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9-1_복합휴게시설 부지확보방안
2024.07.26 17:32
09 기 타
9-1 복 합 휴 게 시 설 부 지 확 보 방 안
9-2 건 설 사 업 단 감 독 차 량 운 영 개 선 방 안
9-3 국 민 행 복 휴 게 시 설 설 치 방 안 검 토
9-4 사 업 기 간 을 고 려 한 실 시 설 계 최 적 화 방 안 검 토
9-5 태 양 열 급 탕 시 스 템 집 열 기 설 치 가 대 기 초 시 공 개 선
9-6 설 계 시 확 장 공 사 회 수 자 재 처 리 방 안 검 토
9-7 케 이 블 트 레 이 품 질 개 선
9-8 2020 스 마 트 톨 링 대 비 영 업 소 규 모 개 선 방 안 수 립
9-9 슬림형 영업소 도입에 따른 건축기계설비 설계기준 개선
9-10 콘 크 리 트 용 화 학 혼 화 제 품 질 기 준 개 선 적 용 알 림
9-11 건 설 사 업 단 업 무 보 조 원 운 영 개 선 방 안
기 타 ❙ 587
기 타
91
기 타
복합휴게시설 부지확보방안 설계처-454
(2014.02.15)
1 검 토 목 적
□ 다양한 고객욕구 충족 및 재무구조 개선을 위하여 복합휴게시설
개발 확대 필요
□ 고속도로 건설계획 단계시 복합휴게시설 설치방안 검토기준 부재
◦ 건설계획 단계시 복합휴게시설 설치를 위한 타당성 검토 및 부지
확보 등 업무처리 방안 마련
고속도로 건설계획 수립시 개발부지 확보방안 등 복합휴게시설
개발계획을 검토 (2014.1.24. 민자휴게시설 현장경영시 지시사항)
2 휴게시설 설치기준 및 절차
□ 설치기준
◦ 휴게시설 종류 (도로의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국토해양부)
구 분 특 성
일반휴게소
사람과 자동차가 필요로 하는 서비스 제공
구비시설 : 주차장, 녹지, 차량정비소, 화장실, 식당 등
간이휴게소
짧은 시간 내에 차량정비, 운전자 피로회복
구비시설 : 주차장, 녹지, 화장실, 매점 등
졸음쉼터
휴게소간 간격이 큰 구간(25km 이상)에 졸음운전 방지
구비시설 : 주차장, 화장실 등
※ 복합휴게시설 : 일반휴게시설+고급화, 다양화된 서비스(환승,업무,쇼핑 등)
588 ❙ 기 타
◦ 배치기준 (도로의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국토해양부)
구 분 | 표준간격(km) | 최대간격(km) |
모든 휴게시설 상호간 | 15 | 25 |
일반휴게시설 상호간 | 50 | 100 |
※ 교통량, 운영수익 등을 고려 일반휴게소를 배치하고 사이에 간이, 졸음쉼터 배치
◦ 부지면적 (유료도로 휴게소 부지면적 산출지침, 국토해양부)
- 교통량에 따라 부지면적 차등 적용
․주차장면적 + 건물물부지(휴게소, 주유소) + 녹지 등 기타
* 주차장면적 : 차종별 교통량×이용율×(혼잡율/회전율)×차종별 1대당 주차면수
* 건축물부지 : 교통량에 따라 부지면적 산정
* 녹지 등 : 녹지, 가감속차로, 기타면적 등에 소요되는 면적
※ 복합휴게시설 부지면적은 일반휴게시설 대비 -24% ~ 200% 수준임
□ 휴게시설 설치절차
◦ (설계단계) 휴게시설 종류, 위치 및 부지 확보 (설계처, 휴게시설처)
◦ (시공단계) 건축설계 및 시공 (준공 3년전, 시설처)
◦ (시공단계) 휴게소 운영업체 선정 (준공 2개월전, 휴게시설처)
※ 기존 복합휴게시설 설치 업무흐름
① 사업타당성 분석 (도로사업처)
② 직접투자 또는 민자유치 결정 (직접투자사례 없음)
③ 사업자 모집공고
④ 우선협상대상자 선정(협약체결)
⑤ 설계 및 공사시행
⑥ 운영개시
기 타 ❙ 589
기 타
3 복합휴게시설 설치 검토
【복합휴게시설】
기존 휴게소의 단순 휴식기능에서 문화/테마체험, 레져․쇼핑, 전문식당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게시설
※ 향후 물류/유통, 대중교통 환승, 업무시설 등 공익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변화예정
□ 설치 절차
설계단계
◦휴게시설 설치계획 수립시 복합휴게시설 대상지 선정
◦개발컨셉 및 소요부지 면적 결정
⇩
건설단계
◦대상지에 대한 사업타당성 분석
◦운영방식(직접투자, 민자유치) 결정
복합휴게시설 대상지 선정 : 설계단계
◦ 휴게시설 계획 수립 시 복합휴게시설 대상지 선정
◦ 복합휴게시설 개발 컨셉(안) 및 소요부지면적 결정
◦ 대상 휴게시설 검토
- 설계중 노선 : 2개소 (총 18개소, 427km)
- 건설중 노선 : 2개소 (총 14개소, 436km)
구 분 교통량
(대/일, 양측)
비 고
노 선 휴게소명
설계중
서울~세종 고삼 106,110 교통량이 많고 저수지와 인접하여 관
광, 쇼핑, 물류, 환승거점으로 개발가능
김포~파주 파주 52,665 교통량이많고인근에신도시가위치하
여쇼핑, 물류, 환승거점으로개발가능
건설중
밀양~울산 울주 45,941 주변관광지와연계하여개발가능
부산외곽 김해 41,691 교통량이많고인근에대도시가위치하
여 물류, 환승거점으로개발가능
590 ❙ 기 타
※ 복합휴게시설 설치대상지
․교통량이 많아 쇼핑, 문화, 휴식공간으로 활용 가능한 지역
․산업단지가 인접하여 물류수요가 높은 지역
․대도시, 관광지의 배후도로로 개발이 가능한 지역 등(IC 복합기능)
복합휴게시설 개발 방안 수립 : 건설단계
◦ 복합휴게시설 설치 대상지에 대한 사업타당성 분석
◦ 운영방식 결정 : 수익성 분석을 통한 직접투자 또는 민자유치 결정
4 검 토 결 론
□ 건설계획 단계부터 복합휴게시설 설치방안 검토 추진
◦ 설계중인 노선은 대상노선 실시설계시 검토
◦ 건설중인 노선은 해당부서별로 사업타당성 분석 및 운영방식 결정
붙 임 #1. 휴게시설 현황 및 현황도
#2. 복합휴게시설 현황
#3. 계획중인 노선의 휴게시설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