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BsOCR_V01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검색키워드용으로 변환한것으로 다소 내용이부정확할 수 있습니다.
첨부된 원본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one Balt TOOF ym,OPHSs SAS 71S4374-336677 | S797] BIS SH SIAR SAP Poanis)까 구조ㆍ쌓기 비탈면에 적용된 옹벽에 대하여 강 우로 인한 침 투 수 처리를위한 설계기준( 차 대책수 마련을 통한 비탈면 장 구조안정성 향상도모* (새만 금-전 주 종 합 감 ,사 '20. 12) 까 구조비탈면 옹벽상단배수시설계적용검토필요개 현 실태및 문제점CO(#7)WSS옹벽)침투 수를 포함한배수는 옹벽 내부(배수홀)를통해 배수가되는 형태로, 침 투 수 차 단을 위한 배수 기준 부재* 까 구조 비탈면에 적용하는 옹벽은 크게 보강 형식에 따라 앵커 형과 네 일 형으로 구분ㅇ 배수 형태구 _ 분앵커형a Al콘크 리 (8=2/3)트배수시설전면부 배 홀수전면뒷채움 배수구( 양 질의 토사/ 골재)SaalepAcH=2.0~3.0m:a1.41aLSSNl=떼JA[ail3]Va띄esal a/4a\ilieale@eoe\eoaa/Anchor/Nail [지 표수] [지하 수 , 침 투수100 ㅣ 토공및 배수공Cxsaceny상단 토사ㅁ (쌓기 비탈면 옹벽)설계기준 68×%605)에서 제시된 상부 배수 설시은 시ㅇ 성이 고려되 지 않아 시공이 곤란 하고, 콘크리트 옹벽은 배수시설 기준 부재ㅇ 배수시설 기준[고속도로ARAYA(EXCS11 80 10, BYE 옹벽)]콘크 리 배수로트설치시라이닝배수시녹화층 0Terce \~“\ gees-- 루 수성 채 움재 2000)BES HSM Cem)\불 투 수성 콘크리트 또는VM 58S아스팔트} 스 팔트 라이닝라이닝 (1007)지 으 멤 브 리인site 8\ gig dass부부 포직(뒤채 움을채 토 유실실 방지)직포( 뒤\\aug~부직포|뒤채을 토 유실 방지)0 문제점- 시공 성이 고려되지 않은 설: 계 기준으로 임의 시공및배수시설누 락으로 인한 공용 중 옹벽 손상 사례 발생CxssceayI101》므KM때 개선방안1까 구조비탈면디 네일형 까 구조비탈면 옹벽: 배수시설계반영및^ 배수충 품 확보질0[배수시설] 옹벽 최상단및 측 면 부 측구 설치ㆍ(설치대상) 옹벽 단부에서 산마루측구와 50이상이격 되 어 설치되는 경우ㆍ(설치구간) 옹벽 단과 단 사이2간격(1~1.500이 좁아 강 우로 인한 침 투 수가ㆍ(측구 형식) 시공성, 작업안전성등을 고려하여 사전 제작 측구(: 형, 300~300를 적용하되, 배수 형태등 현장여건에 적합한 배수시설로 변경가능=[=도로 분야 전문 용어 표준화고시에 따라“프리 캐 스트” -) “사전제작 ”"으로 사용02산마루 측구~350이상aae모fous최 상 단부측구 *.=&.때f SB P57|종단 9=1~2%식ㄱ《-EaSs도AY*[‘yBe.| \a| EY‘‘%최 상 단부 측구사전 제작 측구절부토 옹벽(300 x 300)설치인로측|측 yy메트300)、사전 제작 측구(300)×300)ㅣ뒤 채움* 배수로는 옹벽시공(100- ㅁ00\0)단계에 맞춰병행시공0 [배수]층 골재품질 기준확보( 보강 토 옹벽필 터 층 품질 기준적용)* 골재품질 기준 ((65118010)체의 공칭 치수26.5mm19mm4.75mm(No.4) | 425um(No.40) | 75um(No.200)통과중량75 ~10050 ~ 750 ~ 600 ~500~5백 분율(%)102 ㅣ 토공및 배수 공Cxsaceny_oo NKHoxi RSTil때자아+ER§x[aaOF은rat70 |-\w/e a | arO40IF원wlo)펜|Fo5in벼JJ(0400(xH =kbSar 끄뒤 채움-|로a eB“ul 2ii페|sfOe 자ohul 2omkerlaS:KNol0KP7rexdpstla비옹벽 상 단 까지 콘크리트¢&=aKege과mo (aya}떠1(aa)20amOM\i로KEmd미해호To dl이발버그ok: [mwHom프주K180-=때더 제세50비틀z | at5고과 a eM)오지 ee전|ㅇ-크 리트 뒤 채of뜨0876AyjoK 팬다uleSMmez)00romOR a oF ge Fi비디 앵커형 까 구조 비탈면 옹벽 aNFxol.Mmㅜ폭우is이ofoSsausxao|고 꾸며 버먼i ehLiesil코lu 0 뒤 채 움 재료 개선N구 구조끔-=q|oll피ow yp ee Ai[까지 aNW ga ziAlcTuo aul 28esa버N20xlx0==|20m753 00EYa+(FDMWHESWH|®BEul2 Hy4mmM%+et./*M4a¢ sawas Ffm한국도로공사xlKITw=그mH*==©oO)» H7|- B7|wEHol4 sotiam1우fot0xdo+)본 방침에서 검토 된 개선 사항을 원칙으로 반영 하고『 배수 설시은 사전 제작 측구 (0 형, 300×300| 측구를 적용 하고, 차 수 효과를 감안하여 되 메 우 구조는 소 일 시 먼※ 배수 지형 , 시공성등 현장여건을 고려하여 적합한 배수시설및 차수대책 변경 적용가능) 본 방침에 따라 고속도HI[건0 까 구조비탈면 옹벽-[네 일형] 배수시설및 