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BsOCR_V01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검색키워드용으로 변환한것으로 다소 내용이부정확할 수 있습니다.
첨부된 원본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P202085설계 실무 자 집료(b낙석 방지시설 설치기준 개선3-3유지토석 류 대책시설 관 방안리개선RInlHof12공관안전[고 편리한플랫폼 구조업토프ay, oy, 미 래 교ㅇ디 구조)omen past TO.OYPA?ao,OPSBAS그 스 ㅁㅋ 7144974-3193(2020.11.23.)_ 공용 중 까 구조 비탈면의 풍화등 장 구조안정성 저하, 집중 호우로 인한비탈면 피해 시 보수:보강공사의 유연성 확보및 유지 관리 효율성을감안한 추가 용지 확보 방안을 마련 하고자 함※ 고속도로 용지 경계 기준(설계 설3201-620, '01.12.3)수( 까 구조부) 측구및 비탈면 끝에서 20cen( 쌓기부) 측구및 비탈면 끝에서 10이(교량) 교 고)200 : 교량 끝에서 100, 교고(2007: 교량 끝에서 50 ㅁ를 표준| 게 국내외 관련 기준그 국내 유 사시설( 선형시설) 기준ㅇ시설물 특성에 따라 다소 상이하나 고속도로와 유사한수으로준용지확보구분 기준비고ayㅣat SUSESo2m국도 건설공사설계 실무 요령(속고도로와 동일)(16. 5, 국 토부)하 천 |ㆍ측구및 비탈면 끝에서 1 ㅁOR i wee)-철도 |ㆍ비탈면 끝단에서 3.40이상(og aRD느 국외도로 기준0 최소 용지 폭원 기준을 규정 하고,설계자 판단에 따라 용지 폭원 설정구분 기준비고ㆍ비탈면 끝에서 최소 3~4.52 확보" 비탈면 높이별 용지폭원 규정HighwayDesignManual(California미국높이00 | 9~15 | 15~23 |231 __|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824m) |67.6 ㅣ 88, 최대 15ㆍ장 래도로 주변 토 지이용을 고려하여 지형° 국 토교통성, '19)YE]gstoy 마라 설정^ |도로 구조령(일본중국 | ' (고속도로) 측구및 비탈면 끝에서 32 아 상 | Se AahCSS IE,으ㆍ(2급도로) 측구및 비탈면 끝에서 20이상 | 000 Da0-2017, 7)272 ㅣ 토공및 배수 공Oxsaceay의 현 실태및 문제점까 구조 비탈면 장 구조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경사 완 화가 최 적이나설계:건설 시 환경 피 해 최소화등의 제약 요 인으로 불가피 하게 보강 공법 적용8(설계단계) 비탈면안정 화를 위해 경사 완화공법을 우선 검토 하나,환경 피해 최소화( 환경 영향 평가)의 사유로 까 구조높이 제한"으로 부득이보강 공법 반영*설계시 경사 완 공법화 적용 제약 요소ㆍ절토 비탈면 높이 300이상인 경우-터널 계 회(환경 영향평가 작성매뉴얼= 15! 세 종 인성: 보강 비탈면 122 개소중 거 개소 (60%는 까 구조 높이 최소회를 위해 보강0(건설 단계)설계 반영의 경사 완화 적용시설계변경및 추가 용지 매 수로인한 행정 절차 장 기간 소요"로공사 기간, 사업 비를 감안하여 제한 적으로적용*설계변경및 총사업비협의( 약 6 개월)등ㅁ 공용 중 까 구조 비탈면 풍화, 집중 호우등으로 비탈면 파괴, 유 실에 의한복구공사 시 비탈면 상부 용지 확보에 장 기간 소요”등으로 응 지 경 계 내시행가능한 보수 * 보강 공법 적용* 토 지 유주소협의 2 FPSASASTAGE Beart S7lZzt 2L(67Z)※ 까 구조비탈면 피 해 현황및 복 구공사 방안((20 년, 재 관리처)난ㅣ 원호 | 싸 구조 | 평면 | 표면 | 토 석 류~___Ea고 [아파괴 ㅣ 파괴 | 파괴 | 유실 |등|37774331647eeTea i.뉴 부강층 I8슷크 리트mAPRA 기타* 경사 완화 공법 미적용유지 관리 시 경사 완 화가 감안 된안정화 공 선정법등 유지 관리 유연성확보를 위하여 까 구조 비탈면 여유 용지 확보 필요222323토공및 배수 공 』 27377H A|At HFur OFoFOgu}및 적용방안검토0 (대상)안정성에 불안 요 인을 내 포 하고 있는 까 구조비탈면aw Ha 높이, 경사, 절리등 불안 요 인 (개 항목)을 감안하여 위 험도를정 량 하는화비탈면 위험도 평가' 결과 활용* 고속도로 건설공사 비탈면설계「시공 관리 체계 개선(설계 처-1915, '14.7.25)ㅇ(적용방안) 경사 완화 공법 적용을 감안한 용지 폭원 확보니 개 방안 선0 (대상) 위험도 평가 결과 190 점 " 