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6년_5-8_연결슬라브(link slab) 적용을 통한 장대교량 무조인트 시스템 도입 검토
2024.10.30 11:00
258 ❙ 구조물공
58
구조물공
연결슬라브(link slab) 적용을 통한
장대교량 무조인트 시스템 도입 검토
설계처-2835
(2015.10.19)
1 검 토 배 경
□ 최근 개정된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은 이용자를
위한 주행성 향상 및 신축이음 최소화를 규정하고 있으며,
※ 붙 임 #1 관련 국내․외 기준 조사
□ 일반적인 교량에 설치되는 신축이음의 경우 누수로 인한 교량
내구성 저하, 유지관리성 및 주행성 측면에서 불리하여,
□ 연결슬라브(link slab) 공법 도입으로 평탄성이 우수하고,
누수 없는 장대교량을 실현하고자 함
2 신축이음 최소화 관련 기술 현황
□ 일체식/반일체식 교량(Intergral/Semi-Intergral Bridge)
◦ (개념) 신축이음 제거, 상부구조와 교대부를 일체로 구성
◦ (특징) 교량 연장(Max : 225m), 최대사각 등 적용성에 제한
일체식 교대 교량 반일체식 교대 교량
· 신축이음 및 교량받침 미설치 · 신축이음 미설치, 교량받침 설치
신축조절장치
신축조절장치
벽체교대
신축조절장치
구조물공 ❙ 259
구조물공
□ Slab Extention
◦ (개념) 슬래브를 교대 후면까지 연장 후 맹줄눈 설치
◦ (특징) 단경간 교량 중 고정단 교대에 적용
아스팔트 포장 콘크리트 포장
□ 다점 고정방식 설계
◦ (개념) 기둥연성 및 탄성받침의 전단강성 등을 이용한 변위 흡수
◦ (특징) 다경간 교량 신축이음 최소화를 위해 설계 적용
(기존) 신축이음에서 변위를 흡수하는 일점 고정방식
· 구조계산 간단, 설계 불확실
요인이 적다
· 신축이음 개수가 많아지고,
규격이 커짐
(개선) 기둥의 연성으로 변위를 흡수하는 다점 고정방식
· 구조계산 복잡, 설계 불확실
요인이 많다
· 신축이음 개수가 작아지며,
총 규격이 적어짐
※ 붙 임 #2 신축이음 최소화 관련 기술 요약본 참조
260 ❙ 구조물공
3 문 제 점
□ 일체식(반일체식) 교대 교량은 연장에 제한적3)임
< 미국 Virginia DOT 매뉴얼 참조 >
- 일체식 교대 : 콘크리트교 150m 이하, 강교 90m 이하
- 반일체식 교대 : 콘크리트교 225m 이하, 강교 135m 이하
□ 다점 고정 방식 교량
◦ 교각부는 신축이음장치를 없앨 수 있으나,
◦ 교대부는 교각부의 신축량을 수용하는 신축이음장치 발생
완벽한 누수 방지는 교량 200m 내외로 제한적
4 개선방안 검토
□ (개념) 신축이음 최소화를 위해 연결슬라브 공법 도입
⇒ 반일체식 교대 교량과 융합으로 완전한 누수 방지 및
평탄성 우수 교량 가능
: 교대부(반일체식) + 교각부(연결슬래브 공법)
3) 현재 도로교통연구원에서 무조인트교량 연장 확대 위한 연구과제를 수행중임(무조인트교량
성능향상 및 기존교량 무조인트화 방안 연구)
구조물공 ❙ 261
구조물공
□ (특징) ① 반일체식 교대는 국내 다수 적용된 기술이며,
② 연결슬래브 공법은 구조적으로 단순교와 연속교의
중간 형태이나, 이용자 및 유지관리 관점에서는
연속교 장점을 갖음 : 평탄성 유리, 누수 예방
□ 연결슬래브 공법 적용성 검토
◦ 구조 개념도
◦ 재료(고연성 시멘트 복합체)의 이해
콘크리트에 발생하는 균열이 국부적으로 집중되는 단점을 개선한
재료로서 콘크리트에 소량의 합성섬유를 보강하여 콘크리트의 인성을
증가시켜, 콘크리트의 인장변형성능을 개선한 재료
◦ 고연성 시멘트 복합체의 변형률 특성
보통콘크리트 고연성 시멘트 복합체 비 고
0.01% 2.00~7.00% 200~700배 높은 연신율
변형성능 인장응력-변형 거동
※ 붙 임 #3 고연성 시멘트 재료 특성 참조
262 ❙ 구조물공
◦ 구조계산 방법
ㅇ
※ 고연성 시멘트 복합체 연결슬래브 제원
① 설계 대상 교량 및 연결슬래브 제원(길이) 결정
② 활하중 최대 회전각 발생시 연결슬래브 작용모멘트 산정
③ 연결슬래브 저항모멘트 산정
④ 연결슬래브 인장변형 능력 검토
⑤ 활하중에 의한 연결슬래브 압축변형 능력 검토
※ 붙 임 #4 구조계산서 참조
□ 시험설계 결과 : 반일체식 교대 + 연결슬래브
◦ 대 상 : 광주~강진 7공구 갈동2교
◦ 제 원 : L = 550m(경간장 구성 : 11@50), PSC거더 계열
- 기계적 신축이음 없음
- 반일체식 교대 : 2개소(A1, A2) *토공부에 신축조절장치 설치
- 연결슬래브 : 10개소(P1~P10)
※ 붙 임 #5 자문의견 조치계획 참조
구조물공 ❙ 263
구조물공
5 적 용 방 안
◦ 건설 중 또는 유지관리 교량 연결슬라브 시험 시공 추진
◦ 광주~강진 실시설계 노선 교량에 2~3개소 시범 설계
: 반일체식 + 연결슬라브
◦ 연결슬라브 적용성 관련 연구과제 추진
: 콘크리트 재료 관련 검증시험, 공사시방서 및 품질기준 작성 등
* 도로교통연구원 연구과제 또는 새만금∼전주 노선 특별과업
※ 시험 시공 및 연구과제 결과 분석 후 확대 적용 여부 판단
6 기 대 효 과
□ 전 교량 무조인트화 가능(특수교량4) 등 일부 제외)
□ 경제성
◦ 시험설계 교량(L=550m) : 공사비 감 134백만원
◦ 단경간 교량(L=30m) : 공사비 감 6백만원
붙임 #1 : 관련 국내·외 기준 조사
#2 : 신축이음 최소화 관련 기술 요약본
#3 : 고연성 시멘트 재료 특성
#4 : 구조계산서 및 도면
#5 : 자문의견 검토 조치계획
#6 : 공사비 산출근거
4) PSC 박스 거더, 사장교, 현수교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