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사회적 가치 자가진단(SV-PreChecking)

추구가치 점 검 사 항 검토

완료

해당

없음

① 인권보장

평등권, 교통 이동권, 개인정보 보호 등 헌법상

보장되는 국민의 기본권에 대한 고려를 하였는가?

□ ■

② 안전유지

재해·재난예방, 고속도로 안전상태 유지, 작업장

안전 등 국민의 안전에 대한 고려를 하였는가?

■ □

③ 노동존중

차별없는 근로환경 유지, 근로자 보호 등 노동권

보장과 근로조건 향상에 대한 고려를 하였는가?

□ ■

④ 취약계층지원

노인, 청소년, 여성, 장애인 등 사회적 취약계층에

대한 기회제공 및 지원 방안을 검토하였는가?

□ ■

⑤ 상생협력

중소기업 보호육성,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 등

공정한 시장 질서 조성을 위한 고려를 하였는가?

■ □

⑥ 일자리 창출

민간부문 일자리 창출, 정규직 전환 등 고용안정

및 신규 고용 창출 방안을 검토하였는가?

□ ■

⑦ 지역경제발전

지역사회 내 투자·구매, 지역 성장산업 육성 등

지역경제발전 방안을 검토하였는가?

□ ■

⑧ 책임․윤리경영

업무를 추진함에 있어 기관운영의 공정성 및

투명성을 고려하였는가?

□ ■

⑨ 환경보전

생태계 보호, 환경친화기술 도입, 오염물질 배출 감축 등

환경의 지속가능성 보전에 대한 고려를 하였는가?

□ ■

⑩ 시민참여

정보공개, 참여채널 확대 등 국민신뢰 촉진을 위한

방안을 검토하였는가?

□ ■

⑪ 건강복지

국민의 건강한 생활 보장, 주거 및 보건지원 확대 등

국민들의 건강과 복지에 대한 고려를 하였는가?

□ ■

⑫ 공동체 복원

주민자치, 지역사회 활성화 등 지역공유가치 확립과

지원 방안을 검토하였는가?

□ ■

□ 사회적 가치 기대효과 산정

추구가치 측정지표 기대효과 비 고

`기 타 고속도로 설계기술력 향상

설계성과품

품질향상

비계량

- 1 -

Ⅰ 검 토 목 적

□ 제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인 ‘드론’을 활용한 측량 도입으로

기존 항공측량 대비 오차 최소화 등 정밀설계 추진

* 100대 과제 43번『“국내최초” 도로분야 드론측량 도입』

□ 고속도로 설계여건을 고려한 시행방법, 최적 작업공정, 적정

단가기준 등 드론측량 설계적용방안 검토

Ⅱ 현실태 및 문제점

□ 고속도로 설계 시 항공측량과 세부측량을 시행하고 있으며,

항공측량 결과(1:1,000 지형도)를 활용하여 실시설계 시행

ㅇ 실시설계 단계에서 세부측량을 통해 항공측량 결과 보완

구 분 항공측량(기본설계) 세부측량(실시설계)

과업내용

수치지형도(1:1,000) 제작

(지형, 지물 묘사)

상세설계(수량산출 등)를 위한

중심선 및 종횡단(20m 간격) 측량

측량방법 유인 항공기 활용 인력 시행

□ 항공측량 결과 산지부, 계곡부 등에서 측량오차 발생

ㅇ 항공기 촬영고도(1km 이상)가 높고, 수목으로 인한 한계 상존

항공측량 성과(안성-성남) 검토결과

▪높이오차 최대9.2m 발생

→ 갱구 위치 변경

(터널 연장 129m 감소)

ㅇ 세부측량 성과와 상이할 경우 교량, 터널 등 기본계획 수정 불가피

☞ 산지부, 계곡부 등 오차발생 취약구간의 측량성과 정확도

향상을 위해 드론측량 도입 필요

- 2 -

Ⅲ 드론(Drone) 측량 현황분석

□ 드론(Drone) 측량이란?

