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380 ❙ 부대공

82

부 대 공

염해 저감을 위한 소구조물 설계기준 개선 설계처-1363

(2016.05.13)

1 추 진 배 경

□ 제설제로 사용되는 염화물에 직접 영향을 받는 소구조물의 열화로

유지보수비 증가, 미관 저해 등의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발생

o 열화로 인한 소구조물 보수비용 : 55억원/년

【콘크리트 열화 주요 원인】

• 염의 농도 증가에 따른 삼투압으로 공극내 수분 증가 → 얼음 형성, 부피팽창 → 파손

• 지속적인 염화물 공급 → 알칼리-골재 반응 촉진으로 골재 팽창 → 파손

※ 콘크리트 열화 사례

다이크 측구 중앙분리대 방호벽

□ 고객 요구수준 향상, 재난 대처 능력에 대한 외부의 냉정한 평가

등으로 제설제 사용량이 지속적으로 증가 되고 있어 제설제의

직접적인 영향권에 있는 소구조물에 대한 내염 성능을 개선코자 함

※ 2004년 이후 노선연장은 1차로 환산기준 47% 증가한 반면 염화물 사용량은 127% 증가

설계행정

부대공 ❙ 381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2 그간 추진 경위

□ 시멘트콘크리트 설계기준 강도 적용방안 (설계처, 2008)

▪타설 및 양생시 기온, 환경요소 등을 감안하여 설계기준 강도 차등 적용

- 특수지역 : 30MPa 이상, 일반지역 : 24MPa 이상

□ 플라이애시 콘크리트 포장 배합설계 적용방안 (설계처, 2009)

▪알칼리-골재 반응 억제를 위해 콘크리트 포장 전구간에 플라이애시 배합 적용

□ 기계타설 소구조물 콘크리트 배합변경 (설계처, 2010)

▪노출환경 지역 선정 : 원주 등 10개 지사, 인제 등 3개 지역

▪기계타설 소구조물 골재치수 변경 및 플라이애시 배합 추가

□ 구조물 알칼리-골재 반응 억제 잠정 배합 (도로교통연구원, 2011)

▪팽창량이 0.1% 이상인 경우 알칼리-골재 반응 억제를 위해 플라이애시 콘크리트 적용

□ 폐유리슬러지를활용한고내구성소구조물개발 연구(도로교통연구원, 2012)

▪산업부산물인 유리 연마슬러지 등을 혼입한 콘크리트 개발(내염 등 내구성 향상)

※ 폐유리 골재 혼입 콘크리트 조성물 특허등록 : 출원번호 2012-62259, 등록번호 10-1367506

□ 콘크리트 소구조물 설계기준 개선 (설계처, 2013)

▪기계타설 소구조물 전체 설계기준 압축강도 상향 : 24~30MPa → 30MPa

▪콘크리트 내구성 향상을 위해 폐유리 혼입 콘크리트 적용

※ 다이크 시범 설계 적용, 모니터링 후 확대적용 검토

□ 폐유리혼입콘크리트최적배합개발및품질기준(안) 수립(도로교통연구원, 2015)

▪압축강도 30MPa, 35MPa의 기계타설 소구조물 배합설계 개발 및 품질기준(안) 수립

382 ❙ 부대공

3 현 기준에 대한 문제점

□ 플라이애시 콘크리트 적용

【알칼리-골재반응 억제를 위한 플라이애시 콘크리트 적용기준】

• 팽창률 0.1% 이상 골재 사용 : 포장용, 구조물용 모두 의무 사용

• 팽창률 0.1% 미만 골재 사용 : 포장용만 의무 사용

※ 양생방법 : 일평균 10℃ 이하에서는 한중콘크리트에 준하여 양생관리 필요

o 알칼리-골재 반응 억제를 위해 사용하는 플라이애시 배합도 염해에

효과는 있지만, 복합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되는 염해의 근본적인

예방은 어려운 상황

o 원자재 수급 곤란 및 기계타설 공종 시공성 불량

【기계타설 콘크리트의 플라이애시 적용관련 건설사업단 의견 조사결과】

• 하절기 화력발전소 가동 축소에 따른 플라이애시 원자재 수급 곤란

• 동절기 양생관리 애로 및 플라이애시 품질 변동폭 큼

• 성형 지연에 따른 면상태 불량, 확장구간 차량 진동영향으로 품질저하

□ 폐유리 혼입 콘크리트 적용

【폐유리 혼입 콘크리트 개발 및 시범적용(2013.8)】

• 내염 성능 향상을 위해 폐유리 분말을 혼입한 콘크리트 개발

• 제설제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기계타설 소구조물 공종에 폐유리 혼입 콘크리트