배수 충 품 확보질( 배수시설) 옹벽 상단및 측면 측구 설치(배수충) 골재 품질 기준 확보(보강 토 옹벽 필 터 층 품질 기준 적용)- [앵커형] 옹움벽 상 단 까지 콘크리트뒤채ㅇ 쌓기 비탈면 옹벽 : 측구및 측구 하부 버 림 콘크리트ㅁ 적용방안ㅇ 공용 중 노선 : 유지보수및 보강공사 시 적용* 현장여건등을 고려하여사업계획에 따라반영104 ㅣ 토공및 배수공Clsaceay105 000°0SREBSSbeNON(RSSBzRly+ia a보=RSBEA ONIMVEC IWOIdAL&==z85550 36및 iSb SRK Zozle FlceS BREblest SiabSb Shs [62 12101‘TieSb Saree sR SeSly S25BeR Sak SKE BS Ble Ice (2(Sk fat [o(0l 08 LL SOWSICRE SWE S+in)H¢ RA SPly+iaHoBERbRRE S Pely 6 bRSin bic POR SSR2S teh Rly Sein (bSLON*Wef25 FB he fraWO'e~O'C=HeRRivsis R&R eS SSRle) 3tR = loka S FloWOl {clos Sila Af BS SR ASEeh SRA SSS) Rivlin ‘ie He 2A SP iv+in Bk Wicket SRRS Fey ‘Rivsia (bSLON*Pia Mee SRPELEM ASV RS®$2 36 ley 28jAly (2)Si¢ be-FSfn bbl Zot SEY BK SSVR+Wy kRWR Sles-& bSRE2EI Blk* 000'L0109|sksheSis=그12 ㄷ 굳 본변{|(Wl)(GOE x GOE)os tlk Rly(was사스WS 자ts sheYSa(00€x 002) SSSWn lityee0001(O0€ x 00€)뻐르트aoizik Ry/ + tly ely& AaDick +A( 8 fe |Hi)res fofala |i(2)msfofala I[ci% (1) "$6+BSkPA2o( RZ)eloSSlosSFRE(너그 |‘Riv & 6h Rly2SRSEOS SRT ls SF iS St= SE bVWE FEBVR R&bSoles Bivk BB ies BS한국도로공사F bHzl¢ lniv2 WeeARE) SBly SSE 글반상 사 례배수시설 관리 대 aHZH(재 Leola | 처-2429(207.23LF공용 노선 보강 토 옹벽현황: 817 개소(쌓기부 788, 까 구조부 29)Al81761144778620962331005713773822096233904b7)29 10디 상단 배수시설 미반영사례= | wd언RB}oof;(1H)과Ho | 뀌KH | 00al}ㅎ | 근Qi)Ee}S|ig | HMVN는 | 브먼애®유드든든¢€본Kl한국도공사107ww00Ju배수 공섰비=Jlo097uloSof및a=oc® Tooraka10ㅎ보오=4102(|미여HO100Moa ga=uw |)010x |= WH=| § ~|£x |{8만ial먼~,** ㅇ2Ha3을버 | 올0walomig EE‘KO여0Row가Hw2 | 2 YSga@uloRP|8매 그 _ S|_~/H58ase8과Ir0 =(5©trig 100뜻K“Mo3S긍=xor= 9 olKITulo400)(xl|내0TO000al re(bx«K구ㅜㅠHeOrwor ×주 006oky0 WlK(ㅣㅣ ㅣ=BopFo)Ob=Zsql배oSa K0.1m)-_ -_~이 "9는EoO-_S008K 여-_끄KfrE@=of3[1on =|0 | &i0=®2호비은응응그fo주~zegeess=7l| tSmos| oka®16gstilL | OoGriaat s=/E88 Sw 400측구 저 판 +0.1m,KTaw)18e®(가Yl)--_-a2 23oswr™_re)a: -200미중아Qa=rm피OF위0BonyKITRl |)dh(iW (b OKKlSanW삐zo 마oF720 70로Fo 뽀 지ㄱㄱ.(깐(폭한국도로공사TH버nMAl0N=21그5 TFROea4[EEE[무ditEMJyoo aeBBQ)= 0.8AX( 1)% 22783 72wy72(LU:= 1.034x #/?IAO47) A], A=0.09m’, P(-¥#1)=0.90m,| '34S뒤 채움R(@AN)=A/P=0.1, R/3=0.215,n(4=Al +)=0.015, (ZA종단 경사0.5%1.0%1.5%2.0%2.5%3.0%통수량0.07310.10340.12670.14620.16350.1791=) 207.2mm/hr* 전국주요 지 (69점 개소)의 확률 강 우 10 년 빈도(할증10%)적용ㆍ(집수 면적) 높이최대150, 연장1000/( 성토부도수로 최대 간격)0) 쌓기부 12UGm) SF 43]사전 제작 측구.3.6 X 10° x Q(300300)설치 간격(6) = OWsom954.85 Xx Q= 2,954.851 _ ::4여 구조서,:( 유 출 계)=0.7(수완 만한 산지),|10'도패 /12ㅠL( 강 = 우 강)=207.W=8.40“W(R2E71 HSH = 2)=8.40m108 ㅣ 토공및 WASCxsaceny구분종단 경사0.5%1.0%1.5%2.0%2.5%3.0%도수로 간격210m300m370m430m480m520m @ B7)F 24 24 (10m)에 측구 설치설치간격 (5)= 3-6X10"x @사전 제작 측구Cx Ix W(300 x 300)6.0= 1,356.32 x Q 5.0m.1 *여 구조서,(유 