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8-9_스마트톨링 도입에 따른 공용중 영업소 표준 전환모델 수립
2024.12.06 15:52
502 ❙ 기 타
89
기 타
스마트톨링 도입에 따른
공용중 영업소 표준 전환모델 수립 추(2스진0마1단6트.-0톨81.01링186)
1 검 토 목 적
□ 2020년 전국 고속도로 스마트톨링 전면 도입에 맞춰 공용중
영업소의 차로운영, 안전시설 및 기반시설 등도 전환이 불가피
□ 따라서, 차로운영 등의 표준 전환모델을 수립․시행함으로써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전환을 도모코자함
※전환대상 영업소 (‘20년이전 공용기준)
o공용중 640개소 및 건설중 44개소 (입․출구별)
- 본선형: 68개소 / 나들목형: 616개소
* 전환대상 영업소 세부 현황 : 붙임 #1
2 추 진 경 위
□ ‘15. 10 : 스마트톨링 전면 도입 방침 수립 (사장방침)
- 2020년까지 전국 고속도로에 스마트톨링 도입
□ ‘16. 6 : 표준 전환모델(안) 마련 및 중간보고회 개최
- 영업처, 도교원 등 6개 관련부서 참석
□ ‘16. 7 : 표준 전환모델(안) 의견 수렴 (영업처 등 6개부서)
- 1차로 운영시 시스템 이중 제어 등 22건
□ ‘16. 8 : 표준 전환모델 안전시설관련 기술자문 시행 (도교원)
- 속도규제표지 추가 등 7건
□ ‘16. 8 : 관련부서 의견 및 기술자문 결과 검토․반영
기 타 ❙ 503
기 타
3 주 요 내 용
1. 차로운영 모델
수립 절차
1단계 2~3단계 4~5단계
기본모델 적용차로수 산정 기하구조 검토
본선형 본모델 나들목형 본모델
※ 차로운영 모델 세부 검토 절차 및 기준 : 붙임 #2
전제조건을 고려한 기본모델
o 전제조건
영업소 형식 주 요 내 용
본 선 형 ․차량간 상대속도차 및 교통정체 최소화
나들목형
․기존 기반시설(hi-pass, 아일랜드, 캐노피 등) 활용
․차량간 엇갈림, 차로변경 길이 등 기하구조 해소
o 기본모델
구 분 단차로형 2차로형 전차로형
차로운영
1차로(갓길 無) 2차로(갓길 無) N*차로+갓길
※ N* : 부가차로를 제외한 본선(또는 연결로) 차로수
504 ❙ 기 타
차로운영 본 모델
o 본 선 형
․서비스차로수에 관계없이 부가차로를 제외한 차로수 반영
․입구부 과적단속 有/無에 따라 분류
- 차로별 모델 (10EA) ( ) : 차로수
형 식
차 로
과적단속 無과적단속 有
A B C D
2차로 전차로형(2)
2A type
+과적단속(1)
- -
3차로 전차로형(3)
3A type
+과적단속(1)
3A type
+과적단속(2)
3A type
+과적단속(3)
4차로 전차로형(4) -
4A type
+과적단속(2)
-
5차로 전차로형(5) -
5A type
+과적단속(2)
-
- 평면도 (예 : 2A, 2B)
<2A : 전차로형(2)>
<2B : 2A type+과적단속(1)>
2A
3A
4A
2B
3B 3C 3D
4C
5A 5C
기 타 ❙ 505
기 타
o 나들목형
․교통특성(차로폭 등 7개 항목)을 고려하여 차로수 반영
․엇갈림 거리 등 기하구조 및 입구부 과적단속 有/無에 따라 분류
- 차로별 모델 (13EA) ( ) : 차로수
형 식
차 로
과적단속 無과적단속 有
A B C D E
1차로 단차로형(1) - - - -
2차로 단차로형(2) 2차로형(2) -
1A type
+과적단속(1)
-
3차로 단차로형(3)
