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포장공사

280

6-3 휴게소 광장부 포장 설계기준 개선 기술심사처-2693

(2013. 11. 15)

I 추진배경

휴게소 포장두께 결정방식에 대한 설계 적용기준 개선을 통하여

설계내실화 및 포장의 공용성 증진으로 고객 만족도 제고

Ⅱ 추진경위

□ 2003년 이전 : ILP(Interlocking Block Pavement) 위주 포장적용

구 분 계 I.L.P Ascon Con'c I.L.P+Con'c

포장현황

(개소/비율)

119개소

/100%

82개소

/68.9%

22개소

/18.5%

14개소

/11.7%

1개소

/0.9%

o I.L.P포장의 공용성 불량, 동절기 제설 염화물에 의한 포장 파손

o 중차량에 대한 적응성 불량, 잦은 유지보수 필요

□ 2003년 10월 : 휴게소 포장공법 검토(설계도10201-441)

소형차구간 : 칼라아스팔트포장 (TA설계법)

대형차구간 : 무근콘크리트포장 (AASHTO설계법)

o 소형차구간은 휴게소 경관 및 쾌적성 개선 목적

o 대형차구간은 중차량에 대한 적응성이 우수한 강성포장 적용(최소

두께 25cm)

□ 2011년 4월 : 휴게소 소형차구역 포장공법 개선 검토(설계처-763)

소형차구간 : 일반 아스팔트포장 적용

포장두께 결정 : AASHTO설계법 적용 (소형차 및 대형차 동일)

o 칼라아스팔트의 재료구득 곤란 및 일반아스팔트 대비 약 3배의 고가

o 탈색 및 표면오염 등 미관불량 및 균열, 들뜸 등 공용성 저하

o TA 설계법은 실질적 교통량 반영 미흡(대형차교통량 이용)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포장공사

281

Ⅲ 포장설계 현실태 및 문제점

□ 휴게소 이용교통량을 10년 목표교통량으로 적용

o 휴게소 규모(주차대수 등) 산정을 위한 교통량 산정시 적용하는

10년 목표교통량을 포장두께 결정시 적용

☞ 본선포장 및 진출입 연결로 적용 목표연도(일반적으로 20년)와

다르며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의 공용년수에 미달

□ 주차구역에 관계없이 휴게소 이용 전체교통량 적용

o 휴게소 주차구역은 소형 및 대형주차장으로 구분하였으나, 포장두께

결정 교통량은 휴게소 이용 전체교통량을 일괄 적용 설계

[휴게소 주차구역 구분]

☞ 소형차주차구간 포장 설계시 전체교통량 적용은 불합리

□ 대형차주차구간의 슬래브 최소두께 기준

o 일본 도로설계요령 규정에 의거 콘크리트 슬래브 최소두께를 25cm로

적용 (설계도10201-441, 2003.10)

o 도로설계요령에서 제시한 주차장 최소두께 20cm와 상이(2009)

☞ 시멘트 콘크리트포장 슬래브 최소두께 기준 재정립 필요

휴게소 포장의 합리적 두께결정을 위한

휴게 소 포장 설계 기준 개선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포장공사

282

Ⅳ 휴게소 포장설계 기준개선

구 분 현 재 개 선

설 계

교통량

o 공용개시 10년후 계획교통량 o 공용개시 20년후 계획교통량

※붙임#1 : 계획목표연도 조정 세부검토

적용구간

교통량

o 주차구간별(소형차, 대형차)

이용 교통량 일괄 적용

구 분 적용 교통량

소형차

주차구간 휴게소 이용

대형차 전체 교통량

주차구간

o 주차구간별(소형차, 대형차)

이용 교통량 분리 적용

구 분 적용 교통량

소형차

주차구간

휴게소 이용

소형차 교통량

대형차

주차구간

휴게소 이용

전체 교통량

※소형차 : 승용차, 소형버스, 소형트럭

시멘트

콘크리트

슬래브

최소두께

(Con'c)

o 최소두께 25cm 적용

※일본 도로설계요령 인용

:최소25cm(터널, 요금소등)로규정

(설계도10201-441, 2003.10)

o 최소두께 22cm 적용

(린포장시공허용오차15mm 고려)

