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4-1_유지관리 최소화를 위한 중분대 및 길어깨 집수정 개선
2024.12.04 16:27
2016년도 설계실무자료집
배 수 공 04
4-1 유지관리 최소화를 위한 중분대 및 길어깨 집수정 개선 (설계처-2049, 2016.07.08)
4-2 성토부 다이크 집수거 구간 개선 (설계처-3809, 2016.12.13)
빈 면
(쪽맞춤용)
설계행정
배수공 ❙ 103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41
배 수 공
유지관리 최소화를 위한 중분대 및 길어깨 집수정 개선 설계처-2049
(2016.07.08)
1 검토배경
□ 중분대 및 깎기부 길어깨 집수정은 토사 퇴적공간(높이
10~14cm)이 적어 청소 미흡 시 노면배수 지연으로 인한
물고임 발생으로 교통안전에 취약
□ 또한, 동절기 제설재 사용환경에 노출됨에 따라 장기 공용
노선에서 콘크리트 열화 피해 발생
※ 홍천양양건설사업단 종합감사 처분 요구 (감사실-1031호(2016. 6. 2))
콘크리트 강도 상향조정 대상에서 누락된 중앙분리대 집수
정과 L형 측구 집수정을 제설제로 인한 열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강도 상향 등 설계기준을 마련하시기 바람
2 추진경위
□ 중앙분리대용 집수정 배수능력 향상 (1998.11, 설계처)
o 집수정 규격 확대 : 600×1,300×1,260 → 750×1,000×1,430
o 종ㆍ횡배수관 규격 상향 : φ 300mm → φ 450mm
□ 콘크리트 소구조물 설계기준 개선 (2013. 8, 설계처)
o 기계타설 소구조물 전체 설계기준 압축강도 상향 : 24~30 → 30MPa
o 콘크리트 내구성 향상을 위해 폐유리 혼입 콘크리트 시범 적용 (다이크)
104 ❙ 배수공
□ 폐유리 혼입 콘크리트 최적배합 개발 및 품질기준 수립
(2015. 6, 도로교통연구원)
o 기계타설 소구조물(압축강도 30, 35MPa) 배합설계 개발 및 품질기준(안) 수립
□ 염해저감을 위한 소구조물 설계기준 개선 (2016. 5, 설계처)
o 소구조물 폐유리 혼입 콘크리트 확대 적용
- 적용대상 : 다이크, L형측구, 중분대, 방호벽, 방음벽 기초
o 제설제 노출환경을 고려한 압축강도 적용으로 내염성능 향상
- 압축강도 : 무근콘크리트 30MPa, 철근콘크리트 35MPa
3 설계기준
□ 도로 배수시설 설계 및 관리지침 (국토교통부, 2012)
o [ 5장. 노면배수 ]
- 도로 노면 우수는 지체없이 집수정을 통하여 배제하며, 이때
이물질에 의한 막힘이 없도록 한다.
- 집수정 설치간격은 수리계산 결과에 따라 설치하며, 시공성
및 관리를 고려하여 5m 이상, 30m 이하로 한다.
- (중분대) 침전물이 배수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집수정 저부에서 15cm 이상의 위치에 배수관을 위치한다.
설계행정
배수공 ❙ 105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 집수정 표준도 (도공, 2016) (단위 : mm)
구 분 중앙분리대
깎기부 길어깨
일반구간 횡배수관 연결부
종배수관 450 450 또는 600
횡배수관 450 - 600, 800, 1,000
단 면 도
퇴적공간
퇴적공간
퇴적공간
침 전 물
퇴적공간*
140 100 100
콘크리트
압축강도
24Mpa 24Mpa 24Mpa
* 침전물 퇴적공간 : 집수정 저부에서 배수관 까지 높이 (100∼140mm)
* 도로 배수시설 설계 및 관리지침(국토부, 2012년)에는 침전물이 배수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150mm 이상 확보하도록 규정됨
4 현실태 및 문제점
□ 집수정 토사 퇴적공간 부족으로 잦은 정비(청소) 필요
o 집수정은 청소(정비) 후 1~2년 내에 종ㆍ횡배수관 용량 저하 발생
- 집수정 내 토사 퇴적량은 年10cm 내외로 분석됨
집수정 토사 퇴적 종배수관 토사 유입 집수정 기능 상실 (노면 물고임 발생)
☞ 적기 정비 미흡 시 배수기능 저하로 주행 안전성 저하
106 ❙ 배수공
※ 유지관리현장 조사 결과
◎ 퇴적량 실측결과, 중분대 측이 길어깨 측 보다 1.5배 정도 많이 쌓임
- 토사 퇴적량(15개 지사 평균) : 중분대 12.3cm/年, 길어깨 8.3cm/年
집수정 연간 토사 퇴적량(cm)
중분대 : 12.3cm/年
길어깨 : 8.3cm/年
평균 퇴적량
□ 장기 공용노선은 집수정 전체 부분에서 열화 발생
