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4년_7-1_터널 콘크리트라이닝 최적화 방안 검토
2024.06.26 14:01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터널공사
305
7-1 터널 콘크리트 라이닝 최적화 방안 검토 설 계 처-128
(2013. 1. 15)
I 검토목적
터널 라이닝의 주재료인 콘크리트 및 철근의 고강도 재료 적용을
통해 철근량 및 라이닝 두께 축소로 설계 최적화
Ⅱ 설계기준 및 개념
【 설계기준 】
□ 터널설계기준 (국토해양부, 2007)
구 분 내 용
라이닝 두께
- 단면크기·형상, 지반조건, 작용하중 등을 고려 결정
- 소단면 기준 300mm를 표준(현장여건 감안 증감 가능)
콘크리트강도 - 표준강도 : 24Mpa (필요시 고강도 사용 가능)
* 철근 강도에 대한 기준은 별도 언급 없음
□ 기타 기준 [라이닝 콘크리트강도 설계기준]
구 분 배수형 터널 비배수형 터널
도로설계요령(2009) 21~24 MPa 27 MPa
도로설계편람(2011) 24 MPa 27 MPa
철도설계기준(2011) 21~24 MPa 27 MPa
철도설계편람(2011) 21~24 MPa 27 MPa
o 라이닝 고강도재료(콘크리트 27MPa, 철근 400MPa) 적용 사례
- 서울지하철 3호선 및 9호선 정거장 2-arch터널(비배수형터널)
- 원주~강릉간 복선전철(배수형터널)
- 수도권 수서~평택간 고속철도(비배수형터널)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터널공사
306
【 설계개념 】
□ 라이닝의 설계개념
o 배수형NATM 터널에서는 숏크리트와 록볼트 등의 1차 지보재가
시공단계에서 지반변위를 완전히 수렴시킨 후 라이닝을 시공
o 지반조건 열악 등 장기적으로 이완하중, 잔류수압 등의 추가응력
발생을 대비하여 라이닝(2차 지보재)이 부담하는 것으로 설계
□ 설계하중
① 이완하중
② 잔류수압
③ 라이닝 자중
④ 온도하중 및 건조수축 하중 등
* 이완하중과 잔류수압은 라이닝 해석의 주요 인자임
□ 설계방법
구 분 무근 콘크리트라이닝 철근 콘크리트라이닝
설 계 법
허용응력설계법
(발생응력<허용응력)
강도설계법
(극한강도<설계강도)
적용패턴 P-1~P-4 P-5, P-6(갱구부) 등
* 무근콘크리트 라이닝으로 허용응력 초과시 강도설계법 적용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터널공사
307
Ⅲ 라이닝 최적화 방안 검토
【 검토방향 】
o 라이닝 재료 강도 상향
- 콘크리트 : 24Mpa →27Mpa, 철근 : 300Mpa→400Mpa
o 라이닝 두께 축소
- 두께 : 표준 30cm → 25cm
【 검토내용 】
□ 검토조건
o 안정성 확보를 위해 가장 불리한 조건 적용
o 하중 및 지반정수는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등 13개 노선 31개 공구
사례 분석결과 적용
o 해석은 범용적인 모델링 및 프로그램 적용
구 분 적용조건(값) 비 고
지반조건 •지반정수 : 설계 적용사례 중 최소값
하중조건
•고정하중 : 무근(철근)콘크리트 단위중량
•잔류수압 및 이완하중 : 설계 적용사례 중 최대값
- 재하방식 및 하중조합 : 원형재하방식
•온도하중 및 건조수축하중 : 갱구부(P-6)에만 적용
해 석
•해석모델 : 지중골조모델
•경계조건 : 힌지조건
•지반반력계수 : AFTES 제안식
•프로그램 : MIDAS - CIVIL
o 재료강도 및 두께변화에 따른 CASE별 구조검토 시행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터널공사
308
① 무근콘크리트 구간
o 해석 CASE 선정 (Type-4 기준)
구 분 CASE-1 CASE-2 CASE-3 CASE-4
개 요 현설계기준 재료강도상향 두께축소
두께축소 및
재료강도상향
라이닝 두께 30cm 30cm 25cm 25cm
콘크리트강도 24Mpa 27Mpa 24Mpa 27Mpa
- 축소두께는 소화전 블록아웃(깊이 25cm) 및 지반의 불균일성 등을
감안하여 25cm만 검토
o 해석 결과(허용응력설계법)
천단부 발생압축응력 안전율(허용/발생응력) 비교
강도
두께
24Mpa 27Mpa
30cm
1.99
(CASE-1)
2.22
(CASE-2)
25cm
1.72
(CASE-3)
1.93
(CASE-4)
- CASE-4 적용시 현 설계기준(CASE-1) 보다는 안전율이 낮아지나
(1.99→1.93) 차이가 미미하며 안정성은 확보됨
* 현 설계기준(콘크리트강도 24Mpa)도 라이닝 두께는 15cm까지 축소 가능
o 경제성 검토 - “붙임#4” 참조
- CASE-4 적용시 : 터널공사비의 약 2.1억원/km 절감
* 콘크리트 재료 변경으로 터널공사비 약 0.3억원/km 증액 포함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터널공사
309
② 철근콘크리트 구간
o 해석 CASE 선정 (Type-5, 6 기준)
구 분 CASE-1 CASE-2 CASE-3 비 고
개요 현설계기준 재료강도상향
두께축소 및
재료강도 상향
라이닝 두께 30cm 30cm 25cm
콘크리트강도 24Mpa 27Mpa 27Mpa
철근 강도 300Mpa 400Mpa 400Mpa
o 해석 결과(강도설계법)에 따른 철근량 검토
CASE CASE-1 CASE-2 CASE-3 비 고
P-5
주철근 D22@125 H19@125 H22@125
단위철근량
1.361 ton
(100%)
1.065 ton
(78.3%)
1.361 ton
(100%)
P-6
주철근 D32@125 H25@125 H29@125
단위철근량
2.603 ton
(100%)
1.695 ton
(65.1%)
2.160 ton
(83.0%)
- CASE-2의 경우 철근량 최대 35% 감소(P-6 기준)
- CASE-3는 CASE-2에 비해 철근량 다소 증가(최대 17% 감소)
o 경제성 검토
- CASE-3 적용시 : 터널공사비의 약 4.5억원/km 절감
* 철근량 축소 : 2.4억원/km, 두께 축소 : 2.1억원/km
- CASE-2 적용시 : 터널공사비의 약 7.5억원/km 절감
* CASE-2는 무근콘크리트 구간의 공사비 증액으로 경제성 확보 곤란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터널공사
310
【 검토결과 】
□ 라이닝은 콘크리트 및 철근의 강도를 상향하여 설계적용
o 콘크리트 : 24Mpa→27Mpa, 철근 : 300Mpa →400Mpa
□ 라이닝 두께는 지반여건 등을 고려한 구조검토 결과에 따라 설계
자가 판단
Ⅳ 적용방안 및 기대효과
【 적용방안 】
□ 현재 설계중인 노선부터 설계 적용
(함양~울산, 당진~천안 등 4개노선 터널 61개소/79.6km)
□ 터널별 라이닝 관련 검토내용 : 설계보고서 수록 의무화
【 기대효과 】
□ 공사비 절감액 : 약 200 억원
o 라이닝 두께 축소 : 약 166억원
o 재료강도 상향(철근량 축소) : 약 38억원
□ CO2 저감량 : 약 6만 톤
o 철근량 축소 : 5,611 톤
o 콘크리트량 축소 : 53,384 톤
o 굴착량 축소 : 1,231 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