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포 장 공 ❙ 251

포장공

54

포 장 공 순환골재 재활용 아스콘 설계 적용 방안 설계처-2103

(2017.06.21)

1 검 토 목 적

고속도로 건설 시 순환골재 재활용 아스콘*의 법적 사용규정에도

불구하고 현장적용이 미미함에 따라 합리적이고 친환경적인 설계

적용방안을 강구하고자 함

* 생산되는 아스콘 골재의 25% 이상을 순환골재(폐아스콘)로 사용하는 아스콘

으로써 혼합물 생산온도에 따라 가열형, 중온형, 상온형으로 분류

2 추진경위 및 관련법령

추진경위

구 분 내 용

법률개정

(‘09.6 개정)

o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개정 (‘10.6.10 시행)

- 순환골재 재활용 제품의 사용 의무 조항 추가

국토부

환경부

(‘10.06 개정)

(‘14.03 개정)

o 순환골재 재활용 제품 의무사용 고시

연 도 ‘12 이전 ‘13 ‘14 ‘15 ‘16 이후

사용량 15% 이상 20% 이상 25% 이상 30% 이상 40% 이상

감사원

(‘14.11)

o 감사결과 처분 요구

- 중온 재생 아스팔트 적용 방안 마련 요구 (중간층 및 기층 부분)

국정감사

(‘15. 9)

o 국정감사 질의 요구

- 중온 재생 아스팔트 사용 확대 대책

건설처

(‘16.01)

o 중온 재생 아스팔트 시험시공 추진

- 상주~안동 (본선L=210m, 표층T=5cm) 중온 재생아스콘 적용

- 추적조사 (개통후 2~5년간) 후 실무적용성 심의

국토부

(‘17.05)

o 아스팔트 혼합물 생산 및 시공지침 개정

- 가열, 중온, 상온형 순환골재 아스콘 품질기준, 배합설계 및 시공방법 마련 등

252 ❙ 포 장 공

 관련법령

□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제38조(순환골재 및 순환골재 재활용제품의 사용 의무)]

① 발주자는 순환골재 등 의무사용 건설공사를 발주할 때에는 건설업자에게

제35조에 따른 품질기준에 맞는 순환골재 및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적합한 순환골재 재활용제품을 사용하게 하여야 한다.

o 의무사용 건설공사 범위 : 공사구간 폭 2.75m 이상 & 연장

1km 이상인 도로, 포장면적 9,000㎡ 이상인 도로

o 의무사용 대상기관 : 국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사회기반

시설에 대한 민간투자법」제2조 제7호에 따른 사업시행자

o 의무 사용대상 재활용 적합 제품

-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이 규정하는 우수재활용(Good Recycled, GR) 제품

* GR F 4005 : 재활용가열아스팔트혼합물, GR F 4026 : 상온 재생 아스팔트 혼합물

** 기존재활용 제품 KS 표준을우수재활용제품(GR) 표준으로통합운영(국가기술표준원)

o 순환골재 재활용제품 사용 제외 대상

① 공급업체 원거리(40㎞ 이상) 위치 ② 재활용제품 수급 곤란

③ 재활용제품 가격이 비싼 경우 ④ 건설공사의 품질확보 곤란

※ 건설심의위원회 심의 및 설계자문위원회 자문 후 사용 제외 가능

o 처벌조항 : 미사용 시 1천만원 이하 과태료

□ 순환골재 재활용제품 사용용도 및 의무사용량 고시(환경부, 국토부)

사용용도

의무 사용량

‘14년 ‘15년 ‘16년 이후

아스팔트

콘크리트포장용

25%이상 30%이상 40%이상

포 장 공 ❙ 253

포장공

3 현실태 및 문제점

 현실태

□ 해외 순환골재 재활용 아스콘 사용 현황

o 선진국은 자원재활용을 통한 환경보호 목적으로 순환골재 재활용

아스콘 사용률이 상당히 높음

구 분 일 본 네덜란드 독일 덴마크 스웨덴 벨기에 이탈리아

비율(%) 73 65 60 53 50 38 30

※ 출처 : 도로교통협회 협회지 128호(백종은 외, 2012)

□ 국내 순환골재 재활용 아스콘 사용 현황

o 최근 4년간 국내의 사용비율은 약 6~9%로 매우 저조한 수준

구 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사용량

(천톤)

계 19,723 23,179 26,200 23,470

신규 아스콘 18,207 21,110 23,804 21,963

재활용아스콘 1,516 2,069 2,396 1,507

사용 비율(%) 7.7 8.9 9.1 6.4

※ 출처 : 한국순환아스콘협회, 2015

□ 고속도로 순환골재 재활용 아스콘 설계 및 사용 현황

o 본선을 제외한 부체도로, 군 리도 등 일부 도로만 적용 중

구 분

설 계(톤)

시 공(톤) 적용율(%)