초과하는까 구조 비탈면* 비탈면 높이 200이상 표준경사이상 절리 불규 직 상단 구조울 구조 반영 시 산정 된 점수* 건 섬 중 노선 위험도 평가가 반영된 비탈면 '78 개 쇠 중 추 구조보강 비탈면(거개쇠의 평가 결과 평균점수※ 3 개 노선비탈면 위험도평가결과130점이상비탈 탈 면은면은평균 25%가 해당|ciel |-불안 보통(150~100)안정ㅣ 매우안정(200~180) | (180~150)소계150~130 | 129~100(100~80) | (80이하867--46521924631686(비율)0%0%54%25%23%36%10%0(폭원 산정)설계 경사에 경 완사 화를 감안한 경사 (06 : 토사 0.5, 리 핑암0.5, 발파암 0.9)를 추가 하여산정근설계 준공 노선(3 개) 경사 완화 공법이 적용된 완 화 경사 적용값 80%이상을만 하는족 수준으로 산정- 비탈면 높이별 폭원을 산정( 계산값 내림)하고이설, 편 입이 곤란한 철탑,문화재등의 지장 ,물 특수 여건( 무한사면, 지반 조건등)이 있는 경-ㅇ여건에 맞도록 폭원 조정274| 토공)ee구분토사리 핑암발파암설계 반영 경사0111.5111.01:0,7추가 완 화 경 (0)사 (20.50.50.3SAQA] APs BAKO+@)1:2.01:151:1,0ㆍ산정 결과 높이의 약1/3 정도가 필요한 것으로 검토비탈면 높이지반별 높이*(70) 폭원산정적용(H, m)토사리 핑암발파암(m)(W, m)51.90.82.32.02103.81,64.64.14155.72.46.96.16207.63.29.28.28259.54.011.510.2103011.44.813.812.212* 건설 중인 14 개 사업단 비탈면 대상으로 비탈면 지반 구성 비율 산정 결과 반영[토사(38%), 리 핑 (16%),암발파 (46%)]암@At 2ShOCssceay토공및 배수 공 ㅣ 275| 검토결론 : 경사완 화를 감안하여 별도 비탈면 높이별 용지산정구분용 |: 비탈면 위험도 평가 결과 180점 초과 비탈면a싱*안정성 검토결과를 반영 하여 재 산정 된 위험도 결과 적용(첨부 #6)용지용ㅇ 지 경계산정 :설계 경사 + 0폭원 산정 ㅣ 0 = 토사 : 0.5, 리 핑 암 : 0.5, 발파암 : 0.9내림)특수 여건(무한 사면, 지반조건등)등이적용방안 : 현재설계 중인 노선부터적용* 향후설계, 시공 결과를 토대로 위험도 평가 점수 검증및 피드백1.위험도 평가 결과 분석2.비탈면 위험도 평가표3.경 완화사공법 적용 경사4.건 노선설까 구조 비탈면 지반 구성 비율5.까 구조 비탈면 용지 경 관련 계의견6.까 구조 비탈면설계 절차7.용지 경계 설정 개념도)ee 트로 | 우 험도 평가 결과 분석 [1 건설 중 비탈면 위험도 평가 결과(안성- 응 인, 용인-구 리 2 개 노선)구분전체설계 동일추가 보강대상 비탈면78572120”위험도 평가평균 점수 116111130* 일반적인까 구조 비탈면 불안 요소 반영 시 암반 비탈면의 경우는 10~130점, 토사 비탈면의 디 최근설계 준 노선공 위험도 평가 결과ae1매우 불안 ㅣ 불안보통(150^700)안정 ㅣ 매우안정될 (200^~-180) | (180^-150)소계|150~130 | 130~100(100~80) | (80이하)개소| 867--46521924631686총계비율| 100%0%0%54%25%28%36%10%개소| 598-103411931482561서울세종| 비율 | 100%0%2%57%32%25%43%0%개소|110--548462036양평이천비율 | 100%0%0%49%7%42%18%33%개소159--7018524049 새만금전주비율 | 100%0%0%44%11%33%25%31%Oxsaceay토공및 배수 공 ㅣ 277비탈면 위험도평가표[암반 비탈면 : 불안 요소 반영평가 결과 130]항목구분배점100이상0비탈면11~20m10높이(40)21~30m30비탈면802이상끄형상1:1.5 미만0(70)비탈면111.5~1:1.0 미만°경사1:1.0~1:0.5 미만10(30)1:0.5~1:0.3 미만201:0.3이상 30절리 불규칙30비탈면 방향으로 경사 진 절리0ASS | 거가 방향 ㅣ 비탈면 방향과의 차이 : 341“이상0ue)(40)비탈면 방향과의 차이: +31“~ +40° 10비탈면 방향과의 차이 : +20°~ +30°30비탈면 방향과의 차이 : 20?