2B type
+1A type
전차로형(3)*
2A type
+과적단속(1)
2B type
+과적단속(1)
4차로 단차로형(4)
2B type
+2B type
- -
3B type
+과적단속(1)
5차로 단차로형(5) - - - -
※ 전차로형(3)* : 현장여건에 따라 아일랜드부 또는 연결로에 설치
- 평면도 (예 : 1A, 3E, 4A, 4E)
<1A : 단차로형(1)> <3E : 2B type+과적단속(1)>
<4A : 단차로형(4)> <4E : 3B type+과적단속(1)>
※ 차로운영 세부 모델 : 붙임 #3
1A
2A 2B 2D
3A 3B 3C 3D 3E
4A 4B 4E
5A
506 ❙ 기 타
2. 안내 및 안전시설 처리 방안
본 선 형
o (안내표지) 요금체계 변경에 따른 표지 문안 수정(또는 철거)
구 분 현 재 변 경
입구부
(과적 有)
입구부
(과적 無)
-
출구부
o (교통 및 노면표시) 영업소 광장부 본선화로 불필요(철거)
구 분 현 재 변 경
내 용 - -
o (방호시설) 영업소 광장부 본선화에 따른 보강
구 분 현 재 변 경
내 용
(중분대) 양면가드레일(2단)
(갓길부) SB3 이상
(중분대) 콘크리트 방호벽
(갓길부) 좌 동
o (미끄럼방지시설) 영업소 광장부 본선화로 불필요(제거)
구 분 현 재 변 경
내 용
요금소 전방 90m에
3m-6m방식 3조
-
※ 축중차로 : 안내표지외 교통표지 및 노면표시 등은『스마트나들목
설계지침 4.9.2~4.9.4』적용
기 타 ❙ 507
기 타
나들목형
o (안내표지) 요금체계 변경에 따른 안내표지 변경(또는 철거)
구 분 현 재 변 경
입구부
(과적 有)
입구부
(과적 無)
-
출구부
o (교통 및 노면표시) 하이패스 노면표시 제거 및 안전시설 보완
구 분 현 재 변 경
광장부
아일랜드
전방
o (방호시설) 스마트톨링 고장시 비상차로로 활용위해 PE방호벽 설치
구 분 현 재 변 경
내 용 (폐쇄차로) PE드럼 (폐쇄차로) PE방호벽
o (미끄럼방지시설) 광장부의 충분한 감속 유도를 위해 추가
구 분 현 재 변 경
내 용
요금소 전방 50m에
1m-3m방식 3조
광장부 시점 및 요금소 전방
50m에 1m-3m방식 각각 3조
※ 안내(및 안전)시설 등 부대시설도 및 비교표 : 붙임 #4, #5
508 ❙ 기 타
3. 영업소 기반시설(토목) 처리 방안
V M S
OOO ABC
<계 단 부> <아일랜드부> <미끄럼방지시설부>
- 5종 Con'c 채움후 포장용 Con'c 타설 - 철거후 포장용 Con'c 타설
0.1 0.2 0.1
0.29
(0.32)
0.01
0.1 0.2 0.1 0.2 0.1 0.2
0.25
0.1
3.4
0.05
0.30
절삭후 덧씌우기
- 5cm 절삭후 개질LMC 포장
전차로형
o (캐 노 피) 전체 철거
o (계 단 부) 5종 Con'c 채움후 포장용 Con'c 타설 (N*+1차로)
o (아일랜드) 철거후 포장용 Con'c 타설 (N*+1차로) ※N* : 본선차로수
o (부대시설)『2. 안내 및 안전시설 처리 방안』적용
2차로형
o (계 단 부) 5종 Con'c 채움후 포장용 Con'c 타설(②)
o (아일랜드) 갠트리 기초부 : 20m 연장(①,③)
중앙 아일랜드 : 철거후 포장용 Con'c 타설(②)
o (부대시설)『2. 안내 및 안전시설 처리 방안』적용
단차로형
o (아일랜드) TCS차로부 : 15m 연장(③,④)
o (부대시설)『2. 안내 및 안전시설 처리 방안』적용
기 타
