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설계행정

설계행정 ❙ 9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12

설계행정

설계관리 프로세스 개선 설계처-721

(2016.03.09)

1 개 요

□ 추진배경

o 설계감독원의 개인역량과 관계없이 동등한 설계품질 확보를

위한 설계사 중심 책임설계 프로세스 마련

o 설계 Know-how축적 및 설계 성과의 효율화를 위한 설계중

자체VE 실행 시스템 활성화

* 설계중 자체VE : 설계부서에서 시행하는 설계중 VE

□ 그간 추진현황

o 2004. 11 : 설계중 VE 실행시스템 구축

- 실행단계 : 최적노선선정, 교량․터널 최적화, 적산성과단계

- 성과관리 : 단계별 VE보고서, VE사례카드 작성

o 2007. 12 : 설계 내실화를 위한 추진절차 개선

- 설계절차 프로세스 마련(기본 및 실시, 실시, 확장설계로 구분)

o 2009. 2 : 설계감독 Check List 개정

- 감독 Check List(1994년), 설계도서 작성기준(2005년) 통합․개정(163개 항목)

o 2011. 6 : 설계업무 매뉴얼 및 Check List 제정

- 업무매뉴얼 : 주요 설계업무절차 및 공종 이력카드(50개 공종)

- Check List : 설계감독 Check List(2009년) 전면 수정보완(326개 항목)

o 2014. 8 : 설계 “검측 Check List” 도입

- 검측 Check List(127개 항목)와 일반 Check List(268개 항목) 구분

* 검측 Check List : 설계 단계별 감독원 필수 확인항목

* 일반 Check List : 설계행정 등 설계사, 감독원이 알아야 할 항목

10 ❙ 설계행정

2 현 실태 및 문제점

□ 현 실태

o 일반적인 설계 주요업무 절차와 기준 등을 정한 업무 매뉴얼 및

Check List를 토대로 설계감독원 역량 중심의 설계관리업무 추진

- 설계업무절차 기준

주요업무 세 부 내 용

소요기간

실시

(14개월)

기본및실시

(20개월)

설계착수

및 조사

- 타당성조사(기본설계) 검토 및 현황조사

․교통수요 재분석 및 현황조사

2개월 4개월

비교노선

선정

- 비교대안 선정 및 검토

․비교노선 예비설계, 3D시뮬레이션 등

- 3개월

최적노선

선정

- 선형 및 출입시설 방침수립

․노선자문, 설계VE, 관계기관협의(1차)

1.5개월 2.5개월

공종별

방침수립

- 조사 및 공종별 설계기준

․측량, 토질조사, 교량․포장 형식 등

3.5개월 3.5개월

상세설계

및 준공

- 설계도면, 수량․단가, 내역작성 등

․관계기관 협의(2차), 구조물 합동조사,

성과품 심의 및 VE, 인·허가 서류작성

7개월 7개월

인․허가

- 도로구역 및 지형도면고시

․공사발주 기간중 시행

6개월 6개월

o 설계사는 “도로의구조·시설기준에 관한 규칙(국토부)”, 도로설계

요령(도공)“에 따라 토대로 상세설계 진행

o 88선 설계 이후 최적노선선정, 교량․터널형식 선정, 적산성과

단계에서의 설계중 자체VE 시스템 실행을 통한 성과관리 미시행

설계행정

설계행정 ❙ 11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 문 제 점

설계감독원 역량중심의 설계업무 추진

o 설계업무 매뉴얼은 설계처 내부 주요업무 절차서로 설계사 활용

곤란 및 설계기간이 실제 설계기간 대비 부족

- 국토부 고시(기본설계 등에 관한 세부기준)는 설계기간에 관계기관

협의, 심의, 영향평가 등에 소요되는 기간을 제외토록 규정

- 매뉴얼에는 관계기관 협의(약 2개월), VE·심의(약 3개월) 기간을 포함

구 분

실시설계 기간(개월)

