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타공사

638

9-8 「건축물 에너지 절약설계 통합기준」수립 시 설 처-2097

(2013. 7. 5)

I 검토목적

□ 에너지절약형 녹색건축물 보급․확대를 위한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

시행(2013.2) 및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개정(2013.3) 등

에너지절약설계기준 강화

∙ 건축물 에너지절약계획서 제출 의무화 : 연면적 500㎡이상

□ 부문별(건축,설비,전기) 에너지성능지표 도출 및 에너지절약설계

통합기준 수립 필요

∙ 에너지성능지표(Energy Performance Index) : 건축물의 에너지절약과

관계되는 지표를 점수화하여 건축허가 여부 결정

Ⅱ 개정법령 주요내용

□ 에너지절약계획서 제출대상 확대

현 행 개 정

▪공동주택(기숙사제외) 아파트, 연립주택

연면적 500㎡ 이상

건축물

▪업무시설, 연구소등 3,000㎡이상

▪기숙사, 의료시설, 유스호스텔, 숙박시설등 2,000㎡이상

▪일반목욕장, 실내수영장등 500㎡이상

▪판매시설, 운수시설등 3,000㎡이상

▪문화및집회시설, 종교시설, 장례식장등 10,000㎡이상

□ 에너지성능지표 산정 용도 통합

o (현행) 9개 용도 : 사무, 판매, 숙박, 목욕, 관람, 병원, 학교, 주택1, 주택2

o (개정) 4개 용도 : 비주거 대형, 비주거 소형, 주택1, 주택2

□ 에너지성능지표(EPI) 강화 : 민간 65점 이상, 공공기관 74점 이상

□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강화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타공사

639

Ⅲ 에너지절약설계 통합기준

□ 수립방향

건물별 「에너지 절약설계 통합기준」마련

부문별(건축,설비,전기) 에너지성능지표

* EPI

도출

[에너지성능지표 주요항목]

• 부위별 열관류율

(외벽,지붕,최하층바닥)

• 외단열 공법 적용

• 창면적비 50% 미만

• 기밀성 창호 설치

• 외부 차양장치 등

+

• 고효율 냉․난방기기

설치(고효율인증제품)

• 고효율 펌프 사용

• 폐열회수 환기설비

• 에너지절약 제어방식

• 신재생에너지 적용

+

• 실별 조명밀도

• 간선의 전압강하

• LED조명기기 전력량 비율

• 옥외등 LED 램프 적용

• 대기전력 자동차단콘센트

설치

[의무설계사항 주요항목]

• 외벽 단열기준 준수

• 외벽평균 열관류율 0.6점이상

• 바닥난방 단열재 설치

• 방습층 설치, 방풍구조

• 기밀성능 창호설치(1~5등급)

• 냉난방설비 용량계산시

외기조건 설계기준 준수

• 펌프 KS인증제품 사용

• 기기배관 및 덕트는 표준시방

기준 이상 단열재 사용

• 고효율 변압기 설치

•역률개선용 콘덴서 전동기별 설치

• 고효율 조명기기 사용

• 부분조명 가능한 점멸회로 구성

• 일괄소등(층별,구역별) 스위치 설치

건축부문 설비부문 전기부문

□ 에너지 성능지표 (EPI)

현 행

에너지성능지표

적용항목 검토

에너지성능지표 도출

∙ 건물별 에너지성능지표

기준 부재

∙ 부문별 별도설계로

통합기준 부재

∙ 건물별, 부문별 에너지

성능지표 수준 분석

∙ 건물별 에너지성능지표

최소기준 도출(성능계량

화)

∙ 부문별 에너지절약설계

세부항목 기준 마련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타공사

640

□ 에너지성능지표(EPI) 기준

에너지성능지표는 설계기준, 경제성, 건물특성 등을 고려 건물별 성능지표 도출

① 영업소 : 소규모 건물로 초기투자비등 고려 에너지성능지표 최소기준 「74점」 적용

에너지성능지표(EPI)

구분 적용 항목 적용기준 비 고

건축

부문

외벽의 평균 열관류율 Ue(W/㎡․K)

