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7-3_콘크리트 라이닝 세부 설계기준 수립
2024.11.29 16:58
설계행정
터널공 ❙ 329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73
터 널 공
콘크리트 라이닝 세부 설계기준 수립 설계처-2317
(2016.07.26)
1 검 토 목 적
터널 콘크리트 라이닝 설계시 적용조건이 다양함에 따라 이를 정립
하여 고속도로 이용객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시공성․경제성 향상
을 도모하고자 함
√ 콘크리트 라이닝의 역할 [터널설계기준, 2007]
① 내구연한 동안 구조체로서의 역학적 기능
② 터널내장재로서 미관유지 기능
③ 터널 내부 시설물 보호 및 보존기능
④ 점검 및 보수 관리기능
2 라이닝 설계
□ 설계개념
o 장기적으로 지보재(숏크리트, 록볼트 등)의 기능저하에 따른 추가
하중을 부담하도록 설계
※ 일반적으로 NATM 터널은 지보재로 지반을 안정시키고 지반변형이 수렴된 후에 라이닝
콘크리트를 시공하기 때문에 라이닝에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아 비역학적 기능을 가지는 경우
가 많으나, 숏크리트의 열화 등 예상치 못한 외력에 대비하기 위하여 구조검토 시행
□ 작용하중
o 발생이 예상되는 다양한 하중을 조합하여 적용
① 이완하중
② 잔류수압
③ 라이닝 자중
④ 온도하중 및 건조수축 하중 등
□ 현행 설계법
o 무근콘크리트로 허용응력설계법 수행 후 발생응력이 허용응력을
초과할 경우 강도설계법 적용 후 철근보강
330 ❙ 터널공
3 현실태 및 문제점
□ 설계적용 조건이 다양하여 과업별 검토 결과 상이
o 하중재하형상, 하중조합, 라이닝 단부 경계조건 등 [붙임#1]
구 분 검토조건 비고
이완하중
[Case 1] [Case 2] [Case 3]
잔류수압
[Case 1] [Case 2]
설계방법
철근보강시 강도설계법으로
재검토 필요 무근․철근 모두 적용 가능
[허용응력설계법] [강도설계법]
단부 경계조건
단면형상 [힌지] [스프링]
지반반력계수 KS R
ES ×L (Wölfer식) Ks R
Es ×L (AFTES식)
[Case 1] [Case 2]
o 동일한 하중조건에서도 검토방법에 따라 결과 상이
구 분 차로 암반등급 이완하중 보강 비고
OO-OO고속도로 4공구 2 Ⅴ 0.2(B+Ht) 무근
OO-OO고속도로 11공구 2 Ⅴ 0.2(B+Ht) 철근
●●-●●고속도로 1공구 2 V 0.2(B+Ht) 무근
●●-●●고속도로 4공구 2 V 0.2(B+Ht) 무근
△△-△△고속도로 5공구 2 Ⅴ 0.2(B+Ht) 철근
△△-△△고속도로 15공구 2 Ⅴ 0.2(B+Ht) 무근
▲▲-▲▲고속도로 3공구 2 Ⅴ 0.2(B+Ht) 무근
▲▲-▲▲고속도로 4공구 2 Ⅴ 0.2(B+Ht) 무근
설계행정
터널공 ❙ 331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 라이닝 보강시 시공성, 경제성 향상 필요
o 암질이 불량하여 철근으로 보강한 구간의 경우 구조검토 결과
와 관계없이 동일한 규격으로 복철근 배근
- 최근 국내 지하철, 철도 등 다양한 터널에서 구조계산 결과를
바탕으로 인장/압축 철근 구분 사례
호남 고속철도 1-2공구 경부 고속철도 13-3공구
원주~강릉 철도 11-1공구(개착터널) 울산~포항 고속도로 6,7공구
o 전단철근의 경우 구조검토 결과와 관계없이 동일한 형상(스터럽)
으로 배근되어 시공성 불리
시공현황 문제점
▪실질적으로 간격유지(조립용 철근)만
필요하나 폐합형배근(스터럽) 반영
으로 비경제적
▪철근배근 복잡으로 시공성 저하
및 품질관리 어려움
▪스터럽 : 보의 주철근을 둘러싸고 이에 직각되게 또는 경사지게 배치한 복부보강근
으로서 전단력 및 비틀림모멘트에 저항하도록 배치한 보강철근
▪조립용 철근 : 철근을 조립할 때 철근의 위치를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보조철근
가외철근 용어설명
332 ❙ 터널공
4 개선방안 검토
