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부대공 ❙ 559

부대공

810

부 대 공

공사중 방음벽 형식선정 기준 개선 설계처-2767

(2014.11.10)

1 검 토 배 경

◇ 공사중에 발생되는 소음피해 방지를 위해 임시로 방음벽*을

설치하나 강풍에 의한 전도피해 발생

* 가시설로 도면을 미제시하나, 단가가 비계형식(강관) 손료로 구성되어

대부분 비계형식 시공

◇ 공사중(가설) 방음벽 안정성을 위하여 형식의 다양화에 따른

높이, 풍속 등을 고려한 공사중 방음벽 적용형식 개선 필요

※ 강풍에 의한 가설방음벽 피해 전경

2 그간 추진경위

 가설방음벽 설치 적정성 검토(’99.11)

o 3.0m 높이를 표준으로 시판자재를 사용하여 설치

- V=25m/sec로 검토, 바람의 영향이 큰 곳에서는 별도 검토 필요

 가설방음벽 지지기구 개선 검토(`04.06)

o 수직 및 수평 지지기구 개선 : 당초 용접 → 개선 기성제품(H형 및 ㄷ형강)

 표준도 개정 및 관리방안 수립(`08.11)

o 표준도면 불필요 삭제, 다양한 공법 적용 가능

560 ❙ 부대공

3 실 태 분 석

비계형식의 가설방음벽은 높이 증가 및 강풍에 의한 잦은 전도

사고 발생, 강관의 비규격 길이 사용으로 자재활용 불편, 수직 및

수평지지대에 의한 가설방음판 미생산

 강풍에 의한 잦은 전도사고 발생

o 가설방음벽 설치기간(12개월) 내 전도사고 발생

- 비계형식의 경우 높이 3.0m, 풍속 25m/sec 초과하는 경우 별도 구조

검토하여 시공하여야 하나 검토 부실

o 가시설물로 전도사고 발생시 시공사 책임으로 재시공

⇒ 높이 3.0m초과, 풍속 25m/sec 초과에 안정한 형식선정 필요

 강관의 비규격 길이 사용

o 수평, 수직, 보조지주의 두께, 길이가 상이하여 자재활용 비효율

- 수평지주 : Φ 48.6×2.4 1,500mm, 400mm, 600mm

- 수직지주 : Φ 48.6×2.4 4,000mm, Φ 48.6×3.2 2,300mm

- 보조지주 : Φ 48.6×2.4 3,700mm, 1,900mm

⇒ 자재활용이 높은 규격화된 형식선정 필요

 다양한 가설방음판 사용

o 수직 및 수평지지기구에 의한 가설방음판 미생산

- 최근 시판되는 가설방음판은 수평지지기구 없이 가설방음판* 조립시공

* 가설방음판 종류 : 비금속제, 금속제 등 다양

⇒ 최근 현장에서 적용하고 있는 시공성이 우수한 형식선정 필요

부대공 ❙ 561

부대공

4 개선방안 검토

가설방음벽의 안정성, 시공성 등을 고려하여, 높이별 풍속에 따라

안정하고 경제적인 형식, 자재활용이 높은 형식 적용

1 가설방음벽 형식 비교

구 분 비계 형식 자립 형식

개 요

․주요자재 : 강관

․기초 : 강관(3.2t, 1.8m)+버팀대

․주요자재 : H빔

․기초 : 경량H빔(1.5m)+Con`c채움

단가

(12개

월)

H=3m ․87,376 원/m ․103,235 원/m (증 15,859원, 18%)

H=4m ․115,495 원/m ․141,989 원/m (증 26,494원, 23%)

H=5m ․143,613 원/m ․178,871 원/m (증 35,258원, 25%)

H=6m ․171,732 원/m ․222,425 원/m (증 50,693원, 30%)

장단점

․작업장내 버팀대 설치로 미관불량

및 작업장 시공성 저하

․높이 3m 이상구간 안정성 저하

․공사비 저가

․작업장내버팀대미설치로미관양호

및 작업장 시공성 향상

․높이 3m 이상구간 안정성 양호

․공사비 다소 고가

설치

전경

※ 붙임 #1 단가 산출서

562 ❙ 부대공

2 형식별 안정성 검토

□ 검토 조건

o 재 료

- 비계형식 : 강관(Φ48.6×2.3mm), 버팀대 기초(강관 매입), 간격 2m

- 자립형식 : H빔(150×75×5×7), Con`c타설 기초(H빔 매입), 간격 2~3m

o 풍하중

- 시공중 가시설물로 시공기준풍속* 적용 (도로교 설계기준)

