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부대공 ❙ 565

부대공

811

부 대 공

울타리 적용기준 개선 및 기술 개발 환경품질처-48

(2015.1.8)

1 추진배경

o 울타리 적용기준 개선 및 기술개발을 통한 문제점 해소

- 절토부 상단설치, 현장타설콘크리트 기초로 인한 시공성 저하

- 능형울타리의 경관불량 및 경제성 저하

- 방형울타리의 내구성 취약 및 그로인한 확대적용 제약

□ 현 울타리 적용기준

구 분 능형(2006년, 1,275km 시공) 방형(2008년, 128km 시공)

사 진

장단점

•경관불량, 경제성 저하

•내구성 우수

•경관․경제성 우수

•피압식물에 대한 내구성 취약

적용기준 비가시권 구간 가시권 구간, 유지관리 용이지역

설치위치 절토부 상단, 성토부 하단 등 부지경계 위주 설치

기초형식 현장타설 콘크리트 기초 (지주간격 2~3m)

□ 현행 기준의 문제점

o (설계) 절토부 상단 부지 경계 설치로 연장 과다 설치

유 도 울 타 리

*붙임 1 : 기존 방형 울타리 유지관리 현황

566 ❙ 부대공

o (시공) 기초 콘크리트 타설로 시공성 저하

기초 상단 토사 유실로 전도 등 훼손 발생

인력시공에 의존하여 작업속도 저하

o (유지관리) 방형은 경제성은 우수한 반면 피압식물에 쉽게 훼손되는

단점으로 실무부서의 적용 기피 현상

넝쿨에 의한 훼손 인력에 의한 훼손 망 처짐

2 추진경과

조사

선진 기술 조사 및 도입 검토 (뉴질랜드, 호주, 유럽, 미국 등)

⇒ 외국은 방형 울타리를 적용 (긴장력 도입으로 내구성 문제 해소)

추진

방향

방형의 장점은 취하고, 시공성 및 내구성에 약한 단점을 개선

기술

개발

평가

• 절토부 시공위치 : 하단설치

• 기 초 : 타입식 기초 적용

• 방현망 : 긴장력 도입

개발 기술 시험시공

(중앙선 325k, 7km, 4억원)

기술 적용성 평가(성능평가 위원회 구성, 울타리 시공업체 간담회)

*붙임 2 : 외국의 방형울타리 적용 사례

부대공 ❙ 567

부대공

3 시험시공 성능평가 및 적용방안

1 성능평가 위원회 구성 및 운영

 울타리 성능평가위원회 구성 운영 (2014.10.16) : 도공 실무자 7인

 울타리 시공업체 기술간담회 (2014.11.11) : 시공업체 20개사

2 성능 평가

 절토부 시공 위치 개선 : 절토부 하단 설치로 시공성, 경제성, 경관 증진

 기초 변경 : 인력 현타기초를 기계화 타입으로 변경하여 시공성 향상

 방형 긴장력 도입 : 시공후 처짐 및 훼손 → 긴장력 도입으로 개선

□ 절토부 시공위치 변경

당초 (절토 상단 설치) 개선 (절토 하단 설치)

․연장 과다

․시공성 저하

․울타리 유지

관리 곤란

․연장 단축

․시공성 개선

․울타리 유지

관리 편이

☞ 절토부 하단설치로(직선화) 경제성 및 시공성 증진

□ 기초형식 변경

당초 (콘크리트 기초, 3m 간격) 개선 (핸드드릴 지주 타입, 5m 간격)

PVC #8, 아연도금 #10

PVC코팅망(#8),아연도금망(#10)

능형망

횡선(PVC #8, 아연도금 #10)

능형망

PVC #8선, 아연도금 #10x50x50

울타리 측면도 상세도 "A" 상세도 "B" 상세도 망고정핀

[재 료 표]

야 생 동 물 유 도 울 타 리(2)

