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4-9_사장교 신설시 유지관리 접근성 향상방안
2024.12.27 11:48
184 ❙ 구조물공
49
구조물공 사장교 신설시 유지관리 접근성 향상방안 구조물처-2366
(2017.10.18)
1 목 적
건설중인 사장교의 유지관리를 위한 접근시설 설계반영이 상이함에
따라 문제점 분석을 통해 개선하고자 함
2 우리 공사 사장교 현황
□ 서해대교 준공 이후 최근 4개 사장교 건설중
교량명 연장 주경간장 위치 설계년도 준공년도 전 경 비고
서해대교
(서해안선)
7,310m 470m
충남
당진
1993 2000 공용중
낙동대교
(부산외곽순환선)
1,440m 180m
경남
김해
2011
(대안입찰)
2017
(예정)
건설중
배방대교
(아산-천안선)
2,530m 190m
충남
아산
2016
(기술제안)
2022
(예정)
”
고덕대교
(세종-포천선)
1,725m 540m
서울
강동구
2016
(일괄입찰)
2022
(예정)
”
회암천교
(파주-양주․포천선)
1,276m 200m
경기도
양주시
2017년
(기술제안)
2023
(예정)
”
구조물공 ❙ 185
구조물공
3 사장교 주요 접근시설
시설명 용 도 사 진 비고
곤돌라
o 주탑 상단에 설치하여 주탑 외부 및
인근 케이블에 대한 점검․보수시 활용
(점검자 탑승, 자재 인양)
서해대교
배방대교
고덕대교
승강기
o 주탑 내부에 설치하여 사람, 자재
상․하 이동
전교량
사다리
(계단)
o 주탑 내부에 승강기와 별도로 설치
하여 상․하 이동
사다리
등받이울
발판
전교량
출입문 o 주탑 내부 진․출입용 전교량
점검구
o 주탑, 거더에 설치한 소규모 통로로
내․외부 이동
전교량
고정식
점검시설
o 주탑, 교각의 교량받침 등에 접근
배방대교
고덕대교
회암천교
이동식
점검대차
o 교량점검차 등으로 거더 하부에
접근 곤란시 거더 하부 접근용
서해대교
교면정차대
o 길어깨를 확폭하여 점검․보수 차량
정차
회암천교
박스 내부
점검시설
o PC박스 내부 높이가 4m를 넘는
경우 상부면 및 벽체 점검시 활용
낙동대교
배방대교
회암천교
186 ❙ 구조물공
4 문 제 점
□ 사장교 유지관리시설에 대한 방문 조사 및 설계 검토
o 방문 조사 : 공용중 3개교, 건설중 1개교 (‘17. 6 ~ 9)
* 공용중:서해대교, 목포대교(익산청), 대동화명대교(부산시), 건설중:낙동대교
o 설계 검토 : 낙동대교 등 건설중 4개교 (‘17. 8 ~ 9)
□ 사장교 유지관리시설 설치기준 부재로 교량별 접근여건 상이
o 일반적인 교량 점검시설에 대한 기준은 있으나, 사장교에 대한
구체적인 유지관리시설(점검․보수용) 설치기준은 부재
o 설계자, 설계심의 의견에 따라 사장교 유지관리시설 반영 상이
- 점검․보수시 이동 불편 및 접근 곤란
※ 낙동대교 준공전 유지관리여건 조사결과
[’17. 8, 구조물처, 초장대사업단, 지역본부]
․중앙분리대 사이에 있는 주탑에 접근로 없음
☞ 문형식 횡단시설(길어깨~중앙분리대) 설치 (검토중)
․주탑에 인양장비가 미설치되어, 추후 유지보수
작업시 크레인 설치로 인한 일방향 차단
☞크레인 작업시 교통소통 위한 중앙분리대 공간 활용(검토중)
주탑출입문
접근로없음
크레인설치시
일방향차단
[낙동대교 주탑]
□ 사장교 등 구조물 설계시 유지관리부서 의견 수렴 미흡
o 설계시 유지관리부서 의견수렴 절차를 설계처에서만 운영
- 건설처 등 타부서에서 구조물 설계시(대안입찰, 기술제안 등) 미적용
※ 실시설계 단계별 유지관리부서 참여절차
[유지관리를 고려한 실시설계 시행방안(설계처-1606, 2014.6.24)]
단계별 설계성과품 → 유지관리성 검토 → 의견 제시 → 검토 및 반영
(설계처) (유지관리부서) (유지관리부서) (설계처)
구조물공 ❙ 187
구조물공
5 개 선 방 안
□ 사장교 유지관리시설(점검․보수용) 설치기준 마련
o 개선방향
사장교에 대한 접근 용이성 및 접근시설의 안전성 확보
o 주요 점검․보수용 시설 반영
- (주탑) 곤돌라, 승강기, 사다리(계단), 출입문 등
․곤돌라 : 크레인 사용 곤란시 설치(높이제한, 정체 발생 등)
