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6년_5-7_교량 말뚝기초 설계 프로세스 개선방안
2024.10.30 11:20
구조물공 ❙ 237
구조물공
57
구조물공
교량 말뚝기초 설계 프로세스 개선방안 설계처-1940
(2015.07.08)
1 검 토 배 경
교량 말뚝기초 설계 시 경제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설계
영향인자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최적의 말뚝기초 설계 프로세스를
구축하고자 함
2 현 설 계
1) 말뚝재질 선정기준
구 분 말뚝연장〈15m 말뚝연장 ≥ 15m 비고
말뚝재질 강관말뚝 복합말뚝 설계처-6005
(2009.12.3)
2) 말뚝종류별 지반지지력
구 분 지반 지지력 산정 기준
기성
말뚝
연 암
◦ 구조물기초설계기준, Goodman 식 중 작은 값
구조물기초 설계기준 Goodman
∅
풍화암 ◦ 선단 : × , 주면 : ×
현장
타설
말뚝
연 암
◦ 도공산정식(2002), CFEM, 구조물기초설계기준 중 작은 값
구분 도공산정식 CFEM 구조물기초기준
선단 ․Peck at el 공식 ․ × × × × ․
∼
× ×
주면 ․CFEM 공식* ․ × ×
․∼×′
* CFEM : Canadian Foundation Engineering Manual
풍화암 ◦ 산정기준 없음
※ 세부 산정식 : 별첨 1
238 ❙ 구조물공
3 문 제 점
설계자의 경험적 판단에 의한 형식 결정
□ 기성말뚝(강관, 복합말뚝) 위주의 경험적 설계
◦ 최근 설계노선 분석결과 95.8%가 기성말뚝 적용
[ 최근 10년간 교량 기초형식 현황(동홍천~양양 등 15개 노선 580개교) ]
구 분 계
기 성 말 뚝
현장타설말뚝
강관말뚝 복합말뚝
말뚝본수 43,190본 38,729본 2,620본 1,841본
적용비율 100% 89.7% 6.1% 4.2%
□ 말뚝연장 및 지반조건 등 설계 영향인자 검토 부족
◦ 10m 이상말뚝의경우현장타설말뚝이경제적일수있으나설계시미고려
◦ 지지층(풍화암 또는 연암지지)에 따라 경제성이 달라질 수 있으나 검토 미흡
☞ 말뚝연장, 지반조건 등을 감안한 경제성 검토 필요
보수적인 지지력 설계로 경제성 저하
□ 연암지지 현장타설말뚝 지반지지력 과소 산정 경향
◦ 우리공사 산정식에 의한 지지력 값이 상당히 보수적임
- 정재하시험 결과 대비 약 54% 수준, CFEM 및 구조물기초 설계기준
대비 각각 24%, 32% 낮음
[ 25m 길이의 말뚝직경별 지반지지력 산정결과 비교 ]
구 분
말뚝직경별 지반지지력(kN)
600㎜ 800㎜ 1,000㎜ 1,200㎜ 1,500㎜ 2,000㎜
연암
지지
우리공사
산정식(2002) 1,670 2,968 4,634 6,675 10,428 18,542
CFEM 2,207 3,922 6,124 8,822 13,782 24,505
구조물기초
설계기준 2,465 4,381 6,838 9,852 15,391 27,367
※ 현장타설말뚝 지지력 연구결과 분석 : 별첨 2
구조물공 ❙ 239
구조물공
◦ 두꺼운 풍화암층 활용 미흡으로 연암지지 위주의 현장타설말뚝 설계
- 국내 지반특성 상 N값이 50 이상인 풍화암(IGM*)층이 두껍게 분포
