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4년_7-7_터널구간 교통안전성 향상방안
2024.06.26 11:28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터널공사
348
7-7 터널구간 교통안전성 향상방안 설 계 처-1807
(2013. 6. 17)
I 검토목적
터널 구간의 교통사고 원인분석을 통해 사고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설계단계부터 교통 안전성을 향상하고, 시공성 및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설계기준을 개선하고자 함
Ⅱ 터널구간 사고 현황
□ 고속도로 교통사고 발생현황(2010년~2012년)
o 고속도로 사고중 터널구간의 사고발생율은 3.5%, 사망률은 3.7%임
구 분
2010년 2011년 2012년 소 계
사고(건) 사망(명) 사고(건) 사망(명) 사고(건) 사망(명) 사고(건) 사망(명)
소 계 2,368 353 2,640 265 2,600 343 7,608 961
터널구간 61 9 91 8 112 19 264 36
일반구간 2,307 344 2,549 257 2,488 324 7,344 925
o 터널외구간 대비 터널구간의 km당 사고발생율은 27%, 사망자율은 35%임
구 분 2010년 2011년 2012년 비고
터널 연장(km) 414 443 536
터널
구간
사고건수 61 91 112
건수/km 0.147 0.205 0.209
사망자수 9 8 19
사망자/km 0.022 0.018 0.035
터널 외 연장(km) 3,165 3,189 3,226
일반
구간
사고건수 2,307 2,549 2,488
건수/km 0.729 0.799 0.771
사망자수 344 257 324
사망자/km 0.109 0.081 0.100
☞ 터널구간의 사고건당 사망률이 30% 높음(터널구간 17%, 일반구간 13%)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터널공사
349
□ 터널구간 교통사고 분석(2006년~2012년)
o 터널구간 사고 위치는 터널 내부가 대부분을 차지(82%)
o 터널내부 사고 중 전도 전복사고가 약 23% 발생되어 사고처리 지연
및 2차 사고의 원인이 됨
터널 위치별 사고현황 터널내 사고후 상태현황
☞ 터널내부는 폐쇄된 공간으로 사고시 조기대응 곤란으로 대형사고 우려
□ 터널 입 출구부 사고 현황
o 터널 폭원축소 및 큰 조도차로 운전자 주의부족 등에 따른 사고발생
o 출구부 인접 급경사 등 도로여건 불리구간 결빙으로 사고 발생
구분 일 자 위 치 내 용 사고 사진
입구
‘12.08.02
당진상주
고속도로
문의2터널
1차로 가드레일 및
방호벽 충돌 후
터널내 2차로 정차
(사망1,중상1)
‘11.04.03
남해고속도로
법안1터널
1차로 가드레일 및
PC방호벽 충돌 후
2차로 정차(사망2)
출구
‘13.01.22
56번지방도
미시령터널
빙판길에 미끄러지며
가드레일충돌 후 추락
(사망1,중경상6)
‘12.02.19
49번지방도
구천동터널
급커브 내리막길에서
미끄러지며 가드레일
충돌 후 추락
(사망5,중경상5)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터널공사
350
□ 터널연장에 따른 사고 분석
o 장대터널의 전도 전복사고 비율은 18.7%임 (29건/155건)
o 단 터널의 전도 전복사고 비율은 27.2%임 (62건/228건)
구분 터널내 사고상태 현황 차량별 전도 및 전복 현황
장대
터널
(1km
이상)
단터널
(1km
미만)
☞ 단터널이 장대터널에 비해 전도 전복사고의 발생건수 및 비율이 높게
나타나며, 승용차 및 소형 화물차가 대부분임(82.4%)
※ 전도 전복사고의 정의
구분 전도사고 전복사고
정의 도로에차체측면이 접하도록넘어진사고 도로에 차체가 뒤집혀 엎어진 사고
발생
사진
※ 2차 사고란?