비 고

국토부 고시 매뉴얼 최근설계노선

계 14.0 14.0 18.0 증 4.0개월

노선선정

14.0

3.5 7.5

공종별 방침수립 3.5 3.5

상세설계 7.0 7.0

o 설계 Check List는 공종별로 구분되어 설계업무 절차서에 의한

설계단계별 Check 곤란으로 설계 및 공정관리 어려움

o 설계감독원의 역량에 따라 설계성과품 품질차이 발생

- 업무는 공종별로 구분하고, 설계감독은 노선별로 담당하고 있음

* 공종구분 : 기하구조, 토공/배수, 포장, 상부구조, 하부구조, 터널, 부대, 원가

- 담당공종은 전문화가 되어있으나, 담당 이외공종은 전문지식 부족

설계중 자체VE 시스템의 설계 성과관리 미흡

o 설계성과의 계량화가 가능한 설계중 자체VE 실행 절차가 있으나

체계적인 프로세스 부재로 내실 있는 실행이 이뤄지지 않음

* 88선 설계시 시범추진 이후 지속적으로 추진되지 못함

o 설계중 다양한 검토를 통해 축적된 설계 Know How가 전파되지

못하고, 설계성과의 합리적 평가를 받지 못함

12 ❙ 설계행정

3 개선방안

시스템적 설계 및 성과관리를 통한 최고품질 설계추진

설계사 중심 책임설계 설계중 자체VE 시스템 실행

① 단계별 설계절차 개선

② 설계 용역업체 제재 및 우대

③ 관리역량 및 설계성과 검증강화

① VE실행 프로세스 개선

② 설계중 자체VE 실행절차 마련

③ VE성과 활용

설계사 중심 책임설계

□ 설계기간 및 관리업무 개선

o 노선별 여건을 고려한 설계기간 탄력적 적용

- 실시설계기간은노선별사업기간등의여건에따라14~18개월범위적용

구 분 현 행 개선 비 고

설계기간

(개월)

실시 14 14 ~ 18

“별첨 1, 2” 참조

기본 및 실시 20 20

- 토질조사후상세설계를위한합동사무실은실기간반영(현행5개월→7개월)

o 설계업무 매뉴얼 / Check List 정비

- 설계업무 매뉴얼 (별첨 3)

☞ 내 용 : 설계 단계별 세부 업무내용 수록

* 현행 설계업무 매뉴얼은 내부업무 절차서로 활용(존치)

- 설계 Check List (별첨 4)

☞ 내 용 : 검측, 일반 Check List를 통합하여 설계단계별

설계업무 매뉴얼과 연계되도록 정비

o ‘표준 설계기준서’ 발간․활용

- 설계실무자료집에 수록된 방침사항 및 History 정리

☞ 내 용 : 방침사항중 핵심내용 요약 (별첨 5)

설계행정

설계행정 ❙ 13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 설계업체 제재 및 우대

o 제재방안 : 서면경고제도

구 분 주 요 내 용 비 고

개 요 - 참여업체, 기술자에 대한 서면경고

부과기준

- 서면지시 불이행(1건/1회), 공정지연, 설계부실 등

* 공정은 감독원의 승인을 받은 과업수행계획서 기준

* 부과대상 기술자는 착수계에 포함된 참여자 전체

* 부과대상 업체는 지분율 반영

부과점수 - 서면경고 1건당 0.5점

부과방법

- 심의위원회(5인 이상) 심의를 거쳐 부과

․위 원 장 : 설계처장

․위 원 : 설계처 팀(부)장, 노선담당 감독원

감독원이

심의요청시

수시개최

부과기간 - 착공부터 ~ 준공 시까지

적 용

- PQ 반영 : 설계준공 후 합산된 점수 감점

․점수 : 최근 2년간(누계점수/설계처 참여 설계건수)

․적용기간 : 부과일로부터 2년간

* 업무지시 등은 서면으로 시행하여 근거 명확히(구두협의 등은 불인정)

* 설계사 귀책으로 간주하기 어려운 경우(객관적 근거) 심의위원회에서 판단

* PQ 평가기준 개정(’16. 5월 예정) 후 시행

o 우대방안 : 경감점수 부여제도

구 분 주 요 내 용 비 고

개 요 - 서면경고 감점에 대한 경감점수 부여

부여기준

- 설계중 자체VE 실행 우수업체 및 기술자

* 설계노선별 우수업체 및 기술자 선정

* 경감점수는 업체, 기술자 부여

기술자는

업체에서추천

(업체당1~2명)