하고 있으나 지지력 산정방법이 명확하지 않아 연암층에 지지
* Intermediate GeoMaterials : 토사와 암반의 중간지반(N값 50/30~50/3 범위)
□ 연암지지 기성말뚝 지지력 산정기준 검토 부족
◦ 암반 일축압축강도에 Scale Effect* 반영으로 지지력값이 낮게 산정
- Scale Effect를 고려하여 qu×1/5 적용
* Scale Effect : 척도의 차이로 암반의 일축압축강도 실험값과 실제값이 차이가 나타나는 현상
◦ 주면마찰력을 연암 근입부만 고려하고 연암상부의 토층은 미 고려
☞ 기성말뚝 및 현장타설말뚝 지지력 산정기준 재검토 필요
기 타
□ 말뚝재료의 강도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적용
◦ 말뚝직경, 두께별 경제성 검토는 시행하나 본체강도 상향에 대한
검토는 미 시행 (강관말뚝 : SKK400*, 현장타설말뚝 : 만 적용)
* SKK400 : 항복강도 400Mpa 이상인 말뚝(허용압축응력 140MPa)
□ 동일 교량 내 다양한 종류의 말뚝 적용으로 시공성 저하
◦ 동일 교량에 강관, 복합, 현장타설말뚝이 혼재하여 시공성 저하
예 시
240 ❙ 구조물공
4 개 선 방 안
1) 말뚝기초 형식 선정절차 수립
□ 말뚝 형식선정 흐름
□ (Step-1) 지반조건, 말뚝연장 등을 고려한 말뚝 재질 선정
① 지반조건
․풍화암 두께 확인
․풍화암 또는 연암
지지 검토
② 말뚝연장
․말뚝 예상길이 검토
․말뚝종류 및 연장별
경제성 고려
③ 특수조건
․환경조건, 해상 또는
대규모 하천횡단
․특수조건 등 고려
경제성
검토
강관말뚝
복합말뚝
현장타설말뚝
□ (Step-2) 시공조건을 고려한 말뚝공법 선정
◦ 매입말뚝
프리보링 타격공법 SIP SDA PRD
․15cm이하 자갈층
․공벽유지 가능
․안정된토사, 풍화암
․공벽유지 불가
․15cm이하 전석층
․공벽유지 불가
․30cm이상 전석층
․지층제약 없음
◦ 대구경 현장타설말뚝
All-Casing RCD Earth Drill
․토사층 위주지반 ․지지층이견고하고깊은지반 ․비교적강도가작고얇은지반
※ 교량 말뚝기초 형식선정 흐름도 및 설계 영향인자 검토 : 별첨 3
구조물공 ❙ 241
구조물공
지반지지력 산정방법 개선
□ 연암지반 현장타설말뚝 지지력 산정방법 현실화
◦ 지반지지력 산정 시 도로교 설계기준 해설(2015) 공식 적용 시
기존 산정식 대비 약 28% 지지력 향상* 가능
* 한계상태법 적용으로 지지력 향상 [저항계수 : 당초 0.4(안전율 2.5) → 변경 0.5~0.55]
[ 도로교 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적용결과 비교 (L=25m일 경우) ]
구 분
말뚝직경별 허용지지력(kN)
600㎜ 800㎜ 1,000㎜ 1,200㎜ 1,500㎜ 2,000㎜
당초 우리공사
산정식(2002) 1,670 2,968 4,634 6,675 10,428 18,542
개선 도로교설계
기준해설(2015) 2,143 3,810 5,953 8,572 13,393 23,811
◦ 연암지반의 지지력 산정식 적용방안
- 우리공사 산정식(2002), CFEM(지지력 과다산정 경향) 및 구조물 기초
설계기준(저항계수 없음) 제외
당 초 개 선
①우리공사 산정식(2002), ②CFEM,
③구조물 기초 설계기준(2009)으로
