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1-2_설계관리 프로세스 개선
2024.12.05 10:40
설계행정
설계행정 ❙ 9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12
설계행정
설계관리 프로세스 개선 설계처-721
(2016.03.09)
1 개 요
□ 추진배경
o 설계감독원의 개인역량과 관계없이 동등한 설계품질 확보를
위한 설계사 중심 책임설계 프로세스 마련
o 설계 Know-how축적 및 설계 성과의 효율화를 위한 설계중
자체VE 실행 시스템 활성화
* 설계중 자체VE : 설계부서에서 시행하는 설계중 VE
□ 그간 추진현황
o 2004. 11 : 설계중 VE 실행시스템 구축
- 실행단계 : 최적노선선정, 교량․터널 최적화, 적산성과단계
- 성과관리 : 단계별 VE보고서, VE사례카드 작성
o 2007. 12 : 설계 내실화를 위한 추진절차 개선
- 설계절차 프로세스 마련(기본 및 실시, 실시, 확장설계로 구분)
o 2009. 2 : 설계감독 Check List 개정
- 감독 Check List(1994년), 설계도서 작성기준(2005년) 통합․개정(163개 항목)
o 2011. 6 : 설계업무 매뉴얼 및 Check List 제정
- 업무매뉴얼 : 주요 설계업무절차 및 공종 이력카드(50개 공종)
- Check List : 설계감독 Check List(2009년) 전면 수정보완(326개 항목)
o 2014. 8 : 설계 “검측 Check List” 도입
- 검측 Check List(127개 항목)와 일반 Check List(268개 항목) 구분
* 검측 Check List : 설계 단계별 감독원 필수 확인항목
* 일반 Check List : 설계행정 등 설계사, 감독원이 알아야 할 항목
10 ❙ 설계행정
2 현 실태 및 문제점
□ 현 실태
o 일반적인 설계 주요업무 절차와 기준 등을 정한 업무 매뉴얼 및
Check List를 토대로 설계감독원 역량 중심의 설계관리업무 추진
- 설계업무절차 기준
주요업무 세 부 내 용
소요기간
실시
(14개월)
기본및실시
(20개월)
설계착수
및 조사
- 타당성조사(기본설계) 검토 및 현황조사
․교통수요 재분석 및 현황조사
2개월 4개월
비교노선
선정
- 비교대안 선정 및 검토
․비교노선 예비설계, 3D시뮬레이션 등
- 3개월
최적노선
선정
- 선형 및 출입시설 방침수립
․노선자문, 설계VE, 관계기관협의(1차)
1.5개월 2.5개월
공종별
방침수립
- 조사 및 공종별 설계기준
․측량, 토질조사, 교량․포장 형식 등
3.5개월 3.5개월
상세설계
및 준공
- 설계도면, 수량․단가, 내역작성 등
․관계기관 협의(2차), 구조물 합동조사,
성과품 심의 및 VE, 인·허가 서류작성
7개월 7개월
인․허가
- 도로구역 및 지형도면고시
․공사발주 기간중 시행
6개월 6개월
o 설계사는 “도로의구조·시설기준에 관한 규칙(국토부)”, 도로설계
요령(도공)“에 따라 토대로 상세설계 진행
o 88선 설계 이후 최적노선선정, 교량․터널형식 선정, 적산성과
단계에서의 설계중 자체VE 시스템 실행을 통한 성과관리 미시행
설계행정
설계행정 ❙ 11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 문 제 점
설계감독원 역량중심의 설계업무 추진
o 설계업무 매뉴얼은 설계처 내부 주요업무 절차서로 설계사 활용
곤란 및 설계기간이 실제 설계기간 대비 부족
- 국토부 고시(기본설계 등에 관한 세부기준)는 설계기간에 관계기관
협의, 심의, 영향평가 등에 소요되는 기간을 제외토록 규정
- 매뉴얼에는 관계기관 협의(약 2개월), VE·심의(약 3개월) 기간을 포함
구 분
실시설계 기간(개월)
비 고
국토부 고시 매뉴얼 최근설계노선
계 14.0 14.0 18.0 증 4.0개월
노선선정
14.0
3.5 7.5
공종별 방침수립 3.5 3.5
상세설계 7.0 7.0