사용기준 마련 (다이크에 시범 적용)

o 폐유리 혼입 콘크리트는 염화물 확산속도가 일반 콘크리트 대비 49%,

플라이애시콘크리트대비35% 저감되어 타재료보다 내염성능 아주 우수

o 하지만 소물량의 다이크로는 추가적인 폐유리 분말용 사일로 설비 운영,

폐유리 원자재 생산․운반 등 고려시 현실적으로 시공이 곤란한 조건임

※ 다이크 10km당 폐유리 33ton 소요, 시험시공을 제외한 폐유리 콘크리트 적용 건설사업단 無

□ 압축강도 결정시 제설제 노출환경 일부 미적용(방음벽기초) ⇒ 염해 우려

구 분 다이크 L형측구 중분대 교량 방호벽 방음벽기초 비고

압축강도 30MPa 30MPa 30MPa 35MPa 24MPa

설계행정

부대공 ❙ 383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4 설계기준 개선 검토

1. 폐유리 혼입 콘크리트 확대 적용을 통한 내염성능 향상

및 현장 적용성 증대

2. 방음벽(토공용) 기초 제설제 노출환경 적용을 통한 강도 조정

1. 폐유리 혼입 콘크리트 확대 적용 검토

가. 폐유리 혼입 콘크리트의 반응 메카니즘 (붙임 #1 참조)

□ 콘크리트의 내부 공극 충전 및 알칼리 골재반응 억제로 내구성 증진

o 폐유리 분말 입경이 14~25㎛로서 알칼리-실리카 반응을 통한 실리카-겔

형성(팽창)으로 콘크리트 내부 공극 충전 *염화물 투과시험 결과 등으로 확인

[75㎛ 이하 입경의 실리카粉의 팽창성은 유해하지 않음]

o 굳은 콘크리트내 알칼리골재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수산화칼슘과의

포졸란 반응으로 수산화칼슘을 감소시켜 알칼리 골재반응 억제

※ 포졸란 : 자체수경성은 없으나 콘크리트의 수산화 칼슘과 느린 반응으로

불용성화합물을 만드는 미분 상태의 재료

나. 실내시험 및 시험시공 결과

□ 실내시험 결과 (붙임 #2 참조)

o 제설제 및 동결융해에 대한 내구성 측면에서 우수한 효과 (50cycle 기준)

구분 일반 콘크리트 대비 플라이애시 콘크리트 대비 비 고

염화물 확산속도 49% ↓ 35% ↓

표면박리 34% ↓ 36% ↓

※ 동결융해 1cycle:공시체 온도를 2시간 내지 4시간 사이에서 교대로 4℃ → -18℃, -18℃→4℃로 하는 것

384 ❙ 부대공

□ 시험시공 현황 및 결과

o 시험시공 현황

일자 공종 연장 시공위치 전경사진 비고

2012.6 중분대 50m

도로교통연구원

충돌시험장

철거

완료

2012.9 다이크 400m 양양IC 연결로

2014.11 콘크리트 포장 198m 담양-함양 2공구

o 시험시공 결과 (붙임 #3 참조)

- (시공성) 플라이애시 혼입시 발생할 수 있는 횡방향 처짐이 없고

양호한 면상태 등 시공성 향상 (플라이애시 콘크리트 대비 시공속도 20%↑)

플라이애시 배합 플라이애시+폐유리 배합 폐유리 배합

- (내구성) 일반 콘크리트는 표면박리 등 열화현상이 발견되었으나

폐유리 혼입 콘크리트는 열화현상 없이 양호

구 분

24MPa 30MPa

비 고

일반 콘크리트 폐유리 콘크리트

(시멘트량 10% 치환)

폐유리 콘크리트

(시멘트량 10% 치환)

