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5-4_한계상태설계법을 활용한 콘크리트 거더교 최적설계 방안 검토
2024.12.04 15:14
160 ❙ 구조물공
54
구조물공
한계상태설계법을 활용한
콘크리트 거더교 최적설계 방안 검토
설계처-1790
(2016.06.21)
1 검토배경
□ 광주~강진 및 김포~파주 노선부터 적용되는 교량 신설계 기준
(한계상태설계법) 도입 및 정착을 위한 설계 진행 중에 있으며,
□ 그 가운데 콘크리트 거더교에서 적정 안전율 이상이 확보
되는 것이 확인되어, 기존 설계방법(도로교설계기준)과의 비교 분
석을 통해 한계상태설계법으로의 콘크리트 거더교 최적 설
계 방안을 도출하고자 함.
ex) 허용응력설계법이 자체적으로 갖는 안전율
(= 0.4) ≥ : 콘크리트 안전율 2.5
(= 0.5) ≥ : 철근의 안전율 2.0
※ 허용응력설계법에서 저항력/작용력 비가 1.0만 되어도 설계법 자체적
으로 안전율이 2.0~2.5를 갖는다는 의미임.
2 검토내용
□ 구조물 설계법 종류
① 허용응력설계법(A.S.D, Allowable Stress Design)
- 구조물이 탄성범위내에서 거동하도록 설계하는 방법
- 사용하중에 의한 부재의 응력상태가 허용응력을 넘지 않게
부재 단면 선정
② 강도설계법(U.S.D, Ultimate Strength Design)
- 예측가능한 하중에 대해 파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설계법
- 계수하중이 부재 극한강도를 초과 않도록 설계하는 방법
설계행정
구조물공 ❙ 161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③ 한계상태설계법(L.S.D, Limit State Design)
- 강도설계법에서 사용하는 강도감소계수, 하중계수 등을 확률론적
방법에 근거한 값으로 설계하는 방법
- 설계수명 동안 각각의 한계상태에 대해 만족하도록 하는 설계법
(붙임 #1 교량 설계법의 종류)
□ 콘크리트 거더1) 설계법
( 국 내 )
◦도로교설계기준(2010) : 허용응력 설계법에 의한 응력검토
와 강도설계법에 의한 휨강도 검토를 모두 수행
◦한계상태설계법(2015) : 허용응력 설계법과 강도설계법의
혼용 형태로서 사용한계상태 및 강도한계상태를 만족하도록 설계
( 미 국 )
◦AASHTO LRFD Bridge Design Specifications :
: 하중저항계수설계법이라 일컬으며, 사용한계 및 강도한계상태를
만족하도록 설계하는 한계상태설계법의 한 종류임
( 유 럽 )
◦Eurocode 2 (Design of concrete structures)
: 한계상태설계법으로 사용한계 및 강도한계상태를 만족하도록 설계
□ 국내 교량 설계 사례 분석 : 일반적인 콘크리트 거더교
◦폭원 및 거더 본수
2차로 5본 - 총폭원 : 12.3 = 1.15 + 4@2.5 + 1.15
4차로 9본 - 총폭원 : 24.3 = 1.15 + 8@2.75 + 1.15
1) 여기서는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를 말한다
162 ❙ 구조물공
2차로
4차로
◦재료 물성 : 콘크리트 = 40MPa, PS 강재 =1,860MPa
(붙임 #2 거더별 콘크리트 강도 현황 및 재료 관련 기준 조사 )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결과 비교
: 포항~영덕 양성교
(포항방향)
<도로교설계기준(2010)>
◦허용응력 검토 : 허용응력 여유 30.2%
*6.64MPa 여유
◦휨강도 검토 : F.S = 1.59
<한계상태설계법(2015)>
◦사용한계 상태 : 허용응력 여유 19.5%
*5.19MPa 여유
◦강도한계 상태 : F.S = 1.53
(붙임 #3 구조계산 결과 요약표 )
설계행정
구조물공 ❙ 163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도로교설계기준(2010)과 한계상태설계법(2015)의
설계 결과는 큰 차이가 없으며,
-일반적인 거더 본수를 감소시킬 단면 여유가 있는
것으로 판단됨(4차로:9본→8본, 2차로:5본→4본)
□ 거더 최적 본수 검토
: 김포~파주 실시설계 공릉천교 개략설계(개량형 PSC)
① 일반적 거더 본 수 “4차로 9본”
= 40MPa 및 PS 강재 = 1,860MPa, 71가닥/본
<도로교설계기준(2010)>
◦허용응력 검토 : 허용응력 여유 29.8%
*6.56MPa 여유
◦휨강도 검토 : F.S = 1.57
<한계상태설계법(2015)>
◦사용한계 상태 : 허용응력 여유 9.0%
*2.4MPa 여유
◦강도한계 상태 : F.S = 1.37
164 ❙ 구조물공
② 거더 본 수 1개 감소 “4차로 8본”