※도로설계요령 제10편 포장(p192)

(표6.1)주차장포장구조산정적용기준

구 분

무근 줄눈 콘크리트

포장(슬래브 두께)

중차량 이용

주차장

20cm

최소

포장

단면

※공용성을감안하여중간층을설계에반영

슬 래 브 25

40cm

린콘크리트 15

슬 래 브 22

37cm

린콘크리트 15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포장공사

283

□ 적용시 유의사항

o 휴게소 이용률 : 신설 휴게소 인접 공용노선의 휴게소 이용률 및

노선특성 고려 적용(휴게시설 이용실태분석 연구결과에 따름)

o 휴게소 입지조건 등에 따라 차량 동선계획상 소형차주차구간에

규격 초과 차량의 이용여부를 검토하여 포장두께 결정

o 콘크리트 슬래브 두께에 따른 줄눈간격은 “붙임 #3”참고하여 적용

Ⅴ 적용방안

□ 자체 및 수탁 설계VE 검토노선 : 본 방침 적용

□ 설계중 또는 설계완료후 미발주노선 : 본 방침 적용

□ 공사중인 노선 : 공사주관부서에서 제반여건을 고려하여 적용여부 판단

Ⅵ 기대효과

□ 명확한 설계기준 제시를 통한 설계 내실화

□ 휴게소포장의 공용성 증진으로 고객만족도 향상 기여

붙 임 : 1. 휴게소 포장 계획목표연도 조정 검토

2. 포장두께 비교 검토(○○휴게소)

3. 휴게소 포장두께 산출(예)

4. 고속도로의 콘크리트 포장두께에 따른 줄눈간격 검토

5. 설계자문 조치내용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포장공사

284

붙 임 #1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포장공사

285

붙 임 #2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포장공사

286

소형차구역 포장두께 산출(예)

[소형차구역, AASHTO설계법]

설계CBR = 9.0, 동결심도 = 25.3cm, 계획목표년도=2037년(공용개시후 20년)

1. 개 요

▣ 8.2ton 단축하중 환산계수

구 분 승용차

버 스 트 럭

비 고

소 형 보 통 소 형 보 통 대 형 특 수

가요성 0.0001 0.0005 1.031 0.013 0.752 1.434 1.957

강 성 0.0001 0.0004 1.043 0.015 0.795 2.516 2.482

주)「도로 포장설계지침서 작성 및 자동차 축하중 조사연구 최종보고서」1988, 건설부 참조

▣ 설계차로 교통하중 산정

∙ 설계차로 교통하중

W'8.2 = W8.2 × DD

여기서 W8.2 : 양방향 누가 8.2ton 등가단축하중 교통량

DD : 방향별 분배계수(0.56)

▣ 휴게소 이용률

∙ 신설 휴게소 인접 공용노선의 휴게소 이용률 고려하여 적용

(이용실태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휴게시설 설치모델 연구, 2010)

시설의 종류 차종 이용률(%) 비 고

휴게소

소형차 19.4

버스 14.4

화물차 16.4

붙 임 #3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포장공사

287

2. 장래교통량 추정

▣ 장래 예상교통량

교통량 : AADT (대/일/양방향)