전체 재활용

창원~김해 등

6개 노선

계 1,382,721 299,482 7,579 0.5

표 층 391,712 64,616 600 0.2

중간층 185,086 49,984 1,284 0.7

기 층 805,923 184,882 5,695 0.7

254 ❙ 포 장 공

 문제점

□ 순환골재 재활용 아스콘 특성*을 배제한 설계 시행

* 아스팔트 바인더 노후화로 딱딱해짐 → 소성변형 저항성↑, 균열저항성↓

o 포장층별 구조적 역할*에 따라 설계대상을 선정하여야 하나,

포장층별(표층, 중간층, 기층)로 의무비율을 일괄 설계반영

포장층 전체 아스팔트(ton) 의무비율 재활용 아스팔트(ton)

표 층 14,883 × 40% 5,954

중간층 2,605 × 40% 1,042

기 층 22,184 × 40% 8,874

* 표층 : 균열 및 소성변형 저항 기능, 기층 : 소성변형 저항 기능

□ 가열형 재활용 아스콘만 설계하여 환경피해 및 경제성 저하

o 아스콘 생산 시 재료 가열로 인한 벙커-C유 소모로 유해가스 및

미세먼지 발생

* 아스콘 1톤 생산 시 연료사용에 따른 배출 유해가스 및 미세먼지 발생량 비교

구 분 가열(160℃내외) 중온(130℃내외) 상온

연료(벙커-C유, ℓ) 7.7 5.0 0

유해가스

미세먼지

이산화탄소(㎏) 6.3 4.2 0

일산화탄소(ppm) 1,300 1,200 0

질소산화물(NOx)(ppm) 38 34 0

황산화물(SOx)(ppm) 8 7 0

※ 벙커-C유 1ℓ당 CO2 배출량 3.026㎏(국토해양부 발표 자료, 2012)

o 시장조사 결과 상온형 재활용 아스콘이 더 경제적

□ 품질기준 및 적용성 검증 미흡에 따른 현장 적용 기피

o 품질기준에 관한 국가기준(국토교통부 지침, GR 기준) 간 규정 상이

및 일부 항목 품질수준 낮음

o 포장의 공용성 검증 미흡에 따른 현장 적용실적 저조

o 감독원 및 품질관리인원 교육 미흡에 따른 전문지식 부족

포 장 공 ❙ 255

포장공

4 개선방안 검토

 순환골재 재활용 아스콘 설계 적용 대상 검토

□ 포장 구성층(표층, 기층)별 적용대상 검토

o 포장층별 작용응력에 따른 파손형태

포장체 작용응력 매커니즘 포장파손 형태

① 압축, 전단응력 집중 ② 인장응력 집중

③ 압축응력 집중

* 아스팔트포장에서의 응력과 변형 논문(Lubinda F. Walubita et. al) 인용

- 표층은 압축, 전단, 인장응력이 모두 집중되므로 소성변형 저항성

및 균열저항성이 큰 재료가 유리

- 기층은 전단, 인장응력이 하부로 갈수록 소산되어 상대적으로 압축

응력이 지배적이므로 소성변형 저항성이 큰 재료가 유리

o 순환골재 재활용 아스콘의 특성이 소성변형 저항성에는 강하고

균열 저항성은 약하므로 기층에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며 설계

도로 종류에 따라 기층 상위층으로 확대

256 ❙ 포 장 공

□ 교통량, 중차량 통행, 공용기간 등을 고려한 적용대상 검토

o 교통량 및 중차량 통행이 많은 도로는 기층위주로 적용하고,

보통이하인 도로 및 단기간 공용도로(시설)는 기층 상부까지 적용

구 분 고 려 사 항 골재등급* 적용대상

- 고속도로 본선

- 4차로 이상 도로 이설

- 중차량 통행 빈번 도로

- 교통량이 많음

- 중차량 통행 빈번

1등급 기층

- 2차로 이하 일반국도 이설

- 교통량 보통

- 중차량 통행비율 보통

2등급 중간층, 기층

- 지방도, 군도, 면도,

리도, 부체도로 등

- 교통량 및 중차량 통행

비율 낮음

3등급 표층, 기층

- 교통우회가도 등

- 교통량이 많음

- 단기간 공용 후 철거

2등급 “

* 굵은골재 편장석(골재 최대길이와 최소길이의 비가 1:3 이상)률에 따라

3개 등급으로 분류

o 고속도로 본선 등 기층적용 시 소성변형 저항성 검토

- 일반 가열아스콘 대비 포장가속시험 결과 소성변형 저항성 우수

모 식 도 실 험 사 진 측 정 결 과

4.4㎜

8.8㎜

o 지방도, 군도 등 표층적용 시 공용성 분석 검토 (가열형 재활용)

- 서울시 분석결과 균열률, 소성변형량, 평탄성에서 큰 차이가 없음

균열율 소성변형량 평탄성

포 장 공 ❙ 257

포장공

□ 의무사용비율 설계 적용방안 검토

o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형식 설계 시 전체수량에 대한 순환골재

재활용 아스콘 의무사용비율(40%) 준수

* 미 준수 시에는 설계성과품 심의요청 시 포함하여 기술심사처에 심의 요청

o 의무사용비율 설계 적용방법

- ① 단기간 공용 → ② 교통량 및 중차량 통행 小→ ③ 교통량 및

중차량 통행 大→ ④ 고속도로 본선 순으로 수량 설계 반영

- 의무사용비율 초과 시 고속도로 본선 기층을 다층*으로 나누어

하부기층에만 적용

* 기층의 다짐 후 1층 두께 : 8cm 이내(고속도로공사 전문시방서 8-3)

