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6-6_터널 입ž출구부 선형분리구간 개구부 안전대책 수립
2024.12.26 11:05
324 ❙ 터 널 공
66
터 널 공 터널 입ž출구부 선형분리구간 개구부 안전대책 수립 재난안전처-239
1
1 검 토 목 적
□ 터널입출구 개구부구간의 침범예방을 위한 안전대책을 마련
하여 대향차로 이용객의 안전한 통행여건을 확보코자 함.
【강천터널 대향차로 침범사고 발생】
2017. 7. 10(월) 18:45 영동선 102.4k(인천)
강천터널 출구에서 시외버스가 분리녹지대
넘어 대향차로 승용차와 충돌, 승용차운전자
가 사망한 사고
2 현 황
□ 터널입출구 선형 분리구간 구성
◦ 분리구간 + 개구부(가드레일18m+차단기12m) + 분리구간
차단기 양면가드레일
12m 18m
개구부
◦ 터널입출구 개구부 구성(양면가드레일 및 조기개방시설)
가드레일(터널 개구부 형식2) ( 철재 차단기(
터널터 널
양면 가드레일 (L=VAR) 조기개방시설(철재차단기, L=12m)
터널입출구 개구부 (L=30m± α)
4.0m
터 널 공 ❙ 325
터널공
□ 터널입출구 개구부 현황
◦ 연장별 현황
전체 26m이하 27-33m 34~49m 50m이상
326개소 65 194 20 47
※ 터널입출구 개구부 연장 기준 : 50m('98년) → 30m('04년)
☞ 시공시기, 현장여건 등에 따라 개구부 연장 다양 (5m~124m)
☞ 터널입출구 개구부 전체 연장은 11,388m (평균 35m / 개소당)
◦ 조기개방시설 : 철재차단기 등 다양한 형식으로 설치
전체 철재차단기 자동차단기 차단봉 가드레일
326개소 203 111 2 10
※ 교통처-8107, 2007. 8. 6 “터널입출구분리구간 조기개방시설 검토”
◦ 가드레일 : O형지주, 양면가드레일 2W형식으로 설치 됨
전체
가드레일5)
방호벽 없음
(차단기만 有) SB-1 SB-3 SB-5
326개소 179 73 10 26 38
※ 설계처-2747(2007. 9. 19) “터널입출구분리구간 가드레일 설치기준”
【터널입출구 분리구간 개구부 가드레일 : 교통 분류 목적으로 설치】
5) SB1의 경우 지주간격 4m, SB3 및 SB5(2단)의 경우 지주간격 2m로 설치됨
326 ❙ 터 널 공
3 문 제 점
□ 개구부 관통 대향차로 침범 우려
□ 개구부 가드레일의 방호능력 부족
◦ 개구부 가드레일(1단양면, 원형지주, 2W, 지주간격 4m) SB1등급
으로 침범에 대한 방호능력 부족(※ SB1 - 설계속도 60kph미만)
➡ 중분대 방호울타리와 동일한 방호등급으로 상향(설계속도 100kph시 SB5)
□ 조기개방시설(철재차단기 등)의 방호능력 없음
◦ 방호능력이 없어 관통에 의한 대향차로 침범우려 상존
◦ 개구부는 긴급회차를 위해 평탄한 포장으로 구성되어 졸음 등
운전자 부주의에 의한 대향차로 침범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음.
➡ 침범 위험도 감소를 위한 차단기 진입각도 개선(일자 → 경사)
□ 차로이탈 인지기능 부족 및 방호․조기개방 기능을 동시
확보 곤란
◦ 평탄한 포장 구조로 차로이탈에 대한 인식시설이 필요
◦ 개구부 전체를 가드레일로 설치하면 긴급상황시 철거지연
➡ 차로이탈인식시설 설치 및 전체 형식을 엇갈림형으로 개선
터 널 공 ❙ 327
터널공
4 검 토 내 용
추진 방향
ㅇ 대향차로 침범(진입) 각도 개선(침범 위험도 감소)
ㅇ 방호울타리(가드레일) 적정 방호성능 확보(SB1 → SB5)
ㅇ 차로이탈 인식시설 설치로 사고예방
□ 차단기 최소 설치각도 개선 : 0°(일자형) → 20°이상(경사형)
◦ 충돌 진입각(0°~20°) 고려 차단기 설치각 검토
☞ 차량방호 안전시설 실물충돌시험 업무편람[국토교통부, 2015. 5]
“차량의 충돌 각도는 일반적으로 20°내외이므로 탑승자의 안전성
측면과 외국의 기준을 참고하여 20°를 기준으로 한다.”
