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172 ❙ 구조물공

55

구조물공

철근 겹이음 수량 적용 개선 검토 설계처-2084

(2016.07.13)

1 검토배경

□ 현재 설계단계에서 철근 겹이음 길이 및 위치를 결정함에 따른

단순․반복적인 업무 시간을 축소하여 구조검토, 기술개발 및 부재

최적화 등 내실 있는 고급업무에 집중하고,

□ 시공단계에서도 현장실정에 맞는 시공상세도 작성이 활성화 되도록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함.

2 그간 추진 경위

□ ‘10. 7 : 건설공사 시공상세도 작성지침 수립(국토부)

: 건설공사 전 공종을 망라함

o 실시설계도면과 시공상세도면의 구분 명확화

※ 제도 취지

설계자 : 단순, 반복 업무를 감소시키고, 기술개발 및 설계연구에 집중하여 경제적인

공법 대안 제시

시공자 : 현장실정에 맞는 능동적인 대처능력을 배양하여 기술력 향상하고 현장여건에

부합되는 시공으로 공사 품질 향상

□ ‘11.12 : 시공상세도 작성시행 방안 수립(도로공사)

o 실시설계단계 및 시공단계의 도면 작성 이원화

o 시공상세도 작성비 반영 (공사비의 약 0.4%)

□ ‘12. 8 : “실시설계예시도면” 및“고속도로공사시공상세도작성지침” 발간

: 도로공사 실정에 맞도록 예시 도면 등 제시

설계행정

구조물공 ❙ 173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3 현실태 및 문제점

o 실시설계 단계에서 여전히 겹이음 길이 및 위치를 결정함.

- 겹이음 관련 업무는 교량설계 업무 약 15%로서, 제도취지와

다르게 설계자는 여전히 단순, 반복 업무에 많은 시간을 할애

(붙임 #1 참조)

- 그러나, 과거 대비 구조기술자들의 업무는 증가추세임

ex) 신 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도입, 교량형식 특정공법 심의, 가시설 설계,

건설안전 설계기법 도입(건설안전 설계보고서 작성) 등

o 시공단계에서는 겹이음 길이 및 위치가 결정된 도면이 배부되어,

현장에서는 시공상세도 작성 제도가 활성화되지 않음

4 개선 방안 검토

검 토 방 향

☞ 설계단계에서는 적정 겹이음률에 대한 물량만 산정하고,

시공단계에서 겹이음 길이 및 위치를 결정함

기 존 설 계 분 석

구 분 슬래브 교 대 교 각 비 고

조사대상수 145개소 383개소 380개소

부 산 외 곽 순 환 (9 2 개 교 ) 및 상 주 영

덕 (11 4 개 교 )의 분 석 자 료 임

철근량(ton) 16,706 6,013 30,322

겹이음량(ton) 972 199 2,066

겹이음률(%) 5.82 3.31 6.81

174 ❙ 구조물공

o 슬래브구조, 부재위치 및 설계법에 따라 다소 편차가 발생할 수

있으나, 설계도면의 간소화 및 시공상세도 제도 정착을 위하여

적정 겹이음 할증률 도입 필요

o 조사는 콘크리트계열 및 강교계열 거더교에 대하여 진행하였으며,

PSC BOX 거더교 및 라멘교는 대상교량의 개소수가 적어 대상제외

적 용 방 안

□ (설계단계) 철근 겹이음 길이 및 위치 삭제

o 설계도면 작성시 철근 겹이음 길이 및 위치를 삭제하고 일정량의

적정 할증률 반영하여 물량 산출

ex) 교각의 철근량

겹이음이 없는 철근량 : 1,000 ton

겹이음에 따른 할증률 : 6.75%

철근가공 조립(복잡)에 따른 할증 : 6%

☞ 1,000 × 1.0675 × 1.06 = 1,131.55 ton

o 적정 겹이음 할증률 제안(잠정)

구 분 슬래브 교대 교각 비 고

겹이음 할증률(%) 5.8 3.3 6.8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절사

* 암거, 옹벽, 난간 등은 표준도를 이용하므로 별도의 철근할증률 산출 필요없음

□ (시공단계) 시공상세도 작성시 철근 겹이음 길이 및 위치 결정

설계행정

구조물공 ❙ 175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5 적용 및 향후 추진계획

□ 광주~강진 고속도로 실시설계 노선부터 적용

□ 콘크리트 거더, 라멘교 및 PSC BOX 거더교에 대한 겹이음

할증률 추가조사(2017년)하여 결과 반영

□ 최근 설계노선의 슬래브, 교대 및 교각에 대하여 추가조사 후

겹이음 할증률 확정

붙임 #1 : 교량 설계업무 주요 공정표

#2 : 기존 간소화 도면과 겹이음률 적용 도면 비교

#3 : 실시설계 Check List 수정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9132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1920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6449
157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1-7_실시설계 기술제안입찰 책임범위 결정방안 file 효선 2024.12.04 486
157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2-1_스마트톨링 도입을 고려한 [스마트 나들목 설계기준] 개정 file 효선 2024.12.04 603
157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3-1_깎기 비탈면 안정성 증대를 위한 소단 설계기준 개선 효선 2024.12.04 1155
157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4-1_유지관리 최소화를 위한 중분대 및 길어깨 집수정 개선 효선 2024.12.04 1137
157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4-2_성토부 다이크 집수거 구간 개선 file 효선 2024.12.04 564
157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5-1_단일현장타설말뚝 설계기준 개선 효선 2024.12.04 1086
156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5-2_콘크리트 바닥판 단부 상세설계 개선 file 효선 2024.12.04 443
156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5-3_3차원 기반의 고속도로 설계 시공 유지관리를 윈한 Ex-BIM 로드맵 수립 file 효선 2024.12.04 798
156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5-4_한계상태설계법을 활용한 콘크리트 거더교 최적설계 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12.04 539
»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5-5_철근 겹이음 수량 적용 개선 검토 file 효선 2024.12.04 906
156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5-6_유지관리를 고려한 교량 하부구조 연단거리 설계 개선 방안 file 효선 2024.12.04 1212
156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5-7_건설현장의 안전 시공을 위한 프리개스트 상판 암거 개발 file 효선 2024.12.04 326
156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5-8_구조물 안전성 향상을 위한 가설구조물 설계적용 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12.04 744
156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5-9_토압분리형 일체식 교대 교량 설계지침(요약) file 효선 2024.12.04 1025
156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5-10_제설환경 콘크리트 구조물의 염해내구성 평가 절차 효선 2024.12.04 905
156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6-1_콘크리트 신설 교면포장 내구수명 증진 방안 효선 2024.12.04 836
155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6-2_교통우회가도 포장 설계기준 검토 효선 2024.12.04 510
155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6-3_시공 및 유지관리를 감안한 노면요철포장(rumble strips) 개선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12.04 1110
155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6-4_시멘트 콘크리트포장 배합기준 개선 잠정지침 file 효선 2024.12.04 618
155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6-5_저토피 지중구조물 상부 포장파손 저감방안 file 효선 2024.12.03 1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