(창 및 문을 포함)

중부 0.470~0.630미만

남부 0.580~0.760미만

지붕의 평균 열관류율 Ur (W/㎡․K)

(천창 등 투명 외피부분을 제외한

부위의 평균 열관류율)

중부 0.110~0.120 미만

남부 0.140~0.160미만

최하층 거실바닥의 평균 열관류율

Uf (W/㎡․K)

중부 0.120~0.160미만

남부 0.140~0.180미만

외단열 공법의 채택 (전체 외벽면적에

대한 시공 비율, 전체 외벽면적에 대한

창면적비가 50%미만일 경우에 한함)

전체 외벽면적에 대한

외단열 시공비율 70% 이상

기밀성 창호 및 문의 설치

(KS F2292에 의한 기밀성 등급 및

통기량(㎥/h㎡))

기밀성 1등급

(통기량 1㎥/h㎡ 미만)

설비

부문

난방기기 효율(%) /기름보일러

기름보일러효율 92% 이상

고효율 인증제품 사용

냉방기기

고효율인증제품 사용

(신재생인정제품)

냉온수 순환, 급수 및 급탕 펌프의

평균 효율(%)

1.16E이상

수용 펌프 또는 가압급수펌프 전동기에

가변속 제어 등 에너지절약적 제어방식

급수용 펌프 전체 동력의

60%이상 적용

전기

부문

거실의 조명밀도(W/㎡) 8 미만

간선의 전압강하(%) 3.5미만

전체 조명설비 전력랑에 대한 LED

조명기기 전력량 비율(%)

20% 이상

(고효율에너지기자재인증제품사용)

옥외등 고휘도방전램프(HID) 또는

LED램프 사용

LED 램프 적용

신재생

부 문

전체 급탕부하에 대한

신․재생에너지 용량 비율

10% 이상 적용

(의무화대상건축물은15% 이상)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타공사

641

② 지 사 : 중규모 건물로 냉∙난방비용등 유지관리비 고려 에너지성능지표 「84점」 적용'

에너지성능지표 (EPI)

구분 적용 항목 적용기준 비 고

건축

부문

외벽의 평균 열관류율 Ue(W/㎡․K)

(창 및 문을 포함)

중부 0.470~0.630미만

남부 0.580~0.760미만

지붕의 평균 열관류율 Ur (W/㎡․K)

(천창 등 투명 외피부분을 제외한

부위의 평균 열관류율)

중부 0.110 미만

남부 0.14 0미만

최하층 거실바닥의 평균 열관류율

Uf (W/㎡․K)

중부 0.120~0.160미만

남부 0.140~0.180미만

외단열 공법의 채택 (전체 외벽면적에

대한 시공 비율, 전체 외벽면적에 대한

창면적비가 50%미만일 경우에 한함)

전체 외벽면적에 대한

외단열 시공비율 70% 이상

기밀성 창호 및 문의 설치

(KS F2292에 의한 기밀성 등급 및

통기량(㎥/h㎡))

기밀성 1등급

(통기량 1㎥/h㎡ 미만)

설비

부문

난방기기 효율(%)/기름보일러

기름보일러효율86이상~89%미만

고효율 인증제품 사용

냉방기기

고효율인증제품 사용

(신재생인정제품)

냉온수 순환, 급수 및 급탕 펌프의

평균 효율(%)

1.16E이상

폐열회수형 환기장치 또는 바닥열을

이용한 환기장치, 보일러 또는 공조기의

폐열회수설비

폐열회수 환기장치 적용

신재생에너지 이용 냉방 적용(%) 60~70% 미만

급수용 펌프 또는 가압급수펌프 전동기에

가변속 제어 등 에너지절약적 제어방식

급수용 펌프 전체 동력의

60%이상 적용

전기

부문

거실의 조명밀도(W/㎡) 8 미만

간선의 전압강하(%) 3.5 미만

전체 조명설비 전력랑에 대한 LED

조명기기 전력량 비율(%)

20% 이상

(고효율에너지기자재인증제품사용)