□ 콘크리트 라이닝 세부 설계기준 정립
개념도 모델링 설계법
①
① ①
②
③
허용응력설계법(무근) 강도설계법(철근)
㉮ 라이닝 단면력 산정
㉯ 발생응력 산정
㉰ 발생응력과허용응력비교
㉱ (만족시) 검토종료
㉱ (불만족시) 라이닝
단면력 재산정
㉲ 부족한 단면력만큼
철근보강 실시
① 하중재하방향 ② 지반반력계수 ③ 단부경계조건 ④ 설계절차
※ 이완하중고의 경우 국내․외에서 최적화를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중에 있어, 본검토에서 제외
① 하중재하방향
- (이완하중) 발파 및 굴착에 따른 지반의 이완으로 발생하므로 중력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이 타당
- (잔류수압) 배수터널 특성을 감안하여 부재에 직각방향으로 작용
하는 것이 타당
⇒ 이완하중 및 잔류수압 형상은 산지부 암반터널(배수터널)에 한하여적용하며,
이외의 경우에는 별도 검토 필요
구 분 이완하중 (중력방향) 잔류수압 (부재 직각방향)
형 상
② 지반반력계수
- 지반공학적 특성을 반영한 AFTES식 적용
⇒ 당초대비 보수적이나, 안전성 향상을 위해 적정식 반영
구 분 당 초 (Wölfer식) 개 선 (AFTES, 미공병단이론식)
특 징 지반공학적특성을반영하지않고, 출처가불명확 지반공학적 특성을 반영하고, 출처가 명확
이론식
KS R
ES ×L
여기서, Ks : 단위접선 길이당 스프링 계수
Es : 주변지반의 탄성계수
R : Lining의등가반경( R=
A
π
)
L : 부재 중앙과 중앙 사이의 길이
Ks R
Es ×L
여기서, Ks : 단위접선 길이당 스프링 계수
Es : 주변지반의 탄성계수
R : Lining의등가반경( R=
A
π
)
L : 부재 중앙과 중앙 사이의 길이
υ : 포아송비
④
설계행정
터널공 ❙ 333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③ 단부 경계조건
- 단부도 아치부와 동일한 암반임을 감안하여 스프링으로 처리
⇒ 안전성 향상을 위해 개선
구 분 당 초 (힌지) 개 선 (스프링)
특징,
개념도
(예시)
▪하부지반 침하 미고려
▪실제 거동 대비과소평가
▪연직방향으로 적용
▪하부지반 침하 반영
▪실제거동대비보수적평가
▪라이닝축선에따라적용
구 분 지점조건 : 힌지 지점조건 : 스프링 증․감 비 고
모멘트
(kN․m)
아치부 28.990 31.764 2.774 증 9.57%
어깨부 -25.935 -24.793 -1.142 감 4.40%
측벽부 -71.218 -35.569 -35.649 감 50.06%
축 력
(kN)
아치부 515.532 513.028 -2.504 감 0.49%
어깨부 558.302 555.879 -2.423 감 0.43%
측벽부 616.134 610.768 -5.366 감 0.87%
전단력
(kN․m)
아치부 45.003 45.736 0.733 증 1.63%
어깨부 39.183 37.402 -1.781 감 4.55%
측벽부 73.093 35.866 -37.227 감 50.93%
※ 어깨부, 측벽부의 경우 축력의 변화가 미미하여 철근량의 변동이 미미할 것으로 판단됨(대부분 압축파괴 영역)
※ 터널 공동구는 철근배근이 생략됨을 감안하여, 스프링의 위치는 시공이음부에 설정
※ 단부의 스프링은 기초지반 검토시 사용하는 연직반력계수 산출식에 의한 값을 사용
※ 지반스프링은 하중 적용시 인장스프링이 자동적으로 탈락되도록 Elastic Link 적용
④ 설계절차
- 해석이 간편하고 하중조합에 대한 근거가 명확한 강도설계법 적용
구 분 내 용
당 초
▪ 허용응력설계법으로 우선검토 후 철근보강 필요시 강도설계법 적용
→ 하중조합이 명확하지 않고, 철근보강시 추가해석(강도설계법) 필요
※ 교량의 경우 도로교 설계기준에서 하중조합 및 증가계수 제시
발생응력산정
(프로그램 모델링)
허용응력
산정
발생응력
<허용응력
무근
콘크리트
극한강도 산정
(프로그램 모델링)
설계강도 산정
(철근보강량 검토)
극한강도
<설계강도 보강완료
개 선
▪ 무근콘크리트의 경우에도 강도설계법 적용
- 하중조합이 명확하고, 추가해석 불필요
- 받침점 사이의 수직거리()는 0 적용 [FHWA Road Tunnel Mannual(2009) 10-12 참조]
