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4-6_교량 고정식 점검시설 확충방안
2024.12.27 14:17
158 ❙ 구조물공
46
구조물공 교량 고정식 점검시설 확충방안 구조물처-196
8
1 목 적
접근 곤란교량의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점검시설 확충 방안
검토 및 점검시설 설치기준의 미비점*을 개선코자 함
* 2016년 「구조물 유지관리실태 성과감사」지적사항
2 현 황
□ 교량별 접근방법
(2017. 6 기준)
구 분 계 도보
점검시설
교량
점검차
고소
작업차 폴카메라 점검곤란
고정식 종방향,
이동식
교량수
9,016
(100%)
2,003
(22%)
2,713
(30%)
687
(7%)
995
(11%)
2,274
(25%)
344
(5%)
부재수
40,338
(100%)
11,674
(29%)
16,487
(41%)
83
(0%)
3,156
(8%)
2,534
(6%)
5,401
(13%)
1,003
(3%)
□ 점검곤란 교량현황
(단위: 개소)
구분
고소차 적용 곤란 사유
계 하천 진입곤란 하부점용 도로, 철도
계 344 111 119 17 97
굴절차
적용
곤란
사유
지장물간섭* 230 67 93 12 58
진출입로 26 10 7 2 7
형하공간부족 26 11 6 3 6
교통지정체 55 21 9 - 25
강풍 및 종단경사 7 2 4 - 1
* 지장물 간섭: 방음벽, 차폐시설, 가로등, 방풍벽 등
구조물공 ❙ 159
구조물공
3 현실태 및 문제점
□ 건설공사시 고정식 점검시설 미설치로 사각지대 발생
o 최근 10년간 준공노선의 점검시설 미설치율 : 5.6% [붙임1]
* 대전당진선(공주·부여, 09년준공) 100m이상 교량중 58%(53/91개교) 누락
o ‘13년 이후 적정 반영되는 추세 → ’14~‘16년 미설치율 0%
- 준공전 점검시설 적정성 사전점검 시행(준공 2년전, 6개월전)
* 관련근거 : 교량점검시설 누락방지방안(구조물처-1738, ‘12. 8)
□ 시설확충 및 장비운영을 위한 유지관리비용 지속투입
o 최근 5개년 점검시설 설치비용 : 133억원(연평균 27억원)
구 분 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교량수(개교) 100 0 2 37 33 28
금액(백만원) 13,333 0 3 3,197 5,536 4,597
- 향후 확충필요 : 281억원(316개교/905개소)
o 점검장비 운영비, 교통차단비 등 비용발생
* 장비임차비(굴절차 2백만원/일), 교통차단비(1차로차단 1.5백만원/일)
□ 설치기준 불합리로 점검여건 미흡 (‘16년 감사지적 사항)
o 현 설치기준 : 1열받침(3면통로), 2열받침(4면통로)
o 미폐합 단부에서 반대편 부재 점검곤란 및 위험성 상존
- 점검통로 미폐합(3면이하 통로) : 28%(4,045개교/14,517개소)
* 점검통로 미폐합 구간중 장비접근 곤란 : 47%(1,919개교/4,045개소)
2면 설치 3면 설치
160 ❙ 구조물공
4 확충 및 개선방안
□ 점검시설 확충계획
o 교량 손상패턴 및 점검장비 접근성을 고려하여 우선순위 선정
* 교량대표 손상패턴중 신축이음 관련 67% (도교연, ‘15년) [붙임2]
- 확충대상 : 316개교(905개 교대·교각)
순 위 대 상 교량 / 부재
소요예산
(억원)
연 도
계 316 / 905 281
1순위
∙장비접근 불가구간
∙신축이음부에 점검시설
미설치된 교량
118 / 343
193 ‘18~’19
85 / 277
2순위
∙장비접근 곤란구간
* 차단시 교통혼잡 및 안전사고
우려 구간 등
113 / 285 88 ‘20
※ ‘17년 확충대상 예산 기반영 (28개교/98개 부재, 46억원)
□ 설치기준 개선