“40집수 지형se:5(10)중간집수 되기 쉽다10지형 적요 ㅣ비탈면 | ae0인형상 (20)maa20(50)내리막0상부평탄10사이| 20 으 르막60"이 해15오르막 (20“이상)20이력붕 괴이력비탈면 전후 성토부 연 구간계20(40)(40)비탈면 전후 터널부 연 구간 계40설계자의견지반 정수의 신뢰도, 절리면 상태등 평가총점200~180 : 매우 불안정 * 180~150 : 불안정계 (200)150~100 : HE100~80 :안정13080~0: 매우안정278| 토공및 배수공-)ee EE aves법 적용 경사 LU 검토결과 : 경 완사 화를 위한 추가 경사 토사 0.5, 리 핑 암 0.8, 발파암 0.8ㅇ 최근설계 준공 노선(3 개) 경사 완 화 공법이 적용된 완 화 경사 적용값80%이상을 만 족 하는 수으로준 선정 +0.5, 리 핑 암 +0.5, 발파암 +0.8)* 건설 중인 노선의 경사 완화 공법 적용 시 평균 경사는 표본및 일부지역에 국한된결과로 일반화 곤란 하여 검토 시 제외 니 최근설계 준공(3 개) 노선비탈면 추가경사완호구분EA리핑암발파암검토 ㅣ반영| 추가| 검토ㅣ 반영| 추가| 검토ㅣ반영ㅣ 추가평균0.50.30.31/15|20 | 053|15|220 | 0.5| 10 | 198 | 0.8 | 1.0 |10-3|15|20 | 05| 10 | 15 | 0.54|/15|201]055/15|201051410!18| 026|15|1510|100.7 | 10 | 0.3서울세동|" | 15|16510|1007 | 10 | 038|129|15 | 0.8|18|15|0.39|15|95 | 10|12|15|03 | 0.7 | 10 | 0.310| 15|85 | 10|18|15|0.3 | 0.7 | 10 | 0.31141 15|1510|15|052!15|20 | 05|10|12|0214; 15|1510|12|02107 | 12 | 05ama[16] 15|16 | 01@T17)15 |18 |03야 펴oa|)0]0]0]2]0]0]0 0]0 |222322토공및 배수 공nvS구분토사리 핑암발파암설계 ㅣ 변경 | 추가 |설계 ㅣ 변경 | 추가 |설계ㅣ 변경 ㅣ 추가전 평균체0.70.81.1평0.70.81,2 ㅎ w ¢ u¢ 2 2 2 ¢49 002 ¢ ¢2 |.£$¢a¢¢dfea S35 b ot$34cf$dof aeFH)$a1,21,50.3 오용+80-6+6+86-8 |0-7+8+4 +5+6-3ot+8+4평0,20.9aS+5+6ㅅ이상O5|42-t51.01.20.2aa10 | 22|] 12평균0.70.8-강진0) | 1.5 | 18 | 0.8|104.8|15 |0.3광주0 |ts---+0[46-43]5+38280 ㅣ 토공및 배수 공-)eeL Ase 4=추가 경사 ㅣ 빈도수 | 누적 %토사0.119%7 -r 120%0,209%1]100860.3227%|0.4027%,| pe0.5682%Miwo0.6082%woeEA=37비-0.7082%0.8082%'0.9082%oyof@@eoaoe2'~고12100%제추가 경사0100%wre추가 경사 ㅣ 빈도수 | 누적 %리핑암0. 100%45-120860.2444%0.3378%때0.4078%- 00핑암0.52100%.0.60100%=0.70100%o0.80100%200.90100%10100%0.1020.3'04'0.5'0.6'070.8'0.9'1oe” 기타0100%Wes추가 경사 ㅣ 빈도수 | 누적 %발파암0.100%45r 120%0,200%r100%0.3480%0.4080%80%0.51100%발파암000.60100%meee0.70 | 100%om700.80100%20%0.90100%10100%o10.2o3'0.40.5'06'0.7'o8'0.9'1"ae” 기타0100%주가 경사COXaces토공및 배수 공HSMAwoSH AEE +a 비율2t7| H|EHH AHI Sst사업단공구비고토사핑암발파암전체평균38%16%46%안 용인성1-638%22%40%용인 구리7-1433%14%52%밀 양울산1-1050%11%40%창녕 밀양1-623%14%63%합천 창녕7-1226%6%68%함 양합천1-664%17%19%김 포- 파 주1-582%16%2%김포 양주파 주- 양주1-430%18%52%강 진 광주1-956%19%25%아 천안산1-646%29%25%세 종안성1-10,33%18%A9%ore오 송 지선포 영덕항1-530%23%AT%화도- 양 평1-240%18%A2%수도권양 평-이천1-455%15%30%새만 금전주1-843%10%47%대구순환1-712%1%81%)ee7A7| HAAi] Bat예 비 자료 수집지형도, 지질도, 노선 현황by|예비 해석 대상및 대 표 비탈면 선정At||조사등급및 조사항목 검토 지반조사- 지 표지질 조사Al- 지질 현황( 지 증구성및 암질)- 물 리 탐사-불 연속 면 특성- 시 추 조사및 시 추 공화 상 정보 시험-강도정수(점착 력 , 마찰각등- 현장및 실 내 시험해석 구간및 대 표 비탈면 결정- 추시 조사및 물 탐사 리- 현장및 실 내 시험- 지 층 조건, 토질및 암질 상태 고려- 시공시 확인 조사 향 목 검토- 불안정 요인, 대 표 성을 갖는 단면선정-위 험도 평가비탈면안정성 