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310 ❙ 구조물공

59

구조물공

교량 대피공간 적용방안 검토 설계처-2340

(2014.09.19)

1 검 토 배 경

□ 고속도로 이용객의 차량 고장, 추돌 등의 사고시 후속 2차 사고

예방을 위하여 차량 외부의 안전한 공간으로 신속히 대피하도록

유도하고 있으나,

□ 교량구간에서는 사고시 이용객이 대피할 수 있는 공간이 없어

이용객 안전성을 제고하기 위한 교량 대피공간 확보 방안을

검토하고자 함

구분 【도로】【터널】【교량】

전경

대피

공간

가드레일 배면,

측구상단 등

공동구 상단

피난연락갱

부재

2 실 태 분 석

□ 교량구간 관리 특성

o 교통사고시 이용객 대피공간이 없어 2차사고 발생 가능성 상존

o 동절기시 노면결빙으로 인한 미끄럼사고 발생위험이 높음

o 유지보수, 점검 등으로 교통차단이 일반구간보다 빈번

o 교량 점검을 위한 점검시설이 방호벽 외측에 다수 설치되어 있음

구조물공 ❙ 311

구조물공

□ 최근 3년간 교량구간 2차 교통사고 분석

o 최근 3년간 교량구간 2차 교통사고(건수)는 전체 교통사고(건수)

대비 평균 3.0%이나, 교량구간은 평균 8.0%로 2.7배 정도 높음

o 교량구간 2차 교통사고 사상자는 19.4%로 일반구간의 1.8배,

사망자는 37.5%로 일반구간보다 2.3배로 높음

【사고 대비 2차사고, 건수(%)】【사고 대비 2차사고, 사상자(%)】

※최근 3년간 교통사고 자료 분석결과(교통처)

□ 구조물 대피공간 관련 규정

o 국내․외 도로 교량에 대한 대피공간 관련 규정은 없음

o 철도설계기준(노반편) 8.7.2 (3)방재설비 (국토교통부, 2013년)

교량 위에서 사고 발생시 안전하고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도록 대

피로, 안전난간, 중간 대피통로 등을 설치해야 한다.

o 도로터널방재시설설치및관리지침5.3 피난대피시설(국토해양부, 2009년)

일반통행터널에서 대인용 피난연결통로의 설치간격은 250m이하로

하며, 3개소 마다(750m 이하의 간격) 구급차량이 통과할 수 있는

차량용 피난연결통로를 설치한다.

☞ 교량구간 2차사고 예방을 위한 대피공간 확보 필요

312 ❙ 구조물공

3 교량 대피공간 확보방안

■ 교량 대피공간 설치 대상 교량 및 간격 검토

■ 교량 대피공간 형식 및 규격 검토

■ 교량 대피공간 안전 및 부대시설 검토

□ 교량 대피공간 설치 대상 교량 및 간격 검토

o 보통 사람이 도보로 이동 가능한 거리는 1분 이내에는 60~80m,

2분 이내에는 120~160m 내외임

구 분 1분 2분 3분 4분 5분

이동가능거리

(m)

60~80 120~160 180~240 240~320 300~400

대피공간간격

(m)

120~160

(150)

240~320

(250)

360~480

(450)

480~640

(550)

600~800

(700)

※ 보통사람이 걷는 속도 : 3.5~5km/hr(위키백과, 네이버)

o 구조물처, 교통처 등 유지관리 주관부서와 지역본부(지사포함) 설

문(138명) 결과, 대피공간 설치대상 교량 연장은 500m이상(37%),

설치 간격은 250m(25%) 의견이 다수임

o 따라서, 터널의 대인용 피난연결통로의 설치간격이 250m이하이고,

유지관리부서의 의견 및 빠른 시간내에 대피(2분)을 고려하여 교

량 대피공간 설치는 연장 500m 이상의 교량을 대상으로 250m

내외 간격으로 추가 설치 필요

☞ 교량 대피공간 설치는 연장 500m이상, 250m내외 간격으로 설치

구조물공 ❙ 313

구조물공

□ 대피공간 형식 및 규격 검토

o 대피공간 형식 검토

구 분

교량점검시설 설치교량

(점검시설 상단 활용)

교량점검시설 미설치교량

(교량 난간 외측 설치)

비고

개념도

특징

․기존 점검시설 상단 발판

확장 활용

․이용객 안전 관리와

경제성 확보

․점검시설 미설치교량

난간 외측 확장 설치

․방호벽 개구부 추가

필요

설치단가 2.8백만원 3.6백만원

검토결과

점검시설 설치 교량은 점검시설 상단을 활용하여 적용하고,

점검시설이 설치되지 않은 교량은 난간 외측 설치 적용

o 대피공간 설치규격 검토

- 교량 2차사고 분석 결과, 대피 인원은 성인 5인 적용

․차량 추돌로 인한 사고의 84%는 사고차량이 2대 이내임

․사고차량 탑승인원은 1~23인(평균 2.5인)으로 2.5인으로 선정

․대피인원은 성인 5인(2.5인/대×2대) 적용

- 대피공간 설치면적은 2.0m2(0.8×2.5m) 적용

․성인 1인 점유면적은 한국인 표준체형*의 어깨폭(39.9cm)과 점

유공간, 대피공간 폭원(0.8m)을 반영하여 0.8m×0.5m 선정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설치면적은 0.8×2.5m(0.5m×성인 5인) 적용