옥외등 고휘도방전램프(HID) 또는

LED램프 사용

LED 램프 적용

신재생

부 문

전체 난방설비용량에 대한

신․재생에너지용량 비율

2% 이상 적용

(의무화대상건축물은4% 이상)

전체 냉방설비용량에 대한

신․재생에너지용량 비율

2% 이상 적용

(의무화대상건축물은4% 이상)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타공사

642

③ 휴게소 : 건물 특성(임대) 및 초기투자비등 고려 에너지성능지표 최소기준 「74점」 적용

에너지성능지표(EPI)

구분 적용 항목 적용기준 비 고

건축

부문

외벽의 평균 열관류율 Ue(W/㎡․K)

(창 및 문을 포함)

중부 0.630~0.790미만

남부 0.760~0.940미만

지붕의 평균 열관류율 Ur (W/㎡․K)

(천창 등 투명 외피부분을 제외한

부위의 평균 열관류율)

중부 0.120~0.140미만

남부 0.160~0.180미만

최하층 거실바닥의 평균 열관류율

Uf (W/㎡․K)

중부 0.160~0.200미만

남부 0.180~0.23 0미만

외단열 공법의 채택 (전체 외벽면적에

대한 시공 비율, 전체 외벽면적에 대한

창면적비가 50%미만일 경우에 한함)

전체 외벽면적에 대한

시공비율 70% 이상

기밀성 창호 및 문의 설치

(KS F2292에 의한 기밀성 등급 및

통기량(㎥/h㎡))

기밀성 2등급

(통기량 1~2㎥/h㎡ 미만)

설비

부문

난방기기 효율(%) / 기름보일러

기름보일러효율86이상~89%미만

고효율 인증제품 사용

냉방기기

고효율인증제품 사용

(신재생인정제품)

냉온수 순환, 급수 및 급탕 펌프의

평균 효율(%)

1.16E이상

신재생에너지 이용 냉방 적용(%) 100%

급수용 펌프 또는 가압급수펌프 전동기에

가변속 제어 등 에너지절약적 제어방식

급수용 펌프 전체 동력의

60%이상 적용

전기

부문

거실의 조명밀도(W/㎡) 8 미만

간선의 전압강하(%) 3.5 미만

전체 조명설비 전력랑에 대한 LED

조명기기 전력량 비율(%)

20% 이상

(고효율에너지기자재인증제품사용)

옥외등 고휘도방전램프(HID) 또는

LED램프 사용

LED 램프 적용

신재생

부 문

전체 난방설비용량에 대한

신․재생에너지용량 비율

2% 이상 적용

(의무화대상건축물은4% 이상)

전체 냉방설비용량에 대한

신․재생에너지용량 비율

2% 이상 적용

(의무화대상건축물은4% 이상)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타공사

643

Ⅳ 추진계획

□ 2013년 설계 시행중인 건축물부터 적용

□ 2013. 9.1 이후 건축허가 신청시 에너지절약 설계검토서

*붙임2

작성 첨부

Ⅴ 기대효과

□ 건축물 에너지성능(계량화) 및 에너지절약 설계 기준 확립

□ 부문별(건축,설비,전기,신재생) 에너지절약 기법축적 및 공유 확산

붙 임 : 1. 에너지성능지표 검토서 1부

2. 에너지절약 설계검토서 1부

3.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 개정기준 1부. 끝.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타공사

644

에너지성능지표(EPI) 검토

□ 영업소 : 소규모 건물로 초기투자비등 고려 에너지성능지표 최소기준 「74점」 적용

구 분

에너지성능지표(EPI)

현 수준 분석 및 검토내용

적용항목 적용기준 평점

건축

부문

외벽의 평균 열관류율

Ue(W/㎡․K) (창 및 문을 포함)

중부 0.470~0.630미만

남부 0.580~0.760미만

30.6

30.6

(중부)외벽 평균 열관류율 : 0.487

(남부)외벽 평균 열관류율 : 0.620

지붕의 평균 열관류율 Ur

(W/㎡․K)

(천창 등 투명 외피부분 제외)

