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2015년도 고속도로 설계실무자료집

2-1 스 마 트 톨 링 도 입 을 고 려 한 『스 마 트 나 들 목 설 계 기 준 』 제 정

교통 및 기하구조 02

 

교통 및 기하구조 ❙ 47

교통 및

기하구조

21

교통 및 기하구조

스마트톨링 도입을 고려한

『스마트 나들목 설계기준』제정

설계처-2846

(2015.10.13)

1 검 토 배 경

□ 2020년 전국 고속도로 요금소 무인화 계획(스마트톨링 도입)에

따라 나들목 형태 슬림화 및 과적단속방법 변화예상

□ 스마트톨링 도입으로 국민이 고속도로를 보다 안전하고 편안

하게 이용토록 하기 위해 나들목 설계방법, 기하구조, 교통

안전 등에 대한 설계기준 수립 필요

□ 설계중이거나 설계완료 후 공사 미발주 노선은 2020년 이후

개통함에 따라 스마트톨링을 고려한 나들목 설계 추진필요

* 설계중 노선 : 포항-영덕, 파주-포천, 김포-파주, 광주-완도, 창녕-현풍(확장)

* 설계완료 노선 : 함양-창녕, 창녕-밀양, 아산-천안, 광주순환, 남이-천안(확장)

2 추 진 경 위

□ ‘14. 1 : 스마트나들목 실무 T/F 구성․운영(사장방침, 건설처)

⇒ ‘17년부터 준공되는 신설고속도로는 전면 스마트톨링 도입

□ ‘14. 9 : 스마트나들목 설계 추진계획 검토(설계처)

⇒ 설계중 또는 미발주 노선은 스마트 나들목으로 설계추진

□ ’15. 1 : 스마트톨링 전면도입 추진방안(사장방침, 영업처)

⇒ T/F 구성, 전면도입 합동․집중연구(3대 부문 18개 과제) 수행

□ ‘15. 3 : “스마트나들목 설계지침” 수립계획

⇒ T/F구성(관련 실․처, 한국도로기술사회) 및 협업시행

□ ‘15. 7~8 : 스마트나들목 설계기준 설계심의(기술심사처)

48 ❙ 교통 및 기하구조

3 주 요 내 용

1. 스마트톨링 시스템 구분

□ 시스템 구성에 따른 구분

구 분 설 치 설 비 비 고

일반형 스마트 톨링 설비설치

통합형 스마트톨링 설비+무인과적단속시스템 설비설치 겐트리 공동 활용

□ 설치위치에 따른 구분

구 분 설 치 위 치 비 고

본 선 형 고속도로 본선에 설비설치

연결로형

집중형 두 개 이상의 연결로에 하나의 설비설치

분산형 연결로별 개별설비 설치

2. 스마트톨링 설치구간 설계기준

□ 횡단구성

구 분 본 선

연 결 로

1방향 비 고

1차로

1방향

2차로

양방향

다차로

차 로 3.6m 3.6m 3.6m 3.6m 부득이한 경우 3.5m

중앙분리대 3.0m - -

2.5m

(2.0m)

( ) 부득이한 경우

우측길어깨 3.0m 2.5m 1.5m

2.5m

(1.5m)

( ) 부득이한 경우

좌측길어깨 - 1.5m 1.5m -

교통 및 기하구조 ❙ 49

교통 및

기하구조

□ 평면 및 종단선형

구 분 기하구조 조건

일반형

본 선 형

- 곡선반경 : 설계속도별 최소곡선반경 이상

- 종단경사 : 최소 ±0.5%, 바람직한 기준 ±2%이하,

최대 ±3%이하(부득이한 경우)

- 기하구조 만족구간 : 편측설비 45m, 양측설비 100m

연결로형

- 곡선반경 : 설계속도별 최소곡선반경 이상

- 종단경사 : 최소 ±0.5%, 바람직한 기준 ±4%이하,

최대 ±7%이하(부득이한 경우)

- 기하구조 만족구간 : 편측설비 45m, 양측설비 100m

통 합 형

- 평면선형 : 편경사 2%에 해당하는 곡선반경 이상

(120km/h : 3,840m이상, 100km/h : 2,650m이상)

- 종단경사 : 최소 ±0.5%, 바람직한 기준 ±1%이하,

최대 ±2%이하(부득이한 경우)