야생동물유도울타리(H1.2) 정면도

? 6x70

후 레 임

망고정

주주

능 형 망

PVC #8x50x50

후 레 망고정선

규 격 비 고

주주캡

주주

품 명

후레임

연결판

능형망

횡선

망고정선

․인력시공

․시공성 저하

․기초세굴 등

훼손 발생

1500

상세 A

측 면 도

1000

80 320 500 600

․기계화 시공

․시공성 우수

․지주근입으로

내구성 강화

☞ 현타기초의 시공성 저하 해소 및 지주 안전성 향상(전도저항 7% 향상)

568 ❙ 부대공

□ 방형망 긴장력 도입

당초 ( - ) 개선 (긴장력 도입)

피압식물에

쉽게 훼손

(장력 30~60kg)

시공후 장력

1.6~3.3배 증진

(장력 100kg이상)

☞ 기존 형식의 방형망 처짐 및 훼손 문제점 해소 가능

□ 경제성

구 분 능 형 기존방형

신기술

(新방형)

비 고

단 가(직공비) 59,000/m 38,000/m 43,000원/m

단가 - △35% △27%

절토부 하단설치 - △10% / 절토부1개소

절토부 1개소당

연장 약 10% 축소

*품질향상(방형망 및 지주 품질 강화)에 따른 단가 상승 요인 발생

3 적용방안

□ 절토부 시공위치 하단 조정(직선화) : 경제성․시공성 우수 → 즉시 적용

□ 긴장력 도입 및 기초형식 변경

o 기존 방형의 주요 단점을 해소할 수 있어 확대적용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나, 일시 확산시 기술력 소유 특정업체의 독과점 현상 우려

o 따라서, 시험시공제품을 확산하기 보다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성능만을 적용기준으로 제시하여 지속적인 기술 개발을 유도

o 또한, 타업체의 기술 습득 여유시간, 장기내구성 확인을 감안하여,

2015년 추가 시험시공 및 모니터링을 통해 최종 확산방안을 마련

*붙임 3~5 : 시험시공 결과 사진대지, 구조검토 결과, 성능평가위원회 구성 및 평가

부대공 ❙ 569

부대공

4 新기술 확산방안

□ [1단계, 금번방침] 잠정성능기준 수립

o 기존 방형의 단점을 개선할 수 있는 최소한의 성능기준 제시

구 분 현 행 개 선 비 고

방형 적용성

가시권, 유지

관리 용이 지역

전구간 적용

(경사구간*제외)

내구성 문제 해소로

확대 적용 가능

방형망 인장강도 290Mpa/㎟ 700Mpa/㎟ 긴장력 도입으로 강화

기초

형식 콘크리트 지주 타입

시공성 개선

간격 3m 5m

지주 종류 SPS400 STK500

지주 타격에 따른

강도 강화

시공후 방현망 장력 - 100kg 이상 처짐 방지

*경사구간 : 잦은 긴장력 도입으로 경제성 저하 (능형 110%) ⇒ 경사구간은 능형적용

□ [2단계, 2015년] 추가 시험시공 및 모니터링

(공용중 노선) 피압식물 구간, 성토부 등 다양한 지역에 추가 시험시공

- 2015년 계획 물량의 50% 가량 적용 (대상구간은 현장조사후 추후 결정)

(건설중 노선) 절토부 하단으로 시공위치 조정은 즉시 적용 가능

- 개선성능 적용은 현장여건을 고려하여 공사시행부서에서 적용여부 판단

□ [3단계, 2016년] 성능기준 정립 및 전면 확대 적용

o 모니터링 → 성능기준 정립(문제점 도출 및 보완) → 전면 확대 적용

* 피압식물, 제설작업에 대한 내구성 실 검증 / 시간경과에 따른 장력 손실 확인

*붙임 6~7 : 잠정 성능 및 시방기준, 예시도면 및 단가산출서

긴장력 도입 및 기초형식 변경

570 ❙ 부대공

5 기대 효과 및 향후계획

□ 기대효과

o (설치위치 조정) 절토부 하단 설치 및 직선화

- 사업비 절감 약 30억원 (공용중, 건설중 노선 적용시)