o 설계 Check List는 공종별로 구분되어 설계업무 절차서에 의한
설계단계별 Check 곤란으로 설계 및 공정관리 어려움
o 설계감독원의 역량에 따라 설계성과품 품질차이 발생
- 업무는 공종별로 구분하고, 설계감독은 노선별로 담당하고 있음
* 공종구분 : 기하구조, 토공/배수, 포장, 상부구조, 하부구조, 터널, 부대, 원가
- 담당공종은 전문화가 되어있으나, 담당 이외공종은 전문지식 부족
설계중 자체VE 시스템의 설계 성과관리 미흡
o 설계성과의 계량화가 가능한 설계중 자체VE 실행 절차가 있으나
체계적인 프로세스 부재로 내실 있는 실행이 이뤄지지 않음
* 88선 설계시 시범추진 이후 지속적으로 추진되지 못함
o 설계중 다양한 검토를 통해 축적된 설계 Know How가 전파되지
못하고, 설계성과의 합리적 평가를 받지 못함
12 ❙ 설계행정
3 개선방안
시스템적 설계 및 성과관리를 통한 최고품질 설계추진
설계사 중심 책임설계 설계중 자체VE 시스템 실행
① 단계별 설계절차 개선
② 설계 용역업체 제재 및 우대
③ 관리역량 및 설계성과 검증강화
① VE실행 프로세스 개선
② 설계중 자체VE 실행절차 마련
③ VE성과 활용
설계사 중심 책임설계
□ 설계기간 및 관리업무 개선
o 노선별 여건을 고려한 설계기간 탄력적 적용
- 실시설계기간은노선별사업기간등의여건에따라14~18개월범위적용
구 분 현 행 개선 비 고
설계기간
(개월)
실시 14 14 ~ 18
“별첨 1, 2” 참조
기본 및 실시 20 20
- 토질조사후상세설계를위한합동사무실은실기간반영(현행5개월→7개월)
o 설계업무 매뉴얼 / Check List 정비
- 설계업무 매뉴얼 (별첨 3)
☞ 내 용 : 설계 단계별 세부 업무내용 수록
* 현행 설계업무 매뉴얼은 내부업무 절차서로 활용(존치)
- 설계 Check List (별첨 4)
☞ 내 용 : 검측, 일반 Check List를 통합하여 설계단계별
설계업무 매뉴얼과 연계되도록 정비
o ‘표준 설계기준서’ 발간․활용
- 설계실무자료집에 수록된 방침사항 및 History 정리
☞ 내 용 : 방침사항중 핵심내용 요약 (별첨 5)
설계행정
설계행정 ❙ 13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 설계업체 제재 및 우대
o 제재방안 : 서면경고제도
구 분 주 요 내 용 비 고
개 요 - 참여업체, 기술자에 대한 서면경고
부과기준
- 서면지시 불이행(1건/1회), 공정지연, 설계부실 등
* 공정은 감독원의 승인을 받은 과업수행계획서 기준
* 부과대상 기술자는 착수계에 포함된 참여자 전체
* 부과대상 업체는 지분율 반영
부과점수 - 서면경고 1건당 0.5점
부과방법
- 심의위원회(5인 이상) 심의를 거쳐 부과
․위 원 장 : 설계처장
․위 원 : 설계처 팀(부)장, 노선담당 감독원
감독원이
심의요청시
수시개최
부과기간 - 착공부터 ~ 준공 시까지
적 용
- PQ 반영 : 설계준공 후 합산된 점수 감점
․점수 : 최근 2년간(누계점수/설계처 참여 설계건수)
․적용기간 : 부과일로부터 2년간
* 업무지시 등은 서면으로 시행하여 근거 명확히(구두협의 등은 불인정)
* 설계사 귀책으로 간주하기 어려운 경우(객관적 근거) 심의위원회에서 판단
* PQ 평가기준 개정(’16. 5월 예정) 후 시행
o 우대방안 : 경감점수 부여제도
구 분 주 요 내 용 비 고
개 요 - 서면경고 감점에 대한 경감점수 부여
부여기준
- 설계중 자체VE 실행 우수업체 및 기술자
* 설계노선별 우수업체 및 기술자 선정
* 경감점수는 업체, 기술자 부여
기술자는
업체에서추천
(업체당1~2명)
부여방법
- 노선의 공구별 자체VE 경진대회를 통한 평가(1~3회)
- 평가위원회(5인 이상) 평가를 거쳐 부여
․위 원 장 : 설계처장
․위 원 : 설계처 팀(부)장, 노선담당 감독원
부여점수 - 노선의 공구별 자체VE 경진대회 평가위원회에서 결정
부여기간 - 설계 준공 후
적 용
- PQ 반영 : 서면경고 감점점수에 대해 경감
