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7-3_공용中 IC 연결로형 영업소 안내 및 안전시설물 정비방안
2024.12.24 11:41
부 대 공 ❙ 377
부대공
73
부 대 공
공용中 IC
연결로형 영업소 안내 및 안전시설물 정비방안 추(2스진0마1단7트.-0톨81.12링229)
1 검 토 목 적
2020년 스마트톨링 도입에 대비해 공용中 IC 연결로형 영업소*의
정비방안을 마련하여 이용객의 혼란방지 및 교통안전을 도모코자함.
* hi-pass전용나들목 및 본선영업소 광장에 접속되어 있는 일반나들목에 설치된 영업소
2 추 진 현 황
□ 2016. 11. 하이패스 전용나들목 스마트톨링 도입 의견 제출(기획조정실-4355호)
※ 하이패스 전용나들목 유형 및 운행기준 통보(본선형:전 차종, 휴게소형:4.5톤만 허용)
□ 2016. 8. 공용中 영업소(광장형) 스마트톨링 표준전환모델 수립
□ 2017. 7. 하이패스 전용나들목 유형분류 현황 통보(도로처-2170호)
※ 본선형 : 7개소, 휴게소형 : 9개소
□ 2017. 7. 안내 및 안전시설 표준(안) 작성 및 기술자문 실시(도교원)
3 공용中 IC 연결로형 영업소 현황
□ 일반나들목
◦ 현 황
구 분 영업소명 비 고
4개소 대동, 서영암, 서부산, 무안공항
◦ 전 경
본선(영)
연결로(영)
※본선(영) 광장에 접속되어 설치된 나들목
◦ 주요시설물 : 없 음
378 ❙ 부 대 공
□ hi-pass 나들목
◦ 현 황
계 공용중 공사중 설계중
16개소
6개소
(본선형* 1, 휴게소형** 5)
4개소
(본선형 1, 휴게소형 3)
6개소
(본선형 5, 휴게소형 1)
공사 및
개통시기 ‘11~’17 ‘17~’18 ‘18~’19
* 전 차종 운행허용, ** 4.5톤 이상 화물차량 이용제한
◦ 전 경
【동둔내:본선형】【옥산:휴게소형】
※ 하이패스 전용나들목 현황(별첨#1)
◦ 주요시설물 현황
구 분 내 용
개요도
시설물
o (공통) 속도제한 및 정지표지, 컬러레인, 방지턱, 충격흡수시설 등
o (일부반영) 규제봉(U턴방지 및 갓길차단용), 그루빙
부 대 공 ❙ 379
부대공
4 現 실태 및 문제점
□ (現 실태) 본선영업소 광장에 접속되어 운영되는 일부 영업소중
스마트톨링 도입시 철거되어 연결로에 신규구축이 필요하고,
hi-pass나들목은 하이패스 부착유무 및 4.5톤 이상 화물차량 통행이
제한되도록 안내 및 안전시설이 설치되어 있음
□ (문 제 점) 스마트톨링 시스템을 연결로에 신규구축하는 경우 안내
및 안전시설 설치기준이 없고, 또한, hi-pass 전용나들목을 스마트톨링으로
전환시 4.5톤 이상 화물차량 통행 유무에 맞는 정비방안이 없음
공용中 IC 연결로형 영업소의
안내 및 안전시설 정비방안 마련 필요
5 안내 및 안전시설 정비방안
□ 일반나들목
현 재(hi-pass, TCS)
전차량 통행
변 경(스마트톨링)
전차량(非하이패스 포함) 통행
◦(안내표지판) 요금체계 변경에 따른 문안수정
적 용 방 안 현 재 변 경
거리변경시
문안수정
380 ❙ 부 대 공
◦(교통안전표지) 신규설치
속도제한표지 보조안내표지 장애물표적표지
◦(교통안전시설) 신규설치
차선규제봉 충격흡수시설 그루빙
5
7
받침대
몸체
8
5
7
5
7
Φ25
70
5
※주변여건상 필요시
◦(노면표시) 신규설치
속도제한표지 컬러레인
부 대 공 ❙ 381
부대공
□ hi-pass 전용나들목
◦본선형
현 재(hi-pass)
4.5t이하 하이패스 차량통행
변 경(스마트톨링)
전차량(非하이패스 포함) 통행
․ (안내표지판) 요금체계 변경에 따른 문안삭제
적 용 방 안 현 재 변 경
〞하이패스전용〝
〞4.5t이상 진입금지〝
문안 삭제
․ (교통안전표지) 기존시설 유지 및 문안수정
적 용 방 안 현 재 변 경
장애물표적 유지
좌 동
속도제한표지 유지 좌 동
보조안내표지