출 계)=0.7(수완만한산지),||(4-9-4 =)=207.2mm/hr,W=18.30m_\( 흙 쌓기 비탈면 폭원)=18.300구분종단 경사0.5%1.0%1.5%2.0%2.5%3.0%도수로 간격90m140m170m190m220m240m@쌓기부 3 단 소단(1520)에 측구 설치ayaa ~에즈.6×100×1008?5.0mCx IxW:전제작 측f6= 875.51.91×x 0ley@5.0m__|1(2-9-7 =)=207.2mm/hr,Bescon\( 흙 쌓기 비탈면 = 2))=28.35m구분종단 경사0.5%1.0%1.5%2.0%2.5%3.0%도수로 간격60m90m110m120m140m150mee한국도로공사토공및배수 공 ㅣ 109See)SHOFWestsJ] Hy [깜 구조 비탈면]디설계기 (6105)ㅇ 비탈면 배수시설(6105 11 70 25)1.2.1 지 표수 배수시설(1) 비탈면 지 표수 배수시설은 비탈면의 지형조건, 지반 조건, 지하 수의 상태, 계 곡 부의 상태 , 지역적 구조 후 특성을 고려하여 지 표수 배수시설을 설치한 다.(2) 대규모 쌓기 비탈면에는 102ㅠ 높이 마다, 대규모 까 구조 비탈면은 20 ㅁ 높이 마다 구조 본 적으로 소 단 배수 구를 설치하며 , 비탈면 지반 조건, 지반상태 , 통 수 거리등을 감안하여 소 단배수 구를 추가로 설치할수 있다.(3) 소 단 배수 구의 연장이 100 ㅠ를 초과 하는 경우에는 종 배수 구를흐르는 물을 신속히 배수 시키며 필요에 따라 설치 간격을(4) 쌓기 비탈면의 상부에서 비탈면 표면으로 유 입 되는 지 표수 유 량이 많은 경우에는 비탈어 깨 부에 배수 구를 설치한다.6) #7 HSHA 2 자연 비탈면로부터으유 입 되는 지 표수 유 량이 예 되는 상경우에는산마루에 배수 구를 설치한 다.(6) 까 구조 비탈면 상부가 계 곡을 형 성 하여 토 석이나 나 못잎등의 유 입이 예상되는 구간에서는 배수로 내 외 지점에 유 입 방지를 위한 차 폐시설을 획 계한 다.(7) 부지가 계 부를곡가로 지 르는 경우는 쌓기 토체 내부에 배수구를 설치하여 계 곡에서 흐르는물을 배수 시킨다. 쌓기 비탈면의가운데 계 곡 부가 있는 경우는 계 곡 부를 흐르는$FARM FHA S| eu ane 설치한다.(8) 배수시설은 배수 용 량을 만 족 시키는 범위 내에서 장 기초인 유지관리가 섬 고, 배수구 주지반에 해로운영향을 4 않는 구조를 갖도록 단면을설계한다. 기본적인 조건은02 비탈면에 설치하는 배수 구의 최소경사는 0.3%이상 확보한다.(@) 기본으로적소단 배수 구의 폭은 12 ㅁ~3m=z한다.급 류가 발생하는 종 배수 구의 경사가 변화 하는 곳에는 뚜경을 설치한다.배수 구의 연결 부는 흐르는 물이상호 간 섭 하지 않고 원활한 배수가 되는 구조를갖도록설계한다.토공및 배수 공COXsaszayㅇ비탈면 보강 공법 06105 11 70 15)4.1.5 배수시설(1) 전면 벽 체는 수 압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으므로 네 일 공법은 반드시 배수시설을 고려하여야한다. 배수시설의 설치는 계 절 적인 지하 수 위와 지 표에서의 침투, 상부 배수시설로부 터의 누 수가 발생 하더라도 원활한 Set 되도록 하여야한다.(2) 네 일 공법에 적용하는 배수시설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4-18 (weephole)Q rears63) 전면 벽체 배설 면에4@ 전면 벽체 상부에 표면 수 유 입을 우 해설치하는 배수로ㅇ 구조대구조 옹벽 (05 11 80 20)4.5 구조대구조 옹벽의 배수시설(1) 구조대구조 gue 옹벽See지하 수가 유 입 되는 지형, 옹벽 전면에 수위가 형성되는 지형에서는옹벽 배 면에 물을 유도 하기 위한 배수시설을 설치한다(2) 구조대구조 옹벽에 설치하는 배수시설은 다음과 같다.0) 배수 구 명©) rer’63) 옹벽 배면토목섬유 배수재Cxssceay11》므ol!ol!KM[쌍 구조 비탈면]디 국토부ㅇ 건설공사 보강토 옹벽설계ㆍ시공및 유지 관리 잠정지침 (13)상부 배수및 차 수대책 1상부 배수및 차 수대책 290cm4 2002이상}|(M20cm ES|5 구조그-=HON불 두수 콘크리트 혹은(dA)아 스 팔 (10027)트ㅇ(설계기준) 보강토 옹벽((05 11 80 10)4.8 보강토 옹벽의 배수시설(1) 보강토 체에이용되는 뒤 채 움 재료는 비교적 배수 성이 양 호 하고 전면 배수 공이양 질의 토사를이용하지만, 다 량의 배면 유 입 수로 뒤 채움 흙이 포 화되면 흙도가급격히 저하 하여 불안한 상태가될수 있으므로 배면 용 출 수의 유무, 수량의과다에 따라적절한배수시설을 하여야한다.(2) 보강토 옹벽에 적용하는 배수시설의 종 류는 다음과 같다.0) 보강토 체 내부 배수시설( 중략)62) 보강토체외부배수시설가. 벽 체 상부지 표수 유 입을 방지하기 위한 지표면 배수구나. 보강토 옹벽 배 면에서 유 입 되는 용수 처리를 위한 보강토 체와 배면 토 체 사이의경계면배수층ㅇ (표준시방서) 보강토 옹벽 605 11 80 10)3.3.8 배수공(1) 보강토 옹벽은 보강재와 뒤 채움 흙의 마찰 저 항에의하여 지지 되는 구조이며, 유입 되는물에의하여 강도 저하및 구조체 파 괴의 원인이될수 있으므로설계도 서에 명 되지시않은경우 라도이러한 문제가 예상 되는 경우에는공사 감독 자와 협의 하여설계변경을통해보강토 체 내 외에 배수 구를 설치한다.l 토공및 배수 공Cxsaceny CO 우리공사ㅇ 보강토 응 벽설계 적용기준토(설계 처 --563, 2007.12.12.)