ㅇ「항공안전법 시행규칙」제5조제5호*에 따른 측량용 무인비행장치로

촬영된 무인항공사진 등을 이용하여 수치지형도 등을 제작하는 과정

*「항공안전법 시행규칙」제5조(초경량비행장치의 기준)

5. 무인비행장치:사람이 탑승하지 아니하는 것으로서 다음 각 목의 비행장치

가. 무인동력비행장치:연료의 중량을 제외한 자체중량이 150킬로그램 이하인

무인비행기, 무인헬리콥터 또는 무인멀티콥터

나. 무인비행선:연료의 중량을 제외한 자체중량이 180킬로그램 이하이고

길이가 20미터 이하인 무인비행선

□ 드론측량에 대한 작업지침*과 성과심사 기준 등은 이미 마련

*「무인비행장치 이용 공공측량 작업지침」(국토지리정보원, ‘18. 3)

(주요내용) 무인항공사진 촬영 전 선행 작업방법, 오차한계 설정 등 무인

비행장치를 이용한 공공측량 작업에 필요한 사항을 정의

ㅇ 성과심사*는 주택단지(완료 6건, 진행중 3건)는 있으나, 도로분야는 없음

* 공공측량의 정확도 확보를 위하여 측량성과를 심사하는 제도

☞ 지상기준점 배치기준, 측량장비 제원 등 보완 필요

□ 적정대가 산정을 위한 품셈 연구* 완료

*「무인비행장치를이용한공간정보구축기술개발및품셈연구」(국토지리정보원, 18.1~)

(주요내용) 품셈대상 작업공종 도출, 실사측량 분석을 통해 작업공종별

기술자등급, 작업일수, 지형계수 등 표준품셈(안) 제시

☞ 촬영 사각지대(교량하부 등) 보완을 위해 지형보완측량

항목 신설 필요

- 3 -

Ⅳ 설계적용방안 검토

□ 드론측량 작업절차

작업계획

수 립 ▷ 대공표지의 설치

및 지상기준점 측량 ▷ 무인항공①

사진측량 ▷ 항공삼각

측 량 ▷ 수치표면

모델생성

▷정사영상②

제 작 ▷ 지형 지물

묘 사 ▷ 수치지형도

제 작 ▷ 지형보완

측 량 ▷ 성과심사

※ 항공측량의 경우 ①유인항공기 사용, ② 정상영상 미 제작

□「무인비행장치 이용 공공측량 작업지침(`18.3)」에 따라 시행

ㅇ 작업지침 외 고속도로 특성을 반영하여 과업지시서에 보완내용 추가

- 지상기준점의 배치 기준 수정 보완

* 도로중심선 기준 종방향 500m, 횡방향 50~200m 간격으로 배치

공공측량 작업지침 과업지시서

- 측량장비(디지털카메라) 구체적 제원기준 추가

․공간해상도 : GSD* 5cm 이내

* 지상표본거리(Ground Sample Distance) : 표본의 X, Y 좌표 지상거리 해상력

․매핑용 GPS 및 고해상도 디지털 카메라(2000만 화소 이상) 탑재

「무인비행장치 이용 공공측량 작업지침」제6조(사용장비 및 성능기준)

1. 노출시간, 조리개 개방시간, ISO 감도를 촬영에 적합하도록 설정한다

2. 초점거리 및 노출시간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3. 이미지 센서 크기와 영상의 픽셀 수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4. 카메라의 렌즈는 단초점렌즈의 이용을 원칙으로 한다.

- 4 -

□ 적정 대가 지급을 위한 품셈 보완

ㅇ 최적의 측량성과 품질 확보를 위해 ‘지형보완측량’ 공종 추가

(당초) 지리조사 → 정위치편집 → 도면제작편집

(변경) 지리조사 → 정위치편집 → 지형보완측량 → 도면제작편집

(단위 : 1km2)

구 분 국토지리정보원 한국도로공사 비 고

정사영상 제작 및 벡터화 10,517,496 좌 동

수치지형도 제작

(지리조사, 정위치편집, 도면제작)

7,776,593 9,898,268

지형보완측량

공종 반영

제경비, 기술료, 부가세 32,465,378 36,224,986

총 계 50,759,467 56,640,750 증 11.6%

「수치지형도 작성 작업규정」제16조(지형보완측량 조사기준)

① 조사는 항공사진촬영 당시를 기준으로 하되, 항공사진의 사각지대 또는 단순 변경된

독립 주택 등 조사측량이 가능한 경우는 보완하여 반영

② 수치지형도 상 반영하지 못하는 변경된 지형․지물 및 주기에 대하여는 그 지역 및

주기임을 확인 할 수 있는 사진을 촬영하여 첨부하여야 한다.