년 도 승용차

소형

버스

대형

버스

소형

트럭

보통

트럭

대형

트럭

특수차 합 계

2018 23,508 3,021 1,357 6,523 3,721 4,027 1,620 43,777

2019 23,622 3,035 1,364 6,555 3,739 4,047 1,628 43,988

2020 23,736 3,050 1,370 6,586 3,757 4,066 1,635 44,201

2021 23,851 3,064 1,377 6,618 3,775 4,086 1,643 44,414

2022 23,966 3,079 1,383 6,650 3,793 4,106 1,651 44,628

2023 24,105 3,097 1,391 6,689 3,815 4,130 1,661 44,888

2024 24,245 3,115 1,399 6,727 3,837 4,154 1,670 45,149

2025 24,386 3,133 1,408 6,766 3,860 4,178 1,680 45,411

2026 24,528 3,152 1,416 6,806 3,882 4,203 1,690 45,675

2027 24,670 3,170 1,424 6,845 3,905 4,227 1,700 45,941

2028 24,736 3,178 1,428 6,863 3,915 4,238 1,704 46,063

2029 24,801 3,187 1,432 6,881 3,926 4,249 1,709 46,185

2030 24,867 3,195 1,435 6,900 3,936 4,261 1,713 46,307

2031 24,933 3,204 1,439 6,918 3,947 4,272 1,718 46,429

2032 24,999 3,212 1,443 6,936 3,957 4,283 1,722 46,552

2033 25,053 3,219 1,446 6,951 3,966 4,292 1,726 46,653

2034 25,107 3,226 1,449 6,966 3,974 4,301 1,730 46,754

2035 25,161 3,233 1,453 6,982 3,983 4,311 1,733 46,855

2036 25,215 3,240 1,456 6,997 3,991 4,320 1,737 46,956

2037 25,269 3,247 1,459 7,012 4,000 4,329 1,741 47,057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포장공사

288

▣ 휴게소 이용 장래 예상교통량

교통량 : AADT (대/일/양방향)

년 도 승용차

소형

버스

대형

버스

소형

트럭

보통

트럭

대형

트럭

특수차 합 계

이용률 0.194 0.194 0.144 0.194 0.164 0.164 0.164

2018 4,561 586 195 1,265 610 660 266 8,144

2019 4,583 589 196 1,272 613 664 267 8,183

2020 4,605 592 197 1,278 616 667 268 8,223

2021 4,627 594 198 1,284 619 670 269 8,262

2022 4,649 597 199 1,290 622 673 271 8,302

2023 4,676 601 200 1,298 626 677 272 8,350

2024 4,704 604 201 1,305 629 681 274 8,399

2025 4,731 608 203 1,313 633 685 276 8,448

2026 4,758 611 204 1,320 637 689 277 8,497

2027 4,786 615 205 1,328 640 693 279 8,546

2028 4,799 617 206 1,331 642 695 280 8,569

2029 4,811 618 206 1,335 644 697 280 8,592

2030 4,824 620 207 1,339 646 699 281 8,614

2031 4,837 621 207 1,342 647 701 282 8,637

2032 4,850 623 208 1,346 649 702 282 8,660

2033 4,860 624 208 1,349 650 704 283 8,679

2034 4,871 626 209 1,351 652 705 284 8,698

2035 4,881 627 209 1,354 653 707 284 8,716

2036 4,892 629 210 1,357 655 708 285 8,735

2037 4,902 630 210 1,360 656 710 286 8,754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포장공사

289

▣ 단축환산 교통량(소형차)

년 도 승용차

소형

버스

소형

트럭

합계 연간교통량×106 누계교통량×106 비고

2018 0.5 0.3 16.5 17.3 0.006 0.006

2019 0.5 0.3 16.5 17.3 0.006 0.013

2020 0.5 0.3 16.6 17.4 0.006 0.019

2021 0.5 0.3 16.7 17.5 0.006 0.025

2022 0.5 0.3 16.8 17.6 0.006 0.032

2023 0.5 0.3 16.9 17.7 0.006 0.038

2024 0.5 0.3 17.0 17.8 0.006 0.045

2025 0.5 0.3 17.1 17.9 0.007 0.051

2026 0.5 0.3 17.2 18.0 0.007 0.058

2027 0.5 0.3 17.3 18.1 0.007 0.064 개통10년

2028 0.5 0.3 17.3 18.1 0.007 0.071

2029 0.5 0.3 17.4 18.2 0.007 0.078

2030 0.5 0.3 17.4 18.2 0.007 0.084

2031 0.5 0.3 17.4 18.2 0.007 0.091

2032 0.5 0.3 17.5 18.3 0.007 0.098

2033 0.5 0.3 17.5 18.3 0.007 0.104

2034 0.5 0.3 17.6 18.4 0.007 0.111

2035 0.5 0.3 17.6 18.4 0.007 0.118

2036 0.5 0.3 17.6 18.4 0.007 0.125

2037 0.5 0.3 17.7 18.5 0.007 0.131 개통20년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포장공사