o (회 차 로) 과적단속 無: 폐쇄*, 有: 존치
*노선버스 운행로 등으로 사용되고 있는 곳은 별도 검토 필요
※ 안내(안전) 및 기반시설 개량 단위 공사비(참고용) : 붙임 #6
<정 면 도> <평 면 도>
①
②
③
④
TCS
TCS
hi-pass
축 중
캐노피 기둥
기 타 ❙ 509
기 타
4 향 후 계 획
□ ‘16. 9 : “공용중영업소 표준 전환모델” 책자 발간
□ ‘17. 6 : 남해선 등에 표준 전환모델 시범 적용
- 본선형 및 나들목형 모델 검증
□ ‘17. 12 : 공용중영업소 표준 전환모델 보완 등 시행
- 시범사업 시행 결과 반영
붙 임 : 1. 전환대상 영업소 세부 현황
2. 차로운영 모델 세부 검토절차 및 기준
3. 차로운영 세부 모델
4. 안내 및 안전시설 등 부대시설도
5. 안내 및 안전시설 등 부대시설 비교표
6. 안내(안전) 및 기반시설 개량 단위 공사비
7. 표준 전환모델(안)에 대한 관련부서 주요의견(자문) 및 조치계획
510 ❙ 기 타
[ 붙 임 #2 ]
차로운영 모델 세부 검토 절차 및 기준
□ 검토 절차
기본모델
도 출
1 단 계 전제조건 설정 및 기본모델 도출
영 업 소
적용 차로수
산 정
2 단 계 기본차로수 및 서비스차로수 산정
3 단 계
기본 및 서비스차로수, 과적단속 고려
적용차로수 산정
본선형 영업소 본모델
영 업 소
기하구조
검 토
4 단 계 엇갈림, 대기차로 및 분(합)류 길이 등 검토
5 단 계 영업소 전․후구간 차로수 균형 검토
나들목형 영업소 본모델
※ 차로운영 모델 세부 검토 절차도 별첨
□ (1단계) 전제조건 설정 및 기본모델 도출
o 전제조건
- (본 선 형) 차량간 상대속도차 및 교통정체 최소화
- (나들목형) 기존 기반시설(hi-pass, 아일랜드, 캐노피 등) 활용
차량간 엇갈림, 차로변경 길이 등 기하구조 해소
기 타 ❙ 511
기 타
o 기본모델
구 분 단차로형 2차로형 전차로형
차로운영
1차로(갓길 無) 2차로(갓길 無) N*차로+갓길
※ N* : 부가차로를 제외한 본선(또는 연결로) 차로수
□ (2~3단계) 영업소 적용 차로수 산정
o 기본차로수 : 부가차로를 제외한 본선 또는 연결로 차로수
본선형 영업소 나들목형 영업소
o 서비스차로수 : 예상교통량 및 영업소 차로 특성 등을 고려한
필요 차로수 (=설계시간교통량÷서비스교통량)
서비스교통량(SFi) 설계시간교통량(PDDHV)
× × × × × ×
o 적용 차로수 산정 방안
구 분 산 정 방 안 적용차로수 사 유
본선형
서비스차로수≥기본차로수
기본차로수
(+과적단속 N)
도로개량공사 지양 및
차로수의 단구간 감소로
인한 병목현상 방지
서비스차로수<기본차로수
나들목형
서비스차로수≥기본차로수
서비스차로수<기본차로수
서비스차로수
(+과적단속 N)
경제성고려 최소차로
적용
512 ❙ 기 타
□ (4~5단계) 영업소 기하구조 검토
o 엇갈림, 대기차로 및 분(합)류 길이 등 검토
톨링구간
차로수
접속도로와
접속방법
검 토 기 준 적용방안
1방향
2차로
이 상
입체교차
- 접속단간 이격거리 부족시
․진입(출)부 : 아일랜드 통과후 180m*
전차로형
또는
2차로형***
적용
평면교차
- 접속단간 이격거리 부족시
․진입부 : 아일랜드 통과후 180m*
- 접속도로 신호 정차시 대기용량** 부족시
․진출부 : 아일랜드 통과후 대기길이
단차로형
차로
1방향 추가
1차로
입체교차
- 분(합)류거리 + 인지반응거리 부족시
구 분 아일랜드 통과전 아일랜드 통과후
진입부 130m 166m
진출부 166m 130m
