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502 ❙ 기 타

89

기 타

스마트톨링 도입에 따른

공용중 영업소 표준 전환모델 수립 추(2스진0마1단6트.-0톨81.01링186)

1 검 토 목 적

□ 2020년 전국 고속도로 스마트톨링 전면 도입에 맞춰 공용중

영업소의 차로운영, 안전시설 및 기반시설 등도 전환이 불가피

□ 따라서, 차로운영 등의 표준 전환모델을 수립․시행함으로써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전환을 도모코자함

※전환대상 영업소 (‘20년이전 공용기준)

o공용중 640개소 및 건설중 44개소 (입․출구별)

- 본선형: 68개소 / 나들목형: 616개소

* 전환대상 영업소 세부 현황 : 붙임 #1

2 추 진 경 위

□ ‘15. 10 : 스마트톨링 전면 도입 방침 수립 (사장방침)

- 2020년까지 전국 고속도로에 스마트톨링 도입

□ ‘16. 6 : 표준 전환모델(안) 마련 및 중간보고회 개최

- 영업처, 도교원 등 6개 관련부서 참석

□ ‘16. 7 : 표준 전환모델(안) 의견 수렴 (영업처 등 6개부서)

- 1차로 운영시 시스템 이중 제어 등 22건

□ ‘16. 8 : 표준 전환모델 안전시설관련 기술자문 시행 (도교원)

- 속도규제표지 추가 등 7건

□ ‘16. 8 : 관련부서 의견 및 기술자문 결과 검토․반영

기 타 ❙ 503

기 타

3 주 요 내 용

1. 차로운영 모델

 수립 절차

1단계 2~3단계 4~5단계

기본모델 적용차로수 산정 기하구조 검토

본선형 본모델 나들목형 본모델

※ 차로운영 모델 세부 검토 절차 및 기준 : 붙임 #2

 전제조건을 고려한 기본모델

o 전제조건

영업소 형식 주 요 내 용

본 선 형 ․차량간 상대속도차 및 교통정체 최소화

나들목형

․기존 기반시설(hi-pass, 아일랜드, 캐노피 등) 활용

․차량간 엇갈림, 차로변경 길이 등 기하구조 해소

o 기본모델

구 분 단차로형 2차로형 전차로형

차로운영

1차로(갓길 無) 2차로(갓길 無) N*차로+갓길

※ N* : 부가차로를 제외한 본선(또는 연결로) 차로수

504 ❙ 기 타

 차로운영 본 모델

o 본 선 형

․서비스차로수에 관계없이 부가차로를 제외한 차로수 반영

․입구부 과적단속 有/無에 따라 분류

- 차로별 모델 (10EA) ( ) : 차로수

형 식

차 로

과적단속 無과적단속 有

A B C D

2차로 전차로형(2)

2A type

+과적단속(1)

- -

3차로 전차로형(3)

3A type

+과적단속(1)

3A type

+과적단속(2)

3A type

+과적단속(3)

4차로 전차로형(4) -

4A type

+과적단속(2)

-

5차로 전차로형(5) -

5A type

+과적단속(2)

-

- 평면도 (예 : 2A, 2B)

<2A : 전차로형(2)>

<2B : 2A type+과적단속(1)>

2A

3A

4A

2B

3B 3C 3D

4C

5A 5C

기 타 ❙ 505

기 타

o 나들목형

․교통특성(차로폭 등 7개 항목)을 고려하여 차로수 반영

․엇갈림 거리 등 기하구조 및 입구부 과적단속 有/無에 따라 분류

- 차로별 모델 (13EA) ( ) : 차로수

형 식

차 로

과적단속 無과적단속 有

A B C D E

1차로 단차로형(1) - - - -

2차로 단차로형(2) 2차로형(2) -

1A type

+과적단속(1)

-

3차로 단차로형(3)

2B type

+1A type

전차로형(3)*

2A type

+과적단속(1)

2B type

+과적단속(1)

4차로 단차로형(4)

2B type

+2B type

- -

3B type

+과적단속(1)

5차로 단차로형(5) - - - -

※ 전차로형(3)* : 현장여건에 따라 아일랜드부 또는 연결로에 설치

- 평면도 (예 : 1A, 3E, 4A, 4E)

<1A : 단차로형(1)> <3E : 2B type+과적단속(1)>

<4A : 단차로형(4)> <4E : 3B type+과적단속(1)>

※ 차로운영 세부 모델 : 붙임 #3

1A

2A 2B 2D

3A 3B 3C 3D 3E

4A 4B 4E

5A

506 ❙ 기 타

2. 안내 및 안전시설 처리 방안

 본 선 형

o (안내표지) 요금체계 변경에 따른 표지 문안 수정(또는 철거)