검토-안정성 검토 시 시공 시 확인조사 결 구조와 상호비 교가1) 토사및 풍화암 비탈면 해석되도록 지반조사 결과, 해석구간 선정 사유, 해석- 지하 수 위 검토(필요 시 침 투 류 해석)입력 자료를 충분히 수록ㆍ표면지포화 또는 침 투 해석에의해 결정- 지반 정수 불 확 성심을 고려하여 지반 정수 변화에- 원호 파괴 검토(91006/\,18167등)따른안정성 검 수행토ㆍ지형및 지 층 조건-설계시 절리 자료획득 방법과 주 절리 특성에 대해ㆍ지반 정수및 지하 수 위 입력평가및 수록2)암반 비탈면 해석- 사 공시 확인조 결사과에 따른설계 조건 변화에-평사투 영 해석대한 조치 사항 제시ㆍ절리면 전단 강도, 방향성, 경사 입력-불 확실한 부분및 특이 사항등 시공 시 유의 사항ㆍ발생가능 파 괴 유형 파악상세 하게 수록-한계 평 형 해석※ "“비탈면안정성 검토 보고서" 양 식에ㆍ파가능괴 절리 특성, 비탈면 제원 입력의거 상세 토검 내용 수록비탈면이안정한가?예아니오까 구조 경사 변경및 보강 대책 검토-ANQEKISA AE), MUS,SHH,락볼트, 보강 옹벽등- 시공성, 경제성,안정성, 환경성 검토- 대 절취 발생유무- 적정보강 공법 선정- 장물지저 촉 여부보강 비탈면안정성 검토- 비탈면안정성 검토 방법과 동일하게 수행-한계 평 형 해석 수행7- 보강 무한계 높이 검토-보강 제원 수 록( 보강도면 미 수 록 , 시공중 재검토)- 확인 시험 수록아니오- 위험도 평가 점수 재 산정및 결과를 반영한용 경계지검토COMsace3yz=8605--comes=)=millRO:K*:a9고=ao시aeOFOW)떻루미ROK고고[xm2§8 2B6OR:E ||~ul: ,aKONO:las=od[~zAE|Ey때iti104"100 FieaR0은(|2 |는|,호록피서티 티티시터EWE | Ele Lza?86STSyR" ㅁㄴ= =ㄷㄷIE는EE ㄷㄷ00 4Al FO = iSSLE\E|Ele|guVo/(FSEE)EE 구조 =-ateeoSx8aie"만고-[~ |oO:El더=+aid5을=Nn(페a제iSCc |Elec=-rySyqe©©등=대Ee!)Teete =-“; os=리 S| EE개 키게 |=70x =나 FeeoLO7TEzeenA이두1 || #] 0] 00/S70se IF= ie. "“al=ETE”*7=~5 |a=yytye|@ |S)wRROETE 르뽀aHm 0내re=-040uliMe: 버 된oT;0 (SoSlais때ui01!"284| 토)eeP202085설계 실무 자 집료(b낙석 방지시설 설치기준 개선3-3유지토석 류 대책시설 관 방안리개선RInlHof12공관안전[고 편리한플랫폼 구조업토프ay, oy, 미 래 교ㅇ디 구조)omen past TO.OYPA?ao,OPSBAS그 스 ㅁㅋ 7144974-3193(2020.11.23.)_ 공용 중 까 구조 비탈면의 풍화등 장 구조안정성 저하, 집중 호우로 인한비탈면 피해 시 보수:보강공사의 유연성 확보및 유지 관리 효율성을감안한 추가 용지 확보 방안을 마련 하고자 함※ 고속도로 용지 경계 기준(설계 설3201-620, '01.12.3)수( 까 구조부) 측구및 비탈면 끝에서 20cen( 쌓기부) 측구및 비탈면 끝에서 10이(교량) 교 고)200 : 교량 끝에서 100, 교고(2007: 교량 끝에서 50 ㅁ를 표준| 게 국내외 관련 기준그 국내 유 사시설( 선형시설) 기준ㅇ시설물 특성에 따라 다소 상이하나 고속도로와 유사한수으로준용지확보구분 기준비고ayㅣat SUSESo2m국도 건설공사설계 실무 요령(속고도로와 동일)(16. 5, 국 토부)하 천 |ㆍ측구및 비탈면 끝에서 1 ㅁOR i wee)-철도 |ㆍ비탈면 끝단에서 3.40이상(og aRD느 국외도로 기준0 최소 용지 폭원 기준을 규정 하고,설계자 판단에 따라 용지 폭원 설정구분 기준비고ㆍ비탈면 끝에서 최소 3~4.52 확보" 비탈면 높이별 용지폭원 규정HighwayDesignManual(California미국높이00 | 9~15 | 15~23 |231 __|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824m) |67.6 ㅣ 88, 최대 15ㆍ장 래도로 주변 토 지이용을 고려하여 지형° 국 토교통성, '19)YE]gstoy 마라 설정^ |도로 구조령(일본중국 | ' (고속도로) 측구및 비탈면 끝에서 32 아 상 | Se AahCSS IE,으ㆍ(2급도로) 측구및 비탈면 끝에서 20이상 | 000 Da0-2017, 7)272 ㅣ 토공및 배수 공Oxsaceay의 현 실태및 문제점까 구조 비탈면 장 구조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경사 완 화가 최 적이나설계:건설 시 환경 피 해 최소화등의 제약 요 인으로 불가피 하게 보강 공법 적용8(설계단계) 비탈면안정 화를 위해 경사 완화공법을 우선 검토 하나,환경 피해 최소화( 환경 영향 평가)의 사유로 까 구조높이 제한"으로 부득이보강 공법 반영*설계시 경사 완 공법화 적용 제약 요소ㆍ절토 비탈면 높이 300이상인 경우-터널 계 회(환경 영향평가 작성매뉴얼= 15! 