․점수 : 최근 2년간(누계점수/설계처 참여 설계건수)
․적용기간 : 부여일로부터 2년간
업체 지분율
반영
14 ❙ 설계행정
□ 설계 관리역량 및 성과검증 강화
o 공종별 감독체계 시범도입
- 개 요 : 설계처 공종별 담당차장을 감독원으로 활용
- 대 상 : 새만금-전주 4공구
- 방 법 : 설계․공종별 감독 업무구분 시행
구 분 업 무 내 용
설계감독 - 공정관리, 민원, 관계기관협의, VE, 심의 등 행정업무
공종별감독
- 기하구조 등 8개 공종으로 구분하여 기술적 업무 수행
- 해당공종에 대한 방침수립, 설계성과품 검토 등
* 공종별 감독체계 업무분장 (별첨 6)
- 향후계획 : 준공 후 효과분석을 통한 확대방안 검토
o 설계성과품 예비준공검사 도입
- 시 기 : 성과품 심의 완료 후 (인력개발원 합숙 : 3일 내외)
- 검 사 자 : 설계처(원가차장), 건설처, 사업단
* 해당시기에 예비준공검사원 임명(건설처 협조)
- 내 용 : 공종별 수량·단가 적정성, 내역, 도면오류 등
- 적 용 : 검사결과(오류건수 등)를 계량화하여 상시평가 반영
설계중 자체VE 시스템 실행
□ VE실행 프로세스 개선
현 행
개 선
설계행정
설계행정 ❙ 15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 설계중 자체VE 실행절차
o 실행절차 (별첨 7)
단계별
대안제시 ⇒
평가, 보완지시
(반복) ⇔
보완
(반복) ⇒
최적대안
구체화 ⇒
보고서
작성 ⇒
사례분석
및 피드백
설계사 감독원 설계사 설계사 설계사 감독원
설계착수
보완
① 단계별 요약표
② 단계별 비교검토
③ 前단계 VE결과 조치계획
④ 단계별 VE결과
⑤ VE카드
☞ 노선 및 구조물 VE보고서
평가,
보완지시
평가,
보완지시
VE실행
(심사처)
OK
OK
NG
NG
VE실행
(심사처)
① 단계별 요약표
② 단계별 비교검토
③ 前단계 VE결과 조치계획
④ 단계별 VE결과
⑤ VE카드
☞ 적산성과 VE보고서
설계착수
(타노선)
Feed Back
반복
1회(1개월)
반복
1회(1개월)
대안검토
(노선,구조물)
대안제시
(노선,구조물)
보완
상세설계
(적산성과품)
설계완료
VE사례 분석 보고서
(공종별, 유형별)
《범 례》
□ : 설계사 시행
◇ : 감독원 시행
o 단계별 업무내용
구 분 업 무 내 용 실행기간
1단계 노선선정
- 대안노선, 종․평면, 출입시설 형식․위치
- 확장구간 교통전환, 배수계획, 연약지반
- 환경, 교통안전성, 시공․유지관리 등
5개월
2단계
교 량 - 경간장, 상․하부형식, 공법, 시공․유지관리 등 2개월
터 널 - 갱구위치, 갱문형식, 시공․유지관리 등 1개월
3단계 적산성과 - 적산성과 검증 2개월
* 실행기간은 실시설계(18개월) 기준이며, 실시설계 18개월 이하 또는 기본 및 실시설계 시
행 시에는 “별첨 2” 설계용역 주요업무 절차 및 매뉴얼에 따라 기간 재산정
16 ❙ 설계행정
□ VE성과 활용
o 자체VE 실행 결과를 계량화하여 상시평가 반영
- 반영항목 : 보완기간 준수, 사업비 절감율, 충실 및 노력도 등
o 공구별 자체VE 경진대회를 통한 우수업체, 기술자를 선정하여 서면
경고에 의한 감점 경감
o 자체VE 사례분석 보고서 작성 및 타 노선 착수시 활용
o 자체 VE 사례분석 보고서는 준공 성과품 포함 및 Hi-설계 등재
4 기대효과 및 향후계획
□ 기대효과
o 시스템적인 설계체계 구축으로 상향 균질한 설계품질 확보
o 설계중 자체VE를 통한 단계별 설계성과 명확화 유도
o 계량화된 성과관리로 상시평가의 객관화 및 수용도 향상가능
□ 향후계획
o “설계관리 프로세스 개선방안” 교육 및 전파
- 대 상 : 설계처 직원 및 고속도로 실시설계 참여중인 설계사
- 일 자 : 2016. 3월중
o 설계단계 여건을 고려 본 방침 적용
- 설계업무 매뉴얼 및 Check List 정비 (5월)
- ‘표준 설계기준서’ 발간 (5월)
- 설계 용역업체 제재 및 우대 (5월) * PQ 평가기준 개정 후 시행