: 한계상태설계법 적용
(CASE1) ①과 동일 조건
콘크리트 fck=40MPa,
PS 강재 fpu=1,860MPa, 71가닥/본
◦사용한계 상태 : 허용응력 여유 2.7%
*0.72MPa 여유
◦강도한계 상태 : F.S = 1.25
(CASE2) 콘크리트 강도 조정
콘크리트 fck=50MPa,
PS 강재 fpu=1,860MPa, 71가닥/본
◦사용한계 상태 : 허용응력 여유 4.2%
*1.4MPa 여유
◦강도한계 상태 : F.S = 1.26
설계행정
구조물공 ❙ 165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CASE3) 강연선 조정
콘크리트 fck=40MPa,
PS 강재 fpu=1,860MPa, 87가닥/본
◦사용한계 상태 : 허용응력 여유 19.1%
*5.07MPa 여유
◦강도한계 상태 : F.S = 1.52
(CASE4) 콘크리트 강도 및 강연선 조정
콘크리트 fck=50MPa,
PS 강재 fpu=1,860MPa, 87가닥/본
◦사용한계 상태 : 허용응력 여유 17.9%
*5.93MPa 여유
◦강도한계 상태 : F.S = 1.54
(붙임 #4 CASE별 구조계산서)
□ 경제성 분석
(상부공)
구 분
기존
설계
최적화 설계
CASE 1 CASE 2 CASE 3 CASE 4
거더 본수 9본 8본 8본 8본 8본
콘크리트 fck 40MPa 40MPa 50MPa 40MPa 50MPa
PS 강재 fpu 1860MPa 1860MPa 1860MPa 1860MPa 1860MPa
거더본당 강연선수 71가닥 71가닥 71가닥 87가닥 87가닥
공사비(백만원) 1,007 896 919 918 941
- 바닥판, 방호벽 등을 포함한 상부 전체 공사비로서 제잡비를 포함한 금액임.
(붙임 #5-1 상부공 공사비 산출 근거)
166 ❙ 구조물공
(하부공)
구 분 기존 설계
최적화 설계
비고(산출방법)
CASE 1, 2, 3, 4
교좌장치 18개소 16개소 - 거더 본수에 따른 사하중 감소 영향은
고려하지 않은 금액임.
공사비(백만원) 60 53 (붙임 #5-2 하부공 공사비 산출 근거)
3 검토결론
□ 현행 단면으로도 일반적인 거더 본 수 감소는 가능하며,
그에 따른 단면 여유는 대폭 감소함.
□ 그간의 설계 경험, 구조 안전성 등을 고려하여 일정값
이상의 단면 여유를 갖는 설계를 하도록 권고함.
◦거더 본수를 줄이면서(9본 → 8본) 사용한계상태에서 위험
단면2)의 응력 여유값을 1MPa 이상 갖도록 하며,
◦필요시 설계자 판단에 따라 콘크리트 강도 또는 강연선
조정을 통해 처리하도록 하되,
◦향후 유지관리를 고려하여 거더와 바닥판은 일정 강도가
차이 나도록 하는 것을 권장함(바닥판: 35MPa, 거더: 45MPa 이상)
∵바닥판 강도가 거더 강도
보다 클 경우, 바닥판을 제거
할 경우 콘크리트 거더가
손상될 확률이 높음
2) 일반적으로 거더 하연의 인장측을 말한다
설계행정
구조물공 ❙ 167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4 적용 및 기대효과
□ 김포~파주 노선부터 적용
□ 실시설계 중 노선에 적용 시 338억원 절감 기대
붙임 #1 교량 설계법의 종류
#2 거더별 콘크리트 강도 현황 및 재료 관련 기준 조사
#3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비교 구조계산결과
#4 CASE별 한계상태설계법 구조계산 요약
#5 공사비 산출 근거
#6 구조분야 책임기술자 검토의견
168 ❙ 구조물공
설계행정
구조물공 ❙ 169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붙임 #3>
설계법 구조계산 결과 요약
<도로교설계기준(2010)>
(허용응력) 검토
= 40MPa일 경우 허용응력 범위 (인장) 0.63 ~ 0.45 (압축)
위험단면 설계결과
구분
발생응력
(MPa)
허용응력
(MPa)
허용응력에도달하기까지의
응력여유분(MPa)
허용응력범위 대비
여유응력 비율
상연 +9.36 -3.98 ~ +18.0
(범위 : 21.98)
18.0 - 9.36 = 8.64 8.64 / 21.98 = 39.3%
하연 +2.66 2.66 - (-3.98) = 6.64 6.64 / 21.98 = 30.2%
(휨강도) 검토
=19,975kN․m, =12,658kN․m ⇒ F.S = 1.59
<한계상태설계법(2015)>
(사용한계) 상태
= 40MPa일 경우 허용응력 범위
사용한계Ⅲ: (인장) 0.7 ~ 0.6 (압축)
사용한계Ⅴ: 0.0 ~ 0.45 (압축)
위험단면 설계결과
구분
발생응력
(MPa)
허용응력
(MPa)
허용응력에 도달하기까지의
응력 여유분 (MPa)
허용응력범위 대비
여유응력 비율
Ⅲ
상연 +9.46 -2.62 ~ +24.0
(범위 : 26.62)
24.0 - 9.46 = 14.54 14.54 / 26.62 = 54.6%