19~23개월

경과

다이크

설계행정

부대공 ❙ 385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다. 경제성 검토

□ 생산비는 일반 콘크리트와 유사함

구 분 일반 콘크리트

플라이애시(20%)

콘크리트

폐유리(10%)

콘크리트

비 고

생산단가/㎥

52,819원

( - )

48,169원

(↓4,650원)

52,732원

(↓87원)

30MPa기준

※ 시멘트와 폐유리 분말은 kg당 80원으로 가정하여 단가를 비교함

□ 염해에 대한 내구성능이 우수한 폐유리 혼입 콘크리트가

생애주기비용 고려시 경제성 측면에서 가장 유리

o 폐유리 혼입 콘크리트가 염화물 확산속도가 가장 낮음

- 플라이애시 콘크리트 : 폐유리 혼입 콘크리트의 약 1.5배

- 일반 콘크리트 : 폐유리 혼입 콘크리트의 약 2배

※ 폐유리 혼입 콘크리트의 실내시험 결과 참조(붙임 #3)

□ 기타사항

o 폐유리 분말 생산을 위한 초기 시설 투자비 회수, 원자재 시장의

경쟁구도 형성 등으로 폐유리 분말 자재비는 향후 지속적으로

낮아질 전망

※ 현재 한국순환자원유통지원센터에서는 폐유리분말 자재비를 시멘트가격과 유사하게 제시 중

386 ❙ 부대공

라. 자재 수급여건 분석

□ 폐유리 혼입 콘크리트 생산 여건 검토

o B/P 설치를 통한 직접 생산시 폐유리 분말용 사일로(100ton) 등

설비 추가를 통해 생산 가능(추가 설비비 소요)

o 외부 레미콘 구입시 본격적인 시장 정착기까지는 사일로 등

설비가 여유 있는 일부 공장에서만 생산이 가능하나,

o 지속적인 물량 발생시 업계의 설비투자 등으로 생산 가능공장 확대 예상

※ 현재 구입중인 4개 건설사업단 조사결과 26%가 생산 가능(19개소 중 5개소 생산가능)

□ 폐유리 분말 수급 여건 검토

o 폐유리 자재는 수요와 공급이 일정한 수준으로 수년간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어 향후 단가 급변화는 없을 것으로 판단됨

- 폐유리(파쇄품) 단가 (단위 : 원/kg)

지역 2012(평균) 2013(평균) 2014(평균) 2015(평균) 2016.2 비고

백색 64 65 65 67 67 한국환경공단

재활용가능자원

시장동향조사보고서

갈색 47 47 47 44 44

청록색 28 29 29 28 29

※ 폐유리분말은 미세한 입도로 가공이 필요하므로 위의 단가보다는 다소 높음

o 콘크리트에 소요되는 폐유리 소요량은 폐기물로 처리되는 폐유리

자재량 대비 아주 미미한 수준으로 자재수급 용이

- 유리병 폐기물처리량 : 약 100천ton/년 (기타 LCD 등 포함시 막대함)

- 폐유리 소요량 : 4.6천ton/년 (소구조물 물량)

확대적용 검토결과

□ 소구조물에 대한 폐유리 혼입 콘크리트의 시험시공 및 실내시험 결과

시공성 및 염해 성능이 크게 개선되고, 경제성 또한 양호하므로,

□ 제설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소구조물* 공종에 대해 내염 성능

향상을 위한 폐유리 혼입 콘크리트 확대 적용 필요

*대상 소구조물 : 다이크, L형측구, 중앙분리대, 방호벽, 방음벽 기초

설계행정

부대공 ❙ 387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2. 토공부 방음벽 기초 압축강도 상향 검토

□ 우리공사 설계 적용 기준

o 콘크리트 강도

구 분 다이크 L형측구

중분대

(와이어메쉬)

교량 방호벽

(철근 배근)

방음벽기초 비 고

압축강도 30MPa 30MPa 30MPa 35MPa 24MPa

※ 설계처-2328호(2013.8.1) 및 설계처-1880호(2015.7.6)

o 토공부 방음벽 기초 형식

- 잡초 등으로 식수대 유지관리 애로가 있어 현재는 형식-1, 형식-3

위주로 방음벽 기초 설치

구 분 형식-1 형식-2 형식-3

단면도

적용구간

(설계속도)