부여방법

- 노선의 공구별 자체VE 경진대회를 통한 평가(1~3회)

- 평가위원회(5인 이상) 평가를 거쳐 부여

․위 원 장 : 설계처장

․위 원 : 설계처 팀(부)장, 노선담당 감독원

부여점수 - 노선의 공구별 자체VE 경진대회 평가위원회에서 결정

부여기간 - 설계 준공 후

적 용

- PQ 반영 : 서면경고 감점점수에 대해 경감

․점수 : 최근 2년간(누계점수/설계처 참여 설계건수)

․적용기간 : 부여일로부터 2년간

업체 지분율

반영

14 ❙ 설계행정

□ 설계 관리역량 및 성과검증 강화

o 공종별 감독체계 시범도입

- 개 요 : 설계처 공종별 담당차장을 감독원으로 활용

- 대 상 : 새만금-전주 4공구

- 방 법 : 설계․공종별 감독 업무구분 시행

구 분 업 무 내 용

설계감독 - 공정관리, 민원, 관계기관협의, VE, 심의 등 행정업무

공종별감독

- 기하구조 등 8개 공종으로 구분하여 기술적 업무 수행

- 해당공종에 대한 방침수립, 설계성과품 검토 등

* 공종별 감독체계 업무분장 (별첨 6)

- 향후계획 : 준공 후 효과분석을 통한 확대방안 검토

o 설계성과품 예비준공검사 도입

- 시 기 : 성과품 심의 완료 후 (인력개발원 합숙 : 3일 내외)

- 검 사 자 : 설계처(원가차장), 건설처, 사업단

* 해당시기에 예비준공검사원 임명(건설처 협조)

- 내 용 : 공종별 수량·단가 적정성, 내역, 도면오류 등

- 적 용 : 검사결과(오류건수 등)를 계량화하여 상시평가 반영

설계중 자체VE 시스템 실행

□ VE실행 프로세스 개선

현 행

개 선

설계행정

설계행정 ❙ 15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 설계중 자체VE 실행절차

o 실행절차 (별첨 7)

단계별

대안제시 ⇒

평가, 보완지시

(반복) ⇔

보완

(반복) ⇒

최적대안

구체화 ⇒

보고서

작성 ⇒

사례분석

및 피드백

설계사 감독원 설계사 설계사 설계사 감독원

설계착수

보완

① 단계별 요약표

② 단계별 비교검토

③ 前단계 VE결과 조치계획

④ 단계별 VE결과

⑤ VE카드

☞ 노선 및 구조물 VE보고서

평가,

보완지시

평가,

보완지시

VE실행

(심사처)

OK

OK

NG

NG

VE실행

(심사처)

① 단계별 요약표

② 단계별 비교검토

③ 前단계 VE결과 조치계획

④ 단계별 VE결과

⑤ VE카드

☞ 적산성과 VE보고서

설계착수

(타노선)

Feed Back

반복

1회(1개월)

반복

1회(1개월)

대안검토

(노선,구조물)

대안제시

(노선,구조물)

보완

상세설계

(적산성과품)

설계완료

VE사례 분석 보고서

(공종별, 유형별)