산정한 값 중 작은 값
①도로교 설계기준 해설(2015) 적용
※ AASHTO, FHWA 산정식과 동일
※ 연암지반 현장타설말뚝 지지력 산정 쉬트 : 별첨 4
□ 두꺼운 풍화암(IGM)층을 활용한 현장타설말뚝 설계
◦ 국내외 적용사례와 관련학회 질의회신 검토결과 풍화암(IGM)
지반에 현장타설말뚝 지지 가능
※ 현장타설말뚝 풍화암(IGM) 지반 적용 검토 : 별첨 5
◦ 국내 풍화암(IGM) 실정에 맞는 지지력 산정식 개발 시까지 도로교
설계기준 해설(2015) 공식 적용
242 ❙ 구조물공
예시) N값 상한 100 적용 시 말뚝직경별 풍화암(IGM) 지반 지지력 검토결과
구 분
말뚝직경별 허용지지력(kN)
600㎜ 800㎜ 1,000㎜ 1,200㎜ 1,500㎜ 2,000㎜
말뚝허용 압축하중 2,051 3,645 5,690 8,200 12,814 22,796
지 반
지지력
도로교설계
기준해설(2015) 2,424 3,424 4,520 5,712 7,680 11,439
※ φ=600mm, 800mm에서 적용성이 높음
◦ 선단지지력 및 주면마찰력 산정방안
구 분 산정식 적용
선단지지력 도로교 설계기준 해설(한계상태설계법, 2015) 공식
주 면
마찰력
IGM 근입부 미연방도로청(FHWA, 1999) 비점성 IGM 공식
IGM 상부토층 도로교 설계기준 해설(한계상태설계법, 2015) 공식
※ 풍화암(IGM) 지반 현장타설말뚝 지지력 산정 쉬트 : 별첨 6
◦ 설계 적용대상
구 분 설 계 적 용 대 상 비고
현장타설말뚝
(Φ=600~800)
- 말뚝연장이 10~20m이고 기성말뚝과 비교
하여 경제성이 확보되는 경우
별첨 7
현장타설말뚝
(Φ=800이상)
- 경제성이 확보되는 경우
◦ 국내 풍화암(IGM) 지반에 맞는 지지력 공식 개발
- (설계) 시험말뚝, 시험 및 분석비용 반영 (교량 당 말뚝본수의 1%)
※ 시험말뚝 시공비, 시험 및 분석, 보완설계 비용 등은 P.S 단가로 지정
- (시공) 시험말뚝 선 시공, 시험 및 분석(도교원 입회)을 통해 지지력 확인
☞ 말뚝 재설계 후 본 말뚝 시공 (데이터 도교원 송부)
데이터 축적 후 국내 IGM 지반에 맞는 지지력 공식 개발
구조물공 ❙ 243
구조물공
□ 연암지반 기성말뚝 지지력 산정방법 개선
◦ 구조물 기초 설계기준 해설(2009) 산정공식의 Scale Effect 제외
- 구조물 기초 설계기준 해설(2009)편 식은 경험식으로 Scale Effect 반영 불필요
- Scale Effect 미반영 시 지반지지력 약 20% 높게 산정 가능
구 분 당 초 개 선
산정식
( :암반 일축압축강도)
적 용 qu×1/5 적용 qu 적용
계산값 1,396 kN (Φ509mm, 9T) 1,669kN (Φ509mm, 9T)
※ 한국지반공학회 질의회신 결과 : 별첨 8
◦ 말뚝두부 지반으로부터 암반상단까지 주면마찰력 반영
- 암반 주면마찰력 + 퇴적토 및 풍화토층의 주면마찰력*까지 산정
* 지반조건 등 검토 후 반영이 곤란한 경우는 미 반영
- 암반상단 주면마찰력 반영 시 지반지지력 약 19~40% 향상
구 분 당 초 개 선
모식도
퇴적토
풍화토
연 암
①
퇴적토
풍화토
연 암
①
②
적 용
암반근입부만의
주면마찰력(①)
연암상부의 주면마찰력(②)
포함 반영 (①+②)
계산값 1,669kN (Φ509mm, 9T) 2,334kN(Φ509mm, 9T)