☞ 대피공간 형식은 점검시설 상단 활용 또는 난간 외측 설치,

설치규격은 2.0m2(0.8×2.5m)이상 적용

314 ❙ 구조물공

□ 교량 대피공간 안전 및 부대시설 검토

o 교량 대피공간 이용객 불안감 해소, 추락방지 및 시야완화를 위하여

차폐시설(H=2.0m) 설치

o 대피공간 이용객 이동동선 유도를 위한 표지 및 도장 설치

※ 안전 및 부대시설은 대피공간 설치 위치 및 조건에 따라 선택 적용

구분 개념도 내 용 비 고

차폐시설

- 높 이 : 2.0m(중공형, 녹색)

- 재 질 : 알루미늄 (t=2mm)

- 비 용 : 2,000,000원/개소

추락 방지

및 시야 완화

안내표지

- 규 격 : 0.4m×1.4m

- 색 상 : 파랑(3935),흰색(3930)

※색상번호는 3M반사지 기준

- 글 자 : 한길체 (0.2m×0.2m)

- 재 질 : 알루미늄 (t=0.3mm)

- 반사지 : 고휘도 (문자,바탕)

- 비 용 : 600,000원/개소

고객 대피소

위치 안내

안내도장

- 규 격 : 0.5m×2.5m

- 도장재 : 내염도장

- 색 상 : 녹색(FS14120)

흰색(FS37875)

- 비 용 : 100,000원/개소

고객 대피소

이동 동선

안내

o 안전 및 부대시설 설치개념도

구조물공 ❙ 315

구조물공

4 검 토 결 과

□ 교량 대피공간은 이용객 2차사고로 인한 인명 피해 예방을 위하여

교량 연장 500m이상, 설치간격 250m내외(최대 300m)로 설치

교량연장

(m)

500미만 500~750 750~1,000 비고

설치개소 필요시 1~2 2~3

250m 간격

(최대300m)

□ 교량 대피공간 형식은 교량점검시설 설치교량은 점검시설 상단을

활용하여 적용하고, 교량점검시설 미설치 교량은 교량 외측 난간

확장 설치를 적용하며, 설치규모는 2.0m2(0.8×2.5)이상으로 설치

□ 교량 대피공간 이용객의 안전확보, 추락방지, 이동동선 유도를 위

하여 차폐시설, 안내표지, 안내도장 등 안전 및 부대시설 설치

5 적 용 방 안

□ 설계중인 노선 : 본 방침 적용

□ 공사 및 유지관리중인 노선 : 주관(시행)부서 판단 후 적용

붙 임 : 1. 교량 대피공간 도면

2. 안전 및 부대시설 설치도(예시)

3. 교량 대피공간 및 안내표지 구조계산서(예시)

316 ❙ 구조물공

구조물공 ❙ 317

구조물공

318 ❙ 구조물공

구조물공 ❙ 319

구조물공

320 ❙ 구조물공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20122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2814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7468
181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5-3_간이 진출입시설 및 지주보호시설 단부 노출 구간 개선방안 효선 2025.03.17 106
181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5-4_주택사업자 방음시설 화재 안전 강화 대책 file 효선 2025.03.17 79
181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6-1_IoT 통신망 기반 비상회차시설 제어시스템 구축방안 file 효선 2025.03.17 51
181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6-2_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법정보호 동·식물 보전방안 개선 file 효선 2025.03.17 54
181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Ⅰ_2023년도 고속도로 설계실무지침 (요약본) file 효선 2025.03.17 138
181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Ⅱ_실무지침 수록 목록 (1998년 통합본~2023년) file 효선 2025.03.17 291
180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00_표지 및 목차 file 효선 2025.01.17 427
180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1_안전활동 및 현장 직업특성을 반영한 공사기간 산정 세부기준 개선 file 효선 2025.01.17 187
180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2_설계단계 건설엔지니어링 업무 안전관련 법령 의무사항 이행방안 file 효선 2025.01.17 176
180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3_작업자 안전 확보를 위한 가시설물 적정 비용 반영 검토 file 효선 2025.01.17 162
180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4_안전비용의 적정 집행을 위한 「현장상주 안전보조원」설계적용 검토 file 효선 2025.01.17 202
180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5_설계단계 중장기 탄소저감 추진방안 file 효선 2025.01.16 170
180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6_출입시설구간 도로구역결정 방안 검토 file 효선 2025.01.16 157
180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7_시공 및 유지관리를 고려한 설계단계별 기초현황 관리프로세스 구축 file 효선 2025.01.16 163
180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8_특정공법 설계 및 사후 평가 개선 file 효선 2025.01.16 249
180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9_BIM설계성과의 체계적관리 및 활용성증대를 위한「목적물기반설계내역서」작성기준 file 효선 2025.01.16 191
179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10_BIM 설계도 작성 개선 및 활용 방안 file 효선 2025.01.16 192
179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11_고속도로 신설 및 확장구간 MMS 표준자료 구축체계 수립 file 효선 2025.01.16 164
179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12_레미콘 현장 배치플랜트(BP) 안전관리 및 공사비 현실화 file 효선 2025.01.16 218
179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13_「이행보증보험제도」 도입을 통한 주택사업자 소음대책 규제 혁신 방안 file 효선 2025.01.16 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