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포 장 공 ❙ 233

포장공

52

포 장 공 터널구간 노면요철포장 및 차선도색 개선방안 검토 건설처-1619

(2017.04.05)

1 추 진 배 경

◦터널내 좌측 길어깨 공동구와 요철포장 중첩방지 및 우측 길어깨는

유지 관리·긴급 차량 주행성 확보를 위해 요철포장 위에 차선도색 시행 중

* 중분대측 측대 폭 : 0.25m(토공부 0.5m), 길어깨 폭 : 2.5m(토공부 3.0m)

◦건설 시에는 요철포장 오목부에 레이턴스 등이 쌓여 차선도색이 탈리되고

유지관리 시에는 차선위에 유해물질이 쌓여 휘도가 저하되어 이를 개선코자 함

▣ 노면 요철포장

졸음운전 또는 운전자 부주의 등으로 인해 차량이 차로를 이탈 할

경우 소음 및 진동을 통해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켜 차로로 복귀

2 추 진 경 위

시 기 내 용 비 고

2003. 4

◦차로이탈인식시설(Rumble Strips) 적용기준 검토

- 측대 외측 길어깨 포장부에 설치

- 규격 : 폭 400mm, 너비 180mm, 깊이 9~15mm

설계도

10201

-30190

2006. 8

◦노면요철포장(Rumble Strips) 설치 규격 개선

- 절삭형 최대 홈깊이 : 15mm→13mm

- 차선 이격거리 : 콘크리트→600mm, 아스콘→200mm

교통처

-2976

2008. 1

◦터널 안전시설 설치기준 검토

- 우측 길어깨 요철포장 설치(차선도색과 200mm 이격)

- 좌측 길어깨 돌출차선 설치

설계처

-250

2008. 8

◦노면 요철포장 개선방안 검토

- 차선 이격거리 : 콘크리트(600→100mm), 아스콘(200→100mm)

- 폭 : 400mm→250mm, 너비 : 180mm→100mm

설계처

-2204

2014. 6

◦노면 요철포장 설치기준 개선 검토

- 전구간 중분대 및 길어깨측 설치(터널포함)

- (터널구간) 노면요철포장과 차선 전폭 중첩

설계처

-1617

2016. 7

◦노면 요철포장 개선방안 검토

- 깊이 : 9~13mm →10~13mm

설계처

-1978

234 ❙ 포 장 공

3 현황 및 문제점

1. 現설계현황

◦설치 개념도

토 공 부 터 널 부

중앙분리대 길어깨 좌측 길어깨 우측 길어깨

차선도색과 요철포장 100mm 이격 요철포장과 차선도색 중첩 설치

※ 터널 좌측 길어깨부 요철포장과 차속도색 중첩 사유

- 토공부와 같이 100mm 이격 시 공동구 위에 요철포장 설치됨

◦노면요철 설치방법

아스팔트 콘크리트(전압식) 시멘트 콘크리트(전압식)

※ 건설중인 노선 중 터널 포장 미시공 현황 [별첨 #1]

◦12개노선 173km(편도차로)

- 콘크리트 포장 : 171.7km, 아스팔트 포장 : 1.3km

포 장 공 ❙ 235

포장공

2. 문제점

◦건설공사 時

- 오목부에 콘크리트 포장 양생 시 발생하는 레이턴스가 경화

되어 콘크리트 표면에 부착

- 터널내 특성상 오목부에 먼지, 돌가루 등 이물질 부착

- 차선도색 시 레이턴스와 이물질이 완벽하게 제거되지 않을 경우

도색 시 차선도색 부분 탈리 발생

오목부 유해물질 오목부 차선도색 탈리

◦유지관리 時

- 오목부에 먼지, 매연, 타이어 가루 등 이물질 부착

- 이물질로 인한 차 차선 휘도 저하

- 재도색 시 이물질 제거가 완벽하지 않으면 도색 부분 탈리 발생

오목부 이물질 부착 휘도저하

갓길선

구분선

공동구

오목부 휘도저하 갓길선이 구분선에 비해 휘도저하

4 개선방안 검토

1. 터널구간 노면 요철포장 및 차선도색 설치방법 검토

◦ 검토내용

- 좌측 길어깨 : 요철포장 위치변경과 돌출차선 비교 검토

- 우측 길어깨 : 요철포장 위치 변경 검토

236 ❙ 포 장 공

◦좌측 길어깨 검토

구분 현 설 계 돌출차선

노면요철포장

위치변경(안)