※ 한국지반공학회 질의회신 결과 : 별첨 8
244 ❙ 구조물공
기 타
□ 설계조건 검토 후 고강도 말뚝재료 적용
◦ 지반지지력보다 말뚝 허용압축하중이 작아 경제성이 불리한 경우
고강도 재료 적용 (강관 : SKK490* 이상, 현장타설말뚝 : 이상)
* SKK490 : 항복강도 490MPa 이상인 말뚝(허용압축응력 190MPa)으로 구조물 기초설계기준 해설
(2009) 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규정함
◦ 고강도 강관말뚝 및 현장타설말뚝 콘크리트 생산․수급여건 고려
□ 시공성을 고려한 교량 말뚝설계
◦ 동일 교량 내 다수 종류의 말뚝배치 시 가급적 동일재질 말뚝 적용
◦ 시공장비의 종류, 접근성, 말뚝재료 수급 및 종류별 수량분포
등을 고려하여 선정
5 협조 및 적용방안
□ 협조사항 (도로교통연구원)
◦ 현장타설말뚝 풍화암(IGM)층 지지력 산정 합동연구
- 풍화암(IGM)층 현장타설말뚝 시험입회 및 데이터 취합․분석
- 국내 여건에 적합한 풍화암(IGM)층 지지력 공식 연구
□ 적용방안
◦ 설계중인 노선 : 본 기준 적용
◦ 공사중인 노선 : 공사주관(시행)부서에서 적용여부 판단
구조물공 ❙ 245
구조물공
별첨 1 지반지지력 상세 현 설계
□ 기성말뚝
◦ (연암) 구조물기초설계기준, Goodman 식 중 작은 값
구조물기초 설계기준 Goodman
Pu : 강관말뚝의 극한선단지지력(kN)
qu : 암반의 일축압축강도(kPa)
At : 강관말뚝의 선단부 순단면적(m2)
Ai : 선단폐색면적(m2)
∅
Qu : 말뚝의 극한선단지지력(kN)
qu : 암석의 일축압축강도(kPa)
N∅ = tan2(45+∅/2)
◦ (풍화암) 선단지지력 : × , 주면마찰력 : ×
: 말뚝선단에서 위로 d, 아래로 d 사이의 평균 N값(d:말뚝직경)
: 각 지층에서의 N값, A : 선단부 또는 주면부, 재료 단면적
□ 현장타설말뚝
◦ (연암) 도공산정식(2002), CFEM, 구조물기초설계기준 식 중 작은 값
구분 도공산정식 CFEM 구조물기초기준
선 단
지지력
×
: Peck at el 공식
: 선단부 단면적
× × × ×
: 불연속면 간격계수
: 말뚝근입부 지름/깊이
: 암석 일축압축강도(kPa)
: 선단부 단면적
∼
× ×
: 암석 일축압축강도(kPa)
: 선단부 단면적
주 면
마찰력
CFEM 공식
× ×
: 대기압
: 암석 일축압축강도(kPa)
∼ × ′
′ : 암석과 콘크리트 일축
압축강도 중 작은값
◦ (풍화암) 산정기준 없음
246 ❙ 구조물공
별첨 3 말뚝기초 형식선정 흐름도 및 설계 영향인자 검토
□ 말뚝기초 형식선정 흐름도
구조물공 ❙ 247
구조물공
□ 말뚝기초 설계 영향인자 검토
(Step-1) 지반조건, 말뚝연장 등을 고려한 말뚝재질 선정
◦ (지반조건) 풍화암층 분포에 따른 경제성
경제성 비교 검 토 결 과
◦지층구성 상 풍화암층이 2.0m
이하일 경우 연암지지가 경제적
☞지반조사 결과 풍화암층이 2m
이하인 경우 풍화암 천공 후
연암지지 검토 필요
◦ (말뚝연장) 말뚝종류별 경제성
말뚝종류별 경제성 비교 검 토 결 과
◦말뚝길이 10m 이상 경제성 분석
결과 현장타설말뚝〈복합〈강관
순으로 분석됨
☞말뚝길이 10m 이상의 경우 말뚝
종류별로 경제성 검토 필요
◦ (특수조건) 환경조건 등 특수조건에 따른 적용성