위한 배수구 설치 ㆍㅇ보강토 옹벽설계기준 개선(설계처-193, 2011. 1.26.)가 : 보강토 옹벽 상부- 배수시설 관련 추 내용배수및 방수 처리보강토 옹벽의 상부에는 배수 용 측구 혹은 아래 그 림과 같이 지 표 수가 집수 되어 배수될수 있는 지표면 배수로를 설치하거나, 방수 층을 두어 지 표 수가 보강토 옹벽 내부로 침투하지 않도록 하여야한다ㅇ 고속도로공사전 문 시방서(18, EXCS 11 80 10)- 보강토 체 내부및 상부에 배수시설을 반드시설치하여야 함콘크리트 배수로 설치시라이닝배수시녹화 충이 있는경우.`… 지 오 멤브레인SNseca0-뒤 채 움 다짐 토 층 ae N gazenigs gaan)- 부직포(뒤 처 음 토 유실 방지)|벽체전면goesCxssceay※ 참고자료(해외적용기준)@FHWA(FederalHighwayAdministration,4] @3}==4,2009)ㅇ 적정한배토수설계는 보강 옹벽 구조 능유지의 기본 요소이며, 내부ㆍ외부 배수로구분됨유수 흐름배수단면도전면 벽 체 배수 상세face Water Infiltration3^WALL FILLFoundation Soil GEOTEXTILEFILTER (F REQURED)ㅇ 지 표 배수는 보강토 옹벽 구조능 유지에 중요한 요소로, 반드시설계시 다 루어 져야 하고 적정한시설물을 설치하여야 함상부 배수시설 1상부 배수시설 2상부 배수시설 3ieMwap비TOPSOIL- 8" LOW PERMEABILITYARES~- 8" LOW PERMEABILITYSOILSOIL \_. IMPERMEABLE 4" CONCRETE.‘SWALE LINED WITH VEGETATIONOR ASPHALT LININGGEOMEMBRANE._-COMPACTED INFILL.\’\-COMPACTED INFILLAGE ~GEOTEXTILE\LDRAINAGE\_ GEOTEXTILEAGGREGATE\AGGREGATE\_SEGMENTAL나‘SEGMENTALUNIT@)도로토공-옹벽공 지침(일본 국 토 교통성(일 본도로협회), 2013))ㅇ 보강 토 체로 유 입되는 유 수를 보강토의 설 조건치또는 구조에 따라 적합을설치하여야 함 .ㅇ 표면 배수 공은 지 표 수를 보강토 체로의 침 투를 방지하수있는 구조이어야 함 .배수 공 적용단면iE i|ss.~LeBERBERASA I3S EHP AK IB CHRO Sm LL)a)FURARETAAO PEATE OP@ GEO((Geotechnical Engineering Office, = 3% B324 4H, 2017)) ㅇ 원 지반과 접한 부분에는 배수 층을 견 고 하게 설치하고, 벽 체 상부는 벽 체와 연 하여배수로를 설치하여야 함Cxssceay.one Balt TOOF ym,OPHSs SAS 71S4374-336677 | S797] BIS SH SIAR SAP Poanis)까 구조ㆍ쌓기 비탈면에 적용된 옹벽에 대하여 강 우로 인한 침 투 수 처리를위한 설계기준( 차 대책수 마련을 통한 비탈면 장 구조안정성 향상도모* (새만 금-전 주 종 합 감 ,사 '20. 12) 까 구조비탈면 옹벽상단배수시설계적용검토필요개 현 실태및 문제점CO(#7)WSS옹벽)침투 수를 포함한배수는 옹벽 내부(배수홀)를통해 배수가되는 형태로, 침 투 수 차 단을 위한 배수 기준 부재* 까 구조 비탈면에 적용하는 옹벽은 크게 보강 형식에 따라 앵커 형과 네 일 형으로 구분ㅇ 배수 형태구 _ 분앵커형a Al콘크 리 (8=2/3)트배수시설전면부 배 홀수전면뒷채움 배수구( 양 질의 토사/ 골재)SaalepAcH=2.0~3.0m:a1.41aLSSNl=떼JA[ail3]Va띄esal a/4a\ilieale@eoe\eoaa/Anchor/Nail [지 표수] [지하 수 , 침 투수100 ㅣ 토공및 배수공Cxsaceny상단 토사ㅁ (쌓기 비탈면 옹벽)설계기준 68×%605)에서 제시된 상부 배수 설시은 시ㅇ 성이 고려되 지 않아 시공이 곤란 하고, 콘크리트 옹벽은 배수시설 기준 부재ㅇ 배수시설 기준[고속도로ARAYA(EXCS11 80 10, BYE 옹벽)]콘크 리 배수로트설치시라이닝배수시녹화층 0Terce \~“\ gees-- 루 수성 채 움재 2000)BES HSM Cem)\불 투 수성 콘크리트 또는VM 58S아스팔트} 스 팔트 라이닝라이닝 (1007)지 으 멤 브 리인site 8\ gig dass부부 포직(뒤채 움을채 토 유실실 방지)직포( 뒤\\aug~부직포|뒤채을 토 유실 방지)0 문제점- 시공 성이 고려되지 않은 설: 계 기준으로 임의 시공및배수시설누 락으로 인한 공용 중 옹벽 손상 사례 발생CxssceayI101》므KM때 개선방안1까 구조비탈면디 네일형 까 구조비탈면 옹벽: 배수시설계반영및^ 배수충 품 확보질0+--+[배수시설] 옹벽 최상단및 측 면 부 측구 설치ㆍ(설치대상) 옹벽 단부에서 산마루측구와 50이상이격 되 어 설치되는 경우ㆍ(설치구간) 옹벽 단과 단 사이2간격(1~1.500이 좁아 강 우로 인한 침 투 수가ㆍ(측구 형식) 시공성, 작업안전성등을 고려하여 사전 제작 측구(: 형, 300~300를 적용하되, 배수 형태등 현장여건에 적합한 배수시설로 변경가능=[=도로 분야 전문 용어 표준화고시에 따라“프리 캐 스트” -) “사전제작 ”"으로 사용02산마루 측구~350이상aae모fous최 상 단부측구 *.