300

300

<TYPE-A>

300

300

<TYPE-B>

시공

방법

- 요철포장 : 전압식

- 차선도색 : 일반형

차선도색 차선도색

- 요철포장 : 절삭식

- 차선도색 : 일반형

소음

변화치

18.1dB 10.7dB 9.8dB 18.1dB

단가

(백만원

/km)

2.2

7.3

(증 5.1)

8.2

(증6.0)

6.1

(증 3.9)

장단점

- 인지반응 거리 다소 양호

- 진동·소음 양호

- 경제성 양호

- 시인성 불량(유지관리)

- 인지반응 거리 다소 양호

- 시인성 양호

- 진동·소음 다소 불리

- 경제성 불리

- 진동·소음 양호

- 시인성 양호

- 포장과 공동구에 요철

포장 설치로 접속부 파손

- 인지반응 거리 짧음

검토

내용

- 현 설계는 주행 시 차선 시인성이 불량하고 유지관리 곤란

-

- 돌출차선(TYPE-A)의 소음변화치(10.7dB)는 기준치*(4dB) 이상으로

운전자가 차선이탈 인지 가능함

* 차로이탈 운전자가 인지 가능한 소음 변화치 : 4dB 이상 시

· Texas Transportation Institute(2005. 10)

- 돌출차선을 설치하여 안전성 유지 및 차선 시인성 향상코자 함

[제설작업(리무빙) 시행하지 않아 돌출차선 미 파손]

※ 주행속도 및 침범각에 따른 인지반응 거리[별첨 #2]

포 장 공 ❙ 237

포장공

※ 주행시험 결과 [별첨 #3]

- 일시 : ‘17. 3. 24(금) - 장소 : 여주 시험도로(중부내륙고속도로)

구 분 포장

돌출차선

요철포장

TYPE-A TYPE-B

측정 소음(차량내부) 57.0dB 67.7dB 66.8dB 75.1dB

평균 변화치 - 10.7dB 9.8dB 18.1dB

◦우측 길어깨 검토

구분 현설계 노면요철포장 위치변경(안)

단면도

평면도

장단점

- 진동·소음 양호

- 경제성 양호

- 시인성 불량(유지관리)

- 진동·소음 양호

- 경제성 양호

- 시인성 양호(유지관리)

검 토

내 용

- 현 설계는 주행 시 차선 시인성이 불량하고 유지관리 곤란

- 우측 길어깨 폭은 2.5m로 요철포장 위치 변경이 긴급차량 운행에

미치는 영향은 작음(주행 속도 및 운전 능력에 따라 차이 발생)

- 요철포장 위치를 변경하여 안전성 유지 및 차선 시인성 향상

코자 함

※ 긴급차량 주행여건 검토[별첨 #4]

2. 검토결론

◦좌측 길어깨 : 돌출차선(TYPE-A) 설치 (요철포장 미시행)

◦우측 길어깨 : 차선도색과 노면 요철포장 이격(10cm) 설치

238 ❙ 포 장 공

5 적 용 방 안

o 설계 중인 노선 : 본 방침 적용

o 건설 중인 노선 : 공사시행부서에서 적용여부 판단

포 장 공 ❙ 239

포장공

별첨#2 주행속도 및 침범각에 따른 인지반응거리(좌측 길어깨)

침범각

(°)

설계속도

(Km/h)

횡방향 인지

반응거리(m)

차로이탈 인지후 복귀 공간

현설계

(0.975m)

돌출차선

(0.975m)

위치변경(안)

(0.825m)

0.5

80 0.485 O O O

100 0.606 O O O

110 0.667 O O O

120 0.727 O O O

1.0

80 0.970 O O X

100 1.212 X X X

110 1.333 X X X

120 1.454 X X X

1.5

80 1.454 X X X

100 1.818 X X X

110 2.000 X X X

120 2.181 X X X

X : 사고발생, O : 차로복귀 가능

※ 횡방향 인지반응거리

-   · ·sin  

·  ·sin

D : 횡방향 인지반응거리(m) t : 2.5초(인지반응시간+핸들조작시간)

v, V : 주행속도(m/sec, km/h) θ : 침입각( °)

□ 좌측 길어깨는 침범각이 0.5°일 경우에만 차선이탈 인지 후

주행차로에 복귀 가능(설계속도 100km/h 이상)

