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5-5_개량형 신축이음장치(컴프레션씰 Type)확대적용 방안
2024.10.22 15:12
262 ❙ 구조물공
55
구조물공
개량형 신축이음장치(컴프레션씰 Type) 확대적용
방안
구조물처-994
(2014.05.02)
1 개 요
□ 목 적
주행쾌적성 및 경제성 향상 도모를 위하여 자체 개발한 개량형 신축
이음장치(컴프레션씰 Type)에 대한 확대 적용 방안을 수립코자 함.
□ 추진경위
o 2012. 5 : 개량형 신축이음장치(단순구조 조인트) 적용방안 수립
- 신축이음부 잦은 파손으로 주행 쾌적성 저하
- 신축이음부 누수로 보수비 과다 (최근 5년간 평균 50억원)
- 유간 50mm이하의 소규모 교량(L=100m이하)에 적용
o 2012. 6 ~ 8 : 개량형 신축이음장치 시험시공(5종류)
- 대 상 : 중부선 곤지암3육교 등 17개소 적용
실런트타입 앵글타입 탄성Con'c-Ⅰ 탄성Con'c-Ⅱ BFLJ(매립형)
o 2013. 7 : 시험시공구간 추적조사(1차) 시행
- 탄성콘크리트-Ⅰ, Ⅱ Type이 부착성 등 상태 양호
o 2014. 2 : 확대적용을 위한 추진계획 수립
- 국민행북 100대 과제 추진을 위한 세부 추진계획 수립
· 과제명 : 「주행 쾌적성 향상을 위한 교량이음매(신축이음) 개량」
o 2014. 3 : 시험시공구간 추적조사(2차) 시행
- 시험시공 공법(5종)중 탄성콘크리트-II(컴프레션씰) Type이 가장 우수
o 2014. 4 : 실무적용성 심의 완료
- 컴프레션씰 Type 추적조사 결과 및 시공지침(안)의 적정성
구조물공 ❙ 263
구조물공
2 시험시공 및 추적조사 결과
2012년 시험시공한 5개 공법중 컴프레션씰 Type이 가장 우수
□ 컴프레션씰 Type
o 시험시공 개요
본부 지사 교량명 이정(km) 위치 시험시공 비고
강원 대관령 면온1교(인천) 영동선175.25 A1 2012. 7
전북 무주 삼가1교(하남) 중부선159.91 A1 2012. 6
o 추적조사 결과
- 탄성콘크리트의 표면상태 및 탄성콘크리트-후타콘크리트 접착양호
- 우천시 확인결과 하부 누수 구간 없음.
- 탄성봉함재와 탄성콘크리트와의 접착 상태 양호
봉함재 상태 후타콘크리트 누수여부
접착부 상태 양호 미세균열 발생 누수 없음
3 확대 적용 방안
□ 공법개요 【컴프레션씰 Type 신축이음】
설치단면 개요 및 적용
▪컴프레션씰을 현장 유간에 맞게 제작 후,
탄성콘크리트 양측에 접착하여 마감
▪대상 : 신축유간 20~50mm
▪재료
- 후타재 : 초속경 개질 + 탄성 콘크리트
- 컴프레션씰 : 네오프렌 고무
264 ❙ 구조물공
o 부재별 특징
- 탄성콘크리트
개 념 도 특 징
▪차량 진행시 발생하는 윤하중에 효과적으로 저항
▪차량충격하중의 흡수 및 하부구조로 하중 분산, 전달
▪폴리우레탄 재료와 특수골재를 현장에서 배합사용
(주재+경화재+골재)
▪NYDOT1), ILDOT2), TXDOT3)등에서 많이 사용
▪콘크리트, 강재 등에 부착성능 우수
- 컴프레션씰
개 념 도 특 징
▪공장에서 제작된 고무(네오프렌) 컴프레션씰을
접착제를 사용하여 시공하는 탄성조인트
▪형상 : 밀폐된 벌집모양 셀 구조
▪유간보다 크게 제작하여 압축하여 설치
▪재개량시는 컴프레션씰만 교체하므로 경제적
□ 자재 품질기준
o 후타콘크리트(시멘트콘크리트 교면포장용 초속경 콘크리트 사용)
- 품질시험항목 : 염분침투저항성 등 10개항목 - [붙임1]
- 상용성 인증 제품은 사용가능 (현재기준 10종) - [붙임2]
o 탄성콘크리트
- 국내 시험기준 부재로 미국 뉴욕주 기준 적용[붙임3 참조]
※ 시험시공에 사용된 제품은 뉴욕주에서 품질인증(Approved List) 기
취득(2005.12.19)하여 사용중에 있음
o 컴프레션씰
- 국내 시험기준 부재로 ASTM D3542 기준 적용[붙임3 참조]
1) 뉴욕주 교통국, 2) 일리노이주 교통국, 3) 텍사스주 교통국
구조물공 ❙ 265
구조물공
□ 확대적용 대상 선정 기준
o 2014년도 개량사업대상(194개소) 중 다음의 기준을 적용하여 선정
- 유간 50mm이하 교량(83개소) 중에서 알칼리 골재반응, 연약지반 등
현장여건 불리한 경우 제외