=&.때f SB P57|종단 9=1~2%식ㄱ《-EaSs도AY*[‘yBe.| \a| EY‘‘%최 상 단부 측구사전 제작 측구절부토 옹벽(300 x 300)설치인로측|측 yy메트300)、사전 제작 측구(300)×300)ㅣ뒤 채움* 배수로는 옹벽시공(100- ㅁ00\0)단계에 맞춰병행시공0 [배수]층 골재품질 기준확보( 보강 토 옹벽필 터 층 품질 기준적용)* 골재품질 기준 ((65118010)체의 공칭 치수26.5mm19mm4.75mm(No.4) | 425um(No.40) | 75um(No.200)통과중량75 ~10050 ~ 750 ~ 600 ~500~5백 분율(%)102 ㅣ 토공및 배수 공Cxsaceny_oo NKHoxi RSTil때자아+ER§x[aaOF은rat70 |-\w/e a | arO40IF원wlo)펜|Fo5in벼JJ(0400(xH =kbSar 끄뒤 채움-|로a eB“ul 2ii페|sfOe 자ohul 2omkerlaS:KNol0KP7rexdpstla비옹벽 상 단 까지 콘크리트¢&=aKege과mo (aya}떠1(aa)20amOM\i로KEmd미해호To dl이발버그ok: [mwHom프주K180-=때더 제세50비틀z | at5고과 a eM)오지 ee전|ㅇ-크 리트 뒤 채of뜨0876AyjoK 팬다uleSMmez)00romOR a oF ge Fi비디 앵커형 까 구조 비탈면 옹벽 aNFxol.Mmㅜ폭우is이ofoSsausxao|고 꾸며 버먼i ehLiesil코lu 0 뒤 채 움 재료 개선N구 구조끔-=q|oll피ow yp ee Ai[까지 aNW ga ziAlcTuo aul 28esa버N20xlx0==|20m753 00EYa+(FDMWHESWH|®BEul2 Hy4mmM%+et./*M4a¢ sawas Ffm한국도로공사xlKITw=그mH*==©oO)» H7|- B7|wEHol4 sotiam1우fot0xdo+)본 방침에서 검토 된 개선 사항을 원칙으로 반영 하고『 배수 설시은 사전 제작 측구 (0 형, 300×300| 측구를 적용 하고, 차 수 효과를 감안하여 되 메 우 구조는 소 일 시 먼※ 배수 지형 , 시공성등 현장여건을 고려하여 적합한 배수시설및 차수대책 변경 적용가능) 본 방침에 따라 고속도HI[건0 까 구조비탈면 옹벽-+--+[네 일형] 배수시설및 배수 충 품 확보질( 배수시설) 옹벽 상단및 측면 측구 설치(배수충) 골재 품질 기준 확보(보강 토 옹벽 필 터 층 품질 기준 적용)- [앵커형] 옹움벽 상 단 까지 콘크리트뒤채ㅇ 쌓기 비탈면 옹벽 : 측구및 측구 하부 버 림 콘크리트ㅁ 적용방안ㅇ 공용 중 노선 : 유지보수및 보강공사 시 적용* 현장여건등을 고려하여사업계획에 따라반영104 ㅣ 토공및 배수공Clsaceay105 000°0SREBSSbeNON(RSSBzRly+ia a보=RSBEA ONIMVEC IWOIdAL&==z85550 36및 iSb SRK Zozle FlceS BREblest SiabSb Shs [62 12101‘TieSb Saree sR SeSly S25BeR Sak SKE BS Ble Ice (2(Sk fat [o(0l 08 LL SOWSICRE SWE S+in)H¢ RA SPly+iaHoBERbRRE S Pely 6 bRSin bic POR SSR2S teh Rly Sein (bSLON*Wef25 FB he fraWO'e~O'C=HeRRivsis R&R eS SSRle) 3tR = loka S FloWOl {clos Sila Af BS SR ASEeh SRA SSS) Rivlin ‘ie He 2A SP iv+in Bk Wicket SRRS Fey ‘Rivsia (bSLON*Pia Mee SRPELEM ASV RS®$2 36 ley 28jAly (2)Si¢ be-FSfn bbl Zot SEY BK SSVR+Wy kRWR Sles-& bSRE2EI Blk* 000'L0109|sksheSis=그12 ㄷ 굳 본변{|(Wl)(GOE x GOE)os tlk Rly(was사스WS 자ts sheYSa(00€x 002) SSSWn lityee0001(O0€ x 00€)뻐르트aoizik Ry/ + tly ely& AaDick +A( 8 fe |Hi)res fofala |i(2)msfofala I[ci% (1) "$6+BSkPA2o( RZ)eloSSlosSFRE(너그 |‘Riv & 6h Rly2SRSEOS SRT ls SF iS St= SE bVWE FEBVR R&bSoles Bivk BB ies BS한국도로공사F bHzl¢ lniv2 WeeARE) SBly SSE 글반상 사 례배수시설 관리 대 aHZH(재 Leola | 처-2429(207.23LF공용 노선 보강 토 옹벽현황: 817 개소(쌓기부 788, 까 구조부 29)Al81761144778620962331005713773822096233904b7)29 10디 상단 배수시설 미반영사례= | wd언RB}oof;(1H)과Ho | 뀌KH | 00al}ㅎ | 근Qi)Ee}S|ig | HMVN는 | 