- 공종별 감독체계 시범도입 (즉시시행)
- 설계성과품 예비준공검사 (즉시시행)
- 설계중 자체VE 실행 시스템 (즉시시행)
설계행정
설계행정 ❙ 17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별첨 1]
단계별 주요업무 및 설계기간
구 분
설계기간
비고
실시 기본 및 실시
현행 개선 현행 개선
계
420일
(14개월)
420일
(14개월)
540일
(18개월)
600일
(20개월)
600일
(20개월)
1. 설계착수
및 조사
소계
60일
30일 50일
120일
50일
공구별
설계진행
착수보고
및 업무분장
10일 10일 10일
현장답사 및
각종조사
20일 40일 40일
2. 최적노선
선정
소계
45일
90일 170일
165일
200일
비교대안 선정
및 선형방침
90일 170일 200일
3. 공종별
방침수립
소계
105일
140일 160일
105일
190일
교량방침 70일 70일 70일
측량, 토질조사 40일 50일 80일
터널, 사면, 포장,
특정공법 등
30일 40일 40일
합동사무실
운영
4. 상세설계
소계
210일
160일 160일
210일
160일
공종별 상세설계
160일 160일 160일
협의, 인·허가 등
* 실시설계 기간은 노선별 사업기간 등의 여건에 따라 14~18개월 범위 적용
* 토질조사 후 상세설계를 위한 합동사무실 운영은 실 기간 반영(7개월)
18 ❙ 설계행정
[별첨 6]
공종별 감독체계 업무분장
공 정 주요공정계획 단계별 추진사항
업무분장
설계감독 공종별감독
1. 설계착수
및 조사
ㆍ착수보고 ㆍ착수계 제출 ○ -
ㆍ前단계 검토
ㆍ현황조사
ㆍ기본설계 검토 ○ ○
ㆍ관련계획 조사 ○ ○
ㆍ현황조사 ○ ○
ㆍ교통수요 재분석 ○ ○
ㆍ설계기준검토 ○ ○
2. 최적노선
선정
ㆍ선형방침
ㆍ노선자문(필요시) 및 종·평면 VE ○ ○
ㆍ관련기관협의(1차) - 생략가능 ○ -
ㆍ주민설명회 - 필요시 시행 ○ -
ㆍ출입시설 형식검토 등 - ○
3. 공종별
방침수립
ㆍ주요공종방침
ㆍ측량, 토질조사
ㆍ측량 및 토질조사 ○ -
ㆍ구조물형식 검토(구조물형식 VE) - ○
ㆍ포장형식 검토(포장형식 심의) - ○
ㆍ비탈면안정 검토 - ○
ㆍ터널 갱구위치 및 형식검토 - ○
ㆍ경관심의(교량, 터널, 방음벽 미관평가) ○ -
ㆍ특정공법 적용심의 - ○
4. 상세설계
ㆍ상세설계
ㆍ공종별 세부방침(설계적용항목 선정) - ○
ㆍ공종별 방침 결정에 따라 상세설계 수행 - ○
ㆍ설계도면, 수량산출, 내역작성 - ○
ㆍ각종 보고서, 시방서, 계산서 작성 - ○
ㆍ성과품 작성 - ○
ㆍ협의, 인·허가 등
ㆍ관련기관협의(2차) ○ -
ㆍ내부기관 협의(내부 실·처) ○ -
ㆍ성과품VE 및 설계심의 ○ ○
ㆍ조달청 선심 및 총사업비 협의 ○ -
ㆍ산지전용, 사전재해심의 등 ○ -
ㆍ인·허가 서류작성(상세설계와 동시시행) ○ -
ㆍ예비준공검사 ㆍ설계성과품 최종검토 ○ ○
ㆍ준공
ㆍ전산성과품검수 ○ -
ㆍ납품 및 준공 ○ -
설계행정
설계행정 ❙ 19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별첨 7]
설계중 자체VE 실행절차
□ 실행절차
설계착수
보완
① 단계별 요약표
② 단계별 비교검토
③ 前단계 VE결과 조치계획
④ 단계별 VE결과
⑤ VE카드
☞ 노선 및 구조물 VE보고서
평가,
보완지시
평가,
보완지시
VE실행
(심사처)
OK
OK
NG
NG
VE실행
(심사처)
① 단계별 요약표
② 단계별 비교검토
③ 前단계 VE결과 조치계획
④ 단계별 VE결과
⑤ VE카드
☞ 적산성과 VE보고서
설계착수
(타노선)
Feed Back
반복
1회(1개월)
반복
1회(1개월)
대안검토
(노선,구조물)
대안제시
(노선,구조물)
보완
상세설계
(적산성과품)
설계완료
VE사례 분석 보고서
(공종별, 유형별)
《범 례》
□ : 설계사 시행
◇ : 감독원 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