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324 ❙ 터 널 공

66

터 널 공 터널 입ž출구부 선형분리구간 개구부 안전대책 수립 재난안전처-239

1

1 검 토 목 적

□ 터널입출구 개구부구간의 침범예방을 위한 안전대책을 마련

하여 대향차로 이용객의 안전한 통행여건을 확보코자 함.

【강천터널 대향차로 침범사고 발생】

2017. 7. 10(월) 18:45 영동선 102.4k(인천)

강천터널 출구에서 시외버스가 분리녹지대

넘어 대향차로 승용차와 충돌, 승용차운전자

가 사망한 사고

2 현 황

□ 터널입출구 선형 분리구간 구성

◦ 분리구간 + 개구부(가드레일18m+차단기12m) + 분리구간

차단기 양면가드레일

12m 18m

개구부

◦ 터널입출구 개구부 구성(양면가드레일 및 조기개방시설)

가드레일(터널 개구부 형식2) ( 철재 차단기(

터널터 널

양면 가드레일 (L=VAR) 조기개방시설(철재차단기, L=12m)

터널입출구 개구부 (L=30m± α)

4.0m

터 널 공 ❙ 325

터널공

□ 터널입출구 개구부 현황

◦ 연장별 현황

전체 26m이하 27-33m 34~49m 50m이상

326개소 65 194 20 47

※ 터널입출구 개구부 연장 기준 : 50m('98년) → 30m('04년)

☞ 시공시기, 현장여건 등에 따라 개구부 연장 다양 (5m~124m)

☞ 터널입출구 개구부 전체 연장은 11,388m (평균 35m / 개소당)

◦ 조기개방시설 : 철재차단기 등 다양한 형식으로 설치

전체 철재차단기 자동차단기 차단봉 가드레일

326개소 203 111 2 10

※ 교통처-8107, 2007. 8. 6 “터널입출구분리구간 조기개방시설 검토”

◦ 가드레일 : O형지주, 양면가드레일 2W형식으로 설치 됨

전체

가드레일5)

방호벽 없음

(차단기만 有) SB-1 SB-3 SB-5

326개소 179 73 10 26 38

※ 설계처-2747(2007. 9. 19) “터널입출구분리구간 가드레일 설치기준”

【터널입출구 분리구간 개구부 가드레일 : 교통 분류 목적으로 설치】

5) SB1의 경우 지주간격 4m, SB3 및 SB5(2단)의 경우 지주간격 2m로 설치됨

326 ❙ 터 널 공

3 문 제 점

□ 개구부 관통 대향차로 침범 우려

□ 개구부 가드레일의 방호능력 부족

◦ 개구부 가드레일(1단양면, 원형지주, 2W, 지주간격 4m) SB1등급

으로 침범에 대한 방호능력 부족(※ SB1 - 설계속도 60kph미만)

➡ 중분대 방호울타리와 동일한 방호등급으로 상향(설계속도 100kph시 SB5)

□ 조기개방시설(철재차단기 등)의 방호능력 없음

◦ 방호능력이 없어 관통에 의한 대향차로 침범우려 상존

◦ 개구부는 긴급회차를 위해 평탄한 포장으로 구성되어 졸음 등

운전자 부주의에 의한 대향차로 침범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음.

➡ 침범 위험도 감소를 위한 차단기 진입각도 개선(일자 → 경사)

□ 차로이탈 인지기능 부족 및 방호․조기개방 기능을 동시

확보 곤란

◦ 평탄한 포장 구조로 차로이탈에 대한 인식시설이 필요

◦ 개구부 전체를 가드레일로 설치하면 긴급상황시 철거지연

➡ 차로이탈인식시설 설치 및 전체 형식을 엇갈림형으로 개선

터 널 공 ❙ 327

터널공

4 검 토 내 용

추진 방향

ㅇ 대향차로 침범(진입) 각도 개선(침범 위험도 감소)

ㅇ 방호울타리(가드레일) 적정 방호성능 확보(SB1 → SB5)

ㅇ 차로이탈 인식시설 설치로 사고예방

□ 차단기 최소 설치각도 개선 : 0°(일자형) → 20°이상(경사형)

◦ 충돌 진입각(0°~20°) 고려 차단기 설치각 검토

☞ 차량방호 안전시설 실물충돌시험 업무편람[국토교통부, 2015. 5]

“차량의 충돌 각도는 일반적으로 20°내외이므로 탑승자의 안전성

측면과 외국의 기준을 참고하여 20°를 기준으로 한다.”

※ 차단기 최소 설치각을 20°이상으로 하고 회전반경 및 현장여건을

고려하여 최대 설치각 확보 필요 (※ 분리구간 폭원이 16.8m일 때 38°)

◦ 가드레일(방호시설) 설치위치 변경(중앙 → 진행방향 측대)

현재(일자형) 개선(엇갈림형)

설치각

328 ❙ 터 널 공

□ 가드레일 방호성능 확보 : 중앙분리대 방호울타리 기준 적용

․지주간격 : 2m, 4m

․높이 : 1단(77.5cm)

․방호등급 : SB1, SB3

․철거방식 : 인력가능

․지주간격 : 1m,

․높이 : 2단(127.0cm)

․방호등급 : SB5

․철거방식 : 인력가능

※ 중앙분리대 개구부 가드레일(2단 양면형) 적용

※ 가드레일 단부처리 등은 현장여건 고려 방호울타리 설치기준 준용

【별첨1 참고】「설치 세부」참고, 설계처-3248(‘17. 9. 13) 준용

□ 차로이탈 인식시설 검토 : 차로이탈 사전인지 사고예방

150㎝

노면 요철포장

C L

50㎝

25㎝

차선

․설치연장 : 터널출구(갱구부) ~ 분리구간 끝

․설치형식 : 차선 전폭 중첩형

※ 설계처-1617(14.6.25), 설계처-1978(16.7.5)

