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9-3_스마트톨링 도입 대비 톨게이트 디자인 개선 방안 수립
2024.11.12 16:33
510 ❙ 기 타
93
기 타
스마트톨링 도입 대비 톨게이트 디자인 개선 방안 수립 시설처-1197
(2016.04.21)
1 추진배경
□ 톨게이트 시설 디자인에 대한 국민의 눈높이 수준 상향 및
중요성 강화
□ 스마트톨링 도입 이후 발생가능한 톨게이트 개량비용 및
유지관리비 최소화 필요
2 추진경위
□ 스마트톨링 도입에 따른 나들목 최적화 설계
추진 방안 수립 [건설처-1803]
: 2014. 5.
□ 2020 스마트톨링 대비 슬림형 영업소 도입방안
수립 [시설처-1779]
: 2014. 6.
□ 2020 스마트톨링 대비 영업소 규모 개선 방안
수립 [시설처-2740]
: 2014. 9.
□ 2015년 개통노선「슬림형 톨게이트」시범 적용
[담양-성산간 동남원, 거창(영)]
[울산-포항간 남포항, 동경주, 남경주, 범서(영)]
: ~ 2015.12.
설계행정
기 타 ❙ 511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3 현 톨게이트 설계 및 문제점
구 분 일반형 톨게이트 슬림형 톨게이트
적용시기 1987년 이후 2015 시범적용
캐 노 피
개 요
○ 형 태 : 아치형
○ 구 조 : RC조, 철골조
○ 규 격 : 폭 12m, 17m
○ 형 태 : 라운드형
○ 구 조 : 경량철골조
○ 규 격 : 폭 10.8m
사진대지
도 면
[ 정 면 도 ] [ 정 면 도 ]
[지붕평면도] [지붕평면도]
문 제 점
○ 아치형태의 획일적 디자인
장기간 사용
⇒ 고속도로 경관디자인 저하
○ 전면 강판부 도장 적용
⇒ 유지관리비(재도장) 지속 발생
○ 중앙차로 캐노피 높이증가 및
지붕면적 축소
⇒ 강우·햇볕 등의 차양효과 감소
○ 전 차로 기둥 설치
⇒ 스마트톨링 후 적정 차로폭
확대(다차로형) 불리
512 ❙ 기 타
4 개선방안
□ 디자인이 양호한 슬림형 톨게이트의 문제점 보완 후 적용
○ 기둥간격 조정을 통한 기둥 수량 감소 (1열/1차로⇒1열/2차로)
○ 캐노피 곡률을 완화하여 중앙차로 높이증가 최소화
○ 지붕면적을 확대하여 캐노피 기능 보완
높이조정
기둥갯수 감소
지붕면적 보완
정 면 도 지붕평면도
5 향후계획
□ 슬림형 톨게이트 보완설계 : ‘16. 5.
○ 4, 5, 7차로형 톨게이트 실시설계
□ [공사중 노선] 공사 설계변경 시행 : ‘16. 6. ~ 12.
○ 주문진-속초(‘16.12) : 설악, 속초(영)
○ 상주 - 영덕(‘16.12) : 동상주, 서의성, 북의성, 동안동, 청송, 영양(영)
○ 언양 - 영천(‘16.12) : 봉계(영)
※ 영덕(특성화), 경주(한옥형), 삼척·남삼척(공정상) 제외
□ [발주예정 노선] 설계변경 시행 : ‘16. 6. ~ ’17. 6.
○ 동홍천-양양(‘17.6) : 내촌, 인제, 서림(영)
설계행정
기 타 ❙ 513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 [설계중 노선] 설계 반영 : ‘16. 6. ~ 12.
공사 시행 : ‘17. 1. ~ 12.
○ 부산외곽선(‘17.12) : 진영, 한림, 광재, 금정, 철마, 기장(영)
6 기대효과
□ 톨게이트 디자인 개선을 통한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경관
조성 및 고객 편의 개선
□ 스마트톨링 도입 이후를 대비한 적정 톨게이트 표준안 마련
□ 무도장 마감재 사용을 통한 재도장 비용 등 유지관리비 최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