구 분 현 재 변 경

입구부

(과적 有)

입구부

(과적 無)

-

출구부

o (교통 및 노면표시) 영업소 광장부 본선화로 불필요(철거)

구 분 현 재 변 경

내 용 - -

o (방호시설) 영업소 광장부 본선화에 따른 보강

구 분 현 재 변 경

내 용

(중분대) 양면가드레일(2단)

(갓길부) SB3 이상

(중분대) 콘크리트 방호벽

(갓길부) 좌 동

o (미끄럼방지시설) 영업소 광장부 본선화로 불필요(제거)

구 분 현 재 변 경

내 용

요금소 전방 90m에

3m-6m방식 3조

-

※ 축중차로 : 안내표지외 교통표지 및 노면표시 등은『스마트나들목

설계지침 4.9.2~4.9.4』적용

기 타 ❙ 507

기 타

 나들목형

o (안내표지) 요금체계 변경에 따른 안내표지 변경(또는 철거)

구 분 현 재 변 경

입구부

(과적 有)

입구부

(과적 無)

-

출구부

o (교통 및 노면표시) 하이패스 노면표시 제거 및 안전시설 보완

구 분 현 재 변 경

광장부

아일랜드

전방

o (방호시설) 스마트톨링 고장시 비상차로로 활용위해 PE방호벽 설치

구 분 현 재 변 경

내 용 (폐쇄차로) PE드럼 (폐쇄차로) PE방호벽

o (미끄럼방지시설) 광장부의 충분한 감속 유도를 위해 추가

구 분 현 재 변 경

내 용

요금소 전방 50m에

1m-3m방식 3조

광장부 시점 및 요금소 전방

50m에 1m-3m방식 각각 3조

※ 안내(및 안전)시설 등 부대시설도 및 비교표 : 붙임 #4, #5

508 ❙ 기 타

3. 영업소 기반시설(토목) 처리 방안

V M S

OOO ABC

<계 단 부> <아일랜드부> <미끄럼방지시설부>

- 5종 Con'c 채움후 포장용 Con'c 타설 - 철거후 포장용 Con'c 타설

0.1 0.2 0.1

0.29

(0.32)

0.01

0.1 0.2 0.1 0.2 0.1 0.2

0.25

0.1

3.4

0.05

0.30

절삭후 덧씌우기

- 5cm 절삭후 개질LMC 포장

 전차로형

o (캐 노 피) 전체 철거

o (계 단 부) 5종 Con'c 채움후 포장용 Con'c 타설 (N*+1차로)

o (아일랜드) 철거후 포장용 Con'c 타설 (N*+1차로) ※N* : 본선차로수

o (부대시설)『2. 안내 및 안전시설 처리 방안』적용

 2차로형

o (계 단 부) 5종 Con'c 채움후 포장용 Con'c 타설(②)

o (아일랜드) 갠트리 기초부 : 20m 연장(①,③)

중앙 아일랜드 : 철거후 포장용 Con'c 타설(②)

o (부대시설)『2. 안내 및 안전시설 처리 방안』적용

 단차로형

o (아일랜드) TCS차로부 : 15m 연장(③,④)

o (부대시설)『2. 안내 및 안전시설 처리 방안』적용

 기 타

o (회 차 로) 과적단속 無: 폐쇄*, 有: 존치

*노선버스 운행로 등으로 사용되고 있는 곳은 별도 검토 필요

※ 안내(안전) 및 기반시설 개량 단위 공사비(참고용) : 붙임 #6

<정 면 도> <평 면 도>

TCS

TCS

hi-pass

축 중

캐노피 기둥

기 타 ❙ 509

기 타

4 향 후 계 획

□ ‘16. 9 : “공용중영업소 표준 전환모델” 책자 발간

□ ‘17. 6 : 남해선 등에 표준 전환모델 시범 적용

- 본선형 및 나들목형 모델 검증

□ ‘17. 12 : 공용중영업소 표준 전환모델 보완 등 시행

- 시범사업 시행 결과 반영

붙 임 : 1. 전환대상 영업소 세부 현황

2. 차로운영 모델 세부 검토절차 및 기준

3. 차로운영 세부 모델

4. 안내 및 안전시설 등 부대시설도

5. 안내 및 안전시설 등 부대시설 비교표

6. 안내(안전) 및 기반시설 개량 단위 공사비

7. 표준 전환모델(안)에 대한 관련부서 주요의견(자문) 및 조치계획

510 ❙ 기 타

[ 붙 임 #2 ]

