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0년_4-2_교량 급속시공 기술 확대 적용 방안
2025.01.10 16:39
팀 장 처 장
등록번호 설계처 -
보존기간
결재일자
공개구분 공 개
미 래 사 회 변 화 에 대 비 한
교량 급속시공 기술 확대 적용 방안
2019. 10
설계계획팀장 :
설계기준부장 :
도로설계팀장 :
설 계 처
사회적 가치 자가진단(SV-PreChecking)
추구가치 점 검 사 항 검토
완료
해당
없음
① 인권보장
평등권, 교통 이동권, 개인정보 보호 등 헌법상
보장되는 국민의 기본권에 대한 고려를 하였는가?
■ □
② 안전유지
재해·재난예방, 고속도로 안전상태 유지, 작업장
안전 등 국민의 안전에 대한 고려를 하였는가?
■ □
③ 노동존중
차별없는 근로환경 유지, 근로자 보호 등 노동권
보장과 근로조건 향상에 대한 고려를 하였는가?
■ □
④ 취약계층지원
노인, 청소년, 여성, 장애인 등 사회적 취약계층에
대한 기회제공 및 지원 방안을 검토하였는가?
□ ■
⑤ 상생협력
중소기업 보호육성,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 등
공정한 시장 질서 조성을 위한 고려를 하였는가?
□ ■
⑥ 일자리 창출
민간부문 일자리 창출, 정규직 전환 등 고용안정
및 신규 고용 창출 방안을 검토하였는가?
□ ■
⑦ 지역경제발전
지역사회 내 투자·구매, 지역 성장산업 육성 등
지역경제발전 방안을 검토하였는가?
□ ■
⑧ 책임․윤리경영
업무를 추진함에 있어 기관운영의 공정성 및
투명성을 고려하였는가?
□ ■
⑨ 환경보전
생태계 보호, 환경친화기술 도입, 오염물질 배출 감축 등
환경의 지속가능성 보전에 대한 고려를 하였는가?
■ □
⑩ 시민참여
정보공개, 참여채널 확대 등 국민신뢰 촉진을 위한
방안을 검토하였는가?
□ ■
⑪ 건강복지
국민의 건강한 생활 보장, 주거 및 보건지원 확대 등
국민들의 건강과 복지에 대한 고려를 하였는가?
□ ■
⑫ 공동체 복원
주민자치, 지역사회 활성화 등 지역공유가치 확립과
지원 방안을 검토하였는가?
□ ■
□ 사회적 가치 기대효과 산정
추구가치 측정지표 기대효과 비 고
‘기 타
고속도로 건설기술력
향상
사회변화에 대비한
건설 기술력 향상
비계량
Ⅰ. 추진배경
□ 최근 건설근로자의 고령화* 및 숙련인력 감소**가 빠르게 진행
* 건설근로자 중 50대이상 근로자 비율 증가 42.9%(‘10년) → 53.4%(’16년)
** 공급 대비 숙련인력 부족 4.1만명(‘14년) → 14.1만명(’19년)
□ 향후 고속도로 교량의 노후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될 것으로 예상
됨에 따라, 4차산업기술**의 개발과 건설 자동화 필요성 증대
* 30년이상 노후구조물 ‘19년 333개, ’29년 2,674개, ‘39년 7,662개로 전환 예상
** (건설분야) 모듈러 공법, 드론, BIM, VR/AR, 3D 프린팅, 빅데이터(AI) 등
☞ 건설근로자 감소 및 노후교량 교체 대비 급속시공 기술 개발 필요
Ⅱ. 추진경위 및 국내․외 적용 사례
□ 그간의 추진경위
o ‘05. 5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바닥판 적용 검토(설계처-1220)
* 고소교량 등 일부 “합판거푸집 및 Deck Plate → 프리캐스트 바닥판” 적용
o ‘09. 9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적용성 검토(설계처-4846)
* 현장여건 및 교량형식 등 경제성 비교검토 후 전단면 바닥판 적용
* 2011년 부천고가교 화재사고 복구시 프리캐스트 전단면 바닥판 적용
o ‘13. 6 : 조립식 교량(Full Precast) 시범설계 추진(설계처-1937)
* 아산천안 석정3교 프리캐스트화 교량 시범설계 적용(바닥판, 교각, 방호벽 등)
o ‘15. 6 : 건설신기술 적극 활용 협조 요청(국토부 기술정책과-3713)
o ‘18. 4 : 스마트 건설자동화 시범사업 추진계획 알림(국토부 기술정책과-3713)
* 공공기관 주도로 조립식 모듈러 교량 기술 등 시범사업 시행
□ 국내․외 적용 사례
(1) 국내 적용 사례
o (바닥판) 프리캐스트 반단면 바닥판은 일반교량에 적용 중이며, 전단면
바닥판은 일부교량에 적용 중(최근 3년 설계노선* 전체 교량의 약 4%)
* (‘17년) 새만금전주, 안성구리(’18년) 김포파주, 양평이천(‘19년) 인주염치, 세종안성, 영동선
o (교 각) 2013년 아산천안 시범설계 적용 이후 제한적으로 적용 중
* 아산천안(‘13년 석정3교, 시공완료), 양평이천(’18년, 부항교), 인주염치(‘19년, 염치2교)
o (방호벽) 2013년 아산천안, 인주염치 노선에 시범설계 적용하였으나,
방호성능 충돌 시험 미실시로 인해 시공사례 없음
반단면 바닥판 전단면 바닥판 교각 방호벽
(2) 해외 적용 사례
o (미 국) 1950~60년대 고속도로망이 건설되어 노후화 문제가 심각하여,
교량 급속시공 관련 매뉴얼* 수립 및 설계, 시공,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
* 교량 급속시공(ABC : Accelerated Bridge Construction Final Manual, FHWA, 2011)
o (일 본) 대형 건설사들이 주도적으로 교량 급속시공 기술을 개발 중이며,
혼잡 도심지 구간에 상부일괄가설 공법을 적극 활용 중
바닥판+거더(미국) 교각+코핑(미국) 교량 상부일괄가설(미국, 일본)
Ⅲ. 교량 급속시공 기술 확대 적용 방안
□ 필 요 성
o 그간 프리캐스트 관련 바닥판 공법은 다양한 기술과 시공실적이 많지만,
타부재(교각 등)는 시범설계 수준으로 기술개발 및 시공실적이 미미함
o 프리캐스트 공법 관련 시장의 활성화 및 기술개발 의욕 고취를 위한
설계 적용 확대 필요
□ 확대 적용 방안
o (설계 의무적용) 설계시 노선별 장대교량(최소 200m이상) 2~3개소에
기술개발된 프리캐스트 관련 공법(전단면 바닥판, 교각, 방호벽 등) 의무적용
o (기술마켓 우선검토) 새로운 프리캐스트 관련 공법 기술마켓 등재시
상세검토 후 설계시 우선검토 반영
o (부재확대) 교대, 접속슬래브 등 다양한 부재로 기술개발 확대 유도
o (적용대상) 현재 설계중인(대산당진, 동광주광산) 노선부터 적용
Ⅳ. 기대효과
□ 프리캐스트 관련 공법 설계적용 확대를 통한 스마트 건설기술 선도
및 구조물 노후화에 따른 교량 개축 대비
□ 도심지 및 확장공사 구간 공기단축을 통한 국민 불편 최소화
o 현장타설 공법과 비교 공사기간 약 70% 단축
참고 1. 현장타설과 프리캐스트 비교 검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