240 ❙ 포 장 공

별첨#3 주행시험 결과

□ 개 요

o 일 시 : 2017. 3. 24(금)

o 장 소 : 여주 시험도로(중부내륙고속도로 257.56k ~ 265.26k)

o 시험목적 : 돌출차선 타입별 소음에 대한 성능검증

돌출차선 설치 소음측정장비(실내) 주행시험 전경

□ 검토(안)별 시공현황

구 분

돌출차선

노면요철포장

TYPE-A TYPE-B

높 이

(깊 이) 6mm 8mm 6mm 10mm

단면도

시 공

현 황

□ 형식별 소음도 측정결과

구 분 측정속도 : 80km/h 측정속도 : 100km/h 평 균

아스팔트포장 54.2dB 59.9dB 57.0dB

돌출

차선

TYPE-A (6mm) 67.9dB(증 13.7dB) 67.5dB(증 7.6dB) 67.7dB(증 10.7dB)

TYPE-A (8mm) 67.0dB(증 12.8dB) 67.6dB(증 7.7dB) 66.8dB(증 9.8dB)

TYPE-B (6mm) 66.0dB(증 11.8dB) 67.7dB(증 7.8dB) 66.8dB(증 9.8dB)

노면요철포장 71.1dB(증 16.9dB) 79.2dB(증 19.3dB) 87.1dB(증 18.1dB)

□ 돌출차선 소음도는 유사하나 TYPE-A(6mm) 가장 우수하며,

소음변화치는 10.7dB로 기준치(4dB) 이상임

* 차로이탈 운전자가 인지 가능한 소음 변화치 : 4dB 이상 시

· Texas Transportation Institute(2005. 10)

포 장 공 ❙ 241

포장공

별첨#4 긴급차량 주행여건 검토

□ 검토대상 차량 규격

구 분 대상차량 타이어간 거리 (윤거) 차량폭 비고

순찰차 렉스톤 1,570mm 1,890mm

공구차 마이티 (앞) 1,680mm, (뒤) 1,495mm 2,070mm

□ 주행여건 검토

구 분 현설계 개선(안) 비고

순찰차

공구차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8798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1589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6222
163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1-7_설계 시공 원가불일치 해소방안 file 효선 2024.12.30 720
163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1-8_레미콘 및 아스콘 지급자재 품질관리역량 강화방안 file 효선 2024.12.30 787
163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2-1_2020년 스마트톨링 전면도입에 따른 축중차로 개량 설계기준 검토 file 효선 2024.12.27 884
163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3-1_한반도 기후변화에 대비한 배수설계 기준 강화 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12.27 1005
163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4-1_교량 매입말뚝 공법 설계기준 개선 file 효선 2024.12.27 860
163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4-2_철근기호 설계도면 표기방안 개선 file 효선 2024.12.27 249
162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4-3_교대 벽체 설계 합리화를 위한 건조수축 및 온도철근 설계 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12.27 809
162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4-4_파형강판 구조물 내공변위 관리 개선방안 file 효선 2024.12.27 758
162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4-5_교량하부 충돌사고 예방 대책 file 효선 2024.12.27 771
162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4-6_교량 고정식 점검시설 확충방안 file 효선 2024.12.27 917
162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4-7_동재하시험 시행방법 개선 검토 file 효선 2024.12.27 808
162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4-8_교량 미관 개선 및 내구성 증진을 위한 교면 배수구 설치간격 개선 file 효선 2024.12.27 970
162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4-9_사장교 신설시 유지관리 접근성 향상방안 file 효선 2024.12.27 795
162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4-10_교대 협착 예방 및 관리대책 file 효선 2024.12.27 784
162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4-11_한계상태설계법 도입에 따른 휨철근량 산정 방안 검토 효선 2024.12.27 754
162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4-12_점검여건을 고려한 교량하부 가드휀스 설치 개선 file 효선 2024.12.26 239
161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4-13_하이브리드 강합성 거더 적용성 검토 file 효선 2024.12.26 304
161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5-1_콘크리트포장 줄눈 손상 방지대책 file 효선 2024.12.26 465
»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5-2_터널구간 노면요철포장 및 차선도색 개선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12.26 981
161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5-3_포장 취약부 내구성 향상을 위한 길어깨 포장 개선방안 검토 효선 2024.12.26 8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