세 종 인성: 보강 비탈면 122 개소중 거 개소 (60%는 까 구조 높이 최소회를 위해 보강0(건설 단계)설계 반영의 경사 완화 적용시설계변경및 추가 용지 매 수로인한 행정 절차 장 기간 소요"로공사 기간, 사업 비를 감안하여 제한 적으로적용*설계변경및 총사업비협의( 약 6 개월)등ㅁ 공용 중 까 구조 비탈면 풍화, 집중 호우등으로 비탈면 파괴, 유 실에 의한복구공사 시 비탈면 상부 용지 확보에 장 기간 소요”등으로 응 지 경 계 내시행가능한 보수 * 보강 공법 적용* 토 지 유주소협의 2 FPSASASTAGE Beart S7lZzt 2L(67Z)※ 까 구조비탈면 피 해 현황및 복 구공사 방안((20 년, 재 관리처)난ㅣ 원호 | 싸 구조 | 평면 | 표면 | 토 석 류~___Ea고 [아파괴 ㅣ 파괴 | 파괴 | 유실 |등|37774331647eeTea i.뉴 부강층 I8슷크 리트mAPRA 기타* 경사 완화 공법 미적용유지 관리 시 경사 완 화가 감안 된안정화 공 선정법등 유지 관리 유연성확보를 위하여 까 구조 비탈면 여유 용지 확보 필요222323토공및 배수 공 』 27377H A|At HFur OFoFOgu}및 적용방안검토0 (대상)안정성에 불안 요 인을 내 포 하고 있는 까 구조비탈면aw Ha 높이, 경사, 절리등 불안 요 인 (개 항목)을 감안하여 위 험도를정 량 하는화비탈면 위험도 평가' 결과 활용* 고속도로 건설공사 비탈면설계「시공 관리 체계 개선(설계 처-1915, '14.7.25)ㅇ(적용방안) 경사 완화 공법 적용을 감안한 용지 폭원 확보니 개 방안 선0 (대상) 위험도 평가 결과 190 점 " 초과하는까 구조 비탈면* 비탈면 높이 200이상 표준경사이상 절리 불규 직 상단 구조울 구조 반영 시 산정 된 점수* 건 섬 중 노선 위험도 평가가 반영된 비탈면 '78 개 쇠 중 추 구조보강 비탈면(거개쇠의 평가 결과 평균점수※ 3 개 노선비탈면 위험도평가결과130점이상비탈 탈 면은면은평균 25%가 해당|ciel |-불안 보통(150~100)안정ㅣ 매우안정(200~180) | (180~150)소계150~130 | 129~100(100~80) | (80이하867--46521924631686(비율)0%0%54%25%23%36%10%0(폭원 산정)설계 경사에 경 완사 화를 감안한 경사 (06 : 토사 0.5, 리 핑암0.5, 발파암 0.9)를 추가 하여산정근설계 준공 노선(3 개) 경사 완화 공법이 적용된 완 화 경사 적용값 80%이상을만 하는족 수준으로 산정- 비탈면 높이별 폭원을 산정( 계산값 내림)하고이설, 편 입이 곤란한 철탑,문화재등의 지장 ,물 특수 여건( 무한사면, 지반 조건등)이 있는 경-ㅇ여건에 맞도록 폭원 조정274| 토공)ee구분토사리 핑암발파암설계 반영 경사0111.5111.01:0,7추가 완 화 경 (0)사 (20.50.50.3SAQA] APs BAKO+@)1:2.01:151:1,0ㆍ산정 결과 높이의 약1/3 정도가 필요한 것으로 검토비탈면 높이지반별 높이*(70) 폭원산정적용(H, m)토사리 핑암발파암(m)(W, m)51.90.82.32.02103.81,64.64.14155.72.46.96.16207.63.29.28.28259.54.011.510.2103011.44.813.812.212* 건설 중인 14 개 사업단 비탈면 대상으로 비탈면 지반 구성 비율 산정 결과 반영[토사(38%), 리 핑 (16%),암발파 (46%)]암@At 2ShOCssceay토공및 배수 공 ㅣ 275| 검토결론 : 경사완 화를 감안하여 별도 비탈면 높이별 용지산정구분용 |: 비탈면 위험도 평가 결과 180점 초과 비탈면a싱*안정성 검토결과를 반영 하여 재 산정 된 위험도 결과 적용(첨부 #6)용지용ㅇ 지 경계산정 :설계 경사 + 0폭원 산정 ㅣ 0 = 토사 : 0.5, 리 핑 암 : 0.5, 발파암 : 0.9내림)특수 여건(무한 사면, 지반조건등)등이적용방안 : 현재설계 중인 노선부터적용* 향후설계, 시공 결과를 토대로 위험도 평가 점수 검증및 피드백1.위험도 평가 결과 분석2.비탈면 위험도 평가표3.경 완화사공법 적용 경사4.건 노선설까 구조 비탈면 지반 구성 비율5.까 구조 비탈면 용지 경 관련 계의견6.까 구조 비탈면설계 절차7.