 추정식 (일본건축학회 제안식에 의한 산정)

붙 임 #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9869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2568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7178
177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8-1_제설자재창고 설치기준 변경 및 중기 설치계획 file 효선 2025.01.15 271
177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Ⅰ_2022년도 고속도로 설계실무지침 (요약본) 효선 2025.01.15 1767
177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Ⅱ_실무지침 수록 목록 (1998년 통합본~2022년) file 효선 2025.01.15 618
177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00_표지 및 목차 file 효선 2025.01.15 289
177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1-1_BIM설계기술 조기 정착을 위한 BIM 설계평가 기준 수립 file 효선 2025.01.15 136
177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1-2_드론 통합측량 추진방안 file 효선 2025.01.15 135
176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1-3_공종별로 산재되어 있는 안전항목을 통합한 안전관리 대공종 신설 file 효선 2025.01.15 186
176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1-4_도로구역 및 지형도면 통합고시 추진(안) file 효선 2025.01.15 157
176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1-5_설계안정성 검토 업무 내실화 방안 file 효선 2025.01.15 145
176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1-6_고속도로 적정공사기간 확보방안 검토(안) file 효선 2025.01.15 164
176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2-1_하이패스 나들목 설계지침 제정 file 효선 2025.01.15 166
176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2-2_하이패스 나들목 설계지침 내 안내 표지판 내용 수정 알림 file 효선 2025.01.15 138
176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2-3_고속도로 교통수요예측 내실화 방안 file 효선 2025.01.15 127
176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3-1_고속도로 통로암거 규격개선 file 효선 2025.01.15 228
176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3-2_깎기 및 쌓기 비탈면 옹벽 상단배수시설 설계기준 개선 file 효선 2025.01.15 307
176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4-1_말뚝기초 횡방향 설계 적용방안 검토 file 효선 2025.01.15 169
175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4-2_스트럿-타이 모델링 개선 등을 통한 교각 코핑 설계방안 검토 file 효선 2025.01.15 175
175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4-3_교량 난간 방호벽 절개부위 보강 방안 file 효선 2025.01.15 190
175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4-4_고속도로 장수명 설계추진 방안 file 효선 2025.01.15 254
175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4-5_PSC거더 구조 안정성 향상을 위한 횡만곡 관리 방안 검토 file 효선 2025.01.15 2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