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2016년도 설계실무자료집

교통 및 기하구조 02

2-1

스마트톨링 도입을 고려한 『스마트 나들목 설계기준』개정

(스마트톨링추진단-604, 2016.06.01)

빈 면

(쪽맞춤용)

설계행정

교통 및 기하구조 ❙ 59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21

교통 및 기하구조

스마트톨링 도입을 고려한

『스마트 나들목 설계기준』개정

스마트톨링추진단-604

(2016.06.01)

1 검토배경

□ 다차로 시스템 구축 시 갠트리 설치 방안을 다양화 하여 구축비

절감 및 유지관리 효율성 향상

□ 다차로 시스템 표준(안)을 스마트나들목 설계 지침에 반영

다차로 시스템

▶ 무정차 다차로 환경에서 하이패스 통신과 영상촬영이 가능한 요금수납시스템

▶ 서부산TG 시범 구축(‘14), 재정-민자 연계(One-Tolling) 구간에 적용(’16)

[서부산TG] [One-Tolling 개념도]

2 추진경위

□‘15. 1 ~ 12 : 다차로 시스템 표준(안) 마련(도공, ITSK, 개발사 공동)

▶ 무정차, 다차로 전자지불시스템(ETCS) 차로제어기 규격

□‘15. 3 ~ 8 : 스마트나들목 실무TF 운영(설계처)

▶ (구성) ITS처, 영업처, 교통처, 시설처, 도교원, 외부전문가

□‘15. 10 : 스마트나들목 설계 지침 제정(설계처)

□‘16. 4 : 다차로 시스템 표준(안)을 표준위원회에 상정

▶ ‘16. 7월 표준으로 채택 예정(ITSK)

60 ❙ 교통 및 기하구조

3 설치기준(안)

1. 다차로 시스템 표준(안)

□ 갠트리 표준을 3개의 독립된 구조물 설치 형태로 정의

□ 다차로 시스템 갠트리의 설치 거리(직선부)를 단축

구 분 시범구축 표준(안)

구 조

2 갠트리(총22m)

(1st : 6m, 2nd : 0.7∼1m)

3 갠트리(총15m)

(1st : 1.5m, 2nd : 1m, 3rd : 1.5m)

설치거리 총 22m 총 15m

개 념 도

※ 양방향 중첩 설치가 가능하도록 표준(안)의 갠트리 폭 및 설치간격 조정

2. 변경 설치기준(안)

 스마트톨링 설비 설치 기하구조 만족구간 최소연장 변경

o (변경내용) 표준 갠트리의 기하구조(거리)를 적용

기하구조 기준 당 초 변 경

①안정화 거리※) 20m ‘좌 동’

②톨링 설비 설치거리 22m 15m

③최소 만족구간(①+②) 45m이상 40m이상

※ 정상적인 하이패스 통신 등을 위해 요구되는 직선부 거리

설계행정

교통 및 기하구조 ❙ 61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 양방향 일반형 스마트톨링 설비

o (변경내용) 상․하행 갠트리 설치 방안을 다양화

구 분 당 초 변 경

설 치

기 준

방향 별 갠트리를

종 방향으로 이격 설치

방향 별 갠트리를 종 방향으로

이격 또는 중첩하여 설치

장비실 상․하행 방향 별 각각 설치

설치 여건에 따라

통합설치 가능

유지관리

주차대

상․하행 방향 별 각각 설치 ‘좌 동’

4 기대효과

□ 장비실 통합 설치 시 구축비 절감(약 1.8억원/개소)

구축비 당 초 변 경 비 고

계 7.1억원 5.3억원 개소 당

장비실

1.6억원

(0.8억원/개소×2개소)

0.8억원

(0.8억원/개소×1개소) 전용나들목 기준

갠트리 5.5억원 4.5억원 양방향

□ 갠트리 중첩 시 점검자의 도로횡단 가능으로 유지관리 효율성 향상

(※ 점검차량의 회차 시간 및 점검 시간 단축)

※ 행정사항 :‘고속도로 스마트나들목 설계 지침’에 변경 반영(설계처)

붙 임 : 1. 다차로 갠트리 설치도

2. 고속도로 스마트 나들목 설계지침 변경(안) (별첨)

62 ❙ 교통 및 기하구조

다차로 갠트리 설치도

 1방향 일반형 스마트톨링 설비

당 초

변 경

 양방향 일반형 스마트톨링 설비

당 초

< 행선별 이격거리가 확보되지 않은 경우 >

< 행선별 이격거리 10m 이상인 경우 >

붙임 #1-1

설계행정

교통 및 기하구조 ❙ 63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당 초

< 갠트리를 중첩하여 설치하는 경우(1안) >

< 갠트리를 중첩하여 설치하는 경우(2안) >

 통합형 스마트톨링 설비

당 초

변 경

64 ❙ 교통 및 기하구조

다차로 갠트리 설치 조감도

중첩 설치 1안) 3rd 갠트리만 중첩(통합)하여 설치

중첩 설치 2안) 모든 갠트리를 중첩(통합)하여 설치

붙임 #1-2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9132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1920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6449
157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1-7_실시설계 기술제안입찰 책임범위 결정방안 file 효선 2024.12.04 486
»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2-1_스마트톨링 도입을 고려한 [스마트 나들목 설계기준] 개정 file 효선 2024.12.04 603
157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3-1_깎기 비탈면 안정성 증대를 위한 소단 설계기준 개선 효선 2024.12.04 1155
157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4-1_유지관리 최소화를 위한 중분대 및 길어깨 집수정 개선 효선 2024.12.04 1137
157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4-2_성토부 다이크 집수거 구간 개선 file 효선 2024.12.04 564
157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5-1_단일현장타설말뚝 설계기준 개선 효선 2024.12.04 1086
156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5-2_콘크리트 바닥판 단부 상세설계 개선 file 효선 2024.12.04 443
156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5-3_3차원 기반의 고속도로 설계 시공 유지관리를 윈한 Ex-BIM 로드맵 수립 file 효선 2024.12.04 798
156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5-4_한계상태설계법을 활용한 콘크리트 거더교 최적설계 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12.04 539
156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5-5_철근 겹이음 수량 적용 개선 검토 file 효선 2024.12.04 906
156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5-6_유지관리를 고려한 교량 하부구조 연단거리 설계 개선 방안 file 효선 2024.12.04 1212
156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5-7_건설현장의 안전 시공을 위한 프리개스트 상판 암거 개발 file 효선 2024.12.04 326
156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5-8_구조물 안전성 향상을 위한 가설구조물 설계적용 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12.04 744
156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5-9_토압분리형 일체식 교대 교량 설계지침(요약) file 효선 2024.12.04 1025
156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5-10_제설환경 콘크리트 구조물의 염해내구성 평가 절차 효선 2024.12.04 905
156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6-1_콘크리트 신설 교면포장 내구수명 증진 방안 효선 2024.12.04 836
155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6-2_교통우회가도 포장 설계기준 검토 효선 2024.12.04 510
155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6-3_시공 및 유지관리를 감안한 노면요철포장(rumble strips) 개선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12.04 1110
155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6-4_시멘트 콘크리트포장 배합기준 개선 잠정지침 file 효선 2024.12.04 618
155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6-5_저토피 지중구조물 상부 포장파손 저감방안 file 효선 2024.12.03 1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