용지 경계 설정 개념도)ee 트로 | 우 험도 평가 결과 분석 [1 건설 중 비탈면 위험도 평가 결과(안성- 응 인, 용인-구 리 2 개 노선)구분전체설계 동일추가 보강대상 비탈면78572120”위험도 평가평균 점수 116111130* 일반적인까 구조 비탈면 불안 요소 반영 시 암반 비탈면의 경우는 10~130점, 토사 비탈면의 디 최근설계 준 노선공 위험도 평가 결과ae1매우 불안 ㅣ 불안보통(150^700)안정 ㅣ 매우안정될 (200^~-180) | (180^-150)소계|150~130 | 130~100(100~80) | (80이하)개소| 867--46521924631686총계비율| 100%0%0%54%25%28%36%10%개소| 598-103411931482561서울세종| 비율 | 100%0%2%57%32%25%43%0%개소|110--548462036양평이천비율 | 100%0%0%49%7%42%18%33%개소159--7018524049 새만금전주비율 | 100%0%0%44%11%33%25%31%Oxsaceay토공및 배수 공 ㅣ 277비탈면 위험도평가표[암반 비탈면 : 불안 요소 반영평가 결과 130]항목구분배점100이상0비탈면11~20m10높이(40)21~30m30비탈면802이상끄형상1:1.5 미만0(70)비탈면111.5~1:1.0 미만°경사1:1.0~1:0.5 미만10(30)1:0.5~1:0.3 미만201:0.3이상 30절리 불규칙30비탈면 방향으로 경사 진 절리0ASS | 거가 방향 ㅣ 비탈면 방향과의 차이 : 341“이상0ue)(40)비탈면 방향과의 차이: +31“~ +40° 10비탈면 방향과의 차이 : +20°~ +30°30비탈면 방향과의 차이 : 20?“40집수 지형se:5(10)중간집수 되기 쉽다10지형 적요 ㅣ비탈면 | ae0인형상 (20)maa20(50)내리막0상부평탄10사이| 20 으 르막60"이 해15오르막 (20“이상)20이력붕 괴이력비탈면 전후 성토부 연 구간계20(40)(40)비탈면 전후 터널부 연 구간 계40설계자의견지반 정수의 신뢰도, 절리면 상태등 평가총점200~180 : 매우 불안정 * 180~150 : 불안정계 (200)150~100 : HE100~80 :안정13080~0: 매우안정278| 토공및 배수공-)ee EE aves법 적용 경사 LU 검토결과 : 경 완사 화를 위한 추가 경사 토사 0.5, 리 핑 암 0.8, 발파암 0.8ㅇ 최근설계 준공 노선(3 개) 경사 완 화 공법이 적용된 완 화 경사 적용값80%이상을 만 족 하는 수으로준 선정 +0.5, 리 핑 암 +0.5, 발파암 +0.8)* 건설 중인 노선의 경사 완화 공법 적용 시 평균 경사는 표본및 일부지역에 국한된결과로 일반화 곤란 하여 검토 시 제외 니 최근설계 준공(3 개) 노선비탈면 추가경사완호구분EA리핑암발파암검토 ㅣ반영| 추가| 검토ㅣ 반영| 추가| 검토ㅣ반영ㅣ 추가평균0.50.30.31/15|20 | 053|15|220 | 0.5| 10 | 198 | 0.8 | 1.0 |10-3|15|20 | 05| 10 | 15 | 0.54|/15|201]055/15|201051410!18| 026|15|1510|100.7 | 10 | 0.3서울세동|" | 15|16510|1007 | 10 | 038|129|15 | 0.8|18|15|0.39|15|95 | 10|12|15|03 | 0.7 | 10 | 0.310| 15|85 | 10|18|15|0.3 | 0.7 | 10 | 0.31141 15|1510|15|052!15|20 | 05|10|12|0214; 15|1510|12|02107 | 12 | 05ama[16] 15|16 | 01@T17)15 |18 |03야 펴oa|)0]0]0]2]0]0]0 0]0 |222322토공및 배수 공nvS구분토사리 핑암발파암설계 ㅣ 변경 | 추가 |설계 ㅣ 변경 | 추가 |설계ㅣ 변경 ㅣ 추가전 평균체0.70.81.1평0.70.81,2 ㅎ w ¢ u¢ 2 2 2 ¢49 002 ¢ ¢2 |.£$¢a¢¢dfea S35 b ot$34cf$dof aeFH)$a1,21,50.3 오용+80-6+6+86-8 |0-7+8+4 +5+6-3ot+8+4평0,20.9aS+5+6ㅅ이상O5|42-t51.01.20.2aa10 | 22|] 12평균0.70.8-강진0) | 1.5 | 18 | 0.8|104.8|15 |0.3광주0 |ts---+0[46-43]5+38280 ㅣ 토공및 배수 공-)eeL Ase 4=추가 경사 ㅣ 빈도수 | 누적 %토사0.119%7 -r 120%0,209%1]100860.3227%|0.4027%,| pe0.5682%Miwo0.6082%woeEA=37비-0.7082%0.8082%'0.9082%oyof@@eoaoe2'~고12100%제추가 경사0100%wre추가 경사 ㅣ 빈도수 | 누적 %리핑암0. 