o 집수정 열화는 공용연수에 비례하여 증가하며, 받침부에서 시작
되어 바닥 및 벽체부로 확산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음
열화발생 부위 ① 커버 받침부 ② 집수정 벽체 ③ 집수정 바닥
염화물 피해
①
②
③
※ 유지관리현장 조사 결과
공용연수
열화상태
양 호 받침부 열화 받침부, 벽체, 바닥 열화
설계행정
배수공 ❙ 107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5 개선방안
o 배수시설 기능 유지를 위한 충분한 토사 퇴적공간 확보
o 제설제 노출환경을 고려한 재료 적용으로 내염성능 향상
1. 토사 퇴적량을 고려한 집수정 규격 조정
□ 공용노선 조사 및 의견수렴 결과 반영
o 토사 퇴적량(평균 8~12cm/년), 현재 보수주기(3년 내외) 등을 고려하여
별도 정비 없이 배수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있는 퇴적공간 적용
※ 유지관리부서(지역본부) 의견
√ 집수정 내 적정 퇴적공간은 대부분 30cm 이상(최대 50cm)으로 제시
√ 중분대 측은 교통차단 등이 필요하므로 보다 많은 퇴적공간 확보
√ 집수정의 청소(정비) 주기는 3년 정도가 적정함
□ 집수정 적정 규격 검토
정비(청소)없이 3년이상 배수기능 유지가 가능한 시설규격 적용
구 분 현 재 개 선
정비주기 1~3년 3~5년
퇴적공간
(집수정 바닥 ~
종ㆍ횡배수관)
중분대 14cm 50cm
길어깨 10cm 30cm
단면도
(중분대)
공사비
(천원/개소)
중분대 323 (형식-1) 381 (증 58)
길어깨 679 (형식-2) 761 (증 82)
☞ 파주~포천 고속도로(L=24.8km, 484개) 적용 시 48백만원 증액
108 ❙ 배수공
2. 장기 내구성이 우수한 집수정 검토
가. 집수정 재료(형상) 검토
구 분 제1안 제2안
재 료
내염 콘크리트
(폐유리 혼입)
GFRP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콘크리트
압축강도
35Mpa
35Mpa
(상부 및 하부)
형 상
직육면체 원주형(기성제품)
특 징
ㆍ염해 저항성 양호
- 염화물확산속도 : 일반콘크리트의 49%
ㆍ경제성 우수
ㆍ배수성능 확보
ㆍ염해 저항성 우수
ㆍ경제성 불리
ㆍ배수성능 확보를 위해 상부구조
변경 필요
공사비
(천원/개소)
381 1,264
(예 상)
내구연수
50년 내외 50년 이상
검토(안)
아직까지 내구성 및 경제성 측면에서 콘크리트 집수정을 대체할
수 있는 재료는 찾기 어려움. 따라서, 내염 성능이 우수하고
폐유리 혼입 내염 콘크리트(제1안) 적용
설계행정
배수공 ❙ 109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나. 내염 콘크리트 적용방안
□ 콘크리트 압축강도 상향 및 폐유리 혼입
o 적용대상 : 중앙분리대 및 깎기부 길어깨 집수정
- 노면 집수정은 제설제가 집수정으로 모인 후 장기간 존치되는 환경
이며, 공용노선에서 열화가 발견되고 있으므로 염화물 노출환경 적용
※ 유지관리부서(지역본부) 의견
√ 집수정 열화방지 대책으로 콘크리트 강도 상향이 필요함
o 압축강도 조정
구 분 기 존 변 경 비 고
압축강도 24Mpa 35Mpa
W/B* 50% 이하 40% 이하
W/B : 물-결합재 비
B : 시멘트 +폐유리분말
※ 염화물 노출환경 적용시 시방기준
구 분
콘크리트
표준시방서(2009)
콘크리트
구조기준(2012)
도로교
설계기준(2015)
비 고
최 소
압축강도
35Mpa 35Mpa 30∼35Mpa
최대W/B 0.4 0.4 -
o 폐유리 혼입 콘크리트 적용기준
- ‘염해저감을 위한 소구조물 설계기준 개선(2016.5, 설계처)’ 방침 준용
* 단, 폐유리 혼입 콘크리트 도입 초기임을 감안하여 재재 수급, B/P 변경
여건 등을 고려하여 시공 중 변경 가능
110 ❙ 배수공
6 적용방안
□ 설계 중 노선 : 본 방침 적용
□ 공사(유지관리) 노선 : 현장여건을 판단하여 적용
[ 별 첨 ]
1. 집수정 토사 퇴적량 조사결과
2. 공사비 비교
3. 표준도 변경(안)
* 전체 중 일부만 수록(2017년도 표준도 참조)
설계행정
배수공 ❙ 111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112 ❙ 배수공
설계행정
배수공 ❙ 113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114 ❙ 배수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