구 분 강관말뚝 복합말뚝 중구경
현장타설말뚝
대구경
현장타설말뚝
항타 가능 ◎ × 해당없음 해당없음
연약지반 ○ △ △ ◎
해상 횡단교량 △ △ △ ◎
대하천 횡단교량 ○ ○ ○ ◎
특수교량
(현수교, 사장교 등) △ △ △ ◎
수평하중이 큰 교대 ○ ○ ○ ○
수질오염 및
지하수위 변동 ◎ ○ △ △
※ × : 적용불가, △ : 적용성 보통, ○ : 적용성 양호, ◎ : 적용성 매우 양호
248 ❙ 구조물공
(Step-2) 시공조건을 고려한 말뚝공법 선정
◦ 매입말뚝
공 법 명 적 용 조 건 비 고
프리보링
타격공법
- 15cm이하 자갈 또는 전석층, 공벽유지 가능
전석층
1m이하
분포 시
T4조합
SIP
- 안정된 토사 및 풍화암 지반
- 15cm이하 자갈 또는 전석층, 공벽유지 불가
SDA
- 15cm이하 자갈 또는 전석층, 공벽유지 불가
- N치 50이상의 사력층, 호박돌층 및 암반층(T4장착시)
PRD
- 지층에 따른 제약 없음(공벽유지 불가)
- 30cm이상 자갈 또는 전석층, 암반층
◦ 대구경 현장타설말뚝
공 법 명 적 용 조 건
All-Casing
- 토사층 위주지반, 전석층 및 암반
- 용수가 많은 경우 시공능률 떨어짐
RCD
- 지지층이 견고하고 깊은 경우
- 천공심도가 큰 경우 사용 시 유리
Earth Drill
- 지지층이 토사층 위주인 지역
- 비교적 강도가 작고 두께가 얇은 암반
구조물공 ❙ 249
구조물공
250 ❙ 구조물공
구조물공 ❙ 251
구조물공
별첨 3 연암지반 지지력 산정 (예시 : D600)
252 ❙ 구조물공
구조물공 ❙ 253
구조물공
254 ❙ 구조물공
별첨 6 풍화암(IGM) 지반 지지력 산정 (예시 : D600)
구조물공 ❙ 255
구조물공
256 ❙ 구조물공
구조물공 ❙ 257
구조물공
별첨 7 현장타설말뚝(φ=600~800mm) 세부 적용대상
□ 적용대상
◦ 말뚝연장 10~20m*로써 풍화암층 두께가 최소 2.0m 이상** 분
포하고, 경제성을 확보하는 경우
* 최대 시공실적을 감안(18m)하여 20m 제한
** 말뚝길이별 기성말뚝과 현장타설말뚝의 지지력이 같아지는 풍화암층 두께
및 경제성 검토결과
구 분
말뚝길이
비 고
10m 미만 10~15m 15~20m
지 층
구 성
토사1 (N=10) 3.00 3.00 3.00
토사2 (N=15) 4.40 9.40 14.40
풍화토(N=30) 2.00 2.00 2.00
풍화암(N=50) 0.60 0.60 0.60 1D 근입조건
계 10.00 15.00 20.00
강 관
말 뚝
지지력(kN/본) 1,719 1,833 1,947
본수 14 12 12
공사비(백만원) 40 56 74
복 합
말 뚝
지지력(kN/본) 1,724 1,837 1,947
본수 14 12 12
공사비(백만원) 41 50 61
현 장
타 설
말 뚝
(Φ=600)
길이 14.05(+4.05) 17.55(+2.55) 20.95(+0.95) + : 말뚝
길이 증가
최소 풍화암 두께 4.65 3.15 1.55
지지력(kN/본) 1,715 1,836 1,948
본수 14 12 12
공사비(백만원) 43 43 55
◦ 말뚝연장 20m 이하로써 풍화암층이 없는(최소 1m 이하) 연암층에
지지 시 경제성을 확보하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