290

▣ 설계차로 교통하중

년 도

일교통량

(대/일)

환산누가년교통량

(×106)

환산누가교통량

(×106)

비 고

2022 8,302 0.032 0.018

2027 8,546 0.064 0.036 개통10년

2032 8,660 0.098 0.055

2037 8,754 0.131 0.074 개통20년

※중방향 비율 : 0.56, 차로분배율 1.00

3.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설계

▣ SN관계식

SN = a1D1 + a2D2 + a3D3

(a1, a2, a3 : 포장각층의 상대강도계수, D1, D2, D3 : 포장각층의 두께 )

▣ CBR 및 노상지지력

설계 CBR 흙의 지지력치(SSV) 서비스

지 수

(Pt)

지역계수

노 상 보조기층 노 상 보조기층 (R.F)

9.00 50.00 4.90 7.80 2.5 1.5

▣ 소요 SN 산정결과

년 도 LOG10(W8.2)

보조기층 상면(표층+기층) 노상면(포장전체) 비

SSV 방정식계산 소요SN SSV 방정식계산 소요SN 고

2022 4.250 7.800 4.250 1.015 4.900 4.250 1.640

2027 4.557 4.557 1.174 4.557 1.856

2032 4.738 4.739 1.275 4.738 1.993

2037 4.866 4.865 1.348 4.866 2.095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포장공사

291

▣ 아스팔트 콘크리트포장 단면결정

구분

상대강도

계수

적용두께

(cm)

공용20년

비고

소요SN 설계SN

덧씌우기 0.157 0.0 0.000

표 층 0.157 5.0 0.785

중간층 0.145 7.0 1.015

기 층 0.110 10.0 1.100

소 계 22.0 1.348 2.900

보조기층 0.048 15.0 0.720

소 계 37.0 2.095 3.620

총 계 37.0

※ 소형변형 등 공용성 감안하여 중간층을 설계에 적용

▣ 단면구성(공용20년)

37

5 표 층

7 중 간 층

10 기 층

15 보 조 기 층

∘표 층(아스팔트 콘크리트) : 5cm ∘중 간 층 : 7cm ∘기 층 : 10cm ∘보 조 기 층 : 15cm

계 : 37cm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포장공사

292

대형차구역 포장두께 산출(예)

[대형차구역, AASHTO설계법]

설계(합성)CBR = 9.85, 동결심도 = 25.3cm, 계획목표년도=2037년(공용개시후 20년)

1. 개 요

▣ 8.2ton 단축하중 환산계수

구 분 승용차

버 스 트 럭

비 고

소 형 보 통 소 형 보 통 대 형 특 수

가요성 0.0001 0.0005 1.031 0.013 0.752 1.434 1.957

강 성 0.0001 0.0004 1.043 0.015 0.795 2.516 2.482

주)「도로 포장설계지침서 작성 및 자동차 축하중 조사연구 최종보고서」1988, 건설부 참조

▣ 설계차로 교통하중 산정

∙ 설계차로 교통하중

W'8.2 = W8.2 × DD

여기서 W8.2 : 양방향 누가 8.2ton 등가단축하중 교통량

DD : 방향별 분배계수(0.56)

▣ 휴게소 이용률

∙ 신설 휴게소 인접 공용노선의 휴게소 이용률 고려하여 적용

(이용실태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휴게시설 설치모델 연구, 2010)