․승강기, 사다리(계단) : 주탑 내부 전구간 설치(추락방지용 난간 등 포함)
․출입문 : 길어깨 ~ 주탑간 이동 통로 확보
- (거더) 점검구, 이동식 점검대차, 정차대 등
․점검구 : Cell간 이동 및 주탑 이동에 제약 없도록 배치
․이동식 점검대차 : 교량점검차 등 사용 곤란시(접근 한계 등)
․정차대 : 슬라브 확폭 가능시
- (기타) CCTV, 전기시설(조명, 콘센트) 등
<별첨> 사장교 유지관리시설(점검 및 보수용) 설치기준(안)
□ 사장교 등 구조물 설계 완료전 유지관리부서 의견 수렴
o 구조물 설계 전부서(설계처, 건설처 등)로 의견수렴 절차 확대
단계별 설계성과품 → 유지관리성 검토 → 의견 제시 → 검토 및 반영
(설계 전부서) (유지관리부서) (유지관리부서) (설계 전부서)
188 ❙ 구조물공
6 향후 조치사항
□ 사장교 설계시
o 설치기준 반영 및 유지관리부서 의견 수렴
□ 건설중인 사장교
o 공정 및 여건에 따라 적용 가능한 부분 적용
첨부 : 사장교 유지관리시설(점검 및 보수용) 설치기준(안) 1부
구조물공 ❙ 189
구조물공
첨부
사장교 유지관리시설(점검 및 보수용) 설치기준
1. 주탑 상단부
□ 곤돌라
o 주탑, 케이블 점검․보수시 장비(크레인 등)의 접근성, 교통제한
등을 고려하여 반영
[곤돌라 반영 검토 절차]
주탑 점검 및 보수여건 조사
지면에 장비 설치시 주탑 상부 도달
교면에 곤돌라 미설치 가능 장비 설치시 전면차단,정체 발생 곤돌라 설치 No
Yes
No
Yes
Yes
No
교면에 장비 설치시 주탑 상부 도달
[서해대교]
<정체 : 서비스수준 F>
※ 국내 공용중 사장교 일부(51개교중 10개교)에 곤돌라 설치(기준 부재)
주경간장 계 ~199m 200~299m 300~399m 400~499m 500m ~ 비고
사장교 51 22 14 5 6 4
곤돌라 설치 10 1 5 4
※ 우리 공사 곤돌라 설치(반영) 현황 (설계가 : 약 6억원/대)
- 공용중 : (설치) 서해대교
- 건설중 : (반영) 배방대교, 고덕대교, (미반영) 낙동대교, 회암천교
※ 서해대교 곤돌라 활용 및 유지관리 실적
구 분 2015년 2016년 2017년 비고
활용일수 12일 21일 61일 연평균31일
활용내역
․케이블 화재
복구공사(12일)
․더미강선 제거(1일)
․정밀안전진단(20일)
․피뢰침 운반(1일)
․더미강선 교체(60일)
매년 활용
실적 상이
- 분기별 곤돌라 정기점검(6백만원/년), 로프 교체('17년, 3백만원)
* 곤돌라용량초과하는자재인양필요시곤돌라활용하여윈치(큰하중인양용) 설치
※ 중앙분리대사이주탑: 중앙분리대에크레인아웃트리거(폭8~12m) 설치일부공간확보검토
190 ❙ 구조물공
※ 크레인 : 메인붐에 보조붐 추가시 접근 높이 증가 가능
(크레인 보조붐 추가 연결시 최대길이 예 : 500톤- 126m, 300톤- 102m)
구분 주탑높이(m) 지표면(수면)~교면(m) 교면~주탑상단부(m) 주탑 위치
서해대교 182.3 66.3 116.0 해상
낙동대교 94.0 16.0 78.0 육상
고덕대교 167.0 44.7 122.3 수중
배방대교 116.5 36.5 80.0 수중
회암천교 105.1 25.1 80.0 육상
□ 피뢰침, 항공장애등 접근용 사다리
o 주탑 피뢰침, 항공장애등에 접근 곤란시 계단 또는 사다리 설치
[주탑 상단부에 접근 곤란] [항공장애등(좌) 및 피뢰침(우)]
□ 주탑 형상
o 경관 등을 고려한 주탑 설계시 점검․보수가 용이하도록 설계
2. 주탑 내부
□ 주탑 승강기
o 주탑 전구간(기초 상면 ~ 주탑 상단부) 운행되도록 설치하되,
전구간 설치가 곤란한 사유 있을시 단축 가능
※ 우리 공사의 사장교 주탑 승강기 설치(반영)현황
교량명
주탑 주탑 승강기
비 고
형상 주탑수 대수 설치 구간
서해대교 H형 2 4 기초 상면 ~ 상단 10m 아래
<서해대교>
낙동대교 I형 1 1 교면12m위~상단30m아래
배방대교 I형 1 1 교면 ~ 상단30m아래
고덕대교 I형 2 2 교면 ~ 상단부
회암천교 I형 1 1 교면 ~ 상단부
구조물공 ❙ 191
구조물공
□ 고정식 사다리(계단) 및 발판