중부 0.110~0.120미만

남부 0.140~0.160미만

7.2

7.2

(중부)지붕 평균 열관류율 : 0.119

(남부)지붕 평균 열관류율 : 0.148

최하층 거실바닥의 평균 열관류율

Uf (W/㎡․K)

중부 0.120~0.160미만

남부 0.140~0.180미만

5.4

4.8

(5.4)

(중부)최하층거실바닥평균열관류율 : 0.128

(남부)최하층거실바닥평균열관류율 : 0.187

→(상향) 0.180미만

외단열 공법의 채택

(창면적비50%미만인경우에한함)

전체 외벽면적에 대한

시공비율 70% 이상

6.0

외단열공법 평균 시공비율 약 95%

(창면적비 평균 16%)

기밀성 창호 및 문의 설치

(KS F2292에 의한 기밀성 등급 및

통기량(㎥/h㎡))

기밀성 1등급

(통기량 1㎥/h㎡ 미만)

6.0

기밀성 창호 1등급 수준

(통기량 0.47㎥/h㎡)

건축부문 소계

55.2

55.2

설비

부문

난방기기 효율(%)

(기름보일러, 기타 난방기기)

기기효율

고효율인증제품 사용

5.6

기름보일러효율상향88%→92%이상

항온항습기 고효율인증제품 사용

(보일러35%, EHP 50%, 항온항습기15%)

냉방기기

고효율인증제품 사용

(신재생인정제품)

1.3

항온항습기 고효율인증제품 사용

(EHP 85%, 항온항습기15%)

냉온수 순환, 급수 및 급탕 펌프의

평균 효율(%)

1.16E이상 2 평균효율 1.4E 수준

수용펌프또는가압급수펌프전동기에

가변속제어등에너지절약적제어방식

급수용펌프전체동력의

60% 이상 적용

1

인버터방식으로

전체동력의 100% 수준

설비부문 소계 9.9

전기

부문

거실의 조명밀도(W/㎡) 8 미만 2 조명밀도 3.45 수준

간선의 전압강하(%) 3.5 미만 1 전압강하 1~3% 미만

옥외등 고휘도방전램프(HID) 또는

LED 램프사용

적용여부 1 LED 램프 사용

전체 조명설비 전력랑에 대한

LED 조명기기 전력량 비율(%)

20% 이상

(고효율에너지기자재인증제품

사용)

4 LED 조명기기 68% 수준

전기부문 소계 8

신재생

부 문

전체급탕부하에대한

신․재생에너지용량비율

10% 이상 적용 여부

(의무화대상건축물은15%이상)

1 태양열급탕시스템 10% 적용

합 계 (건축+설비+전기+신재생)

74.1

74.1

[설계개선] ∙ (건축) 최하층 거실바닥 평균 열관류율 상향

∙ (설비) 난방기기(기름보일러) 효율92%이상사용, 항온항습기고효율인증제품사용

∙ (전기) 옥외등 고휘도방전램프(HID) 또는 LED램프 적용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타공사

645

□ 지 사 : 중규모 건물로 냉∙난방등 유지관리비용 고려 에너지성능지표 「84점」 수준 적용

구 분

에너지성능지표 (EPI)

현 수준 분석 및 검토내용

적용항목 적용기준 평점

건축

부문

외벽의 평균 열관류율

Ue(W/㎡․K) (창 및 문을 포함)

중부 0.470~0.630미만

남부 0.58미만

30.6

34.0

(중부)외벽평균 열관류율 : 0.492

(남부)외벽평균 열관류율 : 0.548

지붕의 평균 열관류율 Ur

(W/㎡․K)

(천창 등 투명 외피부분 제외)

중부 0.11미만

남부 0.14미만

8

8

(중부)지붕평균 열관류율 : 0.016

(남부)지붕평균 열관류율 : 0.110

최하층 거실바닥의 평균 열관류율

Uf (W/㎡․K)

중부 0.120~0.160미만

남부 0.140~0.180미만

5.4

5.4

(중부)최하층거실바닥평균열관류율: 0.141

(남부)최하층거실바닥평균열관류율: 0.178

외단열 공법의 채택

(창면적비50%미만인경우에한함)

