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6년_1-4_설계·건설·유지관리 선순환 구조의 신기술 사후검증 평가시스템 구축
2024.10.30 16:53
설계행정
설계행정 ❙ 21
14
설계행정
설계·건설·유지관리 선순환 구조의
신기술(특허) 사후검증 평가 시스템 구축
설계처-1577
(2015.06.05)
1 검 토 배 경
□ 최근 신기술(특허) 공법이 건설 및 유지관리 단계에서 형식변경(민원),
시공 및 유지관리 애로사항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어,
□ 신기술(특허)의 정보축적 및 공유, 현장 적용성 강화를 통한
우수한 공법의 설계적용 촉진을 위하여 설계․건설․유지관리
선순환 구조의 사후검증 평가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함
※ 최근 6년간 시공성, 유지관리, 민원 등으로 교량형식 34건이 건설중 변경
2 관 련 기 준
□ 건설신기술 기술사용료 적용 등에 관한 기준 (국토교통부 훈령)
구 분 내 용
제13조
(신기술의
사후관리 등)
- 신기술을 적용하여 준공한 때 및 하자가 발생하여
하자보수 공사를 시행하여 준공한 때에는 준공일
부터 1개월 이내에 사후평가서를 작성하고 이를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제출
□ 신기술 등 설계도서 작성 및 적용절차 검토 (설계처, 2010)
구 분 내 용
특정공법
검증
- 현장여건의 변동이 있거나 특정공법 개발자가 공법
제공을 거부하는 등의 설계변경이 필요한 경우 설계
자문위원회의 재심의를 받아 설계변경
- 건설 및 유지관리단계에서 매년 사후검증을 실시
하여 설계 피드백
22 ❙ 설계행정
3 신기술(특허) 적용현황
최근 6년간 신기술 102건, 특허 72건 설계
◦ (신기술) IPC 거더, DR 거더, SB ARCH 거더, PSC-e 빔, SEG 빔,
LB-데크, 선지보 네일, FRP 사면보강, LMC 교면포장 등
⇒ 교량형식 10종(53%), 교면포장 등 기타 9종(47%)
◦ (특 허) EX-거더, Nouduler 거더, PCT 거더, 변단면 PSC 빔,
강가로보, 강관보강 자동화그라우팅, 다이아몬드 그라인딩 등
⇒ 교량형식 20종(74%), 강가로보 등 기타 7종(26%)
□ 최근 6년간 설계 /시공 현황
◦설 계 : 174건
◦시공완료 : 38건
◦시 공 중 : 88건
◦미 착 수 : 48건
□ 최근 6년간 교량형식 설계변경 현황
◦ 전체현황
연도
건수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34건 1 2 9 13 4 5
◦ 변경사유
사유
건수
시공 및
유지관리 VE 민원 시공포기 기술제안 기타
34건 23 6 1 2 2
※ (시공 및 유지관리 VE) 무바닥 콘크리트 아치교, PCT 등 (시공포기) UCB
설계행정
설계행정 ❙ 23
4 사후관리 운영현황
□ 신기술 사후관리 (국토교통부 훈령 제13조)
◦ 사후관리 절차
발 주 청
▪신기술정보마당(http://ct.kaia.re.kr)에서 사후평가서 입력
▪발주청 내부 결재권자의 확인을 받아 온라인 제출
※ 우리공사 : 도로교통연구원 주관
국토교통부
(기술정책과) ▪사후평가서 확인 및 승인
국토교통
과학기술진흥원
▪사후평가서를 신기술정보마당에 축적 관리하여
국민들에게 공개
◦ 사후평가
- 시 기 : 해당공종 준공 및 하자 보수공사 준공 후 1개월 이내