차로운영 모델 세부 검토 절차 및 기준

□ 검토 절차

기본모델

도 출

1 단 계 전제조건 설정 및 기본모델 도출

영 업 소

적용 차로수

산 정

2 단 계 기본차로수 및 서비스차로수 산정

3 단 계

기본 및 서비스차로수, 과적단속 고려

적용차로수 산정

본선형 영업소 본모델

영 업 소

기하구조

검 토

4 단 계 엇갈림, 대기차로 및 분(합)류 길이 등 검토

5 단 계 영업소 전․후구간 차로수 균형 검토

나들목형 영업소 본모델

※ 차로운영 모델 세부 검토 절차도 별첨

□ (1단계) 전제조건 설정 및 기본모델 도출

o 전제조건

- (본 선 형) 차량간 상대속도차 및 교통정체 최소화

- (나들목형) 기존 기반시설(hi-pass, 아일랜드, 캐노피 등) 활용

차량간 엇갈림, 차로변경 길이 등 기하구조 해소

기 타 ❙ 511

기 타

o 기본모델

구 분 단차로형 2차로형 전차로형

차로운영

1차로(갓길 無) 2차로(갓길 無) N*차로+갓길

※ N* : 부가차로를 제외한 본선(또는 연결로) 차로수

□ (2~3단계) 영업소 적용 차로수 산정

o 기본차로수 : 부가차로를 제외한 본선 또는 연결로 차로수

본선형 영업소 나들목형 영업소

o 서비스차로수 : 예상교통량 및 영업소 차로 특성 등을 고려한

필요 차로수 (=설계시간교통량÷서비스교통량)

서비스교통량(SFi) 설계시간교통량(PDDHV)

     ×    ×  ×     ×  ×  × 

o 적용 차로수 산정 방안

구 분 산 정 방 안 적용차로수 사 유

본선형

서비스차로수≥기본차로수

기본차로수

(+과적단속 N)

도로개량공사 지양 및

차로수의 단구간 감소로

인한 병목현상 방지

서비스차로수<기본차로수

나들목형

서비스차로수≥기본차로수

서비스차로수<기본차로수

서비스차로수

(+과적단속 N)

경제성고려 최소차로

적용

512 ❙ 기 타

□ (4~5단계) 영업소 기하구조 검토

o 엇갈림, 대기차로 및 분(합)류 길이 등 검토

톨링구간

차로수

접속도로와

접속방법

검 토 기 준 적용방안

1방향

2차로

이 상

입체교차

- 접속단간 이격거리 부족시

․진입(출)부 : 아일랜드 통과후 180m*

전차로형

또는

2차로형***

적용

평면교차

- 접속단간 이격거리 부족시

․진입부 : 아일랜드 통과후 180m*

- 접속도로 신호 정차시 대기용량** 부족시

․진출부 : 아일랜드 통과후 대기길이

단차로형

차로

1방향 추가

1차로

입체교차

- 분(합)류거리 + 인지반응거리 부족시

구 분 아일랜드 통과전 아일랜드 통과후

진입부 130m 166m

진출부 166m 130m

평면교차

- 분(합)류거리 + 인지반응거리 + 우회전

부가차로 부족시

구 분 아일랜드 통과전 아일랜드 통과후

진입부 145m 110m

진출부 130m 145m

** 엇갈림 서비스수준을 만족하는 길이를 산정하여야 하나 방향별 교통량 조사가

곤란하여 접속단간 최소 이격거리(L=180m)를 적용함

** 평면 접속구간 방향별 교통량 및 신호체계 조사가 어려워 평균 대기시간을

(t=2min) 고려하여 처리용량 적용함

*** 단차로형 3개이상 영업소에서 “최소이격거리(180m)+차로변경거리(50m/회)”가

부족할 경우 2차로형을 1(또는 2)개소 적용하여 차로변경거리(1회) 확보

o 영업소 전․후구간 차로수 균형 검토

전․후구간 차로수 검 토 기 준 적용방안

(분 류)

- 분류후 전보다 1개 많거나 동수

- 차로수는 한번에 한 개씩 증․감

단차로형

차로

추가

(합 류)

- 합류후 전과 같거나 1개 적음

- 차로수는 한번에 한 개씩 증․감

기 타 ❙ 513

기 타

[ 별 첨 ]

차로운영 모델 세부 검토 절차도

형 * 적용 차로수 산정 기준

‧ 서비스차로수≧기본차로수 → 기본

‧ 서비스차로수 <기본차로수 → 기본

YES

NO

예상교통량 반영

(2020년 개통)

적용 차로수 과적단속

설계시간교통량

PDDHV=AADT×K×D×1/PHF

서비스교통량

SFi=Cj×(V/C)i×fw×fHV

서비스 차로수

(설계시간교통량÷서비스교통량)