문안수정
382 ❙ 부 대 공
․ (안전시설) 기존시설 유지 및 제거
적 용 방 안 현 재 변 경
차선규제봉 추가
5
7
받침대
몸체
8
5
7
5
7
Φ25
70
5
좌 동
아일랜드 전후방 5개소
(C.T.C 3m)
충격흡수시설 유지
좌 동
아일랜드 전방 CC1급
기존 과속방지턱
및 그루빙 제거
S/T도입전 : 설치
S/T도입후 : 미설치
․ (노면표시) 하이패스 미장착 차량 통행에 따른 표시 삭제
적 용 방 안 현 재 변 경
〝하이패스 전용〞
〝하이패스 미부착
일단정지〞
문안 삭제
․ (기 타) 정지, 회차관련 시설
적 용 방 안 현 재 변 경
전차량 통행
차단기 운영
․회차로 : 항시차단
․진입부, 주행로 : 항시개방
삭제
부 대 공 ❙ 383
부대공
◦휴게소형
현 재(hi-pass)
4.5t이하 하이패스 차량통행
변 경(스마트톨링)
4.5t이하(非하이패스 포함) 통행
․ (안내표지판) 요금체계 변경에 따른 문안수정
적 용 방 안 현 재 변 경
〞하이패스전용〝
문안수정
․ (교통안전표지) 기존시설 유지 및 문안수정
적 용 방 안 현 재 변 경
장애물표적 유지
좌 동
속도제한표지 유지 좌 동
보조안내표지
문안수정
384 ❙ 부 대 공
․ (안전시설) 기존시설 유지 또는 제거
적 용 방 안 현 재 변 경
차선규제봉 추가
5
7
받침대
몸체
8
5
7
5
7
Φ25
70
5
좌 동
아일랜드 전후방 5개소
(C.T.C 3m)
충격흡수시설 유지
좌 동
아일랜드 전방 CC1급
과속방지턱
및 그루빙 설치
좌 동
․ (노면표시) 하이패스 미장착 차량 통행에 따른 표시 수정
적 용 방 안 현 재 변 경
〝하이패스 전용〞
〝하이패스 미부착
일단정지〞
문안 수정
․ (기 타) 정지 및 회차관련 시설
적 용 방 안 현 재 변 경
4.5t이하 통행
(非하이패스 포함)
차단기 운영 좌 동
좌 동
※ hi-pass 전용나들목(본선형) 및 일반나들목에 과적단속시설(입구)
구축시는 추가검토 예정
부 대 공 ❙ 385
부대공
5 향 후 계 획
□ 본 방침을 Hi-pass 전용나들목 설계․공사 및 유지관리시 고려할
수 있도록 관련부서(기조실,도로처, 교통처,ITS처) 통보
□ 나들목별 세부 전환계획 수립․시행(추진단)
붙 임 #1. 하이패스 전용나들목 현황 1부
#2. 유형별 안내 및 안전시설 도면 및 비교표 1부
386 ❙ 부 대 공
붙 임 # 1
하이패스 전용나들목 현황
2017.7
구 분 노 선 명 칭 방 향 입•출구
개 통
(예정일)
형 식 비고
계 16개소
공용中
(6개소)
경부선 통도사
부산 진입 ’11.12
휴게소형
서울 진출 ’16. 9
호남지선 양촌 양방향 진출입 ’12. 7 휴게소형
중부선 삼성 양방향 진출입 ’16.12 휴게소형
중부내륙선 남양평 양방향 진출입 ’16.12 휴게소형
영동선 동둔내 인천 진출 ’16.12 본선형
경부선 옥산
서울 진출입 ’16.12
휴게소형
부산 진출입 ’17. 6
공사中
(4개소)
중부내륙
지선
북현풍
마산 진출
’17.12 휴게소형
대구 진입
제2중부선 이천 서울 진출입 ’17.12 휴게소형
중부내륙
지선
유천
옥포 진출
’18. 4 본선형
성서 진입
당진영덕선 속리산 청주 진출입 ’17.12 휴게소형
설계中
(6개소)
울산선 범서 양방향 진출입 ’19.12 본선형
경부선 북구미 양방향 진출입 ’19.12 본선형
중부내륙선 충주(휴) 양방향 진출입 ’18.12 휴게소형
익산포항선 임고
대구 진입
’18.12 본선형
포항 진출
중부선 청주흥덕 양방향 진출입 ’19.12 본선형
남해2지선 율하
창원 진입
’19.12 본선형
부산 진출
※ 출 처 : 하이패스 전용나들목 추진현황 제출(도로처-2170, 2017.7.6.)
부 대 공 ❙ 387
부대공
388 ❙ 부 대 공
부 대 공 ❙ 389
부대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