- 평가항목 : 공사비 절감, 공기단축, 시공성, 품질향상 등 7개항목
- 의견작성 : 신기술 활용에 대한 의견, 문제점 및 요구사항 작성
- 평 가 자 : (발주청 감독) 공사관리관, (감리) 책임건설사업관리기술자
□ 특정공법 사후검증 (기관별 자체기준)
구 분 우리공사 LH공사 철도시설공단
대 상 신기술 및 특허
시 기
․매년 건설 및
유지관리단계
․준공 후 1년이내 ․해당공종 완료 후
20일이내
항 목
․내구성, 시공성, 경제성에
대한 의견 및 문제점,
개선 필요사항
․공사비 절감, 품질
등 6개항목 배점평가
․하자발생여부및개선
요구사항
․품질, 보급 활용성 등
3개항목 배점평가
․하자발생여부및개선
요구사항
평가자 ․설계처 공종 담당자 ․공사관리관 ․공사시행부서
활 용 -
․전산시스템 구축 및 설계․관련부서에
통보하여 설계 및 시공시 활용
24 ❙ 설계행정
5 문 제 점
□ 신기술(특허)의 설계/건설/유지관리 정보공유 시스템 부재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에서 신기술정보마당(http://ct.kaia.re.kr)을
통하여 신기술에 대한 사후평가서를 국민들에게 정보 공개하고 있으나,
◦ 신기술에 대하여 한정적이고, 건설에 대한 평가로 유지관리단계에
대한 문제점, 민원 등에 대한 정보공유 미흡
□ 신기술(특허) 사후검증 평가 미시행
◦ 2010년부터 특정공법 사후검증 제도를 매년 시행토록 하였으나,
신기술(특허) 등 특정공법의 시공실적이 적었고, (‘10년부터 4년간 : 17건)
◦ 사후검증 항목이 단순하여 설계 피드백 활용이 미흡하고, 설계처
공종별 담당자가 검증자로 주관적 평가
□ 건설/유지관리를 고려한 설계 피드백 미흡
◦ 건설단계에서는 교량형식 변경요구 민원, 시공 및 유지관리 VE,
시공 애로사항, 신기술 업체 시공포기 등으로 설계변경
◦ 유지관리단계에서는 잦은 하자발생, 하자보수 곤란 등 안전성의
문제발생에 대한 설계 피드백 미흡
설계․건설․유지관리 선순환 구조의
신기술(특허) 사후검증 평가 시스템 구축 필요
설계행정
설계행정 ❙ 25
6 개 선 방 안
신기술(특허) 정보공유 시스템 마련
□ 포털에 신기술(특허) 활용실적 관리 시스템 구축
단 계 내 용
설 계
․설계부서에서 신기술(특허) 사용협약 후 현황 입력
(사용협약서 사본 포함)
건 설
․공사시행부서에서 신기술(특허) 하도급 계약/변경 후 현황 입력
※ 설계변경으로 신기술(특허) 공법 적용시 현황 입력
유지관리 ․하자시행부서에서 하자 발생시 하자보수 완료후 현황 입력
검 증 ․설계부서에서 신기술(특허) 사후검증 평가 후 현황 입력
□ 설계-건설-유지관리 부서 소통체계 구축
◦ 소통체계
건설, 유지관리부서
↔
설 계 부 서
건설 및 유지관리중 문제점 발생시
즉시 설계부서로 통보
문제점의 사안에 따른
조치계획 수립
개선대책(설계․건설․유지관리부서 합동) 강구 또는 설계반영 제외
26 ❙ 설계행정
신기술(특허) 사후검증 체계구축
□ 신기술(특허) 건설 및 유지관리 현장 합동점검
◦ (시 기) 2015년 6월중 (향후 필요시 시행)
◦ (대 상) 건설 및 유지관리중인 신기술 및 특허공법 (전공종)
※ 단, 가설공법 등 매립되거나 공사 준공 후 실체가 없어지는 공법은 제외
◦ (점검자)
- 점검반장 : 설계처 설계계획팀장
- 점검반원 : 설계처, 건설처, 도로처, 재난안전처, 도로교통연구원
담당자 및 외부 전문가
◦ (방 법) 현장점검 및 사후검증 평가서에 의한 시행