* 시공기준풍속 : 지역별 기본풍속의 80%

- 지역별 기본풍속

․30m/sec(서울, 대구, 대전, 춘천, 청주, 수원, 추풍령, 전주, 이리, 진주, 광주),

․35m/sec(서산, 인천) ․40m/sec(군산, 여수, 충무, 부산, 포항, 울산)

․45m/sec(속초, 강릉, 제주, 서귀포, 목포)

□ 높이별 풍속에 따른 구조해석

구 분 비계 형식(강관) 자립 형식(H빔)

높이

기본

풍속

(m/s)

시공기준

풍속

(m/s)

주부재

횜응력

(MPa)

수평

지지력

(kN/본)

인발

지지력

(kN/본)

비고

주부재

횜응력

(MPa)

수평

지지력

(kN/본)

비고

3m

30 24 100<210

(O.K)

1.140<20.903

(O.K)

4.680<7.329

(O.K)

Φ 48.6×2.3

C.T.C 2.0m

100<210

(O.K)

5.380<42.133

(O.K)

150×75

C.T.C 3.0m

35 28 127<210

(O.K)

1.460<20.903

(O.K)

5.450<7.329

(O.K)

Φ 48.6×2.3

C.T.C 2.0m

128<210

(O.K)

6.910<42.133

(O.K)

150×75

C.T.C 3.0m

40 32 166<210

(O.K)

1.950<20.903

(O.K)

6.610<7.329

(O.K)

Φ 48.6×2.3

C.T.C 2.0m

170<210

(O.K)

9.220<42.133

(O.K)

150×75

C.T.C 3.0m

45 36 207<210

(O.K)

2.440<20.903

(O.K)

7.770<7.329

(N.G)

Φ 48.6×2.3

C.T.C 2.0m

177<210

(O.K)

9.600<42.133

(O.K)

150×75

C.T.C 2.5m

4m

30 24 202<210

(O.K)

1.740<20.903

(O.K)

8.670c>7.329

(N.G)

Φ 48.6×2.3

C.T.C 2.0m

118<210

(O.K)

7.560<42.133

(O.K)

150×100

C.T.C 2.5m

35 28 267>210

(N.G)

2.320<20.903

(O.K)

10.690>7.329

(N.G)

Φ 48.6×2.3

C.T.C 2.0m

156<210

(O.K)

10.080<42.133

(O.K)

150×100

C.T.C 2.5m

40 32 330>210

(N.G)

2.900<20.903

(O.K)

12.700>7.329

(N.G)

Φ 48.6×2.3

C.T.C 2.0m

195<210

(O.K)

12.600<42.133

(O.K)

150×100

C.T.C 2.5m

45 36 330>210

(N.G)

2.900<20.903

(O.K)

12.700>7.329

(N.G)

Φ 48.6×2.3

C.T.C 2.0m

195<210

(O.K)

12.600<42.133

(O.K)

150×100

C.T.C 2.5m

5m

30 24 243>210

(N.G)

1.960<20.903

(O.K)

12.600>7.329

(N.G)

Φ 48.6×2.3

C.T.C 2.0m

113<210

(O.K)

9.360<42.133

(O.K)

150×150

C.T.C 2.5m

35 28 320>210

(N.G)

2.620<20.903

(O.K)

15.720>7.329

(N.G)

Φ 48.6×2.3

C.T.C 2.0m

150<210

(O.K)

12.480<42.133

(O.K)

150×150

C.T.C 2.5m

40 32 397>210

(N.G)

2.770<20.903

(O.K)

18.840>7.329

(N.G)

Φ 48.6×2.3

C.T.C 2.0m

188<210

(O.K)

15.600<42.133

(O.K)

150×150

C.T.C 2.5m

45 36 397>210

(N.G)

2.770<20.903

(O.K)

18.840>7.329

(N.G)

Φ 48.6×2.3

C.T.C 2.0m

188<210

(O.K)

15.600<42.133

(O.K)

150×150

C.T.C 2.5m

6m

30 24 449>210

(N.G)

2.870<20.903

(O.K)

17.270>7.329

(N.G)

Φ 48.6×2.3

C.T.C 2.0m

102<210

(O.K)

8.930<42.133

(O.K)

200×150

C.T.C 2.0m

35 28 595>210

(N.G)

3.830<20.903

(O.K)

21.730>7.329

(N.G)

Φ 48.6×2.3

C.T.C 2.0m

135<210

(O.K)

11.900<42.133

(O.K)

200×150

C.T.C 2.0m

40 32 740>210

(N.G)

4.780<20.903

(O.K)

26.180>7.329

(N.G)

Φ 48.6×2.3

C.T.C 2.0m

169<210

(O.K)

14.880<42.133

(O.K)

200×150

C.T.C 2.0m

45 36 740>210

(N.G)

4.780<20.903

(O.K)