브먼애®유드든든¢€본Kl한국도공사107ww00Ju배수 공섰비=Jlo097uloSof및a=oc® Tooraka10ㅎ보오=4102(|미여HO100Moa ga=uw |)010x |= WH=| § ~|£x |{8만ial먼~,** ㅇ2Ha3을버 | 올0walomig EE‘KO여0Row가Hw2 | 2 YSga@uloRP|8매 그 _ S|_~/H58ase8과Ir0 =(5©trig 100뜻K“Mo3S긍=xor= 9 olKITulo400)(xl|내0TO000al re(bx«K구ㅜㅠHeOrwor ×주 006oky0 WlK(ㅣㅣ ㅣ=BopFo)Ob=Zsql배oSa K0.1m)-_ -_~이 "9는EoO-_S008K 여-_끄KfrE@=of3[1on =|0 | &i0=®2호비은응응그fo주~zegeess=7l| tSmos| oka®16gstilL | OoGriaat s=/E88 Sw 400측구 저 판 +0.1m,KTaw)18e®(가Yl)--_-a2 23oswr™_re)a: -200미중아Qa=rm피OF위0BonyKITRl |)dh(iW (b OKKlSanW삐zo 마oF720 70로Fo 뽀 지ㄱㄱ.(깐(폭한국도로공사TH버nMAl0N=21그5 TFROea4[EEE[무ditEMJyoo aeBBQ)= 0.8AX( 1)% 22783 72wy72(LU:= 1.034x #/?IAO47) A], A=0.09m’, P(-¥#1)=0.90m,| '34S뒤 채움R(@AN)=A/P=0.1, R/3=0.215,n(4=Al +)=0.015, (ZA종단 경사0.5%1.0%1.5%2.0%2.5%3.0%통수량0.07310.10340.12670.14620.16350.1791=) 207.2mm/hr* 전국주요 지 (69점 개소)의 확률 강 우 10 년 빈도(할증10%)적용ㆍ(집수 면적) 높이최대150, 연장1000/( 성토부도수로 최대 간격)0) 쌓기부 12UGm) SF 43]사전 제작 측구.3.6 X 10° x Q(300300)설치 간격(6) = OWsom954.85 Xx Q= 2,954.851 _ ::4여 구조서,:( 유 출 계)=0.7(수완 만한 산지),|10'도패 /12ㅠL( 강 = 우 강)=207.W=8.40“W(R2E71 HSH = 2)=8.40m108 ㅣ 토공및 WASCxsaceny구분종단 경사0.5%1.0%1.5%2.0%2.5%3.0%도수로 간격210m300m370m430m480m520m @ B7)F 24 24 (10m)에 측구 설치설치간격 (5)= 3-6X10"x @사전 제작 측구Cx Ix W(300 x 300)6.0= 1,356.32 x Q 5.0m.1 *여 구조서,(유 출 계)=0.7(수완만한산지),||(4-9-4 =)=207.2mm/hr,W=18.30m_\( 흙 쌓기 비탈면 폭원)=18.300구분종단 경사0.5%1.0%1.5%2.0%2.5%3.0%도수로 간격90m140m170m190m220m240m@쌓기부 3 단 소단(1520)에 측구 설치ayaa ~에즈.6×100×1008?5.0mCx IxW:전제작 측f6= 875.51.91×x 0ley@5.0m__|1(2-9-7 =)=207.2mm/hr,Bescon\( 흙 쌓기 비탈면 = 2))=28.35m구분종단 경사0.5%1.0%1.5%2.0%2.5%3.0%도수로 간격60m90m110m120m140m150mee한국도로공사토공및배수 공 ㅣ 109See)SHOFWestsJ] Hy [깜 구조 비탈면]디설계기 (6105)ㅇ 비탈면 배수시설(6105 11 70 25)1.2.1 지 표수 배수시설(1) 비탈면 지 표수 배수시설은 비탈면의 지형조건, 지반 조건, 지하 수의 상태, 계 곡 부의 상태 , 지역적 구조 후 특성을 고려하여 지 표수 배수시설을 설치한 다.(2) 대규모 쌓기 비탈면에는 102ㅠ 높이 마다, 대규모 까 구조 비탈면은 20 ㅁ 높이 마다 구조 본 적으로 소 단 배수 구를 설치하며 , 비탈면 지반 조건, 지반상태 , 통 수 거리등을 감안하여 소 단배수 구를 추가로 설치할수 있다.(3) 소 단 배수 구의 연장이 100 ㅠ를 초과 하는 경우에는 종 배수 구를흐르는 물을 신속히 배수 시키며 필요에 따라 설치 간격을(4) 쌓기 비탈면의 상부에서 비탈면 표면으로 유 입 되는 지 표수 유 량이 많은 경우에는 비탈어 깨 부에 배수 구를 설치한다.6) #7 HSHA 2 자연 비탈면로부터으유 입 되는 지 표수 유 량이 예 되는 상경우에는산마루에 배수 구를 설치한 다.(6) 까 구조 비탈면 상부가 계 곡을 형 성 하여 토 석이나 나 못잎등의 유 입이 예상되는 구간에서는 배수로 내 외 지점에 유 입 방지를 위한 차 폐시설을 획 계한 다.(7) 부지가 계 부를곡가로 지 르는 경우는 쌓기 토체 내부에 배수구를 설치하여 계 곡에서 흐르는물을 배수 시킨다. 쌓기 비탈면의가운데 계 곡 부가 있는 경우는 계 곡 부를 흐르는$FARM FHA S| eu ane 설치한다.(8) 배수시설은 배수 용 량을 만 족 시키는 범위 내에서 장 기초인 유지관리가 섬 고, 배수구 주지반에 해로운영향을 4 않는 구조를 갖도록 단면을설계한다. 기본적인 조건은02 비탈면에 설치하는 배수 구의 최소경사는 0.3%이상 확보한다.(@) 기본으로적소단 배수 구의 폭은 12 ㅁ~3m=z한다.급 류가 발생하는 종 배수 구의 경사가 변화 하는 곳에는 뚜경을 설치한다.