- 시공성 향상 (절토부 상단 작업 → 평지작업)

o (신기술 개발) 타입식기초 및 시공후 방형망 장력기준 도입

- 시공성 : 시공시간 단축 (50m/일→200m/일, 4인 일조 기준)

- 내구성 : 시공후 장력 30kg → 100kg 이상으로 증진 (약 3.3배 향상)

o (성능기준 제시) 기존 방형 문제점 해소를 위한 성능기준만 제시

- 성능기준을 충족할 수 있는 타 우수기술 개발 유도

□ 향후 계획

o 2015. 1 : 울타리성능기준 개정 예정 울타리 협회 통보

- 2016년 이후 전면 확산에 따른 업체의 사전 준비 유도

o 2015. 2 ~ 7 : 신기술 추가 시험시공 대상구간 결정 및 공사시행

o 2015. 7 : 성능평가위원회 구성 및 현장 모니터링

o 2015. 8 : 울타리 성능기준 정립

*성능기준을 만족하는 경제성, 시공성, 기능성 우수 제품 지속 발굴 (계속)

부대공 ❙ 571

부대공

붙임 4

572 ❙ 부대공

부대공 ❙ 573

부대공

574 ❙ 부대공

부대공 ❙ 575

부대공

576 ❙ 부대공

부대공 ❙ 577

부대공

578 ❙ 부대공

붙임 6

신기술(신방형) 잠정성능 및 시방기준

1. 유도울타리 설치공사

가. 종류별 사양

1) 야생동물 유도울타리의 구성은 크게 지주와 방형망으로 이루어지며, 부품의

명칭 및 재료는 아래 표와 같다.

2) 야생동물유도울타리에 사용되는 주재료는 아래 표시된 규격 또는 이와 동등한

이상의 품질을 가지며, 그 기능을 발휘 하는                                                                                                                                                                                                                                                                                                                                                                                                                                                                                                                                                                                                                                                                                                                                                                                                                                                                                                                                                                  

품 명

규 격 단위 표면처리
지 주  Φ48.0×2.3t M 용융아연도금
지주캡 Φ48.0×2.3t EA "
방형 울타리망 Φ2.5이상

"

보조 지주 Φ48.0×2.3t M "

  

나. 재질

1) 방형망의 재질은 KSD7011에 적합한 것이어야 하며, 용융아연도금이 된 제품이어야 한다.

2) 지주 및 보조지주의 재질은 KSD3566(일반구조용 탄소강관)에 적합하고 STK 500

이상이어야 한다.

3) 볼트, 너트의 재질은 KSB1002(육각볼트) 및 KSB1012(육각너트)의 규정에 적합

한 것이어야 한다.

4) 지주캡, 고정 클립 등 기타 부속 자재는 KSB3503에 적합한 용융아연도금 제품이

거나 동등이상의 성능을 가질수 있는(알루미늄, 스테인레스 등) 제품이어야 한다.

다. 제작

1) 모든 자재의 형태, 무게, 길이 및 단면은 기준도면과 맞아야 하며, 기준도면에

일치하도록 천공되도록 하여야 한다.

2) 절단, 천공, 프레스 작업 중 재료에 굴곡, 균열 등이 발생하여서는 아니 된다.

3) 천공은 정확한 위치에 뚫어야 하며, 허용오차는 0.5mm 이내이어야 한다.

부대공 ❙ 579

부대공

4) 자재는 가공 시 용접, 가열 등으로 인하여 기계적 성질이 변화하여서는 안되며, 거친

면이 없이 깨끗이 다듬질 되어야 하고 완성된 제품은 뒤틀림, 휨 등이 없어야 한다.

5) 모든 제품의 아연부착량은 KS기준 이상이어야 한다.(단, 방형망의 용융아연부착량은

185g/㎡ 이상이어야 한다.)

6) 방형망의 인장강도는 700N/㎟이상이어야 한다.

7) 방형망의 망목 규격은 다음의 기준 이상으로 제작되어야 한다.