o 1열받침 : 3면 통로 → 4면 통로 (2열받침 : 4면통로 현행유지)
당초(1열받침 3면통로) 개선(1열받침 4면통로)
o 설치기준 개선에 따른 시설보완 : 4,045개소(소요예산 414억) [붙임3]
☞ 점검시설 확충완료 후 연차적으로 사업계획 반영예정
※ 개선기준 적용시 공사비 : 증 10백만원/개소(12 × 2.5 코핑기준)
구조물공 ❙ 161
구조물공
5 향 후 계 획
□ 점검시설 설치기준 개선(4면통로) 적용
o (설계중) 개선기준 적용
o (공사중) ‘2018년 준공 노선부터 적용
* 단, ‘17년 준공예정인 부산외곽선은 현장여건 고려하여 반영
o (공용중) 점검시설 확충 및 기준개선 연차예산 반영
[붙 임]
1. 최근 준공노선 고정식 점검시설 반영현황
2. 고속도로 교량 대표 열화패턴
3. 설치기준 개선에 따른 시설보완
4. 기관별 확충대상 현황
162 ❙ 구조물공
준공노선 점검시설 미설치현황
□ 준공노선 교량현황
o 대 상 : 최근 10년 준공노선 3,315개 교량
o 연도별 현황
구 분 계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교량수
(A)
3,315 563 241 647 273 320 261 114 151 464 281
부재수 15,255 3,021 1,010 3,356 1,084 1,295 1,256 528 660 1,740 1,305
□ 점검시설 미설치 교량 현황
구 분 계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미설치교량수
(B)
184 27 10 90 15 9 30 3 0 0 0
미설치부재수 598 78 45 286 58 17 100 14 0 0 0
미설치율(%)
(B/A)
5.6 4.8 4.1 13.9 5.5 2.8 11.5 2.6 0 0 0
구조물공 ❙ 163
구조물공
고속도로 교량 대표 열화패턴
□ 고속도로 열화패턴 분석
o 교량 대표 열화패턴중 신축이음부와 연관 67%(8/12개)
부 재 열 화 패 턴(12개) 신축이음 연관여부
바닥판
- 단부 박리 및 박락
- 캔틸레버부 열화
○
△
주 형
- 강재도장 열화
- 거더단부 박리 및 박락
- 강재누수부 부식
-
○
○
교대 및 교각
- 교대열화
- 교각 코핑 및 기둥열화
○
○
신축이음장치 - 신축이음부 열화 ○
교량받침 - 받침부 열화 ○
교면포장 - 교면포장 열화 -
난 간 - 방호울타리 박리 및 박락 -
배수시설 - 배수시설 열화 -
※ 고속도로 교량 대표 열화패턴(도로교통연구원, 2015년)
붙임 2
164 ❙ 구조물공
개선기준 적용시 공사비 현황
□ 공용중인 구간
ㅇ 이동통로 미폐합 현황 : 4,045개소
구분
점검시설 이동통로 현황
계 4면 3면 2면 이하
계 14,519 (100%) 10,474 (72%) 3,288 (23%) 757 (5%)
- 보완설치 소요비용 : 414억
구분 계
1열받침 2열받침
1면추가설치 2면추가설치 1면추가설치 2면추가설치
부재(교량수) 4,045(916) 1,032(277) 454(122) 2,256(520) 303(76)
평균공사비
(백만원) 9.9 11.8 9.9 11.8
소요비용 41,402 10,193 5,355 22,282 3,574
※ 평균공사비(3개업체 견적평균)
(단위 : 백만원)
구분 평균공사비 A업체 B업체 C업체
1면 추가설치 9.9 12.0 8.6 9.0
2면 추가설치 11.8 13.7 10.1 11.6
□ 공사중인 구간(부산외곽선, 17년준공)
ㅇ 이동통로 미폐합 현황 : 180개소(3면통로)
구분
점검시설 이동통로 현황
계 4면 3면 2면 이하
계 396 (100%) 216 (55%) 180 (45%) - (0%)
- 보완설치 소요비용 : 18억 (180개소×9.9백만원)
붙임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