《범 례》

□ : 설계사 시행

◇ : 감독원 시행

o 단계별 업무내용

구 분 업 무 내 용 실행기간

1단계 노선선정

- 대안노선, 종․평면, 출입시설 형식․위치

- 확장구간 교통전환, 배수계획, 연약지반

- 환경, 교통안전성, 시공․유지관리 등

5개월

2단계

교 량 - 경간장, 상․하부형식, 공법, 시공․유지관리 등 2개월

터 널 - 갱구위치, 갱문형식, 시공․유지관리 등 1개월

3단계 적산성과 - 적산성과 검증 2개월

* 실행기간은 실시설계(18개월) 기준이며, 실시설계 18개월 이하 또는 기본 및 실시설계 시

행 시에는 “별첨 2” 설계용역 주요업무 절차 및 매뉴얼에 따라 기간 재산정

16 ❙ 설계행정

□ VE성과 활용

o 자체VE 실행 결과를 계량화하여 상시평가 반영

- 반영항목 : 보완기간 준수, 사업비 절감율, 충실 및 노력도 등

o 공구별 자체VE 경진대회를 통한 우수업체, 기술자를 선정하여 서면

경고에 의한 감점 경감

o 자체VE 사례분석 보고서 작성 및 타 노선 착수시 활용

o 자체 VE 사례분석 보고서는 준공 성과품 포함 및 Hi-설계 등재

4 기대효과 및 향후계획

□ 기대효과

o 시스템적인 설계체계 구축으로 상향 균질한 설계품질 확보

o 설계중 자체VE를 통한 단계별 설계성과 명확화 유도

o 계량화된 성과관리로 상시평가의 객관화 및 수용도 향상가능

□ 향후계획

o “설계관리 프로세스 개선방안” 교육 및 전파

- 대 상 : 설계처 직원 및 고속도로 실시설계 참여중인 설계사

- 일 자 : 2016. 3월중

o 설계단계 여건을 고려 본 방침 적용

- 설계업무 매뉴얼 및 Check List 정비 (5월)

- ‘표준 설계기준서’ 발간 (5월)

- 설계 용역업체 제재 및 우대 (5월) * PQ 평가기준 개정 후 시행

- 공종별 감독체계 시범도입 (즉시시행)

- 설계성과품 예비준공검사 (즉시시행)

- 설계중 자체VE 실행 시스템 (즉시시행)

설계행정

설계행정 ❙ 17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별첨 1]

단계별 주요업무 및 설계기간

구 분

설계기간

비고

실시 기본 및 실시

현행 개선 현행 개선

420일

(14개월)

420일

(14개월)

540일

(18개월)

600일

(20개월)

600일

(20개월)

1. 설계착수

및 조사

소계

60일

30일 50일

120일

50일

공구별

설계진행

착수보고

및 업무분장

10일 10일 10일

현장답사 및

각종조사

20일 40일 40일

2. 최적노선

선정

소계

45일

90일 170일

165일

200일

비교대안 선정

및 선형방침

90일 170일 200일

3. 공종별

방침수립

소계

105일

140일 160일

105일

190일

교량방침 70일 70일 70일

측량, 토질조사 40일 50일 80일

터널, 사면, 포장,

특정공법 등

30일 40일 40일

합동사무실

운영

4. 상세설계

소계

210일

160일 160일

210일

160일

공종별 상세설계

160일 160일 160일

협의, 인·허가 등

* 실시설계 기간은 노선별 사업기간 등의 여건에 따라 14~18개월 범위 적용

* 토질조사 후 상세설계를 위한 합동사무실 운영은 실 기간 반영(7개월)

18 ❙ 설계행정

[별첨 6]