- 기하구조 만족구간 : 150m

□ 접속도로와 최소이격거리

톨링구간

차로 수

접속도로와

접속방법

최 소 이 격 거 리

1방향

2차로 이상

입체교차

- 접속단간 최소이격거리 이상

․본 선 형 : IC 480m, JCT 600m

․연결로형 : IC 180m, JCT 240m

평면교차

- 진입부 : 엇갈림거리 + 우회전 부가차로

- 진출부 : 엇갈림거리 + 대기길이

1방향

1차로

입체교차

- 연결로 집중형 : 설계속도에 따라 255~337m

․연결로 내 분·합류 접속거리 + 인지반응거리

- 연결로 분산형 : 180~240m

․연결로 내 분·합류 접속거리 + 잔여구간길이

평면교차

- 연결로 집중형 : 진입부 215~335m, 진출부 265~425m

․연결로내접속거리+인지반응거리+우회전부가차로

- 연결로 분산형

․진입부 : 설계속도에 따라 175~250m

우회전 부가차로 + 시스템 설치거리 + 시계확보거리

․진출부 : 설계속도에 따라 115~215m

(인지반응거리 + 우회전 부가차로)와 (최소정지

시거 + 대기길이)중 큰 값 적용

* 1방향 2차로 이상인 경우 연결로 집중형 및 연결로 분산형은 동일기준 적용

50 ❙ 교통 및 기하구조

□ 교통안전 및 부대시설

◦ 안내표지

- 예고표지 : 요금소 전방에 설치

(본선형 : 2㎞, 1㎞, 150m 전방, 나들목형 : 0~150m전방)

- 본 표지 : 스마트톨링 겐트리 상부에 문형식으로 설치

◦ 접속도로와 입체교차시 경로안내 보완방안

- 표지인식거리 등이 부족할 경우 예고표지, 방향안내 노면표시

또는 차로유도선(칼라레인) 적용

□ 유지관리시설

◦ 스마트톨링 설치지점 전·후 구간에 유지관리 주차대 설치

구 분

길어깨 폭 설치길이

비 고

표준 주차대 주차대

변이

구간

총 설치길이

본 선 형 3.0 4.0 12.0 12.0 @ 2 36.0

변이구간

접속설치율

1 : 12

연결로형

1방향 1차로

양방향 다차로

2.5 4.0 12.0 18.0 @ 2 48.0

1방향 2차로 1.5 4.0 12.0 30.0 @ 2 72.0

스마트톨링 설비 유지관리 주차대 평면(본선형)

◦ 겐트리 설치위치에는 각종 장비 등을 설치할 수 있는 건축부지

(5.0×7.0m 또는 4.0×6.0m) 확보 * 위치, 면적 등은 관련부서 사전협의

□ 스마트톨링 지주보호시설

◦ 표지지주 보호시설 설치기준에 준해 중분대지주 보호덮개, 이중

가드레일(성토부), L2측구(절토부) 등 설치

교통 및 기하구조 ❙ 51

교통 및

기하구조

3. 무인과적단속 시스템

□ 구 성

◦ 고속축중기(HS-WIM; High speed Weigh-in-motion)

- 고속으로 이동중인 차량의 축하중을 측정하는 장치

◦ AVI 단속카메라 및 제어시스템

- 과적차량 적발시 차량번호 전면 영상추출, 과적 발생량 등 처리

◦ CCTV, VMS 전광판

- 도주차량 정보수집, 과적정보 표출 등

□ 설계기준

◦ 포 장 : 무근 콘크리트포장(JCP, Jointed concrete Pavement)

◦ 평 탄 성 : IRI 2.0 이하

◦ 기하구조

- 종단경사 : ±1% 이하(부득이한 경우 ±2% 이하)

- 횡단경사 : ±2%이하

- 곡선반경 : 편경사 2%에 해당하는 반경이상

(120km/h R=3,840m이상, 설계속도 100km/h R=2,650m이상)

◦ 설치구간 최소길이 : 140m (VMS 설치구간 제외)

- 시스템 전방 100m, 시스템 설치 20m, 시스템 후방 20m

52 ❙ 교통 및 기하구조

4. 과적차량 검문소

□ 분 류

◦ 고정식 과적차량 검문소

- 상시 근무자에 의한 고정식 축중기를 이용한 과적단속 실시

- 고정식 축중기 등 과적단속에 필요한 모든 시설 설치

◦ 이동식 과적차량 검문소

- 과적혐의가 있는 화물자동차를 이동단속반이 유도하여 이동식

축중기를 활용하여 과적단속 실시

- 축중공간 등 최소한 필요시설만 설치

□ 설치위치

◦ 나들목, 분기점, 터널, 휴게소 등과 2km이상 이격된 지점

◦ 과적단속 검문소 설치위치 본선선형 최소기준

본선 설계속도(km/h) 120 100 80

평면 곡선 반지름(m) 1,000 700 400

종 단 경 사(%) 2.0 3.0 4.0

종단곡선

변화비율(%)

볼록곡선 170 100 45

오목곡선 60 45 30

□ 설계기준

◦ 평면구성

교통 및 기하구조 ❙ 53

교통 및

기하구조

◦ 제 원

설계속도(km/h)

구 분 120 100 80 비 고

감속부

변이구간 길이 L1(m) 70 60 50

주 감속차로 길이 L2(m) 120 100 90 직접식

보조 감속차로 길이 L3(m) 50(40) 50(40) 50(40)

축중차로 축중차로 길이 L4(m) 60(45) 60(45) 60(45) ()는이동식

가속부

보조 가속차로 길이L5(m) 40(30) 40(30) 40(30)

주 가속차로 길이 L6(m) 220

(170)

190

(140)

120

(95)

평행식

(직접식)

변이구간 길이 L7(m) 70 60 50

* ( )안의 수치는 제반여건 등을 감안한 최소 설치 길이임.