• 선 규 격 : φ2.5mm 이상

• 세로간격 : 150mm 이하

• 가로간격 :

- 높이(H) 0~80cm 까지 : 100mm 이하

- 높이(H) 80cm초과 : 100mm~200mm

• 결속방법

방형망의 가로선과 세로선이 교차되는 모든 곳은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여 매듭형

식으로 결속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변형이 없도록 단단하게 제작하여 감독원의

확인을 받은 후 반입하여야 한다.

• 제작형태

야생동물의 진입차단과 경관을 고려하여 방형망의 상․하간격은 하단부에서는

좁으며 상단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로 제작되어야 한다.

8) 방형망의 망목표면은 동물의 접촉(충격)이 있을 시에도 피해가 없도록 돌출부분이 있

어서는 아니 된다.

9) 아연도금은 사전에 모든 재료 표면의 녹, 먼지, 불순물 등을 완전히 제거한 후

시행하여야 한다.

라. 제품

1) 모든 제품은 소정의 치수에 맞아야 하며, 휘어지거나 요철이 있어서는 안된다.

2) 볼트, 너트, 와셔는 전 표면이 용융아연도금 제품이거나 동등이상의 성능을 가질 수

있는(알루미늄, 스테인레스 등) 제품이어야 한다.

3) 도금은 전 제품에 대하여 균일하게 마무리 하여야 하고, 광택에 심한 차이가 있어

서는 아니 된다.

4) 제품의 일부가 도금되지 않았을 때에는 재도금 하여야 한다.

5) 완성된 제품은 안전하게 현장까지 운반, 하차하여야 하며, 불량품은 재제작하여

납품하여야 한다.

6) 납품시에는 아연도금 보호를 위하여 비닐로 포장하여 운반하여야 한다.

580 ❙ 부대공

마. 제품의 검사

1) 공장 점검 및 현장반입시 외부 의뢰시험을 통해 품질기준을 확인하여야 한다.

2) 제품의 검사는 검수원의 지시에 따르며, 외관검사, 치수검사 및 부착량 시험으로

구분한다.

3) 외관검사는 제품 모두에 대하여 실시하며, 도금되지 않은 곳, 흠, 변색 등 외관상

결격유무를 공장에서 검사하여야 한다.

4) 제품의 포장 및 운반중에 일어나는 형상과 치수의 변화는 방지하여야 하며, 시공시

이를 바로 잡아야 한다. 또한 도금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하며, 미

관상 유해한 결점이 있는 것은 가려내어 교환하여야 한다.

5) 모든 부재의 아연도금 부착량 시험은 KSD0201중 염화안티몬법(간접법)에 의하여

시험하여야 한다. 다만, 판형부재의 경우 감독원의 승인을 받아 전자식 도막측정기

로 시험할 수 있다.

6) 제품의 성능 및 기능확보 등의 검증을 위해 필요시 본부 주관부서 및 산하 수요

기관에서는 납품자에게 시험을 요구할 수 있고, 납품자는 검사에 필요한 일체의

비용을 부담한다. (물품구매계약 일반조건 제19조 참고)

바. 설치

[방현망]

1) 유도울타리 설치 시 도면을 기준으로 현장에서 측량 후 감독자의 확인을 받고

설치하여야 한다.

2) 울타리와 지면 사이의 틈을 최소화하기 위해 설치지역의 잡목제거를 한 후 설치

하여야 한다.

3) 교체변경 및 재설치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어야 한다.

4) 동물에 의한 충돌 등 외력에 의한 손상이 울타리 전체로 확산되지 않도록 일정한

외력 이상일 때는 망이 체결구로부터 빠져 나올 수 없는 구조여야 한다.

5) 설치되는망은휨없이펼쳐서유동없도록결속시공하여야하며,

시공후텐션측정기를활용해측정된장력이모든지점에서 100kg

이상을 유지 하도록단단히고정하여야한다.

6) 지면과 아래 망이 만나는 지점은 지면과 꺽쇠 등을 이용하여 밀착 시공하여 공

극을 최대한 줄여야 하고 부득이한 경우 최소 5cm이하여야 한다.

부대공 ❙ 581

부대공

7) 지하박스, 배수파이프 등 통로와 만나는 지점은 동물들의 도로침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도로시설물과의 이격공간 없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8) 울타리형식은 설치지점의 지면요철에 따라 시공 중 감독관과 협의 후 변경할 수

있다.