기본 차로수

고속도로 본선 차로수

차로운영 모델 선정

⇒ 2~5차로 A타입

차로운영 모델 선정

⇒ 2~5차로 B,C,D타입

설계시간교통량

PDDHV=AADT×K×D×1/PHF

서비스교통량

SFi=Cj×(V/C)i×fw×fHV

서비스 차로수

(설계시간교통량÷서비스교통량)

* 축중차로 별도 산정

기본 차로수

고속도로부 연결로 차로수

* 부가차로 제외

* 적용 차로수 산정 기준

‧ 서비스차로수≧기본차로수 → 기 본

‧ 서비스차로수 <기본차로수 → 서비스

입 구

엇갈림, 대기차로 및

분․합류길이 등 검토

* 최속이격거리 부족시

→ (2차로) 2차로형 적용(E타입)

* 최속이격거리+차로변경거리 부족시

→ (3차로이상) 2차로형 적용(E타입)

* 대기시 처리용량 부족시

→ 단차로형 추가(+1)

* 분(합)류 접속길이 부족시

→ 단차로형 추가(+1)

* 분(합)류시 2개이상 차이날 경우

→ 단차로 추가(+1)

차로운영 모델 선정

⇒ 2~5차로 D,E타입

차로수 균형 검토

차로운영 모델 선정

⇒ 1~5차로 A,B,C타입

NO

YES

예상교통량 반영

(2020년 개통)

* 최소이격거리 부족시

→ (2차로) 2차로형 적용(B타입)

→ (3차로이상) 전차로형 적용(C타입)

* 최속이격거리+차로변경거리 부족시

→ (3차로이상) 2차로형 적용(B타입)

* 대기시 처리용량부족시

→ 단차로형 추가(+1)

* 분(합)류 접속길이 부족시

→ 단차로형 추가(+1)

* 분(합)류시 2개이상 차이날 경우

→ 단차로 추가(+1)

적용 차로수

적용 차로수

+축중차로(1)

엇갈림, 대기차로 및

분․합류길이 등 검토

적용 차로수 산정

출 구

과적단속

토 차로수 균형 검토

2차로이상

[입체] 진입(출)부

[평면] 진입부

2차로이상

[평면] 진출부

1차로[입체/평면]

진입(출)부

2차로이상

[평면] 진출부

1차로[입체/평면]

진입(출)부

2차로이상

[입체] 진입(출)부

[평면] 진입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9131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1920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6448
179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2-1_진출입부 역주행 방지 종합 대책 file 효선 2025.01.16 165
179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3-1_장기 거동 특성을 반영한 비탈면 보강 영구앵커 설계기준 개선 file 효선 2025.01.16 156
179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3-2_현장 작업여건을 반영한 배수시설 형상 및 원가 개선 file 효선 2025.01.16 168
179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3-3_비탈면 현황도 작성을 위한 깎기 비탈면 분할 기준 수립 file 효선 2025.01.16 194
179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1_프리캐스트 바닥판 및 PSC 거더 배치간격 검토 file 효선 2025.01.16 189
179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2_GFRP 보강근 잠정 설계·시공지침 제정 file 효선 2025.01.16 241
178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3_고로슬래그를 활용한 콘크리트 내염성 강화 방안 file 효선 2025.01.16 159
178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4_조합형 방호울타리 개선사항 반영 file 효선 2025.01.16 138
178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5_프리팹 부재 생산성 향상 등을 위한 원형 기둥 규격 표준화 방안 검토 file 효선 2025.01.16 136
178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6_개착식 구조물 분류기준 정립 file 효선 2025.01.16 150
178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7_교량접속부 가드레일 안전계단 설치기준 file 효선 2025.01.16 214
178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8_구조물 균열 저감을 위한 매스콘크리트 품질관리 방안 검토 file 효선 2025.01.16 195
178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5-1_주행쾌적성 및 장수명 확보를 위한 고속도로 포장형식 적용방안 file 효선 2025.01.16 198
178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5-2_결빙방지재 혼입 포장 설계 적용방안 file 효선 2025.01.16 220
178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5-3_재포장공사 내구수명 향상 계획 file 효선 2025.01.15 209
178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5-4_배수성(저소음)포장 품질향상 종합대책 수정사항 file 효선 2025.01.15 234
177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6-1_안전을 고려한 터널 부대시설 설계기준 개선 file 효선 2025.01.15 245
177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6-2_제트팬 경량화 및 설치방법 개선 file 효선 2025.01.15 235
177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7-1_강재시설물 염해 내구성 강화방안 file 효선 2025.01.15 202
177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7-2_터널 진입차단시설 개선 적용 방안 file 효선 2025.01.15 2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