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6년_7-2_양호한 암반구간(P-3)에서의 터널 하반 록볼트 적정성 검토
2024.10.29 11:51
터널공 ❙ 385
터널공
72
터 널 공
양호한 암반구간(P-3)에서의
터널 하반 록볼트 적정성 검토
설계처-1252
(2015.05.08)
1 검토 목적
터널 록볼트는 암반 특성 및 설치 위치에 따라 주요역할이 다르므로
양호한 암반구간(P-3)에서 하반 록볼트의 적정성을 검토하고자 함
2 설계 개념 및 방법
□ 설계개념
o 터널 하중 및 이완영역 개념
Terzaghi 하중 개념 Kommerell 모델 Engesser 모델
o 록볼트의 역할
구 분 봉합, 보형성작용 내압, 아치형성 작용 지반보강 작용
개요도
록볼트
역할
․발파 등에 의해 이
완된 암반 고정
․분리된 절리면 사이를
봉합하여 전단력 전달
․내압효과로 일체화되어
내공 측으로 일정하게
변형하여 내하력이 큰
그랜드아치 형성
․지반의 전단력 증대
로 지반전체의 공학
적 특성치 개선
(내하력, 잔류강도증가)
- 터널하반 록볼트는 터널상반 록볼트와 위치 및 방향이 달라 암반이
양호한 경우 보형성의 기능보다 절리면을 연결하여 전단강도를 증대
하는 역할이 주요 기능임
386 ❙ 터널공
□ 설계방법(록볼트의 배치간격, 길이 등)
o RMR 값을 이용한 방법
RMR 값에 의한 지보량 산출식
① Rock Bolt 길이(m)
L = 6 - 0.05 × RMR ≥ 3 ( RMR < 80 )
② Rock Bolt 간격(m)
S = 0.5 + 0.025 × RMR ≥ 1 ( RMR < 80 )
③ Shotcrete 두께(mm)
T = 200 - 2.5 × RMR ≥ 50 ( RMR < 80 )
④ 강지보공 간격(m)
Sr = 0.375 + 0.0375 × RMR ( RMR <40 )
o Q 값을 이용한 방법
1) 무지보
2) 랜덤 록볼트
3) 시스템 록볼트
4) 시스템 록볼트+일반숏크리트(40~100mm)
5) 시스템 록볼트+강섬유보강숏크리트(50~90mm)
6) 시스템 록볼트+강섬유보강숏크리트(90~120mm)
7) 시스템 록볼트+강섬유보강숏크리트(120~150mm)
8) 시스템 록볼트+강섬유보강숏크리트(150mm 이상)
□ 타기관 사례 : 한국철도시설공단 PD-3 하반 록볼트 삭제(붙임)
터널공 ❙ 387
터널공
3 검 토 내 용
□ 검토조건 : 양호한 암반구간 (2차로터널 P-3 기준)
* 불량한 암반(P-4등급 이상)은 시스템 지보를 활용한 복합적 검토 필요
□ 절리 상태에 따른 검토
o 절리면 각도에 따른 영향검토
고각 절리면 분포시 저각 절리면 분포시 절리각도에 따른 영향
- 절리면이 고각인 경우 터널에 영향을 미치는 범위는 협소
- 절리면이 저각일수록 영향범위는 증가하나, 하반 높이가 낮아 터널
영향범위는 제한적이며 절리면 각도가 약 30° 이하의 저각일수록
절리로 인한 쐐기파괴 발생 가능성은 점차 낮아짐
o 절리면 간격에 따른 영향검토
- 터널 하반에서는 절리면 간격이 넓은 경우에 비해 좁은 경우 절리로
인한 영향범위가 좁게 나타나며 쐐기파괴 발생의 범위도 작아짐
절리면 간격이 넓은 경우 절리면 간격이 좁은 경우
* RMR 분류기준 중 3등급 절리면 간격 : 0.2 ~ 0.6m
388 ❙ 터널공
□ 터널 하반 록볼트 미설치시 안정성 검토
지보패턴-3 하반 록볼트 설치 하반 록볼트 미설치
개요도
록볼트 간격 종방향 2.5m, 횡방향 1.5m 종방향 2.5m, 횡방향 1.5m
o 천단 및 측벽변위 : 변위량 차이가 거의 발생하지 않음
천단변위 좌측 측벽변위 우측 측벽변위
o 휨압축 및 전단응력 등 : 응력의 차이가 거의 발생하지 않음
휨압축응력 전단응력 록볼트축력
o 터널 하반에 록볼트(L=4m)를 설치한 경우와 미설치한 경우에 대해
안정성을 비교한 결과 차이가 거의 없어 양호한 암반에서 하반
록볼트의 역할은 미미한 것으로 판단됨
터널공 ❙ 389
터널공
□ 검토결과
o 안정성 해석결과 양호한 암반구간(P-3)에서 터널 하반에 록볼트
미설치 시에도 안정성 확보가 가능하므로 하반 록볼트 미설치
지보패턴-3 당 초 변 경
개요도
록볼트
길이 L=4.0m L=4.0m
간격 종방향 2.5m, 횡방향 1.5m 종방향 2.5m, 횡방향 1.5m
갯수 14.5개/2.5m 12.5개/2.5m (△2개)
o 다만, 터널 하반부 지반이 국부적으로 불량한 경우에는 내압효과를
통한 그랜드아치 형성을 위해 하반 록볼트 설치 필요
□ 공사비 검토
o 터널 1km당 약 53백만원 절감
◎ 산출근거
o Type-3 연장 : 366m (암반등급 Type-3 비율 36.6% 적용)
o 록볼트 절감 개수 : 584개
- 366 ÷ 2.5(지보장) × 2(양방향) × △2개 ≒ △584 개
o 예상절감액 : 53백만원/km
- 65,000원 × 584 × 1.4(제잡비) = 53백만원
4 적 용 방 안
□ 설계중인 노선(미착공 포함) 및 미굴착 터널 본 방침 적용
o 설계중(미착공 포함) 및 미굴착 터널 적용시 : 약 43억원 절감
- 대상 터널 : 약 81km (함양-울산, 아산~천안, 대구순환 63개소)
※ 3, 4차로 터널은 별도 검토결과에 따라 적용여부 판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