60km/h 이상 60km/h 이상 60km/h 미만

※ 방음벽 전면 식수대구간 개선방안(건설처-4310호, 2015.9.4)

□ 콘크리트 시방(설계) 기준

o 염화물 노출환경 적용시 콘크리트 압축강도 (붙임 #4 참조)

구 분

콘크리트

표준시방서(2009)

콘크리트

구조기준(2012)

도로교

설계기준(2015)

비 고

최소 압축강도 35MPa 35MPa 30MPa

388 ❙ 부대공

□ 염화물 노출 환경 적용 검토

o 재난 대처 능력에 대한 외부의 냉정한 평가 등으로 염화물 사용량은

지속적인 증가 추세

※ 2004년 이후 노선연장은 1차로 환산기준 47% 증가한 반면 염화물 사용량은 127% 증가

o 식수대가 없는 방음벽 형식은 기초 자체가 측구 역할을 하고 있어

제설제에 직접적 영향을 받으므로 염화물 노출환경 적용 필요

※ 유사 피해사례

다이크 중앙분리대 방호벽

o 압축강도 상향시 경제성 비교

- 콘크리트 강도상향(24MPa→35MPa)에 따른 생산비는 다소 증가하나

고강도(SD400) 철근 적용에 따른 철근량 감소로 공사비 증가 미미

※ 방음벽 연장 1km당 공사비 (풍하중 : 0.7~0.9kN/㎡ 적용)

구 분

방음벽 높이(기초 1.0m 포함)

비고

2.0m 3.0m 4.0m 5.0m 6.0m 7.0m 8.0m

공사비

(백만원)

증 6 증 6 증 6 증 3 감 15 감 23 감 49

압축강도 상향 검토결과

□ 방음벽 기초가 염화물에 직접적인 노출이 되고 있어 열화 등의

내구성 저하가 예상되므로,

□ 관련 시방서․기준에 의거 염화물 노출환경을 적용하여 압축강도를

상향 조정함이 타당함

설계행정

부대공 ❙ 389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5 검 토 결 론

□ 폐유리 혼입 콘크리트 적용

o 제설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소구조물에 대해서는 시공성

및 내구성을 고려하여 폐유리 혼입 콘크리트를 확대 적용

- 적용 대상 : 다이크, L형측구, 중앙분리대(소분리대포함), 방호벽, 방음벽 기초

※ 팽창률 0.1% 이상 골재사용 구간도 폐유리 혼입 콘크리트 사용(붙임 #5 참조)

o 폐유리 혼입 콘크리트가 도입 초기임을 감안하여 자재 수급, B/P

설비여건 등을 고려 적용 곤란시 기존의 콘크리트 배합으로 변경 가능

o 폐유리 혼입 콘크리트 표준 배합비 : 붙임 #2 참조

□ 토공부 방음벽 기초 압축강도 조정

o 방음벽 기초의 염해에 대한 내구성 확보를 위해 압축강도 상향

구분

당초 변경

비고

압축강도 W/B 압축강도 W/B*

토공부 방음벽

형식 1, 2, 3

24MPa 50% 이하 35MPa 40% 이하 *B : 시멘트+폐유리분말

※ i) 식수대가 있는 형식2는 형식3과 동일단면으로 공사비 증가가 미미하므로 동일하게 적용

ii) 콘크리트 구조기준(2012)의 「4.5.3 노출 범주 및 등급」에서 C2를 만족하여야 함(표4.5.1)

o 고강도 콘크리트 적용에 따라 철근도 연강(SD300) → 고강(SD400)