□ 소요 사업비 검토 【별첨2 참고】[단위 : 백만원]

개선 방법 개소 단가 공사비

가드레일(2단양면) + 차단기1) 326 31.3 10,193

1) 차단기(자동, 수동)는 활용빈도, 교통량 등 현장여건을 감안하여 설치

※ 가드레일구간을 PC방호벽(H=1.27m)으로 설치시 방호등급 부족(SB4)

개선평면(안)

최소 20°이상

차로이탈인식시설(L=VAR), 차선 전폭중첩

터 널 공 ❙ 329

터널공

5 결론 및 향후계획

□ 공용중 노선 터널 선형분리구간 개량계획【연차별계획 :별첨2】

◦ 터널입출구 개구부 개량

- 2017년내 시행 : 도로개량구간(평창관련) 및 연장 100m이상 구간

☞ 19개소(영동선 등), L=1,818m, 11.9억(도로보수비 및 도로개량사업비)

- 중기계획(3년간, 2018년~2020년) : 개구부개량 완료 2020년

구 분 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개소수

(연장)

326개소

(11.4km)

19개소

(1.9km)

84개소

(3.7km)

104개소

(3.1km)

119개소

(2.7km)

소요예산[백만원] 10,193 1,198 3,014 3,016 2,965

☞ 위치별 우선순위※ → 3년간 개량(약30억/년 × 3년 = 90억소요)

※ 사고위험이 높은(개구부 長연장) 위치부터 순차적으로 개량

※ 개량시 기존자재(가드레일, 차단기 등) 최대한 활용하여 설치

◦ 선형 분리녹지대 구간 가드레일 개량

- 가드레일 중장기 개량계획에 따라 개량 [도로처-752, ‘16. 3. 3]

□ 설계 및 건설중인 노선 : 본 개선방안 적용

□ 터널입출구 개구부 표준도 변경 조치(설계처)

◦ 터널입출구 개구부 가드레일 및 엇갈림 개선형식 표준도 반영

◦ 분리구간 폭원에 따른 다양한 회차 형식 검토【별첨4 참고】

별첨 : 1. 설치세부 방안

2. 연도별 개량계획(3개년) 우선순위 및 개략공사비

3.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 관련내용(2014. 국토부)

4. 터널입출구 개구부 국내외 사례

5. 터널입출구 개구부 회전반경 검토

330 ❙ 터 널 공

별첨 1

개구부 가드레일 설치 세부

Ⅰ. 가드레일 지주 기초설치

현 재 적 용(안)

Con'c 아스콘 기층

기초

27Mpa

610

아스콘 기층

중앙분리대 개구부

기초조건과 동일하게

Con'c기초로 적용

(B=610mm, H=450mm)

Ⅱ. 가드레일 단부처리

 분리구간 녹지대 가드레일 있는 구간

관련방침 적 용(안)

분리구간 녹지대

2단양면

지주간격 1m

1단단면,

지주간격 2m

 분리구간 녹지대 가드레일 없는 구간

① L2 이상의 측구 설치구간 : 옹벽부착처리

관련방침 적 용(안)

2단중 보강보와 하단만 강결처리

(상단레일은 측구 시작점에 절곡처리)

② 다이크 설치 구간(낮은 볼록부 등) : 매입처리

관련방침 적 용(안)

보강보와 하단레일만 매입처리

※ 상단레일은 다이크

시작점 절곡처리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9131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1919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6448
161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5-4_순환골재 재활용 아스콘 설계 적용 방안 file 효선 2024.12.26 1429
161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5-5_줄눈 시멘트 콘크리트포장(JCP) 팽창줄눈 설치 잠정기준(안) file 효선 2024.12.26 1652
161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6-1_터널 피난연결통로 차단문 개선 file 효선 2024.12.26 1258
161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6-2_터널 조명등기구 설치높이 설계기준 변경 file 효선 2024.12.26 370
161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6-3_터널 옥외공동구 설계기준 개선 file 효선 2024.12.26 312
161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6-4_터널 갱구부 및 터널명 시인성 향상 조명 시험설치 file 효선 2024.12.26 1287
160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6-5_터널 라이닝 장기내구성 향상방안 file 효선 2024.12.26 1137
»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6-6_터널 입ž출구부 선형분리구간 개구부 안전대책 수립 file 효선 2024.12.26 1236
160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6-7_터널 표준소비효율 변압기 적용 검토 file 효선 2024.12.26 787
160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6-8_태양광 발전을 활용한 단터널 전력공급체계 개선 file 효선 2024.12.26 281
160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7-1_중분대측 시선유도표지 (보조표지 포함) 정비방안 file 효선 2024.12.26 799
160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7-2_초고속주행을 위한 표지판 시인성 향상 방안 file 효선 2024.12.24 959
160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7-3_공용中 IC 연결로형 영업소 안내 및 안전시설물 정비방안 file 효선 2024.12.24 788
160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7-4_방호울타리 설계기준 개선 file 효선 2024.12.06 1498
160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7-5_길어깨 이정표 확대시행 방안 file 효선 2024.12.06 372
160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7-6_중앙분리대 기초 설계기준 개선 file 효선 2024.12.06 964
159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7-7_중앙분리대 긴급개폐 개구부 선정 기준 및 방법 개선 file 효선 2024.12.06 1078
159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8-1_교량 내 가로등 설치기준 개선 file 효선 2024.12.06 646
159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8-2_톨게이트 디자인과 조화된 지명표지판 높이 개선방안 수립 file 효선 2024.12.06 571
159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8-3_LED를 이용한 도로표지판 시인성 향상 방안 file 효선 2024.12.06 1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