전체 외벽면적에 대한

시공비율 70% 이상

6.0

외단열공법 평균 시공비율 약 88%

(창면적비 평균 23%)

기밀성 창호 및 문의 설치

(KS F2292에 의한 기밀성 등급 및

통기량(㎥/h㎡))

기밀성 1등급

(통기량 1㎥/h㎡ 미만)

6.0

기밀성 창호 1등급 수준

(통기량 0.1㎥/h㎡)

건축부문 소계

56.0

59.4

설비

부문

난방기기 (효율 %)

(기름보일러, 기타 난방기기)

기기 효율

고효율인증제품 사용

6.2

기름보일러(25%) 효율 88%

EHP(13%), 항온항습기(2%),지열(60%)

냉방기기

고효율인증제품 사용

(신재생인정제품)

1.7 EHP(30%), 항온항습기(5%),지열(65%)

냉온수 순환, 급수 및 급탕 펌프의

평균 효율(%)

1.16E이상 2 평균효율 1.4E 수준

폐열회수형환기장치또는바닥열을

이용한환기장치, 보일러또는공조기의

폐열회수설비

적용 여부

(고효율에너지기자재

인증제품)

2 폐열회수 환기장치 적용

신재생에너지 이용 냉방 적용 적용 비율 0.6 신재생에너지 냉방 65% 수준

급수용펌프또는가압급수펌프전동기에

가변속제어등에너지절약적제어방식

급수용펌프전체동력의

60%이상적용

1

인버터방식으로

전체동력의 100% 수준

설비부문 소계 13.5

전기

부문

거실의 조명밀도(W/㎡) 8 미만 2 조명밀도 1.7 수준

간선의 전압강하(%) 3.5 미만 1 전압강하 1~3% 미만

옥외등 고휘도방전램프(HID) 또는

LED 램프사용

적용여부 1 LED 램프 사용

전체 조명설비 전력랑에 대한

LED 조명기기 전력량 비율(%)

20% 이상

(고효율에너지기자재인증제품

사용)

4 LED 조명기기 45% 수준

전기부문 소계 8

신재생

부 문

전체 난방설비용량에 대한

신․재생에너지용량 비율

2% 이상 적용 여부

(의무화대상건축물은4%

이상)

3 신재생에너지 난방 60% 수준

전체 냉방설비용량에 대한

신․재생에너지용량 비율

2% 이상 적용 여부

(의무화대상건축물은4%

이상)

4 신재생에너지 냉방 65% 수준

신재생 소계 7

합 계 (건축+설비+전기+신재생)

84.5

86.9

[설계개선] ∙ (전기) 옥외등 고휘도방전램프(HID) 또는 LED램프 적용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타공사

646

□ 휴게소 : 건물 특성(임대) 및 초기투자비등 고려 에너지 성능지표 최소 기준 「74점」 적용

구 분

에너지성능지표 (EPI)

현 수준 분석 및 검토내용

적용항목 적용기준 평점

건축

부문

외벽의 평균 열관류율

Ue(W/㎡․K) (창 및 문을 포함)

중부 0.63~0.79미만

남부 0.76~0.94미만

27.2

27.2

(중부)외벽평균 열관류율 : 0.717

(남부)외벽평균 열관류율 : 0.884

지붕의 평균 열관류율 Ur

(W/㎡․K)

(천창 등 투명 외피부분 제외)

중부 0.12~0.14미만

남부 0.16~0.18미만

6.4

6.4

(중부)지붕평균 열관류율 : 0.12

(남부)지붕평균 열관류율 : 0.12

최하층 거실바닥의 평균 열관류율

Uf (W/㎡․K)

중부 0.16~0.20미만

남부 0.18~0.23미만

4.8

3.6

(중부)최하층거실바닥평균열관류율: 0.18

(남부)최하층거실바닥평균열관류율: 0.29

외단열 공법의 채택

(창면적비50%미만인경우에한함)

전체 외벽면적에 대한

시공

비율 70% 이상

6.0

외단열공법 평균시공비율 약 83%

(창면적비평균 25%)

기밀성 창호 및 문의 설치

(KS F2292에 의한 기밀성 등급

통기량(㎥/h㎡))