변경을 통한 경제성 및 안전성 확보

□ 기타사항

o 포장용 콘크리트는 현재 시험시공 후 추적조사 중인 사항으로

향후 추적조사 결과에 따라 폐유리 혼입 콘크리트 적용성 검토

o 직접 생산을 위한 레미콘 제조 구매건 발주시 폐유리 분말용

사일로(100ton) 설비를 추가하여 발주

o 현재 시멘트 생산 공장에서도 프리믹스 형태의 폐유리 혼입 시멘트를

생산 준비(연구 개발)중으로 향후 경제성, 품질관리방안 등을 고려하여

필요시 폐유리 혼입 시멘트 적용 가능

390 ❙ 부대공

6 향후 적용 방안

□ 설계중인 노선 : 본 방침 적용

□ 공사중인 노선 : 현장여건을 고려하여 공사 주관(시행)부서에서

판단 후 시행

붙 임 : 1. 폐유리 혼입 콘크리트의 반응 메카니즘 및 주된 재료 1부

2. 폐유리 혼입 콘크리트 표준 배합비 및 실내시험 결과 1부

3. 폐유리 혼입 콘크리트 시험시공 결과 1부

4. 콘크리트 강도관련 시방서 및 기준 1부

5. 팽창률0.1% 이상골재구간폐유리혼입콘크리트사용가능검토 1부

6. 폐유리 분말 품질관리 기준 1부

7. 주요 폐유리업체 현황 1부

8. 폐유리 재활용관련 법규 및 안정성 시험결과 1부

9. 토공부 방음벽 변경 표준도 1부. 끝.

설계행정

부대공 ❙ 391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붙임 #2 폐유리 혼입콘크리트 표준배합비 및 실내시험 결과

□ 소구조물 표준 배합비

구분

Gmax

(mm)

W/B

(%)

S/a

(%)

Air

(%)

Slump

(cm)

단위중량(kg/m3) 감수제

(×Binder%)

AE제

W C WG S G (×Binder%)

기계

타설

30MPa

폐유리

10% 혼입

25 41 46 5~7 2~5 151 331 37 821 979 0.45 0.030

35MPa

폐유리

10% 혼입

25 38 45 5~7 2~5 151 358 40 799 975 0.45 0.030

인력

타설

35MPa

폐유리

10% 혼입

25 34.5 44 5~7 15 170 443 49 679 915 0.016% 0.76%

※ 도로교통연구원 안전연구실-750호(2015.10.20) 및 실리카계 산업부산물을 활용한

도로용 콘크리트 건설재료 개발(2014) 보고서 참조

□ 실내시험 분석 결과

o 압축강도 : 일반콘크리트 대비 다소 낮지만 큰 차이는 없음

※ 재령 28일에서 압축강도 : 38.53MPa(일반), 38.1MPa(폐유리 혼입)

o 제설제 및 동결융해에 대한 내구성

- 일반콘크리트 대비 효과

시험 항목 일반콘크리트(30MPa) WG10(30MPa) 개선 효과 비고

염화물확산계수

(10-12m2/sec)

11.7 5.96

염화물 확산속도

49% 저감

240cycle

동결융해저항성

(상대동탄성계수%)

88.3 98.6

내구성 지수 11%

향상

300cycle

스케일링저항성

(Mass Loss g/m2)

544 357 표면박리 34% 저감 50cycle

※ 도로교통연구원 안전연구실-750호(2015.10.20)에서 일부 발췌

392 ❙ 부대공

- 플라이애시 콘크리트 대비 효과

시험 항목 FA20(24MPa) WG10(24MPa) 개선 효과 비고

염화물

침투깊이(mm)

32.5 24.6

염화물 침투깊이

24% 저감

제설염

농도 4%

염화물확산계수

(10-12m2/sec)

24.1 15.7

염화물 확산속도

35% 저감

240cycle

스케일링저항성

(Mass Loss g/m2)

1,103 703 표면박리 36% 저감 50cycle

※ 폐유리 슬러지를 활용한 고내구성 소구조물 및 시인성 유도기술 개발 연구보고서(2012)에서 일부 발췌

설계행정

부대공 ❙ 393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붙임 #4 콘크리트 강도 관련 시방서 및 기준 (방음벽 기초)

□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2009)

〈특수노출상태에 대한 요구사항〉

노출상태 보통골재 콘크리트

최대 물-결합재비

보통골재 콘크리트와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최소

설계기준압축강도 (MPa)

물에 노출되었을 때 낮은

투수성이 요구되는 콘크리트 0.50 27

습한상태에서 동결융해 또는

제빙화학제에 노출된 콘크리트 0.45 30

제빙화학제, 염, 소금물, 바닷물에

노출되거나 이런 종류들이 살포된

콘크리트의 철근부식방지

0.40 35

□ 콘크리트 구조기준 (2012년)