□ 적용범위

ㅇ 산지부, 계곡부에 위치한 주요시설(터널 입출구, 저토피구간) 및

출입시설 등 항공측량의 보완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구간

- 설계노선별 특성을 고려하여 별도 방침에 따라 시행

□ 설계적용방안

ㅇ 대산~당진 고속도로 기본 및 실시설계에 시범적용 후 확대

적용방안 마련 : ‘20. 5월 예정

- 5 -

Ⅴ 시범적용 계획

□ 적용대상

ㅇ 대산-당진 고속도로 기본 및 실시설계(L=24.8km)

□ 시행방안

ㅇ 설계용역과 분리하여 드론, 항공+드론측량 병행 시행

- (드론측량) 당진JCT ⇒ 공공측량 성과심사 조기 추진

- (항공+드론) 항공측량(전구간), 드론측량(터널 입 출구, 저토피 등)

⇒ 측량오차 최소화

□ 발주방법

① 드론측량(당진JCT, 56백만원) : 고시금액(2억원) 미만 적용

ㅇ (평가방법) 당해용역수행능력*(20) + 입찰가격(80)

* 경영상태(20) + 신인도(가감점) 및 특별 신인도(가산점)

ㅇ (입찰자격) 측지측량업, 영상처리업, 수치지도제작업 보유

② 항공+드론측량(1~5공구, 430백만원) : 고시금액 이상~5억원 미만 적용

ㅇ (평가방법) 당해용역수행능력*(30) + 입찰가격(70)

* 참여기술자(50)+유사용역(20)+신용도(10)+기술개발/투자실적(15)+중첩도(5)

ㅇ (입찰조건) 항공측량과 드론측량 분담이행방식

- 6 -

□ 세부 추진계획

① 드론측량 (당진JCT)

드론측량

용역발주 ▷

입찰

공고 ▷

낙찰자

선 정 ▷

용역추진

(촬영,측량,수치도화) ▷

성과심사

추 진

`19. 7월 (10일간) `19. 7월말 `19. 8-10월 ‘19.11월

② 항공+드론측량 (대상-당진 1~5공구)

PQ 평가

기준개정 ▷

용역

발주 ▷

입찰

공고 ▷

PQ평가

낙찰자

선 정

`19. 7월 `19. 10월 (40일간) `19. 11월 `19. 12월

노선 및 출입시설

방침 수립 ▷

용역추진

(촬영,측량,수치도화) ▷

성과심사

추 진

`20. 1월 `20. 1-4월 `20. 4월

ㅇ `19. 7월 : 지형현황도 작성용역 PQ평가기준 개정

- 건설기술용역 사업수행능력 세부평가기준 개정사항* 반영(국토부, ‘18.12)

* 신용등급및기술개발/투자실적 평가기준 완화, 참여기술인 업무중첩도 신설

- 유사용역 평가기준 개선* 및 드론측량 공동계약(가점) 신설

* 유사용역 인정범위 구체화, 용역금액(200→150억원), 용역건수(5→20건)

ㅇ `19. 7~10월 : 드론측량 과업지시서, 적용단가 등 보완

- 당진JCT 드론측량 시행 중 보완사항(작업공정, 비용 등) 반영

ㅇ `19. 10월 ~ ‘20. 4월 : 용역 발주(항공+드론) 및 측량 시행

ㅇ `20. 4월 : 항공+드론측량 성과 비교 분석 및 성과품 보완

[붙 임 1] 공공측량 제도 및 업무처리절차

[붙 임 2] 항공측량과 드론측량 비교 분석

- 7 -

붙임1 공공측량 제도 및 업무처리절차

□ 공공측량이란?

ㅇ (공공측량)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제2조에 따른

국가, 지자체 등의 측량으로 공공의 이해, 안전과 관련이 있는 측량

ㅇ (공공측량 성과심사) 공공측량의 정확도 확보를 위하여 측량성과를

심사하는 제도(근거: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제18조)

□ 공공측량 업무처리 절차

측량용역 발주 시행자

용역계약체결 후 작업계획서 제출 시행자 → 국토지리정보원

작업계획서 검토 및 승인 국토지리정보원

공공측량 수행 공공측량 수행사

작업완료 성과제출 측량수행자 수행사 → 시행자

자체검사 실시 시행자

측량성과 사본제출 시행자 → 공간정보산업협회(위탁)

성과심사 공간정보산업협회(위탁)

성과심사결과 통보 및 고시 국토지리정보원

□ 드론을 활용한 공공측량 성과심사 승인 사례

ㅇ ‘19년 6월 기준 공공측량 성과심사 적합판정 6건, 진행 중 3건

구 분 사업명 면적(km2) 비 고

심사

완료 사천선인 공공주택지구 지형측량 등 6건 0.35~1.47

발주청

심사 (LH공사)

