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6년_6-5_저소음 포장을 고려한 효과적 방음시설물 설치방안 검토
2024.10.29 13:51
포장공 ❙ 369
포장공
65
포 장 공
저소음 포장을 고려한
효과적 방음시설물 설치방안 검토
설계처-2362
(2015.08.31)
1 검토목적
□ 저소음 포장과 방음벽의 적정 조합을 통해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최적의 소음대책 수립 필요
※ 저소음 포장이란?
◦ 공극율이 높은(20% 이상, 일반 밀입도 3~6%) 다공성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내부공극을 통한 소음 흡수로 차량주행으로 인한 소음발생 저감
2 국내․외 설계기준
□ 해외기준
국가명 설계기준
USA ◦ 밀입도 대비 Con'c포장 +2dB, 개립도포장 -3dB 적용 (FHWA)
Germany
◦ Con'c 포장 대비 아스콘포장의 경우 -2dB 보정
◦ 다공성 포장은 최대 -5dB까지 소음도 보정 (RLS-90)
England
◦ Con'c 포장 대비 아스콘포장은 -1dB, 투수아스콘은 -3.5dB 보정
(Flow-Chart에 소음저감 보정을 명문화, CRTN)
Australia ◦ Dense Ascon 대비 SMA -1dB, OGA -2dB (SA-5000) 보정
Japan
◦ 소음예측시 도로의 종류에 따른 변수 값(Cspec) 적용
* 밀입도 0.85, 배수성포장 0.75 (ASJ-2008)
※ 방음시설 설계를 위한 교통소음 산정시 포장종류에 따라 소음발생량 보정
□ 국내 고속도로 방음벽 규격 산정방법 (녹색환경처-2524, 2013.06.20)
◦ 방음벽의 높이 및 연장은 KHTN상의 예측 결과를 기준으로 산정
※ KHTN 모델 : 방음벽 연장산정, 도로 포장별(아스팔트, 콘크리트) 예측,
주파수 대역별 예측이 가능한 모델임
◦ 저소음 포장의 경우 일반포장에 비해 소음저감 효과가 있으나
소음저감량에 대한 공인된 국가기준 부재
370 ❙ 포장공
3 문 제 점
□ 저소음 포장의 효과를 반영한 효율적인 방음시설 설치노력 부족
◦ 저소음포장의 내구성 및 공용성 등 품질 향상
※ 참조 : 배수성포장 적용방안 검토 (설계처-1415, 2015.05)
□ 최근 고속도로 주변 개발사업에 따른 방음벽 증가 및 규모 대형화로
방음벽 설치 및 유지관리를 위한 과도한 사업비 투입
※ 전국 고속도로 방음벽 설치현황
- 연장 : 902,819m(터널형 1,640m 포함)
- 높이 : 2~18m
저소음포장 효과를 반영한
경제 적인 방음 벽 설치방 안 검토 필요
4 검토내용
□ 저소음포장의 소음저감 효과
위 치
측정 소음도[dB(A)] 소음저감량
[dB(A)]
비고
시공전 시공후
경인선 시점부 81.3(80.5) 74.5(71.7) 6.8(8.8)
단층
서울외곽선 김포TG 인근 80.0 71.1 8.9
세종시 국도1호선 우회도로 77.9(74.0) 66.3(64.7) 11.6(9.3)
복층
용인시 흥덕지구 국도42호선 78.6 69.2 9.4
* ( ) : 야간소음측정값
** 저소음포장 시공 후 1년 이내에 측정한 결과임
포장공 ❙ 371
포장공
□ 저소음포장을 고려한 방음벽 설치 추진사례
과업명 공사내용
영동선 광교신도시
방음시설 설치공사
◦ 일방향 방음터널(1.1km) 등 4.8km, 저소음포장 1.85km
- 도공(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 경기도시공사(사업비 부담)
* 저소음포장 미적용시 양방향 방음터널 필요
영동선 42.3k(인천)
삼성래미안
교통소음대책 협약 체결
◦영동선․지방도 방음벽 및 저소음포장 1.9km
- 도공(영동선), 용인시(지방도)
* 저소음포장 미적용시 방음터널 필요
서울외곽선 송파나들목
개선사업
◦방음벽 H=2~18m, L=3.4km, 저소음포장(본선부) 2.4km
- 사업시행자 : LH, SH
* 저소음포장 미적용시 방음시설 최고높이 18m 초과
□ 저소음 포장을 고려한 방음벽 개념도
구 분 현 행 개 선
개 요 ∘방음벽에 의한 소음저감 ∘저소음포장을고려한소음저감효과반영
개념도
□ 위치별 적정 방음벽 규모 검토
[포장 공법별 소음저감량 가정]
구 분
콘크리트
(JCP)
아스콘
(SMA)
저소음포장
단층포장 복층포장
저감효과 - -3dB -6dB -9dB
※ 향후‘저소음포장도로의소음저감성능인정기준마련연구(환경부, 2016)’ 용역결과반영
372 ❙ 포장공
◦ 해석지점 현황
구분 노선명 위 치 차로수
(N)