하연 +2.57 2.57 - (-2.62) = 5.19 5.19 / 26.62 = 19.5%
Ⅴ
상연 +7.90 0.00 ~ +18.0
(범위 : 18.00)
18.0 - 7.90 = 10.1 5.34 / 18.00 = 56.1%
하연 +6.26 6.26 - 0.00 = 6.26 6.26 / 18.00 = 34.8%
(강도한계) 상태
=18,804kN․m, =12,315kN․m ⇒ F.S = 1.53
170 ❙ 구조물공
<붙임 #4>
C A S E별 구 조 계 산 서
(CASE1) ①과 동일 조건
검토조건 : 콘크리트 fck=40MPa, PS 강재 fpu=1,860MPa, 71가닥/본
- 위험단면 사용한계상태 검토결과 (-)인장, (+)압축
구분
발생응력
(MPa)
허용응력
(MPa)
허용응력에 도달하기까지의
응력 여유분 (MPa)
허용응력범위 대비
여유응력 비율
Ⅲ
상연 +16.17 -2.62 ~ +24.0
(범위 : 26.62)
24.0 - 16.17 = 7.83 7.83 / 26.62 = 29.4%
하연 -1.90 -1.90 - (-2.62) = 0.72 0.72 / 26.62 = 2.7%
Ⅴ
상연 +13.57 0.00 ~ +18.0
(범위 : 18.00)
18.0 - 13.57 = 4.43 4.43 / 18.00 = 24.6%
하연 +3.25 3.25 - 0.00 = 3.25 3.25 / 18.00 = 18.1%
- 극한한계상태 검토결과
Mr = 34,194kN․m, Mu = 27,300kN․m ⇒ F.S = 1.25
(CASE2) 콘크리트 강도 조정
검토조건 : 콘크리트 fck=50MPa, PS 강재 fpu=1,860MPa, 71가닥/본
- 위험단면 사용한계상태 검토결과 (-)인장, (+)압축
구분
발생응력
(MPa)
허용응력
(MPa)
허용응력에 도달하기까지의
응력 여유분 (MPa)
허용응력범위 대비
여유응력 비율
Ⅲ
상연 +16.24 -3.04 ~ +30.0
(범위 : 33.04)
30.0 - 16.24 = 13.76 13.76 / 33.04 = 41.6%
하연 -1.64 -1.64 - (-3.04) = 1.40 1.40 / 33.04 = 4.2%
Ⅴ
상연 +13.47 0.00 ~ +22.5
(범위 : 22.50)
22.5 - 13.47 = 9.03 9.03 / 22.50 = 40.1%
하연 +3.59 3.59 - 0.00 = 3.59 3.59 / 22.50 = 16.0%
- 극한한계상태 검토결과
Mr = 34,470kN․m, Mu = 27,300kN․m ⇒ F.S = 1.26
설계행정
구조물공 ❙ 171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CASE3) 강연선 조정
검토조건 : 콘크리트 fck=40MPa, PS 강재 fpu=1,860MPa, 87가닥/본
- 위험단면 사용한계상태 검토결과 (-)인장, (+)압축
구분
발생응력
(MPa)
허용응력
(MPa)
허용응력에 도달하기까지의
응력 여유분 (MPa)
허용응력범위 대비
여유응력 비율
Ⅲ
상연 +15.12 -2.62 ~ +24.0
(범위 : 26.62)
24.0 - 15.12 = 8.88 8.88 / 26.62 = 33.4%
하연 +2.45 2.45 - (-2.62) = 5.07 5.07 / 26.62 = 19.1%
Ⅴ
상연 +12.58 0.00 ~ +18.0
(범위 : 18.00)
18.0 - 12.58 = 5.42 5.42 / 18.00 = 30.1%
하연 +7.49 7.49 - 0.00 = 7.49 7.49 / 18.00 = 41.6%
- 극한한계상태 검토결과
Mr = 41,615kN․m, Mu = 27,300kN․m ⇒ F.S = 1.52
(CASE4) 콘크리트 강도 및 강연선 조정
검토조건 : 콘크리트 fck=50MPa, PS 강재 fpu=1,860MPa, 87가닥/본
- 위험단면 사용한계상태 검토결과 (-)인장, (+)압축
구분
발생응력
(MPa)
허용응력
(MPa)
허용응력에 도달하기까지의
응력 여유분 (MPa)
허용응력범위 대비
여유응력 비율
Ⅲ
상연 +15.15 -3.04 ~ +30.0
(범위 : 33.04)
30.0 - 15.15 = 14.85 14.85 / 33.04 = 44.9%
하연 +2.89 2.89 - (-3.04) = 5.93 5.93 / 33.04 = 17.9%
Ⅴ
상연 +12.43 0.00 ~ +22.5
(범위 : 22.50)
22.5 - 12.43 = 10.07 10.07 / 22.50 = 44.8%
하연 +8.02 8.02 - 0.00 = 8.02 8.02 / 22.50 = 35.6%
- 극한한계상태 검토결과
Mr = 42,029kN․m, Mu = 27,300kN․m ⇒ F.S = 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