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4-10_교대 협착 예방 및 관리대책
2024.12.27 11:36
구조물공 ❙ 195
구조물공
410
구조물공 교대 협착 예방 및 관리대책 구조물처-252
3
1 추 진 배 경
□ 포장팽창 및 성토체 변형 등으로 교량 손상이 발생 되고 있어,
이에 대한 예방 및 유지관리대책을 마련하고자 함
성토체 변형 포장 팽창
신축이음 협착 바닥판 손상 교대 손상 받침 손상
2 추 진 경 위
□ 교대 수평변위 발생교량 관리방안 수립 (2012, 구조물처)
o 성토체 변형고려 설계, 교대변위 초기치 관리 등
□ 교대수평변위 원인과 대책방안 연구 (2013, 도교원)
o 교대 수평변위 산정시 성토체 크리프 변형 적용방안 제시 등
(프리로딩에 따른 크리프 계수 제시 : 無7~12, 有0.5~2)
□ 성토부 교대 수평변위 최소화 방안 수립 (2014, 설계처)
o 프리로딩을 시행하는 조건으로 크리프 계수(0.5~2) 제시
□ 콘크리트 포장팽창에 따른 교대밀림 예방대책(2016, 도교원)
o 콘크리트 포장 팽창에 따른 줄눈 추가 설치(50mm)
196 ❙ 구조물공
3 현황 및 문제점
□ 교대 협착 발생 현황 : 380개 교량 (전체 교량의 4%)
구 분 계
발생원인
포장팽창 성토체변형 복합작용
교량수(비율) 380 131(34%) 121(32%) 128(34%)
교대수(비율) 579 180(31%) 185(32%) 214(37%)
* 전체교량(9,244)의 4%, 협착이 발생하지 않는 라멘교 등 제외(6,560)시 5.8%
□ 원인분석 및 문제점
o 이상 고온으로 콘크리트포장 팽창
- ‘11년 이후 여름철(6~8월) 평균기온 0.8℃ 상승, 폭염일수 4.4일 증가
연 도 ‘11 ‘12 ‘13 ‘14 ‘15 ‘16 ‘17 최근평균
(‘11~’17)
평년값
(‘81~’10)
차이
평균기온(℃) 24.1 24.7 25.4 23.6 23.7 24.8 24.5 24.4 23.6 +0.8
폭염일수(일) 14 15 18 6 10 22 14 14.2 9.8 +4.4
* 자료출처 : 기상청 / 폭염일수 : 일최고기온이 33℃ 이상
o 알칼리 골재반응에 의한 콘크리트 포장 팽창
▸ 알칼리 골재반응(Alkali-Aggregate Reaction)
시멘트 중의 알칼리 성분과 골재내의 반응성광물이 수분과 접촉하여 팽창
- 2002년 서해안선 최초 발생, 2010년 전구간 조사후 보수방안 수립
- 최근 포장 시공시 플라이애시 배합등 저감방안 적용(2011년 이후)
- 알칼리 골재반응 구간 : 10개 노선, 348km (해당구간 교량 : 186개교)
- 포장 팽창으로 콘크리트포장 손상 뿐만 아니라 구조물 손상 유발
* ASTM C 1293시험에서 팽창량이 0.04%/년 이상이면 알칼리골재반응으로 판정
* 400m 콘크리트 포장의 경우 16cm/년(=400m×0.04%/년) 팽창 예상
구조물공 ❙ 197
구조물공
o 설계시 성토체의 크리프 변위 적용 미흡
▸ 크리프 : 추가적인 하중의 증감
없이 장기간에 걸쳐 변위(변형)가
증가되는 현상
▸ 크리프계수
= 크리프 변위량/탄성 변위량
시간
변위
탄성변위
크리프변위
- 성토체 크리프 변위가 탄성변위의 7~12배 발생(2013, 연구보고서)
성토고 탄성변위(mm) 크리프변위(mm,1년) 크리프 계수
15m 6.6 43.56 6.6
25m 10.54 81.11 7.7
35m 11.15 136.73 12.3
- 성토체변위 최소화를 위해 프리로딩을 설계에 적용(2014, 설계처) 하였으나,
설계도서에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지 않아 건설중 설계 도서 이해
부족, 현장여건 등으로 프리로딩을 미실시할 경우 성토체 과다변형
▸ 프리로딩 설계 적용 내용
- (기존) 교대하부 성토→교대시공→배면 성토 및 뒷채움
- (개선) 노체까지 성토(3개월프리로딩)→터파기 및 교대시공→뒷채움
노체 성토(프리로딩) 터파기 및 교대시공 뒷채움, 포장시공
o 교대 협착 진행여부 이력관리 미흡으로 효율적 대응 애로
- 공용중인 교대 협착으로 바닥판․거더 절단사례, 공간협소로 유지관리곤란
- 점검시 유간을 측정하여 기록 관리를 하고 있으나, 측정값이 최소․최대
