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5-3_교량구조용 압연강재 HSB800 적용 검토
2024.10.22 15:33
248 ❙ 구조물공
53
구조물공
교량구조용 압연강재 HSB800 적용 검토 설계처-796
(2014.03.31)
1 검토배경
□ 강구조물의 내구성 증진, 슬림화, 경제성 및 시공성 개선을
위하여 강재 구조성능을 향상한 교량구조용 압연강재
HSB600을 도입(2008, 설계처)하여 적용중
□ 최근 강도 증가, 저온인성, 용접성 등이 향상되고 최적으로 조
합한 고성능 강재인 HSB 800 개발로 소수주거더교, 강박스거
더교 등의 강교 적용방안을 검토하고자 함
☞ 교량구조용 압연강재(HSB : High Performance Steel for Bridge)
강재의 강도, 저온인성, 용접성 등을 최적으로 조합한 강재
【강 도】【인 성】【용접성】
2 추진경위
년 도 추 진 내 용
2008. 7
도로교 설계기준 해설(2008)
- 3.2.5 강재의 선정 해설편에 HSB500, 600 수록
2008. 7
교량구조용 압연강재(HSB) 적용 검토(설계처-1988)
- HSB500, 600 적용
2010. 9
도로교 설계기준(2010) 개정
- HSB800, 800L 수록(3.2.4)
- 하이브리드 거더 설계법 적용(3.8.4.2)
※하이브리드거더 : 플랜지와 복부판에 강도가 다른 강종을 혼합해서 사용한 거더
구조물공 ❙ 249
구조물공
3 HSB800 특징
□ 재료 특징
o HSB600대비 두께 축소 및 강도, 저온인성 향상
구 분 HSB 600 HSB 800
제 조 법 TMCP(제어압연방법) TMCP(제어압연방법)
최대두께 t≤100mm t≤80mm
항복강도 450MPa 이상 690MPa 이상
인장강도 600MPa 이상 800MPa 이상
저온인성
-5℃에서 47J 이상(일반)
-20℃에서 47J 이상(저온)
-20℃에서 47J 이상(일반)
-40℃에서 47J 이상(저온)
용 접 성
(예열온도)
예열없음
(습기제거는 필요)
예열온도 50℃이하
(저예열)
탄소당량
(Ceq)
0.42 이하 0.55 이하
용접균열감응도
(Pcm)
0.20 이하 0.25 이하
※저온인성 성능기준 향상 : 일반강재(-5→-20℃), 저온강재(-20→-40℃)
※ TMCP(Thermo-Mechanical Control Process) : 제어압연방법이라고 하며,
후판을 압연생산시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압연으로 강재의 기계적 성질을
확보하는 철판
※ 탄소당량(Ceq) : 강재 내부 원소의 영향을 탄소의 양으로 환산한 것으로
Ceq=0.44%이상이 되면 예열 필요성의 기준이 됨(도로교표준시방서 3.2)
Ceq C
Mn
Si
Ni
Cr
Mo
V
※ 용접균열감응도(Pcm) : 탄소당량과 동일한 개념으로 강종, 강판두께, 용접
방법에 따른 최소 예열온도 산정지수(도로교표준시방서 3.2)
Pcm C
Si
Mn
Cu
Ni
Cr
Mo
V B
250 ❙ 구조물공
□ 품질기준 및 결과
o 품질기준(KS D 3838, 2009) 평가 결과 기준 만족
구 분
HSB 800
비고
기준 결과
탄소당량(%) ≤ 0.55 0.48
용접균열
감수성(%)
≤ 0.25 0.20
항복강도
(MPa)
≥ 690 795
인장강도
(MPa)
≥ 800 885
연신율(%) ≥ 15 26
저온인성
(J/cm2)
≥ 47 (-20℃) 288 일반
≥ 47 (-40℃) 216 저온
※ 시험기관 :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2014.01)
□ 국내․외 고성능 강재 비교
o 국내․외 고성능 강재 성능비교시 동등이상의 성능 확보
구 분
HSB 800
(한국)
SBHS 700W
(일본)
HPS 100W
(미국)
제 조 법 TMCP QT QT
최대두께
(mm) 80 100 65
항복강도
(MPa)
690 700 690
인장강도 800 이상 780 이상 760 이상
저온인성 47J@-20℃(일반)
47J@-40℃(저온) 100J@-40℃ 48J@-34℃
탄소당량
(Ceq) ≤ 0.55 ≤ 0.84 ≤ 0.76
용접균열
감응도(Pcm)
≤ 0.25 ≤ 0.30(t< 50)
≤ 0.32(t<100)
≤ 0.33
성능규정 KS D 3868 JIS G 3140 ASTM A 709
※ W(Weather Resistance) : 내후성을 가진 강재