100%45-120860.2444%0.3378%때0.4078%- 00핑암0.52100%.0.60100%=0.70100%o0.80100%200.90100%10100%0.1020.3'04'0.5'0.6'070.8'0.9'1oe” 기타0100%Wes추가 경사 ㅣ 빈도수 | 누적 %발파암0.100%45r 120%0,200%r100%0.3480%0.4080%80%0.51100%발파암000.60100%meee0.70 | 100%om700.80100%20%0.90100%10100%o10.2o3'0.40.5'06'0.7'o8'0.9'1"ae” 기타0100%주가 경사COXaces토공및 배수 공HSMAwoSH AEE +a 비율2t7| H|EHH AHI Sst사업단공구비고토사핑암발파암전체평균38%16%46%안 용인성1-638%22%40%용인 구리7-1433%14%52%밀 양울산1-1050%11%40%창녕 밀양1-623%14%63%합천 창녕7-1226%6%68%함 양합천1-664%17%19%김 포- 파 주1-582%16%2%김포 양주파 주- 양주1-430%18%52%강 진 광주1-956%19%25%아 천안산1-646%29%25%세 종안성1-10,33%18%A9%ore오 송 지선포 영덕항1-530%23%AT%화도- 양 평1-240%18%A2%수도권양 평-이천1-455%15%30%새만 금전주1-843%10%47%대구순환1-712%1%81%)ee7A7| HAAi] Bat예 비 자료 수집지형도, 지질도, 노선 현황by|예비 해석 대상및 대 표 비탈면 선정At||조사등급및 조사항목 검토 지반조사- 지 표지질 조사Al- 지질 현황( 지 증구성및 암질)- 물 리 탐사-불 연속 면 특성- 시 추 조사및 시 추 공화 상 정보 시험-강도정수(점착 력 , 마찰각등- 현장및 실 내 시험해석 구간및 대 표 비탈면 결정- 추시 조사및 물 탐사 리- 현장및 실 내 시험- 지 층 조건, 토질및 암질 상태 고려- 시공시 확인 조사 향 목 검토- 불안정 요인, 대 표 성을 갖는 단면선정-위 험도 평가비탈면안정성 검토-안정성 검토 시 시공 시 확인조사 결 구조와 상호비 교가1) 토사및 풍화암 비탈면 해석되도록 지반조사 결과, 해석구간 선정 사유, 해석- 지하 수 위 검토(필요 시 침 투 류 해석)입력 자료를 충분히 수록ㆍ표면지포화 또는 침 투 해석에의해 결정- 지반 정수 불 확 성심을 고려하여 지반 정수 변화에- 원호 파괴 검토(91006/\,18167등)따른안정성 검 수행토ㆍ지형및 지 층 조건-설계시 절리 자료획득 방법과 주 절리 특성에 대해ㆍ지반 정수및 지하 수 위 입력평가및 수록2)암반 비탈면 해석- 사 공시 확인조 결사과에 따른설계 조건 변화에-평사투 영 해석대한 조치 사항 제시ㆍ절리면 전단 강도, 방향성, 경사 입력-불 확실한 부분및 특이 사항등 시공 시 유의 사항ㆍ발생가능 파 괴 유형 파악상세 하게 수록-한계 평 형 해석※ "“비탈면안정성 검토 보고서" 양 식에ㆍ파가능괴 절리 특성, 비탈면 제원 입력의거 상세 토검 내용 수록비탈면이안정한가?예아니오까 구조 경사 변경및 보강 대책 검토-ANQEKISA AE), MUS,SHH,락볼트, 보강 옹벽등- 시공성, 경제성,안정성, 환경성 검토- 대 절취 발생유무- 적정보강 공법 선정- 장물지저 촉 여부보강 비탈면안정성 검토- 비탈면안정성 검토 방법과 동일하게 수행-한계 평 형 해석 수행7- 보강 무한계 높이 검토-보강 제원 수 록( 보강도면 미 수 록 , 시공중 재검토)- 확인 시험 수록아니오- 위험도 평가 점수 재 산정및 결과를 반영한용 경계지검토COMsace3yz=8605--comes=)=millRO:K*:a9고=ao시aeOFOW)떻루미ROK고고[xm2§8 2B6OR:E ||~ul: ,aKONO:las=od[~zAE|Ey때iti104"100 FieaR0은(|2 |는|,호록피서티 티티시터EWE | Ele Lza?86STSyR" ㅁㄴ= =ㄷㄷIE는EE ㄷㄷ00 4Al FO = iSSLE\E|Ele|guVo/(FSEE)EE 구조 =-ateeoSx8aie"만고-[~ |oO:El더=+aid5을=Nn(페a제iSCc |Elec=-rySyqe©©등=대Ee!)Teete =-“; os=리 S| EE개 키게 |=70x =나 FeeoLO7TEzeenA이두1 || #] 0] 00/S70se IF= ie. "“al=ETE”*7=~5 |a=yytye|@ |S)wRROETE 르뽀aHm 0내re=-040uliMe: 버 된oT;0 (SoSlais때ui01!"284| 토)ee