- 신축량이 없는 고정단 및 Skew가 없는 교량 위주로 선정
· Skew 교량에서는 전단변형을 일으킬수 있음
☞ 총 32개소 적용 대상 선정[붙임4]
o 2015년 이후에는 상기기준에 의거 본부(지사)에서 수립·시행
□ 단가 비교 검토
(유간 50mm기준)
구분
모노셀로
개량시
컴프레션씰로 개량시
비고
최초 개량 재 개량
단가(원/m) 722,015 693,109 242,844
차액(원/m) - -28,906 -479,171
☞ 단가산출서 별첨[붙임5]
□ 시공시 유의사항
o 후타콘크리트는 시멘트계 교면포장 초속경 개질재 콘크리트의
시공지침(안) 참조하여 시공
o 탄성콘크리트 배합은 생산자가 제공하는 매뉴얼에 따르고 배합
완료후 5~10분이내에 타설 완료하고 평탄성이 유지되도록 흙손
등으로 정리
o 컴프레션씰은 규격 선정시 교량의 신축량 등을 고려하고 포장
면보다 5mm가량 낮게 시공(압축시 상부로 튀어나오지 않도록하기
위함)하며 탄성콘크리트와 접착이 잘 이루어지도록 시공
※ 품질 및 시공관리에 관한 상세사항은 시공지침(안)[붙임3] 참조
266 ❙ 구조물공
□ 특허 관련사항
o 공법에 대한 특허(신기술) 실적은 없으므로 어떤 업체든 시공이 가
능하므로 신축이음장치 개량공사 실적이 많은 회사로 시공을 유
도함이 바람직 함.
o 자재(탄성콘크리트, 컴프레션씰)에 대한 특허를 보유한 업체의 독
점에 의한 횡포를 막기 위하여 품질기준에 적합한 자재는 사용 가
능토록 함.
4 기대효과
□ 계량적 효과
o 신축이음 유지보수비 절감액 : 328백만원/년
- 현 행 : 722,015원/m×14.3m×1.5×32개소/년 = 495백만원
- 개 선 : 242,844원/m×14.3m×1.5×32개소/년 = 167백만원
※ 2차로(14.3m) 기준, 제잡비 50% 적용
□ 비계량적 효과
o 재보수시간 단축(10시간→3.5시간)으로 통행제한 최소화
- 재보수시에는 후타콘크리트 깨기 및 타설 양생 불필요
o 교량하부 소음 저감(5.3dB)으로 주행 쾌적성 향상
o 특허등록 등을 통한 지적재산권 확보 가능
5 향후 추진계획
□ 특허등록 추진
o 특허 출원가능 여부 검토 후 특허등록 추진
- 우수 공법에 대한 지적재산권 확보
구조물공 ❙ 267
구조물공
□ 지속적 추적조사 시행
o 시험시공 구간 및 확대적용 구간에 대한 이력관리 지속 시행
- 지속적 추적관리로 내구성 검증
- 시공 이력 관리를 통한 품질관리 방안 개선 추진
□ 품질관리 기준 연구 수행
o 엄격한 품질관리를 위한 재료품질기준 보완 시행
- 컴프레션씰용 접착제 품질기준 및 탄성콘크리트, 컴프레션
씰의 국내기준 마련을 위한 조사·연구 추진
붙 임 : 1. 후타콘크리트 재료품질기준
2. 초속경 콘크리트 상용성 인증 현황
3. 개량형 신축이음장치(컴프레션씰) 시공지침(안)
4. 확대 적용대상 현황
5. 단가 산출서
6. 컴프레션씰 Type 신축이음 시공상세도
268 ❙ 구조물공
후타콘크리트 재료 품질기준
☐ 기준적용
o 시멘트 콘크리트계 교면포장 보수재료(초속경) 품질 기준 적용
☐ 품질기준
항 목 단 위 품 질 기 준
내구
특성
염분침투저항성 Coulomb
1000 이하
(초속경, 조강 : 28일 양생)
동결융해저항성 %
80이상
(초속경, 조강 : 28일 양생)
스케일링저항성 kg/㎡
m56/m28
1.0 미만(박리량),
2.0 미만(박리량비율)
(초속경, 조강 : 28일 양생)
균열저항성 -
재령 56일까지
구속건조수축균열 없음
마모저항성 mm
2 이하
(초속경 7일, 조강 28일)
구조
특성
압축강도 MPa
21이상 (개방시간),
27이상 (28일 양생)
부착강도 MPa
1.4 이상
(개방시간)
적합
특성
건조수축 %
0.15 이하
(초속경 7일, 조강 14일 양생)
열팽창계수 /℃
4.0~20.0×10
-6
(초속경 7일, 조강 28일 양생)
탄성계수 MPa
1.13×104~7.80×104
(초속경 7일, 조강 28일 양생)
※ 개방시간 : 포설 후 교통개방까지의 양생시간(초속경 4시간, 조강 12시간~72시간)
※「콘크리트계 교면포장 보수재료 품질기준」개정 (도로교통연구원 도로시험팀
-1157, 2011. 7. 21)
구조물공 ❙ 269
구조물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