시설의 종류 차종 이용률(%) 비 고

휴게소

소형차 19.4

버스 14.4

화물차 16.4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포장공사

293

2. 장래교통량 추정

▣ 장래 예상교통량

교통량 : AADT (대/일/양방향)

년 도 승용차

소형

버스

대형

버스

소형

트럭

보통

트럭

대형

트럭

특수차 합 계

2018 23,508 3,021 1,357 6,523 3,721 4,027 1,620 43,777

2019 23,622 3,035 1,364 6,555 3,739 4,047 1,628 43,988

2020 23,736 3,050 1,370 6,586 3,757 4,066 1,635 44,201

2021 23,851 3,064 1,377 6,618 3,775 4,086 1,643 44,414

2022 23,966 3,079 1,383 6,650 3,793 4,106 1,651 44,628

2023 24,105 3,097 1,391 6,689 3,815 4,130 1,661 44,888

2024 24,245 3,115 1,399 6,727 3,837 4,154 1,670 45,149

2025 24,386 3,133 1,408 6,766 3,860 4,178 1,680 45,411

2026 24,528 3,152 1,416 6,806 3,882 4,203 1,690 45,675

2027 24,670 3,170 1,424 6,845 3,905 4,227 1,700 45,941

2028 24,736 3,178 1,428 6,863 3,915 4,238 1,704 46,063

2029 24,801 3,187 1,432 6,881 3,926 4,249 1,709 46,185

2030 24,867 3,195 1,435 6,900 3,936 4,261 1,713 46,307

2031 24,933 3,204 1,439 6,918 3,947 4,272 1,718 46,429

2032 24,999 3,212 1,443 6,936 3,957 4,283 1,722 46,552

2033 25,053 3,219 1,446 6,951 3,966 4,292 1,726 46,653

2034 25,107 3,226 1,449 6,966 3,974 4,301 1,730 46,754

2035 25,161 3,233 1,453 6,982 3,983 4,311 1,733 46,855

2036 25,215 3,240 1,456 6,997 3,991 4,320 1,737 46,956

2037 25,269 3,247 1,459 7,012 4,000 4,329 1,741 47,057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포장공사

294

▣ 휴게소 이용 장래 예상교통량

교통량 : AADT (대/일/양방향)

년 도 승용차

소형

버스

대형

버스

소형

트럭

보통

트럭

대형

트럭

특수차 합 계

이용률 0.194 0.194 0.144 0.194 0.164 0.164 0.164

2018 4,561 586 195 1,265 610 660 266 8,144

2019 4,583 589 196 1,272 613 664 267 8,183

2020 4,605 592 197 1,278 616 667 268 8,223

2021 4,627 594 198 1,284 619 670 269 8,262

2022 4,649 597 199 1,290 622 673 271 8,302

2023 4,676 601 200 1,298 626 677 272 8,350

2024 4,704 604 201 1,305 629 681 274 8,399

2025 4,731 608 203 1,313 633 685 276 8,448

2026 4,758 611 204 1,320 637 689 277 8,497

2027 4,786 615 205 1,328 640 693 279 8,546

2028 4,799 617 206 1,331 642 695 280 8,569

2029 4,811 618 206 1,335 644 697 280 8,592

2030 4,824 620 207 1,339 646 699 281 8,614

2031 4,837 621 207 1,342 647 701 282 8,637

2032 4,850 623 208 1,346 649 702 282 8,660

2033 4,860 624 208 1,349 650 704 283 8,679

2034 4,871 626 209 1,351 652 705 284 8,698

2035 4,881 627 209 1,354 653 707 284 8,716

2036 4,892 629 210 1,357 655 708 285 8,735

2037 4,902 630 210 1,360 656 710 286 8,754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포장공사