- 적용예시 * 아스팔트 콘크리트 수량의 40% 반영

① 교통우회가도 ②부체도로(경제성검토) ③ 4차로 국도 이설 ④ 고속도로 본선, 램프

표층(재활용) 5

기층(재활용) 13

표층(재활용) 5

기층(재활용) 10

표층(일반) 5

기층(재활용) 10

표층(일반) 5

중간층(일반) 7

기층(일반)

기층(재활용) 21

기층(재활용)

□ 검토결과

o 포장층별 작용응력 매커니즘 및 순환골재 재활용 아스콘의 특성

분석결과 기층 위주로 적용하는 것이 합리적

o 교통량 및 중차량 통행량이 많은 도로는 기층위주로 적용하고,

보통이하인 도로 및 단기간 공용도로는 기층 상부까지 적용

o 교통량 및 중차량 통행량이 보통이하인 도로 등에 우선 적용하고

의무사용비율 부족 시 고속도로 본선 하부기층, 전체기층 순으로

적용하여 아스콘 의무사용비율 준수

258 ❙ 포 장 공

 순환골재 재활용 아스콘 설계 적용 종류 검토

□ 순환골재 재활용 아스콘 종류별 특징

구분 가열 재활용 중온 재활용 상온 재활용

적용

기준

국토부지침(2017) 및

GR F 4005

국토부지침(2017) 및

GR F 4005

국토부지침(2017) 및

GR F 4026

적용

범위

표층, 중간층, 기층 표층, 중간층, 기층 기층

생산

온도

160℃ 내외 130℃ 내외 상온(가열하지 않음)

재료

구성

순환골재(25%이상)+

신골재+아스팔트+

재생첨가제

순환골재(25%이상)+

신골재+아스팔트(포밍) +

또는 중온화 첨가제

순환골재(25%이상)+

신골재+유화아스팔트+

첨가제

제품

종류

일반제품

- 재생설비보유플랜트 생산

특허제품

- 중온첨가제 적용제품

- 아스팔트 포밍 제품 등

특허제품

- 유화아스팔트 개질제품

- 유리섬유 보강제품 등

특징

- 혼합물 생산 및 시공

온도 높음

(벙커-C유 7.7ℓ/ton)

- 미세먼지 배출 : 48ppm/ton

- CO2 배출 : 23.3kg/ton

- 시공 후 양생시간 과다

- 생산온도, 재생첨가제

사용 등 기준에 적합

하게 제조된 제품은

일반아스콘과 비슷한

품질 수준*

*소성변형 저항성, 균열

저항성, 수분민감성

- 혼합물 생산 및 시공

온도 약 30℃이상 낮음

(벙커-C유 5.0ℓ/ton)

- 미세먼지 배출 : 41ppm/ton

- CO2 배출 : 15.1kg/ton

- 시공 후 양생시간 감소

(약 1hr)로 빠른 교통개방

- 중온첨가제 사용, 포밍 등

기준에 적합하게 제조된

제품은 일반아스콘과

비슷한 품질 수준

- 혼합물 생산 시 석유계

연료 약 35% 저감으로

친환경성 우수

- 혼합물 생산 및 시공

시 가열 필요없음

(석유계 연료 사용없음)

- 미세먼지 배출 : 없음

- CO2 배출 : 없음

- 기층시공 후 즉시 상위층

시공 가능

- 소성변형 저항성 및 수분

민감성은 일반 아스콘

보다 우수하나, 균열

저항성은 보통 수준

- 혼합물 생산 시 석유계

연료 미사용으로 친환경성

매우 우수

포 장 공 ❙ 259

포장공

□ 순환골재 재활용 아스콘 시장 현황

o 순환골재 재활용 아스콘 생산업체 (2017년 기준, 단위 : 개소) [별첨]

분 류 계 수도권 강원권 충북권 충남권 전북권 전남권 경북권 경남권

가 열 54 31 3 2 5 2 4 6 1

중 온 4 2 - - - - - 1 1

상 온 20 3 2 1 6 2 1 3 2

* 재활용 아스콘 시공물량 증가 시 업체수 증가 예상(전국 아스콘 생산업체 510개소)

o 순환골재 재활용 아스콘 단가 비교

구 분

아스콘 평균단가(원/ton)

신규아스콘 순환골재 재활용 아스콘

가열 중온 가열 중온 상온

표 층(PG 64-22) 57,160 57,557 54,136 - -

중간층(PG 64-22) 54,115 53,728 46,874 - -

기 층(PG 64-22) 50,067 50,428 47,069 49,000 35,500

* 한국아스콘공업협동조합연합회, 나라장터 종합쇼핑몰 자료 참조

□ 검토결과

o 생산 시 석유계 연료를 미사용하고 시공온도가 낮은 상온형이

환경적․시공적 측면에서 가장 우수하나, 균열저항성은 상대적으로 낮음

o 재활용 아스콘 시공물량 증가 시 업체 수가 지속적으로 늘어나

수급여건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설계 및 현장적용 가능

o 경제성 검토결과 상온형 재활용 아스콘이 가열형, 중온형 보다

최대 28% 저렴하여 경제적

260 ❙ 포 장 공

 품질기준 개선 및 적용성 검증방안 검토

□ 순환골재 재활용 아스콘 품질기준 검토

o 국토교통부 지침 및 GR 기준 품질기준 검토 [세부사항 별첨]