◦ (사후검증 평가서) 신기술(특허) 공법과 업체에 대한 평가를 반영하고,
「건설」과「유지관리」로 구분하여 작성
※ 별첨 #3 신기술(특허) 사후검증 평가서(건설, 유지관리) 참조
□ 신기술(특허) 사후검증 평가 정례화 (매년)
◦ (시 기)
- 건 설 : 해당공종 완료 후 1년 이내
- 유지관리 : 공용 후 1년 이내 및 하자담보 책임기간 만료 1년 전․후
※ 매년 5월말 기준 평가대상을 확정하고 6월중 평가
◦ (대 상) 고속도로에 적용된 신기술 및 특허공법 (전공종)
◦ (평가자)
- 건 설 : 설계처 공종 담당자, 외부전문가, 공사 감독원
- 유지관리 : 설계처 공종 담당자, 외부전문가, 지사 유지관리 담당자
※ 외부전문가에게는 평가에 소요되는 수당 및 여비 지급
◦ (방 법) 현장점검 및 사후검증 평가서에 의한 시행
※ 국토교통부 훈령 제13조에 의한 신기술 사후관리는 현행대로 도로교통기술원에서 주관 시행
설계행정
설계행정 ❙ 27
신기술(특허) 설계 피드백
□ 설계, 건설, 유지관리부서에서 신기술(특허) 공법 도입시 포털
신기술(특허) 사후검증 평가이력을 검색하여 참고자료로 활용
□ 신기술(특허) 사후검증 평가결과우수한 신기술(특허) 설계적용 촉진
◦ 우수업체(2~3개)에 대하여는 우리공사 창립기념일 사장 표창
◦ 평가점수 80점(기존기술 수준) 이하의 신기술(특허) 설계 지양
□ 건설 및 유지관리시 사고, 하자, 민원 등으로 공사 이미지 훼손,
업무지장을 초래한 경우 신기술(특허) 적용 제외
7 적용방안 및 향후 추진계획
□ 적용방안
◦ 2009년 이후 설계 적용된 신기술(특허)부터 본방침 적용
□ 향후 추진계획
◦ (설계처) 2015년 신기술(특허) 건설 및 유지관리 현장 합동점검
세부계획 수립 (‘15. 6월)
◦ (점검부서) 건설 및 유지관리 현장 합동점검 (‘15. 6월)
◦ (정보처) 포털신기술(특허) 활용실적관리시스템구축(‘15. 9월)
별 첨 : 1. 신기술(특허) 설계 및 시공현황
2. 신기술(특허) 설계변경 현황
3. 신기술 사후평가서(시공중, 유지관리시)
4. 신기술(특허) 사후관리 흐름도
5. 신기술(특허) 활용실적 입력양식
6. 신기술(특허) 평가팀 구성․운영방안
28 ❙ 설계행정
[붙임 #4]
신기술(특허) 사후관리 흐름도
① 신기술(특허) 사용협약
▪공사 입찰공고전에 기술보유자와 기술사용
협약 체결
② 신기술(특허) 사용협약
결과 시스템 입력
▪신기술(특허) 사용협약 체결 후 1개월 이내
현황 및 사용협약서 사본 등록
③ 신기술(특허) 활용실적
시스템 입력
▪공사시행부서에서 신기술(특허) 하도급 계약
체결후 1개월 이내
④ 시공중
신기술(특허) 사후평가
▪해당공종 시공완료 후 1년이내
⑤ 시공중 사후평가 결과
시스템 입력
▪준공 후 신기술(특허) 사후평가 시행후
1개월 이내
⑥ 유지관리시
신기술(특허) 사후평가
▪공용 후 1년이내
▪하자담보 책임기간 만료 1년 전․후
⑦ 유지관리시 사후평가 결과
시스템 입력
▪유지관리시 신기술(특허) 사후평가 시행후
1개월 이내
⑧ 사후평가 결과 활용
▪설계 및 공사시행부서에서 신기술(특허)
적용전 반드시 사후평가 이력자료를
조회하여 참고자료로 활용
※ 신기술(특허) 공법
합동점검 (필요시)
▪설계처, 건설처, 재난안전처, 도로교통연구원,
외부전문가 합동
※ 매년 9월말 기준 공정진도, 공용년수 등을 파악하여 평가대상을 확정하고 10월중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