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8년_4-3_교대 벽체 설계 합리화를 위한 건조수축 및 온도철근 설계 방안 검토
2024.12.27 17:18
136 ❙ 구조물공
43
구조물공
교대 벽체 설계 합리화를 위한
건조수축 및 온도철근 설계 방안 검토 설계처-936
(2017.03.23)
1 검 토 배 경
□ 최근 제정된 국가건설기준-설계기준(이하 “KDS1)“라 한다)]에서
제시하는 매스콘크리트2) 균열제어를 위한 건조수축 및 온도
철근(이하 “온도철근”이라 한다) 규정이 우리공사 지침과 상이하여,
□ 교대 벽체 설계 시 실무자간의 혼선이 초래하는 바, 이에 대한
합리적인 설계 방안을 검토하고자 함
※ 일반적으로 교대 벽체는 매스콘크리트로 취급되어 온도철근이 배근됨
두께 2.2m 이상
2 검 토 내 용
□ KDS 기준 발췌
<KDS 24 14 21-4.6.15.3. 두께 1,200mm를 초과하는 부재>
단면의 최소치수가 1,200mm를 초과하는 구조용 매스콘크리트는 D19
이상의 철근을 450mm이하의 간격으로 건조수축 및 온도철근을 배치하
여야 하며, 다음 식을 만족하는 철근량을 부재의 양면에 양방향으로 균
등배치 하여야 한다.
ΣAb ≥ s(2dc + db)/100
여기서, Ab=최소철근 단면적(㎟), s=철근간격(㎜), db=철근 또는 철선의 지름(㎜)
dc=부재표면에서 가장 근접한 철근 또는 철근의 중심까지의 콘크리트
피복두께(㎜), (2dc + db)의 값은 75㎜를 초과해서는 안된다.
※ 고속도로 교량 설계에서는 교대 벽체가 해당됨
□ 온도철근 산출 예시 비교
구분 KDS [붙임1] 우리공사 지침(설계처-814, 2012) [붙임2]
기준
요약
D19 이상의 철근을 450mm
이하가 되도록 배치
철근 간격을 조밀하게 하여
단면적의 0.18% 이상으로 배치
1) KDS : “Korean Design Standard”로서 국가 통합 설계기준을 말함
2) - 콘크리트표준시방서 : 두께 0.8m 이상의 넓이가 넓은 평판구조, 두께 0.5m 이상의 하단이 구속된 벽체
- 도로교설계기준 : 두께 1,200mm를 초과하는 부재
구조물공 ❙ 137
구조물공
구분 KDS [붙임1] 우리공사 지침(설계처-814, 2012) [붙임2]
철근
배근
형상
D16
@100
D16
@100
2.200
D19 D19 D16
@100
D16
@100
2.200
철근량
As,req = Ab × (1000/100) × 2
Ab ≧ s × min[(2dc+db), 75]/100
Ab = 100 × 75/100 = 75
- As,req = 75 × (1000/100) × 2 = 1,500㎟
- As,used : D19@100-2ea = 4,536mm2
- As,req = 0.0018hs = 0.0018 × 2,200 × 1,000
= 3,960mm2
- As,used : D16@100-2ea = 3,972mm2
KDS는 큰 지름 철근을 배근하도록 규정하고,
우리공사 지침은 작은 지름 철근을 배근하도록 유도함
□ 설계실무 적용 경향
o KDS에서 산정되는 온도철근은 우리공사 지침으로 산정되는 온도
철근과 비교시 과소하게 산정 [붙임3]
o 따라서, 설계 실무자들은 명확하지 않은 기준에 대해 보수적 설계
지향 ☞ 철근 지름은 KDS, 간격은 우리공사 지침을 적용
구 분 KDS 우리공사 지침
철근 지름 직경 19mm 이상(√) 제한 없음
배근 간격 450mm 이하 100mm 내외(√)
□ 검토내용
o 철근콘크리트의 효과적인 균열제어를 위해서는 동일한 철근량을
사용하는 경우 철근 간격을 조밀하게 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알려짐 ☞ 균열 제어는 철근의 주장(둘레길이)이 클수록 유리함
138 ❙ 구조물공
o KDS(24 14 21, 4.2.3.4 균열폭 계산)에 따라 균열폭을 계산한 결과도 작은
규격 철근을 조밀하게 배근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산정됨 [붙임4]
(설계조건) = 400kN-m = 35MPa = 400MPa
b = 1,000mm H = 1,000mm
(case1) H13@100 사용
= 1,267.0㎟
철근의 주장 = 400mm
균열폭 : 0.644mm
(case2) H25@400 사용
= 1,266.8㎟
철근의 주장 = 200mm
균열폭 : 0.969mm
o 현 KDS는 AASHTO LRFD(2004) 잠정 기준을 준용함
- 잠정 기준에서 온도철근을 D19 이상으로 배근하도록 명시