※ 차단기 최소 설치각을 20°이상으로 하고 회전반경 및 현장여건을
고려하여 최대 설치각 확보 필요 (※ 분리구간 폭원이 16.8m일 때 38°)
◦ 가드레일(방호시설) 설치위치 변경(중앙 → 진행방향 측대)
현재(일자형) 개선(엇갈림형)
설치각
328 ❙ 터 널 공
□ 가드레일 방호성능 확보 : 중앙분리대 방호울타리 기준 적용
․지주간격 : 2m, 4m
․높이 : 1단(77.5cm)
․방호등급 : SB1, SB3
․철거방식 : 인력가능
․지주간격 : 1m,
․높이 : 2단(127.0cm)
․방호등급 : SB5
․철거방식 : 인력가능
※ 중앙분리대 개구부 가드레일(2단 양면형) 적용
※ 가드레일 단부처리 등은 현장여건 고려 방호울타리 설치기준 준용
【별첨1 참고】「설치 세부」참고, 설계처-3248(‘17. 9. 13) 준용
□ 차로이탈 인식시설 검토 : 차로이탈 사전인지 사고예방
150㎝
노면 요철포장
C L
50㎝
25㎝
차선
․설치연장 : 터널출구(갱구부) ~ 분리구간 끝
․설치형식 : 차선 전폭 중첩형
※ 설계처-1617(14.6.25), 설계처-1978(16.7.5)
□ 소요 사업비 검토 【별첨2 참고】[단위 : 백만원]
개선 방법 개소 단가 공사비
가드레일(2단양면) + 차단기1) 326 31.3 10,193
1) 차단기(자동, 수동)는 활용빈도, 교통량 등 현장여건을 감안하여 설치
※ 가드레일구간을 PC방호벽(H=1.27m)으로 설치시 방호등급 부족(SB4)
개선평면(안)
최소 20°이상
차로이탈인식시설(L=VAR), 차선 전폭중첩
터 널 공 ❙ 329
터널공
5 결론 및 향후계획
□ 공용중 노선 터널 선형분리구간 개량계획【연차별계획 :별첨2】
◦ 터널입출구 개구부 개량
- 2017년내 시행 : 도로개량구간(평창관련) 및 연장 100m이상 구간
☞ 19개소(영동선 등), L=1,818m, 11.9억(도로보수비 및 도로개량사업비)
- 중기계획(3년간, 2018년~2020년) : 개구부개량 완료 2020년
구 분 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개소수
(연장)
326개소
(11.4km)
19개소
(1.9km)
84개소
(3.7km)
104개소
(3.1km)
119개소
(2.7km)
소요예산[백만원] 10,193 1,198 3,014 3,016 2,965
☞ 위치별 우선순위※ → 3년간 개량(약30억/년 × 3년 = 90억소요)
※ 사고위험이 높은(개구부 長연장) 위치부터 순차적으로 개량
※ 개량시 기존자재(가드레일, 차단기 등) 최대한 활용하여 설치
◦ 선형 분리녹지대 구간 가드레일 개량
- 가드레일 중장기 개량계획에 따라 개량 [도로처-752, ‘16. 3. 3]
□ 설계 및 건설중인 노선 : 본 개선방안 적용
□ 터널입출구 개구부 표준도 변경 조치(설계처)
◦ 터널입출구 개구부 가드레일 및 엇갈림 개선형식 표준도 반영
◦ 분리구간 폭원에 따른 다양한 회차 형식 검토【별첨4 참고】
별첨 : 1. 설치세부 방안
2. 연도별 개량계획(3개년) 우선순위 및 개략공사비
3.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 관련내용(2014. 국토부)
4. 터널입출구 개구부 국내외 사례
5. 터널입출구 개구부 회전반경 검토
330 ❙ 터 널 공
별첨 1
개구부 가드레일 설치 세부
Ⅰ. 가드레일 지주 기초설치
현 재 적 용(안)
Con'c 아스콘 기층
기초
27Mpa
610
아스콘 기층
중앙분리대 개구부
기초조건과 동일하게
Con'c기초로 적용
(B=610mm, H=450mm)
Ⅱ. 가드레일 단부처리
분리구간 녹지대 가드레일 있는 구간
관련방침 적 용(안)
분리구간 녹지대
2단양면
지주간격 1m
1단단면,
지주간격 2m
분리구간 녹지대 가드레일 없는 구간
① L2 이상의 측구 설치구간 : 옹벽부착처리
관련방침 적 용(안)
2단중 보강보와 하단만 강결처리
(상단레일은 측구 시작점에 절곡처리)
② 다이크 설치 구간(낮은 볼록부 등) : 매입처리
관련방침 적 용(안)
보강보와 하단레일만 매입처리
※ 상단레일은 다이크
시작점 절곡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