구 분 품질기준 검토 결 과

표 층

- 국토교통부 지침이 GR 기준보다 강화된 기준 제시

* 가열 및 중온 재활용 아스콘

구 분 국토부 지침 GR 기준

변형강도(Mpa) 4.25 이상 3.2 이상

국토부

지침 적용

유리

중간층

- 국토교통부 지침이 GR 기준보다 강화된 기준 제시

* 가열 및 중온 재활용 아스콘

구 분 국토부 지침 GR 기준

변형강도(Mpa) 4.25 이상 3.2 이상

공극률(%) 3-6 3-7

포화도(%) 65-80 65-85

동적안정도(회/㎜) 750이상 -

기 층

- 국토교통부 지침이 GR 기준보다 강화된 기준 제시

* 가열 및 중온 재활용 아스콘

구 분 국토부 지침 GR 기준

변형강도(Mpa) 3.2 이상 2.7 이상

공극률(%) 4-6 3-8

* 상온 재활용 아스콘

구 분 국토부 지침 GR 기준

마샬안정도(N) 6,000 3,500

흐름값(1/10㎜) 10-40 10-50

공극률(%) 9-14 3-12

인장강도비(TSR) 0.7 이상 -

간접인장강도(N/㎟) 0.4 이상 -

※ 품질기준 항목별 정의 및 시험방법 : 별첨

포 장 공 ❙ 261

포장공

o 기층구간에서 재활용 아스콘 종류별 품질기준 검토

- 순환골재 재활용 아스콘 종류별 품질기준 비교

구 분 가열, 중온형 재활용 상온형 재활용 비고

인장강도비(TSR) - 0.7 이상 수분민감성

간접인장강도(N/㎟) 0.6 이상 0.4 이상 균열저항성

- 상온형의 간접인장강도 기준이 가열 및 중온형의 간접인장강도

기준보다 낮음 (0.2 N/㎟↓)

* 상온형의 특성(유화아스팔트의 점도 낮음) 상 간접인장강도를 올리기는

어려우므로 인장강도비를 상향하여 수분에 의한 기층 파손 최소화 필요

- 포장의 장기 내구성 확보를 위하여 상온형 재활용 아스콘의 인장

강도비를 표층, 중간층 수준(0.8 이상)으로 상향하여 잠정 적용

* 재활용 아스팔트 고속도로 포장기층 적용방안 연구(‘18~’19) 시 기준 재검토(도교원)

□ 고속도로 본선 적용성 검증을 위한 시험시공 및 분석 시행

o 시험시공 개요

고속도로 본선 기층에 순환골재 재활용 아스콘 적용 시 일반 가열

아스콘 기층과 성능 비교 분석

o 시험시공 세부계획

- 시공시기 : '17. 07월 예정

- 시험시공 위치 : 김해부산사업단 7공구 대감분기점 Ramp-F

이 정(STA) 연장(m) 적용 아스콘 적용 단면

0+060km~0+160km 100 가열형 재활용 아스콘 표 층 5

중 간 층 7

기 층 15

보조기층 30

0+160km~0+260km 100 중온형 재활용 아스콘*

0+260km~0+360km 100 상온형 재활용 아스콘①

0+360km~0+468km 108 상온형 재활용 아스콘②

* 중온첨가제 제품 시험 시공(포밍 제품은 김해지역 생산공장 없음)

262 ❙ 포 장 공

o 추적조사 및 결과분석

- 조사기간 : 개통 후 10년까지 (재활용 아스콘 포장의 장기공용성 평가)

- 추적조사 계획 (‘18~‘19년 포장가속시험 결과로 현장 적용성 검토 예정)

구 분 기 간 조사빈도 조사항목* 주관부서(협조부서)

1차 포장시공시 최초1회 ․혼합물 평가 도교원(사업단)

2차

~ ‘21

(4년)

반기 1회

․혼합물 평가

․노면상태 조사

․포장건전도 평가

도교원(지역본부)

장기

‘22 ~ ’27년

(6년)

년 1회 “ “

* 조사항목

․혼합물 평가 : 입도, 인장강도, 밀도, 안정도, 흐름값 등 측정

․노면상태조사 : ARAN을 이용한 소성변형 발생정도, 균열발생정도, IRI 조사

․포장 건전도평가 : FWD(Falling Weight Delfectometer) 이용, 구조적 건전성 평가

o 추진방법 : 도로교통연구원 연구과제*로 시행

* 재활용 아스팔트 고속도로 포장기층 적용방안 연구(‘18~’19)