기밀성 2등급

(통기량 1~2㎥/h㎡

미만)

5.4

기밀성 창호 2등급 수준

(통기량 1.3㎥/h㎡)

건축부문 소계

49.8

48.6

설비

부문

난방기기(효율%) /기름보일러 기기효율 92% 이상 6.1

기름보일러(60%) 평균 효율 88%

신재생에너지(지열) 40%

냉방기기

고효율인증제품 사용

(신재생인정제품)

2 신재생에너지(지열) 100% 수준

냉온수순환, 급수및급탕펌프의

평균효율(%)

1.16E이상 2 평균효율 1.4E 수준

신재생에너지이용냉방적용 적용 비율 1 신재생에너지 냉방 100% 수준

급수용펌프또는가압급수펌프전동기에

가변속제어등에너지절약적제어방식

급수용 펌프 전체

동력의 60% 이상 적용

1

인버터방식으로

전체동력의 100% 수준

설비부문 소계 12.1

전기

부문

거실의조명밀도(W/㎡) 8 미만 2 조명밀도 2.83 수준

간선의전압강하(%) 3.5 미만 1 전압강하 1~3% 미만

전체조명설비전력랑에대한LED

조명기기전력량비율(%)

20% 이상

(고효율에너지기자재인증제품

사용)

4 LED 조명기기 43% 수준

전기부문 소계 7

신재생

부 문

전체난방설비용량에대한

신․재생에너지용량비율

2% 이상 적용 여부)

(의무화대상건축물은4%이상)

3 신재생에너지(난방) 40% 수준

전체냉방설비용량에대한

신․재생에너지용량비율

2% 이상 적용 여부

(의무화대상건축물은4%이상)

4 신재생에너지(냉방) 100% 수준

신재생 소계 7

합 계 (건축+설비+전기+신재생)

75.9

74.7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9870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2568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7179
179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2-1_진출입부 역주행 방지 종합 대책 file 효선 2025.01.16 170
179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3-1_장기 거동 특성을 반영한 비탈면 보강 영구앵커 설계기준 개선 file 효선 2025.01.16 166
179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3-2_현장 작업여건을 반영한 배수시설 형상 및 원가 개선 file 효선 2025.01.16 177
179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3-3_비탈면 현황도 작성을 위한 깎기 비탈면 분할 기준 수립 file 효선 2025.01.16 203
179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1_프리캐스트 바닥판 및 PSC 거더 배치간격 검토 file 효선 2025.01.16 196
179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2_GFRP 보강근 잠정 설계·시공지침 제정 file 효선 2025.01.16 258
178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3_고로슬래그를 활용한 콘크리트 내염성 강화 방안 file 효선 2025.01.16 172
178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4_조합형 방호울타리 개선사항 반영 file 효선 2025.01.16 143
178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5_프리팹 부재 생산성 향상 등을 위한 원형 기둥 규격 표준화 방안 검토 file 효선 2025.01.16 140
178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6_개착식 구조물 분류기준 정립 file 효선 2025.01.16 155
178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7_교량접속부 가드레일 안전계단 설치기준 file 효선 2025.01.16 222
178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8_구조물 균열 저감을 위한 매스콘크리트 품질관리 방안 검토 file 효선 2025.01.16 213
178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5-1_주행쾌적성 및 장수명 확보를 위한 고속도로 포장형식 적용방안 file 효선 2025.01.16 210
178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5-2_결빙방지재 혼입 포장 설계 적용방안 file 효선 2025.01.16 228
178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5-3_재포장공사 내구수명 향상 계획 file 효선 2025.01.15 217
178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5-4_배수성(저소음)포장 품질향상 종합대책 수정사항 file 효선 2025.01.15 256
177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6-1_안전을 고려한 터널 부대시설 설계기준 개선 file 효선 2025.01.15 257
177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6-2_제트팬 경량화 및 설치방법 개선 file 효선 2025.01.15 245
177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7-1_강재시설물 염해 내구성 강화방안 file 효선 2025.01.15 209
177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7-2_터널 진입차단시설 개선 적용 방안 file 효선 2025.01.15 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