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216 ❙ 배수공

43

배 수 공

L2측구 단부처리 개선방안 건설처-4686

(2014.11.05)

1 목 적

길어깨측 깍기부와 쌓기부 변화구간에 설치되는 L2측구 단부처리와

가드레일 접속방법을 개선하여 안전성 및 시공성을 향상코자 함.

2 현실태 및 문제점

□ L형측구 완화구간(완화측구)

o 시공기준

구 분 완화측구(형식1) 완화측구(형식2)

적용구간 L1측구 + L2측구 L2측구 + L3측구

전개도

(표준도)

6%

형식-1 형식-2

450

C

10.000

1.200

기계타설 인력시공 기계타설

형식-2 형식-3

11%

10.000

1.200

2.300

C

기계타설 인력시공 기계타설

o 다이크와 L2측구 연결시 문제점

- 표준도의 완화연장 불명확

- 완화측구를 형식-1로 시공할 경우 인력시공에 따른 시공성 불량

및 시공중 폐콘크리트 과다 발생(2㎥/개소당)

- 가드레일 전면 접속시 완화구간 차폐로 완화시공 목적 상실

*가드레일 노출높이(810mm) ≒ L2측구 노출높이(800mm)

???

배수공 ❙ 217

배수공

□ L2측구와 가드레일 접속방법

o 시공기준

- 다이크→L2측구이상의 옹벽으로 접속되는 구간

단면도

(표준도)

설치방법

가드레일 설치높이 이상되는 지점까지 가드레일 연장하여 옹벽

전면에 앵커로 고정

- L2측구이상의 옹벽→다이크로 접속되는 구간

단면도

(표준도)

설치방법 깎기부 L2측구까지 연장하여 배면에 앵커 또는 지주로 고정

o 문제점

- (다이크→L2) 옹벽 전면 고정용 가드레일 지주이음대 추가 설치

- (L2→다이크) 가드레일 단부 충돌시 차량관통 등 치명적인 사고 유발

※ 가드레일 단부사고는 일반구간보다 사고건수는 적으나 치명적임

구분

최근 3년간 가드레일 사고현황

사고(건) 사망(명) 부상(명) 사망률(%)

일반구간 2,210 165 1,111 7.5%

단부구간 7 7 6 100%

218 ❙ 배수공

3 개선방안

□ 완화측구 연장 축소

o 완화측구 인력시공 및 시공중 발생하는 폐콘크리트 최소화를

위해 완화측구 연장 축소(10m→0.4m)

o 적용대상

- 다이크와 접속되는 L2측구

※ L1~L2 및 L2~L3측구의 완화구간은 기존대로 시행

o 완화측구 연장 축소(10m→0.4m) 및 축소된 만큼 다이크 연장 시공

구 분 당 초 개 선 (형식-3)

완화측구

전개도

6%

형식-1 형식-2

450

C

10.000

1.200

기계타설 인력시공 기계타설

전경사진

연 장 10m 0.4m

경제성* 543,000원/개소

93,000원/개소

(△450,000원/개소)

* 단위단가

구분 완화측구(형식-1) 콘크리트 다이크

단가(원/m) 54,321원 7,401

배수공 ❙ 219

배수공

□ L2측구와 가드레일 접속방법 개선

o 가드레일 설치높이 이상되는 지점까지 가드레일을 연장하여

L2측구 전면에 앵커로 고정

도 면

상세도

4 적용방안

□ 본 방침에 따른 잔여구간에 대하여 설계변경 시행【건설사업단】

□ L형 완화측구(형식-3) 및 가드레일 단부처리 표준도 보완【설계처】

5 기대효과

□ (안전성) 가드레일을 L2측구 전면에 앵커로 고정함에 따라

가드레일 단부 차량 충돌사고 및 승월사고 예방

□ (시공성) 완화측구 인력시공 연장 최소화로 시공성 및 미관향상

□ (환경성) 완화측구 인력시공시 발생되는 폐콘크리트 물량 감소

□ (경제성) 완화측구 연장 축소에 따른 원가절감

※ 건설중인 노선 적용시 예상절감액 : △283백만원

※별첨 #1. 표준도 당초/변경(안) : 측구(No 2.002), 가드레일(No 5.029)

#2. 노선별 경제성 검토 결과(참고자료)

220 ❙ 배수공

별첨 #1

배수공 ❙ 221

배수공

222 ❙ 배수공

배수공 ❙ 223

배수공

224 ❙ 배수공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9807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2516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7126
145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6년_99_부록98년도-14년도목차 file 효선 2024.10.23 489
145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00_표지및목차 file 효선 2024.10.23 1091
145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8-10_졸음쉼터 안전시설 강화 file 효선 2024.10.23 583
145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1-1_유지관리보고서 작성방안 file 효선 2024.10.23 856
145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1-2_유지관리를 고려한 실시설계 시행방안 file 효선 2024.10.23 534
145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1-3_건설안전 설계기법(Design For Safety)도입방안 file 효선 2024.10.23 1022
144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1-4_설계성과 내실화를 위한 실시설계 품질 제고방안 file 효선 2024.10.23 634
144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1-5_건설현장 중심의 설계도서 작성방안 file 효선 2024.10.23 967
144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2-1_집중호우시 주행안전성 제고를 위한 고속도로 수막현상 예상 설계대책 file 효선 2024.10.23 731
144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3-1_고속도로 건설공사 비탈면 설계 시공 관리체계 개선 file 효선 2024.10.23 1652
144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3-2_비탈면 토사유실 최소화 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10.23 557
144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3-3_화강풍화토 비탈면 녹화공법(ex-spray)적용방안 file 효선 2024.10.23 1018
144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3-4_지반조사 신뢰도 향상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10.23 1184
144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4-1_기존 부지 내 설치가능한 비점오염 저감시설『분리형 초생수로』설치기준 효선 2024.10.23 1094
144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4-2_고속도로 암거 설계기준 개선 검토 file 효선 2024.10.22 1069
»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4-3_L2측구 단부처리 개선방안 file 효선 2024.10.22 978
143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5-1_하상교량의 경제적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초기우수 유도관』적용방안 file 효선 2024.10.22 891
143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5-2_교량하부 내화설계 지침 수립 file 효선 2024.10.22 1174
143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5-3_교량구조용 압연강재 HSB800 적용 검토 file 효선 2024.10.22 522
143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5-4_유지관리를 고려한 구조물 설계개선 file 효선 2024.10.22 7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