□ 감독원 및 시공참여자 전문지식 배양을 위한 교육 강화

o (감독원) 아스팔트포장 전문가 과정에 순환골재 재활용 아스콘에

관한 커리큘럼 포함 교육 * 매년 3회 교육 시행 중

o (시공참여자) 아스팔트 포장 품질관리 종사자 교육 강화

- 시공사 및 감리원 : 도로건설 전문가 아스팔트 과정에 순환골재

재활용 아스콘에 관한 커리큘럼 포함 교육

- 시공참여자 전문교육* 의무 이수 후 공사 참여 가능

* 건설기술교육원, 건설기술연구원에서 시행하는 교육 과정

포 장 공 ❙ 263

포장공

□ 검토결과

o 순환골재 재활용 아스콘 품질기준에 대한 검토결과 기준이

강화된 국토교통부 지침을 적용하는 것이 품질관리 상 유리하며,

일부 항목에 대하여는 잠정적으로 기준 상향 적용

o 고속도로 본선 기층에 재활용 아스콘과 일반 가열 아스콘과의

성능 비교분석 등 공용성 검증을 위한 시험시공 및 추적조사

시행 (건설처, 도로교통연구원, 김해부산사업단 협조)

o 순환골재 재활용 아스콘에 관한 감독원 및 시공참여자 전문지식

배양을 위한 전문교육 시행

5 결론 및 적용방안

 결 론

□ 순환골재 재활용 아스콘 설계 적용 대상

o 포장층별 작용응력 매커니즘 및 순환골재 재활용 아스콘의

특성에 따라 본선은 기층 위주로 적용

o 교통량 및 중차량 통행량이 보통이하인 도로 및 단기간 공용

도로는 기층 상부(중간층 또는 표층)까지 적용

* 전체수량에 대한 순환골재 재활용 아스콘 의무사용비율(40%) 준수

□ 순환골재 재활용 아스콘 설계 적용 종류

o 가열형, 중온형, 상온형 순환골재 재활용 아스콘 중 경제성,

자재 수급성을 감안하여 설계 적용

* 고속도로 본선 현장적용은 시험시공 후 적용성 검토결과에 따라 적용

264 ❙ 포 장 공

□ 품질기준 개선 및 적용성 검증방안

o 순환골재 재활용 아스콘 품질기준은 국토교통부 지침을 적용

하되, 일부 항목은 잠정적으로 기준 상향 적용

o 재활용 아스콘과 일반 가열 아스콘과의 성능 비교분석 등

공용성 검증을 위한 시험시공 및 추적조사 시행

o 순환골재 재활용 아스콘에 관한 감독원 및 시공참여자 전문

지식 배양을 위한 전문교육 시행

 적용방안

□ 설계중인 노선 : 본 기준 적용

□ 공사, 공용중인 노선 : 공사주관(시행)부서에서 적용여부 판단

* 고속도로 본선 현장적용은 적용성 검토결과에 따라 적용하되, 의무사용

비율 미 충족시에는 심의 등을 통해 법적요건 충족

6 기 대 효 과

□ 경제적 효과 (별첨)

o 새만금~전주 등 4개 노선 적용 시 69억 절감

□ 환경적 효과 (별첨)

o 새만금~전주 등 4개 노선 적용 시 약 13,899톤의 이산화탄소

발생량 저감 (탄소배출권 3.2억원)