295

▣ 단축환산 교통량

년도 승용차

소형

버스

대형

버스

소형

트럭

중형

트럭

대형

트럭

특수

트럭

합계

연간교통량

×106

누계교통량

×106 비고

2018 0.5 0.2 203.8 19.0 485.1 1,661.6 659.4 3,029.60 1.106 1.106

2019 0.5 0.2 204.8 19.1 487.5 1,669.7 662.6 3,044.40 1.111 2.217

2020 0.5 0.2 205.8 19.2 489.8 1,677.9 665.7 3,059.10 1.117 3.334

2021 0.5 0.2 206.7 19.3 492.2 1,686.0 668.9 3,073.80 1.122 4.456

2022 0.5 0.2 207.7 19.4 494.5 1,694.2 672.0 3,088.50 1.127 5.583

2023 0.5 0.2 208.9 19.5 497.4 1,704.1 676.0 3,106.60 1.134 6.717

2024 0.5 0.2 210.2 19.6 500.3 1,714.0 679.9 3,124.70 1.141 7.858

2025 0.5 0.2 211.4 19.7 503.2 1,724.0 683.9 3,142.90 1.147 9.005

2026 0.5 0.2 212.6 19.8 506.2 1,734.1 688.0 3,161.40 1.154 10.159

2027 0.5 0.2 213.9 19.9 509.1 1,744.2 692.0 3,179.80 1.161 11.320 개통10년

2028 0.5 0.2 214.4 20.0 510.5 1,748.7 693.8 3,188.10 1.164 12.484

2029 0.5 0.2 215.0 20.0 511.8 1,753.4 695.6 3,196.50 1.167 13.651

2030 0.5 0.2 215.6 20.1 513.2 1,758.0 697.4 3,205.00 1.170 14.821

2031 0.5 0.2 216.2 20.1 514.5 1,762.6 699.1 3,213.20 1.173 15.994

2032 0.5 0.2 216.7 20.2 515.9 1,767.3 700.9 3,221.70 1.176 17.170

2033 0.5 0.2 217.2 20.2 517.0 1,771.1 702.5 3,228.70 1.178 18.348

2034 0.5 0.3 217.7 20.3 518.2 1,774.9 704.0 3,235.90 1.181 19.529

2035 0.5 0.3 218.2 20.3 519.3 1,778.7 705.6 3,242.90 1.184 20.713

2036 0.5 0.3 218.6 20.4 520.4 1,782.5 707.1 3,249.80 1.186 21.899

2037 0.5 0.3 219.1 20.4 521.5 1,786.2 708.7 3,256.70 1.189 23.088 개통20년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포장공사

296

3. 설계입력 변수

▣ 설계차로 교통하중

년 도

일교통량

(대/일)

환산누가년교통량

(×106)

환산누가교통량

(×106)

비 고

2022 8,302 5.583 3.126

2027 8,546 11.320 6.339 개통10년

2032 8,660 17.170 9.615

2037 8,754 23.088 12.929 개통20년

※중방향 비율 : 0.56, 차로분배율 1.00

▣ 합성반력계수(K) : 756

o 동상방지층(SB-1)상단 반력계수(k)

CBR과 K값 상관도표

시방규정값(K)

적용

CBR 노상반력계수(K) (K)

9.85 201PCI K75 = 246PCI 246PCI

노상회복탄성계수 동방층두께

동방층탄성계수

(PSI)

log K K

MR = 5,904 PSI 3.937inch(10cm) 15,000 5.6498 284.23

o 린콘크리트상단 반력계수(k)

동방층반력

계수(k) PCI

동방층의

회복탄성계수

린콘크리트

두께

린콘크리트

탄성계수(PSI)

log K K

284.23

MR = 6,816

PSI

5.906inch

(15cm)

2,000,000 6.6276 755.65

▣ 서비스지수(PSI) : 4.5(초기서비스지수, Po), 2.5(최종서비스지수, Pt)

▣ 하중전달계수(J) : 2.9

▣ 콘크리트 슬래브 탄성계수(Ec) : 4,000,000 PSI

▣ 콘크리트 슬래브 설계휨강도(Sc) : 480 PSI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포장공사