〈노출 범주 및 등급에 따른 내구성 허용기준〉

노출범주

및 등급

조건

최대

물-결합재비

최소 설계기준

압축강도

(MPa)

동결

융해

F0

동결융해의 반복작용에

노출되지 않는 콘크리트

- 21

F1

간혹 수분과 접촉하고 동결융해의

반복작용에 노출되는 콘크리트

0.45 30

F2

지속적으로 수분과 접촉하고 동결융해의

반복작용에 노출되는 콘크리트

0.45 30

F3

제빙화학제에 노출되며 지속적으로

수분과 접촉하고 동결융해의 반복작용에

노출되는 콘크리트

0.45 30

철근

방식

C0

건조하거나 또는 수분으로부터

보호되는 콘크리트

- 21

C1

수분에 노출되지만 외부의 염화물에

노출되지 않는 콘크리트

- 21

C2

제빙화학제, 소금, 염수, 해수 또는 해수

물보라 등과 같은 염화물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콘크리트

0.4 35

394 ❙ 부대공

□ 도로교 설계기준 (2015년)

〈노출환경등급에 따른 최소 콘크리트강도 (MPa)〉

노출환경

부식

탄산화에 의한 부식 염화물에 의한 부식 해수의염화물에의한부식

EC1 EC2 EC3 EC4 ED1 ED2 ED3 ES1 ES2 ES3

최소 콘크리트

강도 (MPa)

21 24 30 30 35 30 35

노출환경

콘크리트의 손상

위험없음 동결/융해 침투 화학적 침투

E0 EF1 EF2 EF3 EF4 EA1 EA2 EA3

최소 콘크리트

강도 (MPa)

18 25 30 30 35

※ 도로교 설계기준(2015) 표 5.10.2 환경 조건에 따른 노출 등급

노출

등급

환경조건 해당 노출 등급이 발생할 수 있는 사례

최소설계

기준강도

(MPa)

3. 염화물에 의한 부식

ED1 보통의 습도 ․공기중의 염화물에 노출된 콘크리트 표면 30

ED2 습윤, 드물게 건조한 상태 ․염화물을 함유한 물에 노출된 콘크리트 부재 30

ED3 주기적인 습윤과 건조상태

․염화물을 함유한 물보라에 노출된 교량부위3

․포장

35

5. 동결/융해 작용

EF1

제빙화학제가 없는 부분

포화상태

․비와 동결에 노출된 수직 콘크리트 표면 30

EF2

제빙화학제가 있는 부분

포화상태

․동결과 공기중 제빙화학제에 노출된 도로

구조물의 수직 콘크리트 표면

25

EF3

제빙화학제가 없는 완전

포화상태

․비와 동결에 노출된 수평 콘크리트 표면 30

EF4

제빙화학제나 해수에 접한

완전포화상태

․제빙화학제에 노출된 도로와 교량 바닥판

․제빙화학제를 함유한 비말대와 동결에

직접 노출된 콘크리트 표면

․동결에 노출된 해양 구조물의 물보라 지역

30

주3.이것은 차도로부터 6m 이내에 있는 모든 난간, 벽체, 교각을 포함하며, 또한 차도로부터 배출되는

물에 노출되기 쉬운 신축이음부(expansion joints) 하부 교각의 윗부분과 같은 표면을 포함한다.

설계행정

부대공 ❙ 395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붙임 #6 폐유리 분말 품질관리 기준

□ 폐유리 분말 품질관리 기준 (도로교통연구원 안전연구실-750호, 2015.10.20)

시험 내용 측정 인자 기준 시험법

안전성

급속경구 독성시험 GHS Category

5 이상

화학물질

유해성 시험방법

급성피부자극 총점 0

급성안자극 총점 34 이하

기초 물성

SiO2 (%) 60 이상 KS L 5405

SiO2 + Al2O3 + Fe2O3 (%) 70 이상 ASTM C 311-11b

수분 (%) 1.0 이하 KS L 5405

밀도 (g/cm3) 2.0 이상 KS L 5110

분말도 (cm2/g) 3,200 이상 KS L 5106

※ 프리믹스의 경우는 SiO2항목에 대해서 제조사로 부터 폐유리 시험값을 사전에

제출받아야 함

396 ❙ 부대공

붙임 #8 폐유리 재활용관련 법규 및 안정성 시험결과

□ 폐기물 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 3(재활용기준 등)

- 이전 생략 -

② 법 제13조의2제1항 및 제2항에 따른 재활용 기준, 재활용하여야 하는 폐기

물의 종류 및 구체적인 재활용 방법은 별표 5의2와 같다.