배수 구의 연결 부는 흐르는 물이상호 간 섭 하지 않고 원활한 배수가 되는 구조를갖도록설계한다.토공및 배수 공COXsaszayㅇ비탈면 보강 공법 06105 11 70 15)4.1.5 배수시설(1) 전면 벽 체는 수 압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으므로 네 일 공법은 반드시 배수시설을 고려하여야한다. 배수시설의 설치는 계 절 적인 지하 수 위와 지 표에서의 침투, 상부 배수시설로부 터의 누 수가 발생 하더라도 원활한 Set 되도록 하여야한다.(2) 네 일 공법에 적용하는 배수시설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4-18 (weephole)Q rears63) 전면 벽체 배설 면에4@ 전면 벽체 상부에 표면 수 유 입을 우 해설치하는 배수로ㅇ 구조대구조 옹벽 (05 11 80 20)4.5 구조대구조 옹벽의 배수시설(1) 구조대구조 gue 옹벽See지하 수가 유 입 되는 지형, 옹벽 전면에 수위가 형성되는 지형에서는옹벽 배 면에 물을 유도 하기 위한 배수시설을 설치한다(2) 구조대구조 옹벽에 설치하는 배수시설은 다음과 같다.0) 배수 구 명©) rer’63) 옹벽 배면토목섬유 배수재Cxssceay11》므ol!ol!KM[쌍 구조 비탈면]디 국토부ㅇ 건설공사 보강토 옹벽설계ㆍ시공및 유지 관리 잠정지침 (13)상부 배수및 차 수대책 1상부 배수및 차 수대책 290cm4 2002이상}|(M20cm ES|5 구조그-=HON불 두수 콘크리트 혹은(dA)아 스 팔 (10027)트ㅇ(설계기준) 보강토 옹벽((05 11 80 10)4.8 보강토 옹벽의 배수시설(1) 보강토 체에이용되는 뒤 채 움 재료는 비교적 배수 성이 양 호 하고 전면 배수 공이양 질의 토사를이용하지만, 다 량의 배면 유 입 수로 뒤 채움 흙이 포 화되면 흙도가급격히 저하 하여 불안한 상태가될수 있으므로 배면 용 출 수의 유무, 수량의과다에 따라적절한배수시설을 하여야한다.(2) 보강토 옹벽에 적용하는 배수시설의 종 류는 다음과 같다.0) 보강토 체 내부 배수시설( 중략)62) 보강토체외부배수시설가. 벽 체 상부지 표수 유 입을 방지하기 위한 지표면 배수구나. 보강토 옹벽 배 면에서 유 입 되는 용수 처리를 위한 보강토 체와 배면 토 체 사이의경계면배수층ㅇ (표준시방서) 보강토 옹벽 605 11 80 10)3.3.8 배수공(1) 보강토 옹벽은 보강재와 뒤 채움 흙의 마찰 저 항에의하여 지지 되는 구조이며, 유입 되는물에의하여 강도 저하및 구조체 파 괴의 원인이될수 있으므로설계도 서에 명 되지시않은경우 라도이러한 문제가 예상 되는 경우에는공사 감독 자와 협의 하여설계변경을통해보강토 체 내 외에 배수 구를 설치한다.l 토공및 배수 공Cxsaceny CO 우리공사ㅇ 보강토 응 벽설계 적용기준토(설계 처 --563, 2007.12.12.)위한 배수구 설치 ㆍㅇ보강토 옹벽설계기준 개선(설계처-193, 2011. 1.26.)가 : 보강토 옹벽 상부- 배수시설 관련 추 내용배수및 방수 처리보강토 옹벽의 상부에는 배수 용 측구 혹은 아래 그 림과 같이 지 표 수가 집수 되어 배수될수 있는 지표면 배수로를 설치하거나, 방수 층을 두어 지 표 수가 보강토 옹벽 내부로 침투하지 않도록 하여야한다ㅇ 고속도로공사전 문 시방서(18, EXCS 11 80 10)- 보강토 체 내부및 상부에 배수시설을 반드시설치하여야 함콘크리트 배수로 설치시라이닝배수시녹화 충이 있는경우.`… 지 오 멤브레인SNseca0-뒤 채 움 다짐 토 층 ae N gazenigs gaan)- 부직포(뒤 처 음 토 유실 방지)|벽체전면goesCxssceay※ 참고자료(해외적용기준)@FHWA(FederalHighwayAdministration,4] @3}==4,2009)ㅇ 적정한배토수설계는 보강 옹벽 구조 능유지의 기본 요소이며, 내부ㆍ외부 배수로구분됨유수 흐름배수단면도전면 벽 체 배수 상세face Water Infiltration3^WALL FILLFoundation Soil GEOTEXTILEFILTER (F REQURED)ㅇ 지 표 배수는 보강토 옹벽 구조능 유지에 중요한 요소로, 반드시설계시 다 루어 져야 하고 적정한시설물을 설치하여야 함상부 배수시설 1상부 배수시설 2상부 배수시설 3ieMwap비TOPSOIL- 8" LOW PERMEABILITYARES~- 8" LOW PERMEABILITYSOILSOIL \_. IMPERMEABLE 4" CONCRETE.‘SWALE LINED WITH VEGETATIONOR ASPHALT LININGGEOMEMBRANE._-COMPACTED INFILL.\’\-COMPACTED INFILLAGE ~GEOTEXTILE\LDRAINAGE\_ GEOTEXTILEAGGREGATE\AGGREGATE\_SEGMENTAL나‘SEGMENTALUNIT@)도로토공-옹벽공 지침(일본 국 토 교통성(일 본도로협회), 2013))ㅇ 보강 토 체로 유 입되는 유 수를 보강토의 설 조건치또는 구조에 따라 적합을설치하여야 함 .ㅇ 표면 배수 공은 지 표 수를 보강토 체로의 침 투를 방지하수있는 구조이어야 함 .배수 공 적용단면iE i|ss.~LeBERBERASA I3S EHP AK IB CHRO Sm LL)a)FURARETAAO PEATE OP@ GEO((Geotechnical Engineering Office, = 3% B324 4H, 2017)) ㅇ 원 지반과 접한 부분에는 배수 층을 견 고 하게 설치하고, 벽 체 상부는 벽 체와 연 하여배수로를 설치하여야 함Cxssceay