* 종단경사에 따라 경사지 보정계수(1.0~1.4) 적용

◦ 횡단면 구성

본선 설계속도(km/h) 120 100 80

외측 분리대 폭(시설물 폭)(m) 6.0 5.5 5.0

축중차로 폭(m) 5.0 5.0 5.0

관리사무소 설치대 폭(m)

(고정식 / 이동식)

10.0/3.0 10.0/3.0 10.0/3.0

A-A' B-B'

* 설계속도 100㎞/h 일때 횡단면 구성

◦ 최소 평면곡선 반지름

본선설계속도(km/h) 120 100 80

주 감속차로 500 500 400

보조 감속차로 500 400 300

정차로 400 300 250

보조 가속차로 400 300 250

주 가속차로 500 400 300

◦ 관리사무소 설치대

- 부지면적 : 고정식(10.0 × 20.0m), 이동식(3.0m × 2.0m)

54 ❙ 교통 및 기하구조

□ 안내시설

◦ 무인과적단속시스템과 연계된 과적차량검문소

* 500m 본표지 또는 150m 본표지는 VMS로 대체할 수 있음

◦ 무인과적단속시스템과 연계되지 않은 과적차량검문소

* 이동식검문소의 경우 2km 예고표지 생략가능

4 향 후 계 획

□ “스마트나들목 설계기준” 설명회(10월)

◦ 대 상 : 본사 기술부서 및 실시설계 참여 설계사

◦ 일 자 : 10월중

□ “스마트나들목 설계지침서” 발간(10월)

◦ 책자발간 및 Hi-설계 등재

교통 및 기하구조 ❙ 55

교통 및

기하구조

[별 첨]

스마트 나들목 설치 표준도

56 ❙ 교통 및 기하구조

교통 및 기하구조 ❙ 57

교통 및

기하구조

58 ❙ 교통 및 기하구조

교통 및 기하구조 ❙ 59

교통 및

기하구조

60 ❙ 교통 및 기하구조

교통 및 기하구조 ❙ 61

교통 및

기하구조

62 ❙ 교통 및 기하구조

교통 및 기하구조 ❙ 63

교통 및

기하구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9769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2480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7088
151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6년_1-2_토질공사, 측량용역 발주방법 검토 file 효선 2024.10.30 1034
151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6년_1-3_신기술(특허) 사용협약 개선 file 효선 2024.10.30 545
151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6년_1-4_설계·건설·유지관리 선순환 구조의 신기술 사후검증 평가시스템 구축 file 효선 2024.10.30 436
151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6년_1-5_견적단가 설계 적용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10.30 1135
151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6년_1-6_교통 안전을 고려한 심사강화 방안 file 효선 2024.10.30 494
»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6년_2-1_스마트톨링 도입을 고려한『스마트 나들목 설계기준』제정 file 효선 2024.10.30 963
150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6년_3-1_보강토옹벽 설계 적용방안 개선 file 효선 2024.10.30 1057
150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6년_3-2_토석류 피해 예방을 위한 설계가이드라인 수립 file 효선 2024.10.30 1400
150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6년_4-1_도로 이탈사고 예방을 위한 절토부 L형측구 설계기준 개선 file 효선 2024.10.30 1242
150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6년_4-2_비점오염 저감시설 최적기능 확보 방안 file 효선 2024.10.30 844
150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6년_4-3_토사퇴적 최소화를 위한 배수시설 개선 file 효선 2024.10.30 1293
150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6년_4-4_깎기비탈면 배수 취약구간 설계 개선 file 효선 2024.10.30 710
150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6년_5-1_한계상태설계법 적용 추진 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10.30 1087
150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6년_5-2_한계상태설계법 시행에 따른 콘크리트 거더교 최소피복 적용(안) 검토 file 효선 2024.10.30 1109
150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6년_5-3_말뚝기초 재하시험 기준 개선 file 효선 2024.10.30 1073
150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6년_5-4_교량바닥판 설계 적용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10.30 981
149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6년_5-5_교량 접속부 평탄성 향상 방안 file 효선 2024.10.30 1234
149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6년_5-6_철근 겹이음 길이 산정(안) 검토 file 효선 2024.10.30 1196
149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6년_5-7_교량 말뚝기초 설계 프로세스 개선방안 file 효선 2024.10.30 1402
149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6년_5-8_연결슬라브(link slab) 적용을 통한 장대교량 무조인트 시스템 도입 검토 file 효선 2024.10.30 6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