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기 타 ❙ 607

기 타

96

기 타

설계시 확장공사 회수자재 처리방안 검토 설계처-2187

(2014.09.01)

1 검 토 배 경

•확장공사시 발생하는 회수자재의 처리기준 부재

•회수자재의 재활용, 시공관리 편의를 고려한 처리방안 검토

확장공사시 철거되는 회수자재 중 불용대상인 3등급품은 운반 및 보관비용

등을 아낄수 있도록 설계내역에 고재처리 비용을 반영하는 방안 강구

2 관련기준 및 설계현황

□「물품관리예규」제39조(회수자재의 등급분류)

◦ 발생즉시 1~3급품으로 등급별 분류 후 관리

구 분 내 용

1급품

․ 회수된 원형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기능, 내용년수 등이

신품과 동일한 자재

2급품

․ 수리를 요하지 않고 재활용이 가능한 자재

․ 수리를 요하지만 재활용할 가치가 있는 자재

․ 장기간 사용계획이 없으나, 타기관에서 사용계획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재

3급품 ․ 1급 또는 2급품에 속하지 않는 자재로서 재활용이 불가능한 자재

◦ 등급분류는 반납조서(별첨 #1)의 결재로 갈음

◦ 3급품은 불용절차에 따라 해당자재에 대한 불용검토조서(별첨 #2)

및 사진 등 관련서류를 검토하여 결정

□ 확장노선 설계현황 (세부현황 별첨 #3)

구 분 철거 및 운반비 반영 철거비만 반영 철거 및 고재처리 반영

노 선

언양~영천,

평택~서평택

냉정~부산,

담양~성산,안산~일직

양재~기흥

〈냉정부산건설사업단 종합감사 (14. 3) 〉

608 ❙ 기 타

3 문제점 및 개선방안

□ 문 제 점

◦ 재활용 가능여부에 대한 검토 없이 철거비만 반영하거나, 철거 및

운반비 반영, 전량 고재처리로 반영하는 등 설계 일관성 부족

◦ 장기간(최소 5년)에 걸쳐 발생되는 확장공사 특성 고려시 회수자재의

분실․도난 등 현장관리가 곤란한 실정

◦ 발생하는 회수자재는 설계기준 변경, 노후화 등의 사유로 대부분

고재처리 대상임

◦ 유지관리부서는 노선내 미확장 구간 사고복구 등 활용을 위한 소수의

수량을 제외하고는 고재처리 희망(별첨 #4)

□ 개선방안

◦ 설계시 현장조사를 통해 회수자재를 등급별로 분류하여 재활용 가능

여부 판단

- 발생 회수자재 중 공사유용(부체도로, 우회도로 등) 우선 검토

- 유지관리부서 반납을 위해 회수자재의 훼손 정도, 미확장 구간 사고

복구 용도 활용여부․수량, 현 설계기준 적합 여부 등 고려 등급 분류

(유지관리부서 협조)

〈회수자재 처리 흐름도〉

기 타 ❙ 609

기 타

◦ 회수자재에 대해 등급별로 분류한 후 경제성을 검토하여 설계반영

- 재활용 불가시 철거 및 고재처리 비용 설계반영

- 재활용 가능 판단시 반납 운반비와 잔존가액 등 경제성을 검토하여

경제성 있는 경우 철거 및 반납 운반비 설계반영

- 재활용 가능 판단되나 운반비가 비싸 경제성이 없는 경우 철거 및

고재처리 비용 설계반영

◦ 공사시행 단계에서 공사 진척에 따라 회수자재 상태등급 등 여러가지

여건을 검토하고 유지관리부서와 협의하여 설계변경 정산처리

◦ 실시설계 체크리트스 변경 반영

구 분 설 계 현 황
당 초

 확장공사구간 기존 가드레일 지사 반납시 상차 및 운반

비용을 반영하였는가?

변 경

 확장공사구간 회수자재(가드레일, 가드레일 지주, 방음판 등)는

등급별로 분류하여 재활용 가능여부 판단 후 재활용 불가시

고재처리 비용을 설계에 반영하고, 재활용 가능 판단시 반납

운반비와 잔존가액 등 경제성을 검토하여 이를 설계에

반영하였는가?

※ 발생 회수자재의 90% 현장 고재처리시 7억원 예산절감 가능 (공사중 7개노선)

4 적 용 방 안

□ 2014年이후 확장설계 노선부터 적용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9841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2541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7158
141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8-2_부채경감을 위한 경제적 방음대책 시행 방안 file 효선 2024.08.05 1210
141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8-3_차선도색 시행기준 개선(안) file 효선 2024.08.05 1393
141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8-4_역주행 자동검지 시스템 시범구축 file 효선 2024.08.05 1036
141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8-5_고속도로 휴게소 속도제한 관련 시설 개설방안 file 효선 2024.08.05 1173
141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8-6_고속도로 건설공사 염수분사시설 설계 적용기준 검토 file 효선 2024.08.05 930
141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8-7_교량용 방호울타리 SB6 등급 적용기준 검토 file 효선 2024.08.05 1156
140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8-8_방음시설 설치 및 관리 지침 file 효선 2024.08.05 1290
140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8-9_도로표지 시인성 향상 방안 file 효선 2024.08.05 892
140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8-11공사중 방음벽 형식선정 기준 개선 file 효선 2024.08.05 947
140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8-12울타리 적용기준 개선 및 기술 개발 file 효선 2024.08.05 1949
140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9-1_복합휴게시설 부지확보방안 file 효선 2024.07.26 760
140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9-2_건설사업단 감독차량 운영 개선방안 file 효선 2024.07.26 752
140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9-3_국민행복 휴게시설 설치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07.26 870
140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9-4_사업기간을 고려한 실시설계 최적화 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07.26 659
140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9-5_태양열급탕시스템 집열기 설치가대 기초 시공 개선 file 효선 2024.07.26 565
»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9-6_설계시 확장공사 회수자재 처리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07.26 716
139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9-7_케이블트레이 품질 개선 file 효선 2024.07.26 1098
139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9-8_2020 스마트톨링 대비 영업소 규모 개선 방안 수립 file 효선 2024.07.26 793
139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9-9_슬림형 영업소 도입에 따른 건축기계설비 설계기준 개선 file 효선 2024.07.26 590
139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9-10_콘크리트용 화학혼화제 품질기준 개선 적용 알림 file 효선 2024.07.26 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