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5-5_철근 겹이음 수량 적용 개선 검토
2024.12.04 14:57
172 ❙ 구조물공
55
구조물공
철근 겹이음 수량 적용 개선 검토 설계처-2084
(2016.07.13)
1 검토배경
□ 현재 설계단계에서 철근 겹이음 길이 및 위치를 결정함에 따른
단순․반복적인 업무 시간을 축소하여 구조검토, 기술개발 및 부재
최적화 등 내실 있는 고급업무에 집중하고,
□ 시공단계에서도 현장실정에 맞는 시공상세도 작성이 활성화 되도록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함.
2 그간 추진 경위
□ ‘10. 7 : 건설공사 시공상세도 작성지침 수립(국토부)
: 건설공사 전 공종을 망라함
o 실시설계도면과 시공상세도면의 구분 명확화
※ 제도 취지
설계자 : 단순, 반복 업무를 감소시키고, 기술개발 및 설계연구에 집중하여 경제적인
공법 대안 제시
시공자 : 현장실정에 맞는 능동적인 대처능력을 배양하여 기술력 향상하고 현장여건에
부합되는 시공으로 공사 품질 향상
□ ‘11.12 : 시공상세도 작성시행 방안 수립(도로공사)
o 실시설계단계 및 시공단계의 도면 작성 이원화
o 시공상세도 작성비 반영 (공사비의 약 0.4%)
□ ‘12. 8 : “실시설계예시도면” 및“고속도로공사시공상세도작성지침” 발간
: 도로공사 실정에 맞도록 예시 도면 등 제시
설계행정
구조물공 ❙ 173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3 현실태 및 문제점
o 실시설계 단계에서 여전히 겹이음 길이 및 위치를 결정함.
- 겹이음 관련 업무는 교량설계 업무 약 15%로서, 제도취지와
다르게 설계자는 여전히 단순, 반복 업무에 많은 시간을 할애
(붙임 #1 참조)
- 그러나, 과거 대비 구조기술자들의 업무는 증가추세임
ex) 신 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도입, 교량형식 특정공법 심의, 가시설 설계,
건설안전 설계기법 도입(건설안전 설계보고서 작성) 등
o 시공단계에서는 겹이음 길이 및 위치가 결정된 도면이 배부되어,
현장에서는 시공상세도 작성 제도가 활성화되지 않음
4 개선 방안 검토
검 토 방 향
☞ 설계단계에서는 적정 겹이음률에 대한 물량만 산정하고,
시공단계에서 겹이음 길이 및 위치를 결정함
기 존 설 계 분 석
구 분 슬래브 교 대 교 각 비 고
조사대상수 145개소 383개소 380개소
부 산 외 곽 순 환 (9 2 개 교 ) 및 상 주 영
덕 (11 4 개 교 )의 분 석 자 료 임
철근량(ton) 16,706 6,013 30,322
겹이음량(ton) 972 199 2,066
겹이음률(%) 5.82 3.31 6.81
174 ❙ 구조물공
o 슬래브구조, 부재위치 및 설계법에 따라 다소 편차가 발생할 수
있으나, 설계도면의 간소화 및 시공상세도 제도 정착을 위하여
적정 겹이음 할증률 도입 필요
o 조사는 콘크리트계열 및 강교계열 거더교에 대하여 진행하였으며,
PSC BOX 거더교 및 라멘교는 대상교량의 개소수가 적어 대상제외
적 용 방 안
□ (설계단계) 철근 겹이음 길이 및 위치 삭제
o 설계도면 작성시 철근 겹이음 길이 및 위치를 삭제하고 일정량의
적정 할증률 반영하여 물량 산출
ex) 교각의 철근량
겹이음이 없는 철근량 : 1,000 ton
겹이음에 따른 할증률 : 6.75%
철근가공 조립(복잡)에 따른 할증 : 6%
☞ 1,000 × 1.0675 × 1.06 = 1,131.55 ton
o 적정 겹이음 할증률 제안(잠정)
구 분 슬래브 교대 교각 비 고
겹이음 할증률(%) 5.8 3.3 6.8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절사
* 암거, 옹벽, 난간 등은 표준도를 이용하므로 별도의 철근할증률 산출 필요없음
□ (시공단계) 시공상세도 작성시 철근 겹이음 길이 및 위치 결정
설계행정
구조물공 ❙ 175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5 적용 및 향후 추진계획
□ 광주~강진 고속도로 실시설계 노선부터 적용
□ 콘크리트 거더, 라멘교 및 PSC BOX 거더교에 대한 겹이음
할증률 추가조사(2017년)하여 결과 반영
□ 최근 설계노선의 슬래브, 교대 및 교각에 대하여 추가조사 후
겹이음 할증률 확정
붙임 #1 : 교량 설계업무 주요 공정표
#2 : 기존 간소화 도면과 겹이음률 적용 도면 비교
#3 : 실시설계 Check List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