극한강도 산정
(프로그램 모델링)
설계강도 산정
(무보강)
극한강도
<설계강도
무근
콘크리트
설계강도 산정
(철근보강량 검토)
극한강도
<설계강도 보강완료
- (온도하중 및 건조수축) 입출구부 50m 적용, 터널 내부는 제외 [붙임#3]
경계조건별 검토예 [붙임#2]
yes
No
강도설계법
허용응력설계법
No
yes
334 ❙ 터널공
□ 라이닝 철근 배치 최적화
o 인장측, 압축측 철근 구분 [붙임#4]
- (철근규격) 모든 하중조합 중 부재에 발생하는 최대값을 반영
- (보강범위) 모든 하중조합 중 가장 넓은 영역에 겹이음길이를
더하여 선정
- (적용대상) 암질이 균등하고 이상 하중이 예상되지 않는 일반구간에
한하여 반영[파쇄대, 편토압 발생구간 등 제외]
☞ 시공시 현장기술자가 최종 판단하여 정산
당 초 개 선
o 시공성 향상을 위한 전단철근 개선
- (현행) 전단보강 필요유무와 관계없이 스터럽 형태로 철근 배치
- (개선) 전단보강 불필요 구간 철근 형상 변경 (조립용 철근)
구 분 당 초(스터럽) 개 선(조립용 철근)
철근
형상
※ 개선형상(조립철근) 배근방법
철근의 이동 방지를 위해
지그재그로 배근
설계행정
터널공 ❙ 335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4 검 토 결 론
□ 안전성 향상을 위한 콘크리트 라이닝 세부 설계기준 정립
구 분 당 초 개 선
하중
재하
방향 검토형상 상이 이완하중
(중력방향)
잔류수압
(부재에 직각방향)
지반
반력
계수
KS R
ES ×L
여기서, Ks : 단위접선 길이당 스프링 계수
Es : 주변지반의 탄성계수
R : Lining의등가반경( R=
A
π
)
L : 부재 중앙과 중앙 사이의 길이
Wölfer식
Ks R
Es ×L
여기서, Ks : 단위접선 길이당 스프링 계수
Es : 주변지반의 탄성계수
R : Lining의등가반경( R=
A
π
)
L : 부재 중앙과 중앙 사이의 길이
υ : 포아송비
AFTES(미공병단이론식)
단부
경계
조건
▪하부지반 침하 미고려
▪실제거동 대비 과소평가
▪연직방향으로 적용
힌지
▪하부지반 침하 반영
▪실제거동대비보수적평가
▪라이닝축선에따라적용
스프링은 공동구와 라이닝의
시공이음부에 위치하며, 기초
지반 검토시 사용하는 연직반력
계수 산출식에 의해 산정
스프링
설계
절차
▪ 허용응력설계법으로 우선검토 후
철근보강 필요시 강도설계법 적용
- 하중조합이 명확하지 않고, 철근보강시
추가해석(강도설계법) 필요
발생응력산정
(프로그램 모델링
극한강도 산정
(프로그램 모델링)
허용응력 산정 설계강도 산정
(철근보강량 검토)
발생응력 < 허용응력 극한강도 < 설계강도
무근 콘크리트 보강완료
▪ 무근콘크리트의 경우에도 강도설계법
적용
- 하중조합이 명확하고, 추가해석 불필요
- 받침점 사이의 수직거리()는 0 적용
극한강도 산정
(프로그램 모델링)
설계강도 산정
(철근보강량 검토)
설계강도 산정
(무보강) 극한강도 < 설계강도
극한강도 < 설계강도 보강완료
무근 콘크리트
※ 이완하중 및 잔류수압 형상은 지하수위가 터널 천단부 이상인 산지부암반터널
(배수터널)에한하여적용하며, 이외의경우에는 별도 검토 필요
※ 이상지반 등은 필요시 감독원과 협의하여 보완
Yes No Yes No
336 ❙ 터널공
□ 라이닝 철근 배치 최적화
o 인장측, 압축측 철근 구분을 통한 철근배치 최적화
- 암질이 균등하고 이상 하중이 예상되지 않는 일반구간에 한하여 반영
(파쇄대, 편토압 발생구간 등 제외)
☞ 시공시 현장기술자가 최종 판단하여 정산
☞ 취약부가 발생하지 않도록 겹이음 위치는 지그재그로 실시
당 초 변 경
o 시공성 향상을 위한 전단철근 개선
구 분 당 초(스터럽) 개 선(조립용 철근)
철근
형상
5 적용방안 및 기대효과
□ 적용방안
o 설계 중 및 향후 설계 노선 : 본 기준 적용
□ 기대효과
o 세부기준 정립을 통해 더욱 안전한 고속도로 서비스 제공
o 합리적 보강방안 수립으로 경제성 및 시공성 향상
* 설계중인 노선 적용시(미착공 포함) : 약 84억원 절감 [붙임#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