o 교통사고 및 고장 발생시 운전자의 안전조치
미흡, 사고차량 처리 지연 등으로 인해
후속으로 일어나며 대형사고로 연결됨
☞ 고속도로 2차 사고의 사망자수는 전체
사고에 비해 약 5배 이상임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터널공사
351
Ⅲ 원인별 기준 개선 검토
터널 입 출구부
□ 주요원인 분석
① 터널 입구부에서 도로 양측폭원(갓길) 축소로 교통사고 위험 증가
② 터널과 교량사이의 방호시설(공동구,측구,교량난간) 형상 불일치로 인한
단차발생 및 가드레일 별도 설치로 시공성 및 교통 안전성 불리
③ 터널 입 출구부 구간 선형불량 및 결빙 발생에 따른 교통사고 발생
④ 터널 출구부 직광영향(시야방해)에 따른 교통사고 발생
※ 관련 설계기준
구 분 내 용 비 고
입
구
부
갱문
확폭
벨마우스,
버드빅형
토공부
확폭
면벽형
출
구
부
직광
저감
VMS
설치
접
속
부
방호
시설
터널
~
교량
구간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터널공사
352
□ 개선내용
① 터널 입구부 접속방안 개선 (토공부에서 폭원 축소 후 터널 접속)
- 길어깨 폭원 변이구간 15m(접속설치율 1/20) 적용 및 안전도색 시행
- 갱문전 도로 폭원 축소구간 30m(약 1초간 주행거리) 적용
* 지형여건 감안하여 조정 가능하나, 최소 10m(길어깨 편경사 변화구간) 이상 확보
구 분 당 초 개 선
개념도
접속부연장 20m 45m (최소 25m)
개선안
평면도
② 터널 접속부 콘크리트 방호시설 형상 통일
- L형측구 형식 추가(Type 2-2)등 방호시설 상단부 높이 및 전면부 형상 통일
- 가로등 등 부대시설을 감안하여 터널 입 출구부에서 최소 200m 적용
* 방호시설 전개도 (※ 짧은 성토구간은 L2-2측구 설치 가능 )
구분 개 념 도 형상도
당초
개선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터널공사
353
③ 터널 구간 선형 불리구간 설계 지양 및 안전대책 강구
- 선형결정시 터널 구간은 사고발생 최소화를 위해 최적선형 적용
※『터널구간 교통용량 확보방안 검토(설계처-3990, 2009.7.29)』
- 평면선형 R=1,800m 이상, 종단선형 S=±3% 이하 적용 중
- 적설구간, 선형 불리구간 등은 지형여건에 맞춰 터널 입 출구부에
자동융설시스템 적용
④ 터널 출구부 직광영향 최소화를 위한 선형설계 및 직광 차단시설
설치 가이드라인 제시 (별도 검토 예정)
- 운전자를 중심으로 태양직광에 의한 시야방해 영향범위 산정
- 출구부의 직광영향이 최소화 되도록 선형설계 가이드라인 제시
- 불가피하게 직광영향이 예상될 경우 직광차단시설 설치기준 정립
※ 양지터널(강릉방향) 직광영향 분석사례 및 차단시설 검토(예)
구 분 관련사진 및 내용
양지터널
직광분석
[ 출구부 직광영향 발생 ] [ 시간별 직광영향 분석 ]
직광차단
시설검토
[ 도로측면 높은 수목식재 ] [ 문형식 직광차단시설 ]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터널공사
354
터널 내부
□ 주요원인 분석
o 단터널 내 공동구 벽체의 높이가 낮아 소형차의 전도 전복 사고 발생
비율이 약 86%로 매우 높음
구 분 내 용
개념도
및
사고사진
차량
범퍼
기준
[KS R 4709]
기호 구 분
앞범퍼 높이
위 끝자리 높이(h1) 아래 끝자리 높이(h2)
A 일반형 승용 자동차
B 승용 겸 화물형,승용 자동차 480(mm)이상 470(mm)이하
C 소형 화물 자동차
H 경승용 자동차 430(mm) 이상 -
범퍼
높이
실측
결과
승용차 25~60cm SUV 40~70cm 소형화물차 35~70cm
□ 개선내용
o 단터널 내 공동구 벽체 높이 상향 (H= 0.25m → 0.66m)
- 차량 유효접촉면을 감안하여 장대터널 추월차로 규격으로 상향
- 갓길폭원 15cm 이상 확폭 효과(굴착량은 증가되지 않음)
구 분 당 초(H=0.25m) 변 경(H=0.66m)
개요도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터널공사
355
Ⅳ 적용방안
o “터널 입구부 접속방안 개선”은 충주~제천간 고속도로 건설공사에
시험시공을 하여 기존 접속방안과 비교 분석결과에 따라 확대
적용여부 판단(2015년 이후)
o "터널 출구부 직광영향 최소화 방안“은 가이드라인 수립(2013년
3/4분기 예정)결과에 따라 적용
o 그 외 사항은 현재 설계중인 노선부터 지형여건을 고려하여 적용
붙 임 : # 1. L형측구 형식별 도면(당초 및 변경)
# 2. 단터널 공동구 상세도(당초 및 변경)
# 3. 장대터널 공동구 상세도(당초 및 변경)
# 4. 형식별 단가산출서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터널공사
356
붙 임 #1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터널공사
357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터널공사
358
붙 임 #2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터널공사
359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터널공사
360
붙 임 #3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터널공사
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