26.180>7.329

(N.G)

Φ 48.6×2.3

C.T.C 2.0m

169<210

(O.K)

14.880<42.133

(O.K)

200×150

C.T.C 2.0m

부대공 ❙ 563

부대공

o 높이 3m 이하의 경우 두 형식 모두 안정*

* 기본풍속 45m/sec에서는 비계형식의 경우 주부재간격, 매입깊이 등의 검토 필요

o 높이 3m 초과하는 경우 자립형식 안정

※ 붙임 #2 구조 계산서

3 검토 의견

□ 가설방음벽 형식선정 기준

o 현재 설계는 비계형식을 적용하고 있으나 시공은 비계형식과 자립형식을

혼용하여 사용함

o 비계형식은 자립형식에 비해 공사비는 저가이나 풍하중에 불안정

- 구조계산결과 3m/sec 초과시 부재휨응력 및 인발지지력 부족

- 시공중인 구간 강풍에 의한 전도, 부재 굴절 다수 발생

o 자립형식은 공사비는 다소 고가이나 풍하중에 안정

o 따라서 안정성, 시공성, 경제성 등을 고려 높이별 형식 적용

구 분

형식 선정

당 초 변 경

H=3.0m 이하 ․비계형식 (강관) ․비계형식 (강관)

H=3.0m 초과 ․비계형식 (강관) ․자립형식 (H빔)

□ 설계시 가설방음판은 현장여건을 고려 소음기준에 적합한

비금속계, 금속계 등 형식 적용

※ 단가적용은 물가자료, 조달청(나라장터)의 최저단가 적용

564 ❙ 부대공

□ 시공시 가설방음벽의 설치기간, 조립 및 해체, 화재발생 여부,

바람영향 등을 고려 현장여건에 맞는 다양한 형식 적용

o 구조계산을 통한 안정성 검토 확인

- 높이별 풍하중에 따른 부재 횜강도, 수평지지력, 인발지지력 검토

o 도심지, 교통량이 많은 구간 작업여건, 미관 등 고려 적용

o 가설방음판은 현장여건을 고려한 시판되는 다양한 형식 적용

5 적 용 방 안

□ 설계중인 노선 : 본 방침 적용

□ 설계완료 미발주 노선 : 보완설계시 적용

□ 시공중인 노선 : 현장여건을 고려하여 공사주관(시행)부서에서

판단후 적용

붙 임 : 1. 단가 산출서

2. 구조 계산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20122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2814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7468
179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2-1_진출입부 역주행 방지 종합 대책 file 효선 2025.01.16 179
179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3-1_장기 거동 특성을 반영한 비탈면 보강 영구앵커 설계기준 개선 file 효선 2025.01.16 174
179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3-2_현장 작업여건을 반영한 배수시설 형상 및 원가 개선 file 효선 2025.01.16 181
179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3-3_비탈면 현황도 작성을 위한 깎기 비탈면 분할 기준 수립 file 효선 2025.01.16 212
179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1_프리캐스트 바닥판 및 PSC 거더 배치간격 검토 file 효선 2025.01.16 201
179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2_GFRP 보강근 잠정 설계·시공지침 제정 file 효선 2025.01.16 277
178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3_고로슬래그를 활용한 콘크리트 내염성 강화 방안 file 효선 2025.01.16 181
178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4_조합형 방호울타리 개선사항 반영 file 효선 2025.01.16 155
178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5_프리팹 부재 생산성 향상 등을 위한 원형 기둥 규격 표준화 방안 검토 file 효선 2025.01.16 147
178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6_개착식 구조물 분류기준 정립 file 효선 2025.01.16 164
178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7_교량접속부 가드레일 안전계단 설치기준 file 효선 2025.01.16 228
178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8_구조물 균열 저감을 위한 매스콘크리트 품질관리 방안 검토 file 효선 2025.01.16 218
178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5-1_주행쾌적성 및 장수명 확보를 위한 고속도로 포장형식 적용방안 file 효선 2025.01.16 222
178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5-2_결빙방지재 혼입 포장 설계 적용방안 file 효선 2025.01.16 238
178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5-3_재포장공사 내구수명 향상 계획 file 효선 2025.01.15 226
178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5-4_배수성(저소음)포장 품질향상 종합대책 수정사항 file 효선 2025.01.15 264
177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6-1_안전을 고려한 터널 부대시설 설계기준 개선 file 효선 2025.01.15 269
177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6-2_제트팬 경량화 및 설치방법 개선 file 효선 2025.01.15 248
177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7-1_강재시설물 염해 내구성 강화방안 file 효선 2025.01.15 219
177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7-2_터널 진입차단시설 개선 적용 방안 file 효선 2025.01.15 2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