평면교차
- 분(합)류거리 + 인지반응거리 + 우회전
부가차로 부족시
구 분 아일랜드 통과전 아일랜드 통과후
진입부 145m 110m
진출부 130m 145m
** 엇갈림 서비스수준을 만족하는 길이를 산정하여야 하나 방향별 교통량 조사가
곤란하여 접속단간 최소 이격거리(L=180m)를 적용함
** 평면 접속구간 방향별 교통량 및 신호체계 조사가 어려워 평균 대기시간을
(t=2min) 고려하여 처리용량 적용함
*** 단차로형 3개이상 영업소에서 “최소이격거리(180m)+차로변경거리(50m/회)”가
부족할 경우 2차로형을 1(또는 2)개소 적용하여 차로변경거리(1회) 확보
o 영업소 전․후구간 차로수 균형 검토
전․후구간 차로수 검 토 기 준 적용방안
(분 류)
- 분류후 전보다 1개 많거나 동수
- 차로수는 한번에 한 개씩 증․감
단차로형
차로
추가
(합 류)
- 합류후 전과 같거나 1개 적음
- 차로수는 한번에 한 개씩 증․감
기 타 ❙ 513
기 타
[ 별 첨 ]
차로운영 모델 세부 검토 절차도
본
선
형 * 적용 차로수 산정 기준
‧ 서비스차로수≧기본차로수 → 기본
‧ 서비스차로수 <기본차로수 → 기본
YES
NO
예상교통량 반영
(2020년 개통)
적용 차로수 과적단속
설계시간교통량
PDDHV=AADT×K×D×1/PHF
서비스교통량
SFi=Cj×(V/C)i×fw×fHV
서비스 차로수
(설계시간교통량÷서비스교통량)
기본 차로수
고속도로 본선 차로수
차로운영 모델 선정
⇒ 2~5차로 A타입
차로운영 모델 선정
⇒ 2~5차로 B,C,D타입
나
들
목
형
설계시간교통량
PDDHV=AADT×K×D×1/PHF
서비스교통량
SFi=Cj×(V/C)i×fw×fHV
서비스 차로수
(설계시간교통량÷서비스교통량)
* 축중차로 별도 산정
기본 차로수
고속도로부 연결로 차로수
* 부가차로 제외
* 적용 차로수 산정 기준
‧ 서비스차로수≧기본차로수 → 기 본
‧ 서비스차로수 <기본차로수 → 서비스
입 구
엇갈림, 대기차로 및
분․합류길이 등 검토
* 최속이격거리 부족시
→ (2차로) 2차로형 적용(E타입)
* 최속이격거리+차로변경거리 부족시
→ (3차로이상) 2차로형 적용(E타입)
* 대기시 처리용량 부족시
→ 단차로형 추가(+1)
* 분(합)류 접속길이 부족시
→ 단차로형 추가(+1)
* 분(합)류시 2개이상 차이날 경우
→ 단차로 추가(+1)
차로운영 모델 선정
⇒ 2~5차로 D,E타입
차로수 균형 검토
차로운영 모델 선정
⇒ 1~5차로 A,B,C타입
NO
YES
예상교통량 반영
(2020년 개통)
* 최소이격거리 부족시
→ (2차로) 2차로형 적용(B타입)
→ (3차로이상) 전차로형 적용(C타입)
* 최속이격거리+차로변경거리 부족시
→ (3차로이상) 2차로형 적용(B타입)
* 대기시 처리용량부족시
→ 단차로형 추가(+1)
* 분(합)류 접속길이 부족시
→ 단차로형 추가(+1)
* 분(합)류시 2개이상 차이날 경우
→ 단차로 추가(+1)
적용 차로수
적용 차로수
+축중차로(1)
엇갈림, 대기차로 및
분․합류길이 등 검토
적용 차로수 산정
출 구
과적단속
적
용
차
로
수
산
정
기
하
구
조
검
토 차로수 균형 검토
2차로이상
[입체] 진입(출)부
[평면] 진입부
2차로이상
[평면] 진출부
1차로[입체/평면]
진입(출)부
2차로이상
[평면] 진출부
1차로[입체/평면]
진입(출)부
2차로이상
[입체] 진입(출)부
[평면] 진입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