구조물공 ❙ 251
구조물공
4 HSB800 적용 검토
□ 강판형교
o 2주형 소수주거더교
구 분 HSB600 HSB800 HSB800+500
경간구성 130(40+50+40)m
교 폭 12.15m(2차로)
횡단면도
2.300~
2.500
G2 G1
CL OF ROAD
12.150
450 2.125 3.500 3.500 2.125 450
3.075 6.000 3.075
형 고(m) 2.5 2.3 2.3
형 고 비 16.0~20.0 17.4~21.7 17.4~21.7
플랜지
폭(mm)
상면 600 500 500
하면 600 500 500
복부판
두께(mm)
일반 18 18 18
지점 22 22 22
플랜지
두께(mm)
상판 24~70 20~46 20~46
하판 20~80 20~61 20~61
합성응력 0.430~1.026 0.387~1.065 0.387~1.065
강재중량(톤)
263.584
(100%)
213.446
(81%)
213.446
(81%)
강종
HSB800 171.326 80.910
HSB600 220.519
HSB500 90.416
SM400 43.065 42.120 42.120
자재비(억원) 3.807 3.633 3.097
경제성(%) 100 95 81
252 ❙ 구조물공
o 4주형 거더교
구 분 HSB600 HSB800 HSB800+500
경간구성 130(40+50+40)m
교 폭 12.15m(2차로)
횡단면도
G4 G3 G2 G1
CL OF ROAD
1.800~
2.000
12.150
450 2.125 3.500 3.500 2.125 450
975 3400 3400 3400 975
형 고(m) 2.0 1.8 1.8
형 고 비 20.0~25.0 22.2~27.8 22.2~27.8
플랜지
폭(mm)
상면 400 400 400
하면 400 400 400
복부판
두께(mm)
일반 14 16 16
지점 18 23 23
플랜지
두께(mm)
상판 16~54 15~45 15~45
하판 16~95 15~53 15~53
합성응력 0.221~0.879 0.158~0.871 0.158~0.871
강재중량(톤)
310.721
(100%)
288.695
(93%)
288.695
(93%)
강종
HSB800 244.625 102.244
HSB600 265.466
HSB500 142.381
SM400 45.255 44.070 44.070
자재비(억원) 4.512 5.010 4.165
경제성(%) 100 111 92
□ 검토결과
o 강판형교에 HSB800과 HSB하이브리드거더(800+500)형식 적용결과
형고 및 폭/두께 축소로 슬림화 가능
o 슬림화에 따른 공사비 절감 8~19% 예상
구조물공 ❙ 253
구조물공
□ 강박스거더교
o 경간장 50m
구 분 HSB500 HSB600 HSB800 HSB800+500
경간구성 150(50+50+50)m
교 폭 9.3m
횡단면도 S = 7.000%
CL of ROAD
2.400
1.800~
450 1.800 3.600 3.000 450
9.300
1.100 2.000 3.100 2.000 1.100
형 고(m) 1.8~2.4 1.8~2.2 1.8~2.0 1.8~2.0
형 고 비 20.8~27.8 22.7~27.8 25.0~27.8 25.0~27.8
박스폭(m) 2.0 2.0 2.0 2.0
플랜지
두께(mm)
상판 10~16 10~14 10~12 10~12
하판 12~20 12~16 10~14 10~14
복부판두께
(mm)
12 12 12 12
합성응력 0.232~0.935 0.182~0.909 0.155~0.776 0.155~0.776
강재중량(톤)
402.916
(100%)
391.056
(97%)
382.567
(95%)
382.567
(95%)
강종
HSB500 329.817 116.343
HSB600 318.172
HSB800 309.948 193.605
SM400 73.099 72.884 72.619 72.619
자재비(억원) 4.949 5.614 6.533 5.843
경제성(%) 100 113 132 118
254 ❙ 구조물공
o 경간장 60m
구 분 HSB500 HSB600 HSB800 HSB800+500
경간구성 180(60+60+60)m
교 폭 9.3m
횡단면도 S = 7.000%
CL of ROAD
2.400
1.800~
450 1.800 3.600 3.000 450
9.300
1.100 2.000 3.100 2.000 1.100
형 고(m) 1.8~2.4 1.8~2.2 1.8~2.0 1.8~2.0