신축량이라고 할 수는 없음 (매일 유간조사는 현실적으로 불가능)
- 연도별 최소․최대 신축량 변동값이 협착 분석의 중요 자료이나 확인 곤란
198 ❙ 구조물공
4 개 선 방 안
□ 공용중 교대 협착 예방 및 모니터링 강화
o 포장팽창에 의한 협착 교량 혹서기 이전 팽창줄눈 설치(50mm)
- 2018년 상반기 설치 대상 : 138개교(14억원, 사업계획반영)
※ 2017년 설치 완료 : 121개교(도로보수비 활용)
o 교대협착 발생여부 정기적 모니터링 실시
- 정밀점검 및 진단시 협착여부 조사 및 유간 측정값 기록관리
- 협착이 예상되는 경우 팽창줄눈 설치(50mm)
- 협착으로 교대, 바닥판, 거더 등 손상 발생시 적정 보강안 검토후 신속보강
□ 건설중 교량-포장연결부 팽창줄눈 폭원확대(20 → 50mm)
접속 및 완충슬래브
팽창줄눈확대
(20mm→50mm)
□ 성토체변위 예방을 위한 크리프계수 설계적용방법 구체화
o 성토체 프리로딩 공법 설계서에 구체적으로 명시
- 교대 성토부 프리로딩 시공순서도 추가 및 내용 상세기재
- 신축이음, 거더, 받침 유간 산정시 크리프변위를 포함하여 계산
o 현장여건상 불가피하게 프리로딩 공법 미적용시 크리프 변위량을
고려한 대책공법 필히 검토후 적용
※ 공법 예시 : EPS, 앵커보강 또는 크리프 변위량을 고려한 유간확보 등
성토높이 프리로딩 미실시할 경우 크리프계수
10m 이상 15m미만 7
15m 이상 25m미만 8
25m 이상 12
* 근거 : 교대수평변위 원인과 대책방안 연구 (2013, 도교원)
구조물공 ❙ 199
구조물공
□ 거더 협착 예방을 위한 추가 유간 확보방안 검토
o 교대 변형으로 인한 거더 협착예방 및 유지관리 공간확보를 위해
흉벽 변단면(Block Out) 적용방안 검토
흉벽 적정두께 확보시 흉벽 적정두께 부족시
o 사각(Skew)이 있는 교대 흉벽과 거더간의 최소이격부의 유간확보
- 교대 시공전 적정유간 확보여부 검토, 유간 부족시 흉벽 위치 조정
거더
흉벽
흉벽 거더
최소이격부유간확보
최소 이격부 유간부족 흉벽 벽체 위치 조정 검토
□ 간편 신축량 측정장치 설치하여 교대 수평변위 모니터링
설치 사례 신축량 측정장치 설명
o 설치 대상 : 건설 및 공용중인 교량
o 설치 위치 : 교대별 좌우 최외측 거더에 1개소씩 총 2개소 설치
o 설치 효과 : 교대 수평변위 효율적 이력관리 및 정확한 원인분석가능
측정 신축량을 활용하여 최적의 신축이음 규격결정 가능
200 ❙ 구조물공
5 적 용 방 안
□ 설계 및 건설중
o 교량 인접부 포장 팽창줄눈 폭원 확대(20mm → 50mm)
o 성토체 프리로딩 공법 설계도서에 구체적으로 명시
o 프리로딩 공법 미적용시 크리프변위량을 고려한 대책공법 제시
o 거더 협착 예방을 위한 추가 유간 확보방안 검토
o 간편 신축량 측정장치 설치 및 모니터링을 통해 최적 신축이음 규격 결정
□ 공용중
o 협착 교대 혹서기 이전 팽창줄눈 설치(50mm)
o 간편 신축량 측정장치 설치(협착 진행중인 교량 우선 설치)
o 교대 협착 모니터링 강화(점검․진단시 유간 측정, 이력관리)
o 협착 예상 또는 구조물 손상시 적정 보강안 검토 및 사후조치
구조물공 ❙ 201
구조물공
참고 간편 신축량 측정장치 사용방법
구 분 측정 게이지 상태 사용방법
설치단계
지시바 “0” 세팅
- 설치시 신축이음장치, 바닥판,
거더 유간 측정
* 신축이음장치 유간 : ⓐ /
바닥판 유간 : ⓑ / 거더 유간 : ⓒ
※ 게이지 하단에 유간 측정값 부착
최대 수축
(겨울)단계 수축량에 따라 좌측 지시바
“20mm(㉮)” 이동됨
【동절기 수축량】
- 신축이음장치 : ⓐ+㉮
- 바닥판 : ⓑ+㉮
- 거더 : ⓒ+㉮
【하절기 팽창량】
- 신축이음장치 : ⓐ+㉯
- 바닥판 : ⓑ+㉯
- 거더 : ⓒ+㉯
※ 교대 좌우측에 설치된 게이지의
측정값을 평균
※ 1년 경과시점에 측정값 기록후
초기치 재설정
- 초기치가 “0”세팅이 안될 경우
해당지시값을 기재하여 0점 보정
※ 2년 이상 모니터링후 유간결정
최대 팽창
(여름)단계 팽창량에 따라 우측 지시바
“20mm(㉯)” 이동됨
설치 후
1년 경과 최대 팽창, 수축량값을
년 중 동시 확인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