297

4. 콘크리트 슬래브 두께 산정

▣ 설계방정식에 의한 슬래브두께 계산

년도 LOG10(W8.2)

콘크리트 슬래브 두께

비고

공용개시

년도

합성지지력(K) 방정식계산 D(inch) D(cm)

2022 6.495 756 6.495 6.437 16.35

Pt=2.5

Gt=-0.1761

공용5년

2027 6.802 6.801 7.623 19.36 공용10년

2032 6.983 6.983 8.309 21.11 공용15년

2037 7.112 7.112 8.801 22.36 공용20년

▣ 단면구성(공용20년)

슬 래 브 23

48cm

린콘크리트 15

동상방지층 10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포장공사

298

고속도로의 콘크리트

포장두께에 따른 줄눈간격검토

□ 개 요

o 콘크리트 포장 최소두께 재산정에 따른 줄눈간격 검토

o 콘크리트 포장의 최대줄눈간격은 슬래브 두께, 골재종류, 시멘트량,

기층/보조기층 종류, 기후조건에 따라 결정

□ 국외사례

o 국내 포장조건과 유사한 미국지역의 최소두께 및 줄눈간격 기준

- 린 또는 강성기층과 AP길어깨를 사용하는 주

구분 미국의 주

슬래브 최소 두께 줄눈간격

in cm ft m

1 California 8 20.3 12-15 3.7-4.6

2 Florida 6 15.2 15 4.6

3 Kansas 8 20.3 15 4.6

4 Minnesota 7 17.8 13-17 4.0-5.2

5 Missouri 8 20.3 15 4.6

6 Pennsylvania 8 20.3 20 6.1

7 Texas 8 20.3 - -

8 Wisconsin 6 15.2 18 5.5

9 West Virginia 8 20.3 - -

※ 국내 포장조건과 유사한 지역의 최소두께 및 줄눈간격 기준

붙 임 #4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포장공사

299

o 최대줄눈간격 산정방법

- 93’AASHTO 설계법에 제시된 경험적인 최대줄눈간격 산정 방

법은 슬래브 두께의 24배

- 미국콘크리트포장협회에서는 기층종류와 포장두께를 고려해

최대줄눈간격을 제시

□ 최소 두께에 따른 줄눈간격 검토

o 미국 사례에서 최소 두께 20cm를 적용하는 경우 줄눈간격은

3.7~4.6m로 나타나며, 펜실베니아주에서는 국내 포장의

줄눈간격과 동일한 6.1m를 적용함

o 포장의 컬링응력, 하부층과의 마찰 등을 고려할 때 포장 두께가

얇을 경우 줄눈간격을 적게 조정할 필요가 있음

o 줄눈간격 기준

- 슬래브 두께 25cm 이하 : 5m

- 슬래브 두께 25cm 초과 : 6m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포장공사

300

□ 최소 두께 설계시 고려사항

o 미연방도로청 기준(FHWA, 2007)에서 포장두께가 18cm 이상인

경우에는 다웰바의 직경을 최소 32mm이상으로 권고하며, 다웰바

제원은 기존과 동일하게 유지

o 안정적인 매설깊이를 유지하기 위해서 DBI(다웰바 자동삽입기)

시공을 권장하며 페이버 바이브레이터 깊이를 5cm이하로 조정

하는 것이 바람직 함

o 1차 줄눈절삭 깊이는 조정 (55mm)하고, 2차 줄눈절삭 깊이는

기존과 동일하게 유지

※ 최소 포장두께 줄눈 표준도(단위 : mm)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포장공사

301

휴게소 광장부 포장 설계기준 개선

설 계 자 문 조 치 내 용

□ 설계자문 개요

◦ 자문방법 : 서면자문

◦ 자문위원 : 경기대 김낙석 교수 등 5명

□ 자문 주요내용

자문

위원

주요 자문 의견 조 치 내 용 비고

김낙석

◦소형차 이용구간의 명확한 분리가

가능한지 검토 필요

(대형차 진입시 포장파손 우려)