아래 이미지는 원본이 10페이지 이상일 경우 9페이지 까지만 만들어진 사항으로 전체내용을 보려면 아래 첨부된 원본 PDF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dlagytjs100@naver.com.png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8715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1512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6164
173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1년_1-4현장문제해결중심의설계성과품개선방안 file 효선 2025.01.14 1056
173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1년_1-5도로에감성을더한경관및디자인설계방안 file 효선 2025.01.14 291
173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1년_1-6설계용역대가적용기준개선(안) file 효선 2025.01.14 2224
173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1년_1-7설계용역과분리발주시행에따른토질조사및측량용역내실화방안 file 효선 2025.01.14 535
173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1년_1-8고속도로설계기준관리체계구축(안) file 효선 2025.01.13 218
173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1년_1-9설계변경심의절차개선 file 효선 2025.01.13 264
172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1년_1-10특정공법선정심의개선방안 file 효선 2025.01.13 300
172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1년_1-11경관디자인기술심사절차개선 file 효선 2025.01.13 315
172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1년_2-1표준도편경사설치도변경 file 효선 2025.01.13 350
172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1년_2-2유지관리작업장교통사고저감을위한도로시설물설계개선방안 file 효선 2025.01.13 213
172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1년_3-1고속도로횡배수관설계적용방안개선 file 효선 2025.01.13 284
172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1년_3-2낙석방지시설설치기준개선 file 효선 2025.01.13 203
»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1년_3-3유지관리를감안한깎기비탈면용지추가확보방안 file 효선 2025.01.13 312
172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1년_3-4효율적유지관리를위한토석류대책시설관리방안개선 file 효선 2025.01.13 209
172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1년_3-5비탈면보강용지반앵커품질관리현실화방안 file 효선 2025.01.13 264
172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1년_4-1교량바닥판내구성향상을위한철근대체신소재(FRP)적용방안검토 file 효선 2025.01.13 946
171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1년_4-2유지관리를고려한강교도장설계개선방안검토 file 효선 2025.01.13 257
171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1년_4-3구조물형상을고려한터널형방음시설설계개선검토 file 효선 2025.01.13 191
171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1년_5-1순환아스콘종류별적용방안 file 효선 2025.01.13 342
171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1년_5-2휴게소및졸음쉼터포장설계기준검토 file 효선 2025.01.13 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