* 소나무 약 4백만 그루의 식목효과 발생

o 미세먼지인 질소산화물(NoX), 일산화탄소(Co), 황산화물(SoX) 등 발생 예방

o 폐기물의 업사이클링(Upcycling)을 통한 친환경 도로건설 선도

포 장 공 ❙ 265

포장공

별첨 1 순환골재 재활용 아스콘 생산업체 현황

□ 가열형 순환골재 재활용 아스콘

NO 업 체 명 소 재 지

1 태형기업(양주) 경기도 양주시 남면 삼일로 552

2 광덕아스콘 충남 천안시 광덕면 원덕리 산147

3 동화산업 충남 당진군 합덕읍 석우리 71-15

4 도원 전남 함평군 해보면 해보월현길 114-66

5 삼양아스콘 경기 양주시 광적면 부흥로 841-23

6 신성아스콘 경기 화성시 팔탄면 푸른들판로 576

7 현대아스콘 경기 양주시 남면 상수리 117-1

8 대연산업 전북 전주시 덕진구 팔복동 4가 180-2

9 누보켐 인천 서구 도담4로 28

10 삼강산업개발 경기 안성시 서운면 사갑1길 296-133

11 안성산업 경기 안성시 보삼로 39

12 제일산업개발 경기 안양시 만안구 연현로 9번길 88

13 중앙아스콘 대전 중구 단재로 378-47

14 삼덕유화 인천 서구 도담로 109

15 금강아스콘 강원 고성군 토성면 용원로 470

16 한솔산업 충남 아산시 신창면 학성로89

17 남경중공업 전남 화순군 동면 충의로 970-34

18 대성아스콘 경기 양주시 광적면 화합로 270-17

19 청주아스콘 충북 괴산군 청천면 괴산로 1594

20 부일레미콘 부산 금정구 수원지로 24

21 드림아스콘 경기 부천시 오정구 오정로 12

22 청호개발 전남 영암근 삼호읍 나불로 3길 39

23 신아에이치에스 전남 화순군 춘양면 가봉리 산40

24 태인아스콘 경기 포천시 가산면 가산로 267번길 28

25 삼호건설 강원 춘천시 김유정로 701-13

26 서울아스콘 인천 서구 석남동 봉수대로 300번길 15

27 산하 경기 남양주시 와부읍 수례료 733

28 덕산 전북 익산시 함열읍 미륵사지로 1156

29 서원아스콘 경기 용인시 처인구 이동면 백자로 77

30 퀸 강원 원주시 문막읍 문막공단길 266

266 ❙ 포 장 공

NO 업 체 명 소 재 지

31 신흥아스콘 경기 파주시 중앙로 60-45

32 영광아스콘 경기 포천시 천보1길 18-1

33 중앙아스콘 경기 양주시 은현면 화합로 969번길 57

34 보광산업 대구 달성군 논공읍 비슬로 262길 37

35 대창아스콘 경북 영주시 구성로 88번길 86

36 동녘 경기 양주시 광적면 덕도리 770번지

37 세진아스콘 인천 서구 도담6로 19

38 아스콘플러스 경기 파주시 월롱면 누현길 37

39 삼광아스콘 경기 여주시 강천면 강천로4

40 한밭산업 인천 서구 가정로37번길 5

41 청산아스콘 경기 연천군 청산면 청창로 100

42 대림아스콘 경기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 원암로287

43 케이와이PC 인천 서구 가람로 24

44 대평산업개발 경북 구미시 산동면 성림길 26

45 세아산업(약목) 경북 칠곡군 약목면 경호천동길 14

46 한밭산업(화성) 경기 화성시 양감면 정문송산로 65

47 경기아스콘산업 경기 포천시 화현면 영일로 368번길 143

48 대원아스콘 경기 파주시 광탄면 부흥로 169번길 160

49 삼덕 인천 서구 두루물로 72

50 주흘산업개발 경북 문경시 마성면 은성로 1412

51 금산공영 충남 금산군 복수면 다복로 123

52 태형실업 경북 김천시 남면 부산리 산208

53 태형기업(화성) 경기 화성시 정남면 문학리 719-1

54 대성개발(주) 충북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 환희리 산10-1

□ 중온형 순환골재 재활용 아스콘

NO 업 체 명 소 재 지

1 영종산업(주) 울산 울주군 삼동면 하잠리 489

2 (주)드림아스콘 경기도 부천시 삼정동 34-8

3 (주)삼성 경북 포항시 남구 동해면 일월로278번길 74

4 (주)누보켐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요리 270-4

포 장 공 ❙ 267

포장공

□ 상온형 순환골재 재활용 아스콘

NO 업 체 명 소 재 지

1 (주)태산파우텍 경북 고령군 다산면 다산산단로 54-42

2 (주)새재환경 경북 문경시 신기로 68-5

3 금강환경산업(주) 경기도 이천시 모가면 공원로 218번길 135-4

4 중앙아스콘(주) 대전 중구 단재로 378-47 어남동

5 (주)씨.에스 경기도 연천군 청산면 청창로 100

6 (유)그린환경건설 전북 남원시 사매면 월평리 춘향로 807

7 금강도시환경(주) 경기도 이천시 모가면 공원로218번길 135-49

8 (주)삼우리콘산업 경남 함안군 칠원면 무기리 497

9 대림공영(주) 대전 중구 단재로 378-47

10 (주)영흥산업환경 충남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학수소사길 142-42

11 (주)보령환경산업 충남 보령시 남포면 양항리 833-22

12 (유)전일환경 전북 전주시 완산구 춘향로 5231-7

13 (주)해림환경개발 경북 경산시 남천면 남성현로 894

14 미성환경(합자) 강원도 고성군 간성읍 탑동길 167

15 자원개발(주) 경남 사천시 곤양면 경충로 1607

16 우진환경개발(주) 충북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의암로 298

17 천지환경(주) 전남 함평군 함평읍 함영로 1685-15

18 (주)우주환경산업 강원도 고성군 토성면 아야진리 589-1번지

19 삼원환경산업(주) 충남 보령시 남포면 양항리 706번지

20 국보환경(주) 대전 동구 산내로450번길 13

268 ❙ 포 장 공

포 장 공 ❙ 269

포장공

270 ❙ 포 장 공

포 장 공 ❙ 271

포장공

별첨 3 품질기준 항목별 정의 및 시험방법

□ 변형강도 (DS : Deformation Strength)