※ AASHTO LRFD(2007) 이후 위 규정은 없어짐 [붙임5]
□ 기술자문 결과 [붙임6]
o 자문위원 : 서울시립대학교 임성순 교수 등 6명
o 자문내용 : 교대 벽체 온도철근에 대한 KDS 또는 우리공사 지침
적용 관련 검토의견
o 주요 자문의견
① KDS의 “매스콘크리트의 온도철근은 D19이상 배근” 기준은 삭제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AASHTO LRFD2007의 온도철근 기준으로
변경 필요
② 도로공사의 온도철근 기준은 축적된 시공경험을 바탕으로 국내
건설현장에서 충분히 검증된 식으므로, 가장 합리적인 설계개념임
③ 도로공사 지침 및 ACI 318에서 제시하는 온도철근 기준은 매스
콘크리트 부재에서 과도한 철근배근 우려가 있음
④ ACI 318과 AASHTO LRFD 2007에서 제시하는 온도철근 배치
기준이 서로 상이하므로 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함
구조물공 ❙ 139
구조물공
3 검토결론 및 적용방안
□ 검토결론
o KDS의 “매스콘크리트의 온도철근 D19이상 배근” 기준은 명확한
근거가 없으며, 일정 지름 이상의 철근 배근 규정은 적절하지 않음
o 또한 구조물 균열 평가는 기존 실적에 의해 좌우되는 것이므로,
현행 우리공사 지침을 적용하는 것이 합리적임
철근 간격을 조밀하게 하여 철근비 0.18% 이상 배근(설계처-814, 2012.3.16)
※ 건조수축 및 온도철근 설계시
- 두께 1,200mm 이하인 부재 : KDS 24.14.21 적용
As ≥ 0.75Ag/fy * Ag : 부재의 총 단면적(㎟), fy : 철근의 기준 항복강도(MPa)
- 두께 1,200mm 초과하는 부재 : 우리공사 지침 적용
o 국가건설기준센터에 KDS 규정을 개정토록 건의('17. 4월)
① D19 이상 철근 규정 삭제
② 철근량은 우리공사 지침(철근 간격은 조밀하게, 철근비 0.18%이상) 적용
□ 적용방안
o 실시설계 중 노선 : 새만금~전주 고속도로부터 적용
o 공사 중 노선 : 공사 주관부서 판단 후 적용
붙임 #1 KDS 24 14 21(2016)
#2 매스콘크리트 설계 방안 검토(2012)
#3 설계기준별 철근량 산출 예시
#4 균열폭 계산 결과
#5 AASHTO LRFD (2004, 2007, 2014) 관련기준
#6 기술자문 결과
140 ❙ 구조물공
붙 임 #3
설계기준별 철근량 산출 예시
※ 산출 예시 교량(○○교 교대벽체) : fy=400MPa, fck=35MPa, h=2,200mm
관련기준 산출기준 산출결과
KDS (2016)
24 14 21,
AASHTO LRFD
(2004) 5.10.8.1
for , ≥
Σ ≥
Σ ≥ × mi n
s ≦ 450 mm
부재의 양면에 양방향으로 균등배치
min(2×80+19, 75) = 75mm
ΣAb≥100(75)/100=75mm2/ea
ΣAb≥75×(1000/100) = 750mm2
As,req = 750×2 = 1,500mm2
매스콘크리트
설계방안 검토
(우리공사, 2012)
≥
: 100mm 내외
As,req = 0.0018Ac
= 0.0018×1,000×2,200
= 3,960mm2
콘크리트 구조
기준(2012) 5.7.2
≤ ,
≥ mi n
≤ mi n
As,req = min(0.0020Ac, 1,800)
= min(0.002×1,000×2,200, 1,800)
= min(4,400, 1,800)
= 1,800mm2
ACI 318-08 7.12.2
Slab where Grade 40 or 50 deformed bar:
≥
≤ mi n
As,req = 0.0020Ac
= 0.0020×1,000×2,200
= 4,400mm2
AASHTO LRFD
(2007, 2014)
5.10.8
≥
(on each faces)
≤ ≤
: 300mm
As,req = 0.75bh/(2(b+h)fy)
= 0.75×1,000×2,200/(2(1,000+2,200)400)
= 0.645 mm2/mm = 645 mm2/m
As,req,2faces = 645 ×2 = 1,290mm2
EUROCODE 2
(EN 1992-1-1:
2004 (E)) 9.6.3
max ×
≤
0.25 As,vertical ≤ 0.001 Ac
As,req = max(0.25As,vertical, 0.001Ac)
= 0.001×1,000×2,200
= 2,200mm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