형 고 비 25.0~33.3 27.3~33.3 30.0~33.3 30.0~33.3
박스폭(m) 2.0 2.0 2.0 2.0
플랜지
두께(mm)
상판 10~26 10~24 10~16 10~16
하판 10~30 10~24 10~16 10~16
복부판두께
(mm)
12 12 12 12
합성응력 0.436~1.096 0.307~1.031 0.393~0.982 0.393~0.982
강재중량(톤) 594.066
(100.0%)
540.315
(93%)
499.551
(84%)
499.551
(84%)
강종
HSB500 482.770 140.557
HSB600 445.617
HSB800 392.665 252.106
SM400 111.296 107.161 106.888 106.888
자재비(억원) 7.293 7.919 8.440 7.607
경제성(%) 100 109 116 104
구조물공 ❙ 255
구조물공
o 경간장 70m
구 분 HSB500 HSB600 HSB800 HSB800+500
경간구성 210(70+70+70)m
교 폭 9.3m
횡단면도 S = 7.000%
CL of ROAD
2.400
1.800~
450 1.800 3.600 3.000 450
9.300
1.100 2.000 3.100 2.000 1.100
형 고(m) 1.8~2.4 1.8~2.2 1.8~2.0 1.8~2.0
형 고 비 29.2~38.9 31.8~38.9 35.0~38.9 35.0~38.9
박스폭(m) 2.0 2.0 2.0 2.0
플랜지
두께(mm)
상판 28~52 16~40 12~24 12~24
하판 32~52 16~40 12~26 12~26
복부판두께(mm) 12 12 12 12
합성응력 0.163~1.089 0.164~1.092 0.364~1.000 0.364~1.000
강재중량(톤) 973.703
(100.0%)
748.677
(77%)
631.993
(65%)
631.993
(65%)
강종
HSB500 844.243 162.087
HSB600 627.491
HSB800 511.261 349.174
SM400 129.460 121.186 120.732 120.732
자재비(억원) 12.069 10.823 10.786 9.825
경제성(%) 100 90 89 81
□ 검토결과
o 강박스거더교에 경간장 60m이하에서는 HSB800과 HSB하이브리드
거더(800+500)형식 적용결과 중량 및 형고축소는 가능하나,
HSB500 대비 경제성 효과가 없음
o 경간장 70m 내외에서는 형고, 두께축소로 공사비 절감 19% 예상
256 ❙ 구조물공
5 검토결론
□ 교량구조용 압연강재 HSB800은 강도, 저온인성, 용접성이 향상되고
최적으로 조합한 강재로 강교량 적용시 내구성 및 시공성이
우수하고 슬림화에 따른 경제성 향상 효과가 있어 설계 적용
o 강판형교는 형고 20cm이상 감소, 슬림화와 강재폭/두께 축소로
공사비 8~19% 절감
o 강박스거더교는 경간장 70m내외에서 형고 20cm이상 감소, 슬
림화와 강재두께 축소로 공사비 19% 절감
경제성
☞ 교량구조용 압연강재 HSB800 적용시 56억원 절감 예상
o 대상 : 함양~울산 등 설계중인 노선
※ 산출근거 : 4.1억/4차로/100m 교량
□ 교량구조용 압연강재 HSB800 설계적용시 하이브리드 형식, 상
부형식, 경간장, 설치지역 온도※, 지역여건 등의 설계조건과 경
제성 등을 검토 후 설계 적용
※ 국내 지역별 최저 공용온도에 따른 최대 허용 판두께 규정 신설(2010년)
6 적용방안
□ 설계중인 노선 : 본 방침 적용
□ 공사중인 노선 : 공사 주관(시행)부서 판단 후 적용
붙 임 : 1. 적용효과 경제성 분석
2. 강재 자재비 비교
3. 국내 지역별 최저 공용온도에 따른 최대 허용 판두께
구조물공 ❙ 257
구조물공
붙 임 3
국내 지역별 최저 공용온도에 따른 최대허용 판두께
□ 도입배경
인장 또는 교번응력을 받는 주부재의 저온인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지역별 최저온도에 따른 최대 허용 판두께 규정 신설
※ 도로교 설계기준 2010(3.3.4.3 인성요구조건)
□ 온도구역 구분
구분 최저 공용온도 지역별 온도구역 구분
온도구역Ⅰ
-15℃≤T
온도구역Ⅱ
-25℃≤T<-15℃
온도구역Ⅲ
-35℃≤T<-25℃
□ 최대허용 판두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