공종별 감독체계 업무분장

공 정 주요공정계획 단계별 추진사항

업무분장

설계감독 공종별감독

1. 설계착수

및 조사

ㆍ착수보고 ㆍ착수계 제출 ○ -

ㆍ前단계 검토

ㆍ현황조사

ㆍ기본설계 검토 ○ ○

ㆍ관련계획 조사 ○ ○

ㆍ현황조사 ○ ○

ㆍ교통수요 재분석 ○ ○

ㆍ설계기준검토 ○ ○

2. 최적노선

선정

ㆍ선형방침

ㆍ노선자문(필요시) 및 종·평면 VE ○ ○

ㆍ관련기관협의(1차) - 생략가능 ○ -

ㆍ주민설명회 - 필요시 시행 ○ -

ㆍ출입시설 형식검토 등 - ○

3. 공종별

방침수립

ㆍ주요공종방침

ㆍ측량, 토질조사

ㆍ측량 및 토질조사 ○ -

ㆍ구조물형식 검토(구조물형식 VE) - ○

ㆍ포장형식 검토(포장형식 심의) - ○

ㆍ비탈면안정 검토 - ○

ㆍ터널 갱구위치 및 형식검토 - ○

ㆍ경관심의(교량, 터널, 방음벽 미관평가) ○ -

ㆍ특정공법 적용심의 - ○

4. 상세설계

ㆍ상세설계

ㆍ공종별 세부방침(설계적용항목 선정) - ○

ㆍ공종별 방침 결정에 따라 상세설계 수행 - ○

ㆍ설계도면, 수량산출, 내역작성 - ○

ㆍ각종 보고서, 시방서, 계산서 작성 - ○

ㆍ성과품 작성 - ○

ㆍ협의, 인·허가 등

ㆍ관련기관협의(2차) ○ -

ㆍ내부기관 협의(내부 실·처) ○ -

ㆍ성과품VE 및 설계심의 ○ ○

ㆍ조달청 선심 및 총사업비 협의 ○ -

ㆍ산지전용, 사전재해심의 등 ○ -

ㆍ인·허가 서류작성(상세설계와 동시시행) ○ -

ㆍ예비준공검사 ㆍ설계성과품 최종검토 ○ ○

ㆍ준공

ㆍ전산성과품검수 ○ -

ㆍ납품 및 준공 ○ -

설계행정

설계행정 ❙ 19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별첨 7]

설계중 자체VE 실행절차

□ 실행절차

설계착수

보완

① 단계별 요약표

② 단계별 비교검토

③ 前단계 VE결과 조치계획

④ 단계별 VE결과

⑤ VE카드

☞ 노선 및 구조물 VE보고서

평가,

보완지시

평가,

보완지시

VE실행

(심사처)

OK

OK

NG

NG

VE실행

(심사처)

① 단계별 요약표

② 단계별 비교검토

③ 前단계 VE결과 조치계획

④ 단계별 VE결과

⑤ VE카드

☞ 적산성과 VE보고서

설계착수

(타노선)

Feed Back

반복

1회(1개월)

반복

1회(1개월)

대안검토

(노선,구조물)

대안제시

(노선,구조물)

보완

상세설계

(적산성과품)

설계완료

VE사례 분석 보고서

(공종별, 유형별)

《범 례》

□ : 설계사 시행

◇ : 감독원 시행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9131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1920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6449
159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8-4_스마트톨링 갠트리 설계지침(안) file 효선 2024.12.06 696
159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8-5_고속도로 건설현장 가설건물 설치 및 운영 개선 file 효선 2024.12.06 528
159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8-6_조경공사 공종별 표준 일위대가 작성 file 효선 2024.12.06 596
159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8-7_휴게소 광장부 조명탑 광원 개선 시범설치(안) file 효선 2024.12.06 494
159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8-8_조경수목 버팀목 설치기준 개선 file 효선 2024.12.06 1242
159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8-9_스마트톨링 도입에 따른 공용중 영업소 표준 전환모델 수립 file 효선 2024.12.06 847
158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8-10_졸음쉼터 조명시설 설치기준 개선 file 효선 2024.12.06 443
158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8-11_2020년 스마트톨링 도입 대비 시스템장비실 설치 방안 file 효선 2024.12.06 863
158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8-12_다차로 하이패스시스템 갠트리 구조 개선방안 file 효선 2024.12.05 822
158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8-13_건설폐기물 발주 내실화를 위한 중간처리비 원가계산 기준 수립 file 효선 2024.12.05 1176
158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8-14_건설폐기물 처리용역 발주 내실화를 위한 폐기물 운반비 산정기준 수립 file 효선 2024.12.05 1263
158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ⅰ_2017년도 고속도로 설계실무자료집(요약본) file 효선 2024.12.05 1051
158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ⅱ_실무자료집 수록 목록(1998년 통합본 ~ 2016년) file 효선 2024.12.05 856
158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00_표지및목차 file 효선 2024.12.05 772
158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1-1_특허, 신기술 등 특정공법 선정 관련 설계심의 운영방안 file 효선 2024.12.05 1177
»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1-2_설계관리 프로세스 개선 file 효선 2024.12.05 1079
157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1-3_특정공법 심의 세부 운영방안 file 효선 2024.12.04 435
157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1-4_특정공법 자재 설계 적용방안 file 효선 2024.12.04 1381
157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1-5_지장물 이설비용 적용방안 file 효선 2024.12.04 576
157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1-6_용역종합심사 낙찰제 특례 운용기준(안) 마련 file 효선 2024.12.04 8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