o 정의

변형강도 시험에 의하여 얻어지는 아스팔트 혼합물의 특성을 말

하며, 공시체가 파괴되기까지 나타낸 최대 하중(P)과 이때의 수직

변형량(y)으로 구하는 강도

o 시험 개요

- 개 요 도

변형강도 시험 변형강도 시험 후 공시체

- 아스팔트 혼합물의 고온변형 저항성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으로

배합설계 등에서 시험하며, 시험 방법은 지름 100㎜, 높이 약

62.5㎜의 원주형 공시체를 60℃에서 30분간 수침 후 꺼내어 평면

중앙에 하중봉을 통해 수직 정하중을 가하여 변형강도를 구함

- 초기 접촉면이 압축에 의하여 관입하기 시작해서 서서히 축 방향

전단과 수직침하가 같이 일어나다가 최종적으로 쪼개지듯 파괴됨

o 시험방법

2014 국토교통부 아스팔트 혼합물 생산 및 시공지침 부속서 Ⅲ-5

272 ❙ 포 장 공

□ 마샬안정도, 흐름값

o 정의

- 안정도 : 아스팔트 혼합물에 어떤 외력을 가했을 때 일어나려고

하는 소성변형에 대한 저항 값

- 흐름값 : 아스팔트 혼합물에 어떤 외력을 가했을 때 최대 외력까지의

소성변형 값

o 시험 개요

- 마샬 시험기를 사용하여, 측면에 하중을 작용시킨 역청 포장용

혼합물의 원주형 공시체의 소성 흐름에 대한 저항력 측정 방법

으로 아스팔트 또는 타르와 최대치수 25mm의 골재를 혼합한

가열 혼합물에 적용함

- 개 요 도

마샬안정도 시험 전 마샬안정도 시험 후

o 시험방법

KS F 2337 마샬시험기를 사용한 역청 혼합물이 소성 흐름에 대한

저항력 시험방법

포 장 공 ❙ 273

포장공

□ 공극률, 포화도, 간극률

o 정의

- 공극률 : 다져진 아스팔트 혼합물의 용적 중 공극이 차지하는

용적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

- 포화도 : 다져진 아스팔트 혼합물의 골재 간극 중 아스팔트가

차지하는 용적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

- 간극률 : 다짐된 아스팔트 혼합물 내의 아스팔트와 공기가 차

지하고 있는 공간(VMA)

o 시험 개요

- 삼상구조도 및 산출공식

․ 공극률   이론최대밀도

겉보기밀도  × 

․ 포화도  아스팔트의용적 공극의용적

아스팔트의용적  × 

․ 간극률  공시체전체용적

공극의용적 아스팔트용적  × 

o 시험방법

KS F 2364 다져진 역청 혼합물의 공극률 시험 방법

274 ❙ 포 장 공

□ 인장강도비

o 정의

아스팔트 공시체(공극률 약 7%)의 건조상태에서 간접인장강도 값과

수분 포화 후 60℃의 온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의 간접인장

강도 값의 비이며, 인장강도비는 아스팔트 혼합물의 수분 저항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함

o 시험 개요

- 무처리 공시체와 수분처리 공시체를 25±0.5℃의 항온수조에서

꺼내 KS F 2382에 따라 간접인장강도 시험을 수행함

- 공시체를 지그에 올려놓고 수평과 중심을 맞춘 후 50mm/min의

재하속도로 수직파괴가 발생할 때까지 하중을 가한 후 최대

하중을 기록함

- 개 요 도

간접인장강도   



․P : 최대하중강도(N)

․t : 공시체 두께(mm)

․D : 공시체 지름(mm)

인장강도비   



․S1:건조공시체의 인장강도 평균(N/㎟)

․S2:수분 처리 공시체의 인장강도 평균(N/㎟)

간접인장강도 시험 인장강도비(TSR) 계산

o 시험방법

KS F 2398 아스팔트 혼합물의 수분저항성 시험 방법

포 장 공 ❙ 275

포장공

□ 동적안정도(Dynamic Stability)

o 정의

아스팔트 혼합물을 롤러 다짐한 가로와 세로가 30cm인 공시체에

시험 차륜하중을 분당 42회의 속도로 가하여 공시체의 표면으로부터

1mm 변형하는데 소요되는 시험차륜의 통과 횟수(cycle/mm)로서

구함. 아스팔트 혼합물의 소성변형에 대한 저항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며, 동적안정도 값이 높을 수록 소성변형 저항성이 높음

o 시험 개요

- 내유동성이 요구되는 도로 포장용 아스팔트 혼합물의 배합 설계

및 품질관리 시 우수한 혼합물을 선정하기 위한 시험으로 적용됨

- 아스팔트 혼합물 표면으로부터 1mm 침하되는데 소요되는 시험

차륜 통과 횟수로 나타낸 것

- 개 요 도

시험용 공시체 제작 동적 안정도(휠 트래킹 시험) 시험

- 동적안정도    ×  

  

×

․d1:t1 (일반적으로 45분)에서의 변형량(mm)

․d2:t2 (일반적으로 60분)에서의 변형량(mm)

․C :크랭크에 의한 변속 구동형 시험기를 사용한 경우의 보정 계수 = 1.0

o 시험방법

KS F 2374 아스팔트 혼합물의 휠 트랙킹 시험 방법

276 ❙ 포 장 공

□ 간접인장강도, 터프니스

o 정의

- 간접인장강도 : 혼합물의 균열저항성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

으로, 원주형 공시체의 수직한 직경면 방향으로

압축하중 재하 시 발생되는 인장응력 측정값

- 터프니스 : 간접인장강도 시험시 파괴시까지의 하중-변위곡선

하부 면적으로 정의되며, 혼합물의 균열저항성을

평가하는데 대표적인 측정값

o 시험 개요

- 하중은 50mm/min의 속도로 재하하되, 최대 하중에 도달되어

하중이 감소될 때까지 측정

- 개 요 도

공시체 거치 상태 간접인장강도 시험

- 간접인장강도   



․P : 최대하중강도(N)

․t : 공시체 두께(mm)

