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8-7_표지 신인성 강화를 위한 도로표지 조명시설 운영
2024.11.13 16:07
426 ❙ 부대공
87
부 대 공
표지 시인성 강화를 위한 도로표지 조명시설 운영 교통처-2449
(2016.06.21)
1 검토배경
□ 곡선부 등 기하구조상 불리한 반사각도 구간 재귀반사 불량
□ 결로 및 안개 발생 시 시인성 저하
□ 고령자에 대한 표지 인지도 향상으로 교통안전성 향상 필요
□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조명표지 운영을 위한 설치대상 구체화
* 2016년개정“도로표지 제작설치 및 관리지침”에고속도로의 경우내부 조명식 설치권장
2 현 도로표지 문제점 진단
□ 평면 곡선부 불리한 반사각도에 의해 야간 판독성 저하
평면과 종단선형이 조합된 경우 시인성 불량
※ 도로 기하구조와 표지 판독성 상관관계 분석결과 (도교원, 2013, 붙임1)
- 판독장애(재귀반사 불량) 유발 주요 기하구조 인자는 평면선형
- 좌커브(R) 1,100m, 우커브(R) 1,200m 미만구간에 설치된 표지의 경우
직선구간 표지 휘도의 85% 이하 수준으로 조명식 표지 운영 필요
□ 결로 발생 시 표지 시인성 저하
◦ 결로(結露) 발생원인
- 풍속이 1.5m/s 이하이고, 표지판의 표면 온도가 대기온도의 이슬점1)
이하로 떨어질 경우 대기 중의 수증기가 표지 표면에 물방울로 응결
1) 이슬점 : 공기를 냉각시키면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되며 이슬을 맺는데, 이때의 온도를 말함. 노점(露點)
이라고도 함. 기온이 같더라도 상대습도가 다르면 이슬점은 달라짐
설계행정
부대공 ❙ 427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 결로(結露) 발생 시 문제점
- 물방울로 인한 빛의 산란으로 재귀반사 불량(표지가 검게 보임)
- 운전자의 인지 저하로 지각반응시간 증가에 따른 교통사고 발생
위험성이 높음(결로 발생 시 판독시간 1.5배, 오독율 7.8배 증가2))
□ 결로와 안개는 유사한 자연현상이나, 안개에 대한 도로표지 대책 부재
* (복사안개) 따뜻한 공기+찬 지표면, (결로) 따뜻한 공기+찬 표지판
□ 고령 운전자를 고려한 도로표지 정책 수립필요
◦ 고령자의 경우 네비게이션 등 스마트 편의기술 사용 취약으로
운전 중 도로표지에 대한 의존도가 높음
◦ 연평균 4.8%씩 고령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60대의 표지판독
소요시간은 40대의 2배 (3초⇒6초)
* (판독소요시간) 30대 1.9초, 40대 3초, 50대 4.5초, 60대 6초, 70대 8.6초
◦ 60대 이상 운전자로 인한 사고 및 사망자 비율 지속 증가
* 60세 이상 운전자로 인해 발생되는 사고 및 사망자 비율
구 분 2010년 2013년 2014년
사고건수
(건)
전 체 2,368 2,496 2,395
60세 이상 124(5.2%) 174(7%) 224(9.4%)
사망자
(건)
전 체 353 264 253
60세 이상 30(8.5%) 24(9.1%) 41(16.1%)
2) 국토교통부 건설기술혁신사업 연구보고서 “도로표지판 결로 방지 기술 개발”(2013) p164~166, p44~45
428 ❙ 부대공
3 개선방안 검토
□ 개선 추진방향
◦ 도로 기하구조에 의한 재귀반사 불량뿐만 아니라 결로, 안개,
고령자까지 수용할 수 있도록 도로표지 기능강화 방안 수립
□ 국내․외 기준 및 연구자료 고찰
◦ (결로 및 안개 대책) 조명식 표지 사용
- 국토부 “도로표지 제작 설치 및 관리지침 제20조”
- 미 New Jersey주 “Roadway Design Manual”3)
◦ (접선장 365m 미만의 종단 및 평면 곡선) 조명식 표지 사용
- 미 New Jersey주 “Roadway Design Manual”
◦ (시인성 증진) 조명식 표지 사용 시 인지율 2.4배 증가
- 도로교통공단“조명식 교통안전표지 설치효과 분석 연구(2008)”4)
- 국제조명위원회(CIE) “CIE 74 Roadsigns”
◦ 휘도대비5)가 클수록 판독성 증가
□ 검토결과
◦ 도로 기하구조로 인한 야간 재귀반사 불량 해소와 결로, 안개,
고령자에 대한 시인성 증진을 위해서는 조명식 표지 적용 필요