일교통량
(AADT)
첨두교통량
(22시 기준)
지점-A 당진-영덕 문의IC 편도2차로 31,847대/일 1,022대/시
지점-B 제2경인선 서창JCT 편도3차로 64,556대/일 1,992대/시
지점-C 서울외곽선 노오지JCT 편도4차로 149,457대/일 4,892대/시
※ 차로수(4~8차로), 교통량(대, 중, 소)에 따라 3개 지점 선정
◦ 소음해석 조건
- 소음저감 목표 : 주간 65dB, 야간 55dB
- 해석구간 L=2.0km, - 소음해석 프로그램 : KHTN
◦ 소음해석 결과
해석
지점
번호
구분 방음벽 규모(L×H)
교통량
수음점
위치
수음점
높이
Con'c Ascon
저소음포장
단층 복층
① 소교통
(A)
50m 6m 550×8 250×5 250×3 250×1.5
100m 6m ② 400×8 350×4 150×1.5 포장만 설치
③
중교통
(B)
100m
6m 400×12 400×5 300×2 포장만 설치
④ 45m 700×16 700×11 450×9 500×7
⑤
200m
6m 400×11 400×2.5 포장만 설치 -
⑥ 45m 650×13 500×7 400×4 400×1.5
⑦
대교통
(C)
200m
6m 850×16 700×8 500×5 150×1.5
⑧ 45m 1150×16 1150×10 1000×7 500×6
⑨
400m
6m 700×14 550×6 포장만 설치 -
⑩ 45m 1000×16 950×6 700×2.5 포장만 설치
☞ LCC 분석시 저소음포장 연장은 분석지점 방음시설 최대연장의 3배로 가정
포장공 ❙ 373
포장공
□ 생애주기비용(LCC) 분석
◦ 해석조건
구분
포장종류
방음벽 비고
콘크리트 아스콘(SMA) 저소음
분석기간 30년 30년 30년 30년
유지관리횟수 2회 3회 4회 1년
유지관리방법 절삭재포장 방음판 교체/청소 폐기물포함
□ 방음대책별 생애주기비용(LCC) 분석결과
지점
분석지점 조건 LCC 분석결과(백만원)
교통량
(대/일)
거리
(m)
높이
(m)
최적안 차순위
시설개요 LCC 시설개요 LCC
①
31,847
50 6 저소음(단층)+방음벽 3m 1,712 SMA+방음벽 5m 1,885
② 100 6 저소음(단층)+방음벽1.5m 931 SMA+방음벽 4m 1,342
③
64,556
100
6 저소음(단층)+방음벽 2m 2,678 SMA+방음벽 5m 3,256
④ 45 저소음(단층)+방음벽 9m 7,665 저소음(복층)+방음벽 7m 11,641
⑤
200
6 저소음(단층) 3,313 SMA+방음벽 2.5m 3,366
⑥ 45 저소음(단층)+방음벽 4m 3,980 SMA+방음벽 7m 5,361
⑦
149,457
200
6 저소음(단층)+방음벽 5m 6,645 저소음(복층)+방음벽1.5m 7,222
⑧ 45 저소음(단층)+방음벽 7m 15,495 저소음(복층)+방음벽6m 18,849
⑨
400
6 저소음(단층) 5,947 SMA+방음벽 6m 7,384
⑩ 45 저소음(단층)+방음벽2.5m 8,175 SMA+방음벽 6m 10,245
※「방음시설물의 효과적 설치에 의한 소음저감 대책 연구, 도교원, 2014」참조
374 ❙ 포장공
5 검토결론
□ 교통량 및 지형, 수음점 등 현장여건에 관계없이 저소음(단층)+
방음벽으로 설치하는 방안이 LCC 측면에서 가장 우수함
◦ 저소음(복층)+방음벽 설치의 경우 다른 대안보다 방음벽 설치규
모(연장 및 높이)는 줄어드나 포장공사비가 상대적으로 커 LCC
측면에서 불리함
※ 방음벽 규모제한 또는 경관고려 지역일 경우 저소음포장(복층) 반영 검토
□ 환경영향평가서 작성시 방음벽 설계흐름도(첨부 2)에 따라 대안
검토 후 최적안을 반영하여 환경부와 협의추진
□ 적용방안
※ 본 방침 적용은 향후 환경부 연구용역9) 결과에 따라 소음저감량을
적용하고, 이 후 환경영향평가서 작성 사업부터 적용
◦ 실시설계 중인 노선 : 본 방침 적용
◦ 공사중 및 공용중인 노선 : 주관(시행)부서 판단 후 적용
9) 「저소음포장도로의 소음저감 성능인정 기준마련 연구, 환경부」
포장공 ❙ 375
포장공
첨부2 방음벽 설계 FLOW CHART
설계시작
현장조사
목표년도 소음예측
환경기준 만족
저감목표 설정
저감방안 검토
저감방안 선정
방음시설 필요
LCC분석 & 대안선정
방음벽 규모제한 또는
경관고려 지역
방음벽 최소화 대안검토
최적 방음시설 결정
설계완료
음원대책
전파경로 대책
수음점 대책
소음도 측정
아스콘,콘크리트+방음벽
저소음(단층)+방음벽
저소음(복층)+방음벽
반복
No
No
Yes
Yes
Yes
N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