․D : 공시체 지름(mm)

o 시험방법

KS F 2382 아스팔트 혼합물의 간접인장강도 시험방법

포 장 공 ❙ 277

포장공

□ 추출후 침입도

o 정의

침입도 시험은 아스팔트의 농도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경험적인

시험임. 점도가 아스팔트의 농도를 나타내는데 가장 좋은 방법 이

지만 25℃에서는 아스팔트가 단단해져 점도를 측정하기 불가능하

기 때문에 경험적 물성인 침입도를 사용함

o 시험 개요

- 항온 수욕조에서 일정 온도로 유지된 시료에 규정된 침이 일정

시간 내에 진입하는 길이를 0.1mm 단위로 측정

- 개 요 도

o 시험방법

KS F 2381 앱슨 방법에 의한 아스팔트 회수 시험방법

KS M 2252 역청 재료의 침입도 시험 방법

278 ❙ 포 장 공

별첨 4 기대효과 세부 산출 내역

□ 경제적 효과 산출 내역

노선명

전체

아스콘량(톤)

(①)

재활용

아스콘량(톤)

(②=①×40%)

공사비(백만원)

가열형 적용

(③)

상온형 적용

(④)

절감액

(⑤=③-④)

계 1,491,297 596,519 28,078 21,176 6,901

세종~포천 508,940 203,576 9,582 7,227 2,355

새만금~전주 693,028 277,211 13,048 9,841 3,207

김포~파주 38,196 15,278 719 542 177

양평~이천 251,133 100,453 4,728 3,566 1,162

□ 환경적 효과 산출 내역

o 이산화탄소 발생량 저감

- 가열형 재활용 아스콘 설계 시 : 13,898,893kgCO2 발생

(596,519톤 × 23.3kgCO2/ton)

- 상온형 재활용 아스콘 설계 시 : 0kgCO2 발생

o 소나무(중부지방 20년령) 그루수 기준 절감량

구분 가열형 재활용 상온형 재활용

소나무 1ha CO₂흡수량(kg/년) 5,830

소나무 그루(그루/ha) 1,648

소나무 그루당 CO₂흡수량(kg/그루) 3.538

새만금~전주 등 4개노선 CO₂배출량(kg) 13,898,893 0

연간 CO₂발생량 환산 소나무 그루수 3,928,460 0

절감 그루수  3,928,460

o 탄소배출권 : 13,899톤 × 23,000원/톤 = 319,677,000원

포 장 공 ❙ 279

포장공

별첨 5 설계 적용 흐름도

설계시작

현장조사

품질기준 만족

수급여건 검토

의무사용량 만족

설계완료

운반거리

생산 물량

경제성

국토부, 우리공사

품질기준 만족제품

우회도로, 부체도로(경제성

확보), 국도 등 이설도로,

본선 기층

Yes

Yes

No

No

성과품 심의 시 설계심의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9131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1919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6448
181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5-3_간이 진출입시설 및 지주보호시설 단부 노출 구간 개선방안 효선 2025.03.17 91
181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5-4_주택사업자 방음시설 화재 안전 강화 대책 file 효선 2025.03.17 57
181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6-1_IoT 통신망 기반 비상회차시설 제어시스템 구축방안 file 효선 2025.03.17 38
181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6-2_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법정보호 동·식물 보전방안 개선 file 효선 2025.03.17 32
181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Ⅰ_2023년도 고속도로 설계실무지침 (요약본) file 효선 2025.03.17 104
181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Ⅱ_실무지침 수록 목록 (1998년 통합본~2023년) file 효선 2025.03.17 182
180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00_표지 및 목차 file 효선 2025.01.17 400
180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1_안전활동 및 현장 직업특성을 반영한 공사기간 산정 세부기준 개선 file 효선 2025.01.17 167
180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2_설계단계 건설엔지니어링 업무 안전관련 법령 의무사항 이행방안 file 효선 2025.01.17 154
180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3_작업자 안전 확보를 위한 가시설물 적정 비용 반영 검토 file 효선 2025.01.17 134
180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4_안전비용의 적정 집행을 위한 「현장상주 안전보조원」설계적용 검토 file 효선 2025.01.17 178
180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5_설계단계 중장기 탄소저감 추진방안 file 효선 2025.01.16 152
180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6_출입시설구간 도로구역결정 방안 검토 file 효선 2025.01.16 138
180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7_시공 및 유지관리를 고려한 설계단계별 기초현황 관리프로세스 구축 file 효선 2025.01.16 149
180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8_특정공법 설계 및 사후 평가 개선 file 효선 2025.01.16 228
180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9_BIM설계성과의 체계적관리 및 활용성증대를 위한「목적물기반설계내역서」작성기준 file 효선 2025.01.16 171
179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10_BIM 설계도 작성 개선 및 활용 방안 file 효선 2025.01.16 178
179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11_고속도로 신설 및 확장구간 MMS 표준자료 구축체계 수립 file 효선 2025.01.16 158
179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12_레미콘 현장 배치플랜트(BP) 안전관리 및 공사비 현실화 file 효선 2025.01.16 194
179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13_「이행보증보험제도」 도입을 통한 주택사업자 소음대책 규제 혁신 방안 file 효선 2025.01.16 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