3)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State of New Jersey, Roadway Design Manual, December3, 2003,
4) 도로교통공단 “조명식 교통안전표지 설치효과 분석 연구”, 2008.6, pp. 95
5) 휘도대비 : 보려고 하는 물체와 그와 인접하는 물체의 휘도 또는 광속 발산도를 B1, B2로 하고, 이들 차이의
정도를 그 비, 차 등으로 나타낸 것 (B1+B2)/B 또는 (B1-B2)/B....(B는 B1, B2 사용)
설계행정
부대공 ❙ 429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4 조명식 표지 적용방안
□ 조명식 표지의 종류
◦ 내부조명식, 자체발광식, 외부조명식으로 구분되며, 현재 고속도로 내
129개표지에 대해 조명식 표지 운영 중
구 분 내부조명식 자체발광식
외부조명식
상단 조명 가로등 부착 투광식
전 경
설치수량 53개 25개 31개 17개 3개
설치
비용
공용 2,800만원 500만원 300만원 200만원
신설 3,800만원 2,300만원 2,000만원 1,900만원
* 설치비용 : 내민식 1지명표지/EA에 대해 소요되는 평균비용
◦ 해외 사례(일본)
- 동명고속도로(동경-나고야) : 내부조명식과 외부조명식 혼용(약 5:5)사용 중
내부조명식
외부조명식
상단 조명 투광식
□ 조명식 표지 성능 비교
◦ 조명형식별 큰 차이는 없으나, 내부조명식이 미관 및 판독거리 다소 우수
[출처 : 국토교통부 2014년 도로표지센터 운영 최종보고서]
구분 내부조명식 자체방광식 외부조명식
평균 판독거리(m) 251.1 235.5 237.5
※ 2016년 개정“도로표지 제작 설치 및 관리지침”
☞ 자동차전용도로 등 제한속도가 높은 지점에서는 판독거리가 타
광원에 비해 다소 우수한 내부조명식 표지를 적용할 것을 권장
430 ❙ 부대공
□ 조명표지 운영방안 수립
◦ 운영방안 검토
◦ 조명표지 형식 선정기준
- 신설(확장) 노선 : 내부조명식 사용 권장. 단, 설치여건 등을 감안
기타 다양한 형식의 조명식 표지 사용 가능
- 공용노선 : 기존표지의 노후도, 예산, 현장여건 등 을 고려하여
외부조명식 등 다양한 조명형식 선정 사용
◦ 조명표지 운영대상
- 운전 중 판단과 결정이 필요한 IC, JCT 출구점 예고표지(150m),
고속도로 진입 연결로 분기부 방향표지 조명시설 운영
* 판단·결정이 필요한 표지는 출구예고(2km, 1km), 출구점 예고(150m)
등이 있으나 가로등 운영 및 설치여건 고려 결정
** 출구점 예고표지(1,032개소), 연결로 분기부 방향표지(670개소)
- 긴급주차시설이면서 다중이용시설인 졸음쉼터 안내표지(200m)
조명시설 운영(173개소)
* 쉼터구간 가로등 운영으로 전기인입 용이, 휴게소는 입구 폴싸인 운영 중
- 기타 교통안전을 위해 필요한 지점(야간사고 다발 또는 우려구간)
※ 신설(확장)노선의 경우 상기 조명표지 운영대상 외 도로표지에
대하여도 예산가용 범위 내에서 가급적 조명식 표지 적용
설계행정
부대공 ❙ 431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5 추진계획
□ 설계 중(발주 예정) 노선 : 설계 반영(설계처)
□ 신설 및 확장노선 : 설계 변경 후 조명식 표지 설치(건설처)
□ 공용노선
◦ 안개, 결로 발생 등을 감안, 우선순위에 의거 조명표지 운영
◦ 출구점 예고표지, 연결로 분기부 방향표지, 졸음쉼터 안내표지에
대하여는 표지노후도 등을 고려 내부조명식 또는 외부조명식
표지 설치
* 조명식 표지 설치 우선순위(세부현황 붙임 7 참조)
- 결로 발생이 빈번(20%이상)한 구간 및 안개 취약구간(127개소)
2016년 우선 시행(외부조명식 운영 시, 소요예산 6억원)
- 조명표지 운영 소요예산(외부조명식 운영 시)
구 분 계
2016년
(1순위)
2017년
(2순위)
2018년
(2순위)
설치개소 1,150 127 500 523
소요예산(억원) 47 6 20 21
◦ 그 외 표지 : 매년 현장조사 후 조명식 설치대상 및 조명형식
선정, 사업계획 반영(지역본부⇒본사 사업계획 반영요청)
◦ 공사(설계)중인 졸음쉼터 : 설계반영(교통처 교통안전팀) 설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