◦휴게소 이용차량은 소형차 및 대형차

주차구역에따라분리운영하고 있음

◦포장설계시 휴게소 입지조건 등에 따라

소형차구간의 규격 초과 차량 이용

여부를 검토하여 포장두께 결정할 수

있도록 하였음

반영

이태옥

◦한국형 포장설계법과 AASHTO 설계법을

같이 검토하여 최적 설계법으로 적용

◦한국형 포장 설계법 검증 결과에 따라

적용여부 판단 필요

원안

적용

◦휴게소 이용 교통량 20년 적용, 최소

두께 22cm 적용 및 줄눈간격 적용은

모두 바람직함

- -

문형철

◦휴게소 이용 교통량 20년 적용, 최소

두께 22cm 적용 및 줄눈간격 적용은

모두 바람직함

- -

한승환

◦소형차 주차장의 교통량 산정에 소형차

교통량 적용은 타당함

- -

김형배

◦콘크리트 포장도 산출예 제시가 필요함◦AASHTO 설계법을 적용한 콘크리트

포장두께 산출예 제시

반영

◦낮춰진 콘크리트 포장 최소두께 적용에

따른시공세부사항(줄눈절단깊이, 다웰바

위치 등)을 보강하는 것이 필요함

◦콘크리트 포장 최소두께 적용에 따른

시공 세부사항 첨부 반영

붙 임 #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9827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2537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7151
137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4년_5-4_경관개선 및 유지관리 최소화를 위한 슬래브 교량 상하부 일체화 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06.27 2058
137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4년_5-5_강박스거더 교량 단부 우수유입 방지를 위한 종방향 보강재 접속부 처리방안 file 효선 2024.06.27 1078
137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4년_5-6_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성 향상을 위한 스트럿-타이 모델 적용 방안 file 효선 2024.06.27 1315
137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4년_5-7_강합성교 설계 최적화 방안 file 효선 2024.06.27 1075
137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4년_6-1_고속도로 포장수명 연장을 위한 저토피 암거상부 포장융기 방지대책 검토(안) file 효선 2024.06.27 955
137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4년_6-2_기후·환경을 고려한 터널내 콘크리트포장 줄눈설계 최적화 방안 검토.pdf file 효선 2024.06.26 1070
»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4년_6-3_휴게소 광장부 포장 설계기준 개선 file 효선 2024.06.26 1339
136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4년_7-1_터널 콘크리트라이닝 최적화 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06.26 887
136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4년_7-2_터널 옥외공동구 표준도 작성 file 효선 2024.06.26 907
136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4년_7-3_고속도로 터널 환기시설 설계 및 제연용 제트팬 산정기준 개정 file 효선 2024.06.26 1074
136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4년_7-4_2-Arch 터널의 결빙 방지대책 검토 file 효선 2024.06.26 1302
136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4년_7-5_터널 임시환기시설 설계기준 수립 file 효선 2024.06.26 1362
136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4년_7-6_터널조명 제어시스템 개선(안) file 효선 2024.06.26 1067
136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4년_7-7_터널구간 교통안전성 향상방안 file 효선 2024.06.26 1454
136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4년_7-8_터널 임시전기시설 설계기준 개선 file 효선 2024.06.26 853
136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4년_7-9_고속도로 터널 환기 및 방재용 슬림형 제트팬 적용방안 수립 file 효선 2024.06.26 957
135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4년_7-10_터널 대인용 피난연결통로 회전형 차단문 적용방안 수립 file 효선 2024.06.26 1195
135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4년_7-11_배수방식 변경(점배수→면배수)을 통한『터널세척수 처리시설』최적화 방안 file 효선 2024.06.21 1871
135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4년_7-12_터널 출구부 교통안전성 확보를 위한 직광영향 최소화 설계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06.21 1146
135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4년_7-13_운전자 시(視) 환경을 고려한 터널조명 밝기 환산계수 기준 개선 file 효선 2024.06.21 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