- 이하 생략 -

※ [별표 5의2] 폐기물의 재활용 기준 및 구체적인 재활용 방법

- 이전 생략 -

9. 폐유리를 파쇄·분쇄하여 유리제품이나 건축·토목자재의 원료[일정한 규격의 용기

또는 상자(벌크백을 포함한다)에 넣거나 포장하여야 한다]로 가공하는 경우

- 이하 생략 -

□ 안전성 시험 항목 및 결과

구 분 시 험 결 과

성분분석

o 법정 11개 항목 중 9개 항목 미검출

- 구리 0.125mg/L 검출 (기준 3mg/L 이하)

- 기름성분 0.001% 이하 (기준 5% 이상)

급성독성시험 o 물질 투여에 의한 사망이나 이상소견은 관찰되지 않음

급성피부자극성시험 o 홍반, 가피의 형성 및 부종형성 등이 관찰되지 않음

급성안자극성시험 o 결막의발적및부종이관찰되었으나, 자극성은72시간이내정상회복

※ 폐유리 슬러지를 활용한 고내구성 소구조물 및 시인성 유도기술 개발 연구보고서에서

발췌(도로교통연구원, 2012)

설계행정

부대공 ❙ 397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붙임 #9 토공부 방음벽 기초 변경 표준도

398 ❙ 부대공

설계행정

부대공 ❙ 399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400 ❙ 부대공

설계행정

부대공 ❙ 401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402 ❙ 부대공

설계행정

부대공 ❙ 403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404 ❙ 부대공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9917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2611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7266
155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6-6_고속도로 콘크리트 포장 종방향 타이닝구간 횡방향 떨림 개선방안 file 효선 2024.12.03 558
155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6-7_건설공사 포장공종에 대한 하자담보책임기간 적용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12.03 627
155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7-1_유리섬유재질 록볼트 적용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12.03 1075
155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7-2_터널 기계설비공사 설계 개선 file 효선 2024.12.03 627
155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7-3_콘크리트 라이닝 세부 설계기준 수립 file 효선 2024.11.29 881
155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7-4_병렬터널 적정 이격거리 검토 file 효선 2024.11.29 756
154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7-5_터널 기계설비 시공개선 file 효선 2024.11.26 753
154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7-6_터널 배수용 부직포 품질기준 개정 file 효선 2024.11.13 1275
154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7-7_터널 내장재 설치기준 개선 file 효선 2024.11.13 1126
154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8-1_교통안전표지 표지판 회전 방지방안 file 효선 2024.11.13 952
»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8-2_염해 저감을 위한 소구조물 설계기준 개선 file 효선 2024.11.13 975
154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8-3_고속도로 울타리 성능향상을 위한 야생동물 유도울타리 기준 수립 file 효선 2024.11.13 795
154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8-4_2016년 차선도색 시행방안 수립 file 효선 2024.11.13 908
154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8-5_교량-절토부 접속구간 차량 이탈 및 추락사고 예방을 위한 가드레일 보완설치 계획 file 효선 2024.11.13 1132
154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8-6_중앙분리대 시선유도표지 색상변경 검토 file 효선 2024.11.13 1011
154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8-7_표지 신인성 강화를 위한 도로표지 조명시설 운영 file 효선 2024.11.13 489
153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8-8_버스전용차로 차선도색 기준 알림 file 효선 2024.11.13 1031
153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8-9_졸음쉼터 이용안내간판 정비(설치) 통보 file 효선 2024.11.13 650
153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8-10_중분대 개구부시설 표준도 변경 통보 file 효선 2024.11.13 1072
153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8-11_국민권익위원회 졸음쉼터 제도개선 권고사항 조치계획 file 효선 2024.11.12 9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