o 주탑 내부 전구간을 추락위험 없이 점검․보수할 수 있도록
고정식 사다리(공간 여유시 계단) 및 발판 설치
- 고정식 사다리
․사 다 리 : 주탑 전구간, 엇갈리게 설치
․등받이울 : 사다리 높이 2.5m 이상 지점부터
․발 판 : 최대 높이 5m 이내,
케이블 정착구 마다(최소간격 2m,
필요시 일부 발판폭 축소 가능)
사다리
등받이울
발판
<고정식사다리>
- 개구부(승강기 통로, 발판 축소부) : 난간, 출입문 설치(추락방지)
※ 참조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장 통로
급경사
사다리
승강기
사다리
발판 추락위험
(난간없음)
[미흡사례: 주탑가로보의급경사계단] [미흡사례: 작업발판, 승강기옆개구부추락위험]
o 접근 쉽고, 비좁지 않도록 주탑 내부 공간 확보 및 시설(사다리,
계단, 승강기, 발판 등) 배치
□ 점검구
o 주탑 점검 및 보수시 이동이 쉽도록 점검구 배치
- 주탑 상단면 출입용 점검구
- 항공장애등 관리용 점검구 : 주탑 측면 접근 곤란시
- 주탑 코핑 내부 점검구 : 사다리(여유시 계단), 승강기(하부 설치시) 통과
점검구
[주탑 상단면 점검구] [I형 주탑 점검구(좌-교량받침 설치, 우-강결부]
192 ❙ 구조물공
3. 주탑 외부
□ 주탑 고정식 점검시설
o 보강거더와 강결된 주탑에 교량점검차 등이 접근 못하는 곳,
교량받침 있는 주탑에 고정식 점검시설 설치
- 이동식 점검대차 설치시 제외 가능
o 사장교 구간의 길어깨에서 고정식 점검시설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고정식 점검시설의 양방향에 출입계단 설치
□ 출입문
o 길어깨에서 주탑 출입문까지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주탑
출입문 위치 선정
- I형 주탑 : 교면에서 케이블 방향으로 주탑을 통과할 수 있도록
주탑의 시점 및 종점에 출입문 2개 설치(곤란시 1개)
o 우물통 기초 상단부 등 : 필요시 설치(전기방식시설 관리 등)
[I형주탑출입문설치사례] [부적정사례: 중앙분리대상단에출입문설계]
4. 보강거더 및 슬라브
□ 박스형 보강거더 내부 점검구
o 종방향(주행 방향), 횡방향(다수의 내부 칸(cell) 존재시)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충분한 점검구 배치(단부, 주두부 등)
[3개 cell 다이아프램의 점검구 예]
구조물공 ❙ 193
구조물공
□ 박스형 보강거더 상․하면 점검구
o 주탑 주변 교면(I형 주탑인 경우), 하부 점검시설로 접근 용이
하도록 점검구 배치(커버 및 시건장치 포함)
- 상부 : 우수유입 방지, 하부 : 주두부 설치시 미설치 가능
상부 점검구
보강
거더 주탑
보강
거더
상부 점검구
하부 점검구 하부 점검구
점검구
[상․하면 점검구 예] [주두부 점검구 예]
o 사장교 구간 길어깨에서 박스형 보강거더 내부까지 출입로를 1개소
이상 확보(주탑 또는 인근 교각)
□ 보강거더 하부 이동식 점검대차
o 교량점검차 등을 사용시 보강거더에 접근 곤란 여부, 본선 교통
혼잡도 및 하부도로 영향(교통소통, 안전) 등을 고려하여 설치
※ 교량점검차 점검가능 폭원 : 최대 20m~ 25m(장비별 상이)
※ 혼잡도 : 서비스수준 F
[보강거더 하부에 이동식 점검대차 설치 사례]
□ 교면 정차대
o 사장교 구간(주탑, 인근 교각)에 유지관리용 정차대를 설치하되,
구조적, 시공 여건상 곤란시 제외
[주탑에 정차대 설계 사례(연장 12m, 확폭 1m)]
194 ❙ 구조물공
□ F.C.M 내부 점검시설
o 박스 내부 형고가 4m 이상인 경우 기존 방침에 따라 설치
※ 참조 : 교량 점검시설 누락방지 방안(구조물처-1738, 2012. 8. 23)
5. 기 타
□ CCTV
o 케이블 관찰 등을 위하여 필요한 곳(주탑 등)에 설치
□ 전기시설
o 조명등, 콘센트(계측기 등 필요한 곳) 등 설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