9) 울타리가 지나는 도수로 등의 시설물이 만나는 지점은 적정한 규격의 차단막을

설치하여야 한다.

[지주]

1) 지주는 수평 및 수직을 맞춰야 하며, 제 위치에 바르게 설치하여야 한다.

2) 지주를 타입식 기초 적용을 원칙으로 하되, 현장여건상 부득이한 경우에는 감독

원의 승인을 받아 변경할 수 있다.

3) 지주 간격은 5m로 하고, 근입깊이는 최소 65cm 이상으로 하되, 방현망에 긴장력

도입시 경간지주(단부 및 중앙부)는 최소 근입깊이(토공구간 1m, 암구간 60cm)

이상을 확보하여야 한다. 단, 구조검토를 통해 동등이상의 전도저항력을 확보할수

있는 지주로 대체할 경우에는 감독원의 승인을 받아 변경할 수 있다.

4) 내부로 침투한 수분의 배출 및 건조가 용이하게 행해지도록 주주의 내부는 외

부와 통해서 있어야 한다.

5) 지주 사이의 각 경간에서 울타리의 높낮이 또는 경사도에 따라 부분적인 임의

조정이 가능하여야 한다.

[출입문]

1) 유도울타리의 설치 시 도로 유지관리를 고려하여 절·성토부 경계지점, 방음벽 연

결지점, 절토부 점검로 등 출입이 필요한 지점에 출입문을 설치하여야 한다.

2) 유도울타리 출입문은 개방 시 양서파충류 및 소형동물의 이동을 고려하여 지면

에서 높이 50cm까지는 울타리망이 설치되게 하여야 한다.

3) 출입문은 중력을 활용한 경사형의 설치를 원칙으로 하며, 콘크리트 위를 지나는

지역 등은 앵커형의 시설을 설치한다.

582 ❙ 부대공

부대공 ❙ 583

부대공

584 ❙ 부대공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9838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2541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7157
141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8-2_부채경감을 위한 경제적 방음대책 시행 방안 file 효선 2024.08.05 1210
141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8-3_차선도색 시행기준 개선(안) file 효선 2024.08.05 1393
141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8-4_역주행 자동검지 시스템 시범구축 file 효선 2024.08.05 1036
141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8-5_고속도로 휴게소 속도제한 관련 시설 개설방안 file 효선 2024.08.05 1173
141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8-6_고속도로 건설공사 염수분사시설 설계 적용기준 검토 file 효선 2024.08.05 930
141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8-7_교량용 방호울타리 SB6 등급 적용기준 검토 file 효선 2024.08.05 1156
140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8-8_방음시설 설치 및 관리 지침 file 효선 2024.08.05 1290
140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8-9_도로표지 시인성 향상 방안 file 효선 2024.08.05 892
140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8-11공사중 방음벽 형식선정 기준 개선 file 효선 2024.08.05 946
»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8-12울타리 적용기준 개선 및 기술 개발 file 효선 2024.08.05 1949
140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9-1_복합휴게시설 부지확보방안 file 효선 2024.07.26 760
140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9-2_건설사업단 감독차량 운영 개선방안 file 효선 2024.07.26 751
140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9-3_국민행복 휴게시설 설치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07.26 870
140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9-4_사업기간을 고려한 실시설계 최적화 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07.26 659
140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9-5_태양열급탕시스템 집열기 설치가대 기초 시공 개선 file 효선 2024.07.26 565
140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9-6_설계시 확장공사 회수자재 처리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07.26 716
139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9-7_케이블트레이 품질 개선 file 효선 2024.07.26 1098
139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9-8_2020 스마트톨링 대비 영업소 규모 개선 방안 수립 file 효선 2024.07.26 792
139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9-9_슬림형 영업소 도입에 따른 건축기계설비 설계기준 개선 file 효선 2024.07.26 590
139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9-10_콘크리트용 화학혼화제 품질기준 개선 적용 알림 file 효선 2024.07.26 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