진행중 성남금토 공공주택지구 지형측량 등 3건 0.57~1.17

- 8 -

붙임2 항공측량과 드론측량 비교‧분석

□ 항공측량과 드론측량 비교 분석

구 분 유인비행장치(항공기) 측량 무인비행장치(드론) 측량

촬영고도 1,000m 이상 100~300m

촬영면적

(/1매)

1.32 km2

(1.15 km × 1.15 km)

0.057 km2

(0.195 km × 0.293 km)

촬 영

중복도

o 비행방향 : 60%

o 코스 간격간 : 30%

o 비행방향 : 65%~85%이상

o 코스 간격간 : 60%~80%이상

특 징

o 높은 고도 광각 촬영

- 사진매수小(1매, 유효면적 0.37km2)

- 산지부, 계곡부 정밀 묘사 한계

o 낮은 고도 광각 촬영

- 사진매수多(1매, 유효면적 0.0017km2)

- 산지부, 계곡부 정밀 구현 가능

o 날씨에 따른 촬영 제한

- 월 평균 쾌청일 : 3~4일

o 강설/강우를 제외하고 촬영 가능

- 월 평균 20일 이상

o 넓은지역 촬영 시 경제성 우수

- 약 26백만원/1 km2

o 소규모 면적 촬영 시 경제성 우수

- 약 19백만원/1 km2 (73%)

ㅇ 드론측량은 날씨에 대한 영향이 적어 신속한 촬영이 가능하며,

근접 촬영으로 산지부 계곡부에서의 정밀 구현 가능

ㅇ 소규모 면적 촬영 시 드론촬영의 경제성이 우수(약 73%)하나

넓은 지역 촬영 시에는 사진촬영 매수 증가*로 경제성 저하

* 촬영면적 및 중복도 고려 시 (항공사진 1매 = 드론사진 약 200매)

※ 항공측량과 드론측량 면적별 비용 비교 [출처:국토지리정보원 연구보고서]

- (기준점측량) 약 5km2 미만에서 드론측량이 경제적

구 분 1km2 5km2 10km2 15km2 20km2

기준점

수량

항공측량 4점 9점 12점 15점 20점

드론측량 12점 48점 85점 122점 159점

- (수치지형도 제작) 약 2km2 이하에서 드론측량이 경제적

☞ 드론측량은 2km2 이하의 소규모 지역에 적합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8715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1512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6164
171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1년_5-3도로결빙사고예방을위한설계기법잠정적용방안 file 효선 2025.01.13 271
171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1년_5-4노면수터널유입차단을통한터널입출구부미끄럼사고예방 file 효선 2025.01.13 194
171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1년_5-5콘크리트포장면표면처리공법적용으로소음저감효과및승차감개선검토 file 효선 2025.01.13 291
171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1년_6-1가축시설발파진동기준적용개선 file 효선 2025.01.13 314
171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1년_6-2경관중심의터널갱구부설계방안검토 file 효선 2025.01.13 219
171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1년_6-3시멘트계정착재료적용터널록볼트정착품질확보방안 file 효선 2025.01.13 265
170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1년_7-1롤러형방호울타리적용방안 file 효선 2025.01.13 342
170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1년_8-1휴게소근무자의접근성향상을위한접근로및주차장설치방안 file 효선 2025.01.13 239
170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1년_8-2건설구간자생수목이식및관리기준개선 file 효선 2025.01.13 371
170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1년_8-3건설사업단전기공사관리시스템개선 file 효선 2025.01.13 291
170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1년_부록#1_2020년도고속도로설계실무자료집(요약본) file 효선 2025.01.13 315
170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1년_부록#2_2020년도고속도로원가개선현황 file 효선 2025.01.13 375
170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1년_부록#3_실무자료집수록목록(1998년통합본~2020년) file 효선 2025.01.13 232
170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0년_00_목차 효선 2025.01.13 323
170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0년_1-1_건설현장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설계안전성 검토 내실화 방안 file 효선 2025.01.10 1053
»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0년_1-2_드론측량 설계적용방안 검토 file 효선 2025.01.10 270
169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0년_1-3_근로기준법 개정 관련 고속도로 설계원가 적용기준 검토.pdf file 효선 2025.01.10 188
169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0년_1-4_건설 및 유지관리단계 민원 zero화를 위한 국민 공감설계 추진방안 file 효선 2025.01.10 782
169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0년_1-5_고속도로 건설현장 근로여건 개선을 위한 공사기간 산정 세부기준 검토 file 효선 2025.01.10 222
169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0년_2-1_고속도로 영업소 광장부 설계지침 제정 file 효선 2025.01.10 6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