아래 이미지는 원본이 10페이지 이상일 경우 9페이지 까지만 만들어진 사항으로 전체내용을 보려면 아래 첨부된 원본 PDF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dlagytjs100@naver.com.png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8715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1512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6164
177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8-1_제설자재창고 설치기준 변경 및 중기 설치계획 file 효선 2025.01.15 245
177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Ⅰ_2022년도 고속도로 설계실무지침 (요약본) 효선 2025.01.15 1584
177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Ⅱ_실무지침 수록 목록 (1998년 통합본~2022년) file 효선 2025.01.15 544
177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00_표지 및 목차 file 효선 2025.01.15 260
177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1-1_BIM설계기술 조기 정착을 위한 BIM 설계평가 기준 수립 file 효선 2025.01.15 129
177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1-2_드론 통합측량 추진방안 file 효선 2025.01.15 132
176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1-3_공종별로 산재되어 있는 안전항목을 통합한 안전관리 대공종 신설 file 효선 2025.01.15 176
176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1-4_도로구역 및 지형도면 통합고시 추진(안) file 효선 2025.01.15 148
176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1-5_설계안정성 검토 업무 내실화 방안 file 효선 2025.01.15 136
176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1-6_고속도로 적정공사기간 확보방안 검토(안) file 효선 2025.01.15 154
176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2-1_하이패스 나들목 설계지침 제정 file 효선 2025.01.15 160
176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2-2_하이패스 나들목 설계지침 내 안내 표지판 내용 수정 알림 file 효선 2025.01.15 129
176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2-3_고속도로 교통수요예측 내실화 방안 file 효선 2025.01.15 121
176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3-1_고속도로 통로암거 규격개선 file 효선 2025.01.15 213
»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3-2_깎기 및 쌓기 비탈면 옹벽 상단배수시설 설계기준 개선 file 효선 2025.01.15 291
176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4-1_말뚝기초 횡방향 설계 적용방안 검토 file 효선 2025.01.15 156
175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4-2_스트럿-타이 모델링 개선 등을 통한 교각 코핑 설계방안 검토 file 효선 2025.01.15 169
175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4-3_교량 난간 방호벽 절개부위 보강 방안 file 효선 2025.01.15 186
175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4-4_고속도로 장수명 설계추진 방안 file 효선 2025.01.15 236
175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4-5_PSC거더 구조 안정성 향상을 위한 횡만곡 관리 방안 검토 file 효선 2025.01.15 253